KR980009856A -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856A
KR980009856A KR1019960030616A KR19960030616A KR980009856A KR 980009856 A KR980009856 A KR 980009856A KR 1019960030616 A KR1019960030616 A KR 1019960030616A KR 19960030616 A KR19960030616 A KR 19960030616A KR 980009856 A KR980009856 A KR 98000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damping
activated carbon
ga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856A/ko
Publication of KR98000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85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댐핑캐니스터(2)는 통기저항이 커서 증발된 가스를 완전히 정화시키지 못하여 북미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ORVR)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3과 같이 댐핑캐니스터(10)의 수평원통면(28)의 내부에 활성탄(12)을 내설하고, 활성탄(12)의 좌우로 수직경계면(20)을 형성하며,수평원통면(28)과 수직경계면(20)이 만나는 부위에서 파이프(14)의 단부(26)까지 수직경계면(20)을 기준으로 예각의 경사면(16)을 형성하고, 경사면(16)의 바로 하부에는 유선형곡선면(18)을 형성한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이다.
또한,상기 댐핑캐니스터(10)의 활성탄(12)을 기준으로 좌측 파이프(14)의 입구는 캐니스터로 부터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2)이고, 그 반대편은 유출구(24)이며,유입구(22)로 유입된 증발가스는 단부(26)까지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다가 단부(26)를 지나 유선형곡선면(18)을 통과하면서는 점점 유속이 빠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발가스를 거의 완전히 정화시킬수 있고, 북미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서 연료가 증발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캐니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가스의 정화율을 증대시키고, 북미 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댐핑캐니스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탱크 등 연료계에서 발생하는 가솔린 증기를 대기중으로 방출할 때 발생되는 가스는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으며 특히 연료탱크에 연료 주입시 연료탱크내에 압축되어 있는 가솔린 가스가 유출되어 주위에 화기가 있을 경우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상기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연소실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거나 다시 액화시켜 연료탱크로 다시 보내어 주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을 연료 증발가스 배출 억지 장치라고 한다.
연료 증발가스 배출 억제장치는 크게 크랭크 케이스 스토리지 방식과 차클 캐니스터 방식이 있다.
크랭크 케이스 소토리지 방식은 연료 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크랭크 케이스내에 저장하여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를 이용해서 연소실로 인도하는 방식이고, 차콜캐니스너 방식은 증발가스를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기화기로 보내거나 액화시켜 연료탱크로 다시 보내는 방식으로 첨부도면 도1은 댐핑캐니스터(2) 및 캐니스터(1)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댐핑캐니스터(2)는 캐니스터(1)와 엔진의 기화기(4) 사이에 설치되고, 연료탱크(5)에서 증발된 가스가 캐니스터(1)의 활성탄을 거치지 않고 바로 엔진에 유입되는 경우 증발가스를 보조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캐니스터(1)를 보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캐니스터(1)가 정화되지 않은 증발가스를 부가적으로 정화하여 연료탱크(5)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2차로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캐니스터(1)는 기화기(4)와 인접된 부위에 정착되는 원통형 형태로 일측은 연료탱크(5)의 상부에 결합된 가스 방출파이프(6)와 연결되고, 타측은 파이프(3)로 기화기(4)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캐니스터(1) 및 댐팽캐니스터(2)에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경로를 첨부도면 도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는데, 증발가스가 화살표 방향과 같이 캐니스터(2)로 유입되어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기화기(4)로 보내는 방식이다.
캐니스터(1)의 일측 상단에 설치된 유통구(7)는 공기가 유입되거나, 활성탄에 증발가스가 꽉 흡착되었을 때 나머지 증발가스가 유통구(7)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댐핑캐니스터(2)는 시동초기 다량의 증발가스가 엔진으로 유입되는 시간을 지연시킨 기능을 갖는 부속품으로, 원통형의 내부에 활성탄이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댐핑캐니스터(2)는 통기저항이 커서 증발된 가스를 완전히 정화시키지 못하여 북미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ORVR)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댐핑캐니스터가 지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기저항을 감소하여 증발가스의 정화를 증대시키고, 북미 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에 적절히 대처하도록 한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댐핑캐니스터의 수평원통면 내부에 활성탄을 설치하고, 활성탄의 좌우로 수직경계면을 형성하며, 수평원통면과 수직경계면이 만나는 부위에서 파이프의 단부까지 예각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 바로 하부에 유선형곡선면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발가스를 거의 완전히 정화시킬수 있고, 북미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댐핑캐니스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종래 댐핑캐니스터 및 캐니스터에 증발가스 및 공기의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캐니스터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댐핑캐니스터 12 : 활성탄
14 : 파이프 16 : 경사면
18 : 유선형곡선면 20 : 수직경계면
22 : 유입구 24 : 유출구
26 : 단부 28 : 수평원통면
본 발명은 댐핑캐니스터(10)의 수평원통면(28)의 내부에 활성탄(12)을 내설하고, 활성탄(12)의 좌우로 수직경계면(20)을 형성하며, 수평원통면(28)과 수직경계면(20)이 만나는 부위에서 파이프(14)의 단부(26)까지 수직경계면(20)을 기준으로 예각의 경사면(16)을 형성하고, 경사면(16)의 바로 하부에는 유선형곡선면(18)을 형성한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이다.
또한, 상기 댐핑캐니스터(10)의 활성탄(12)을 기준으로 좌측 파이프(14)의 입구는 캐니스터로부터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2)이고, 그 반대편은 유출구(24)이며, 유입구(22)로 유입된 증발가스는 단부(26) 까지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다가 단부(26)를 지나 유선형곡선면(18)을 통과하면서는 점점 유속이 빠르게 형성되는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댐핑캐니스터(10)는 첨부도면 도3과 같이 부분 횡단면으로 도시될 수 있고, 활성탄(12)은 수평원통면(28)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내설된 것으로, 활성탄(12)의 좌우로 수직경계면(20)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14)의 좌측에 형성된 유입구(22)부터 피이프(14)의 단부(26)까지 형성된 내경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캐니스터로부터 증발가스가 유입구(22)에 유입될 때 유입구(22)에서 단부(26)의 내경까지는 증발가스의 유속이 일정하게 되고, 단부(26)에서부터는 유선형곡선면(18)에 의해 점점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상기 유선형곡선면(18)은 파이프(14)의 단부(26)에서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하여 기하급수선으로 형성되는 곡선이고, 유선형곡선면(18)의 끝단부는 수직경계면(20)의 끝단부와 만나는 부위까지 형성되며, 경사면(16)에서 기준할 때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면이고, 유입구(22)에서 경계면(20)까지의 대략적인 형상은 나팔과 같이 형성된 것이다. 즉, 증발가스가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다가 단부(26)에서는 점점 유속이 빨라지고, 따라서 모든 증발가스가 활성탄(12)에 통과하여 활성탄(12)에 골고루 오염된 물질을 흡착함과 동시에 가스를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유출구(24)를 통해 기화기로 유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댐핑캐니스터(10)의 활성탄(12)을 기준으로 좌측 파이프(14)의 입구는 캐니스터로부터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대편은 유출구(24)이며, 유입구(22)에서 유선형곡선면(18)과 만나는 수직경계면(20)까지 나팔과 같이 형성된 것으로, 유입구(22)로 유입된 증발가스는 단부(26)까지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다가 단부(26)를 지나 유선형곡선면(18)을 통과하면서는 점점 유속이 빠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발가스를 거의 완전히 정화시킬수 있고, 북미지역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에 적절히 대응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댐핑캐니스터(10)의 수평원통면(28)의 내부에 활성탄(12)을 내설하고, 활성탄(12)의 좌우로 수직경계면(20)을 형성하며, 수평원통면(28)과 수직경계면(20)이 만나는 부위에서 파이프(14)의 단부(26)까지 수직경계면(20)을 기준으로 예각의 경사면(16)을 형성하고, 경사면(16)의 바로 하부에는 유선형곡선면(1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댐핑캐니스터(10)의 활성탄(12)을 기준으로 좌측 파이프(14)의 입구는 캐니스터로 보터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2)이고, 그 반대편은 유출구(24)이며, 유입구(22)로 유입된 증발가스는 단부(26)까지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다가 단부(26)를 지나 유선형곡선면(18)을 통과하면서는 점점 유속이 빠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616A 1996-07-26 1996-07-26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KR980009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616A KR980009856A (ko) 1996-07-26 1996-07-26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616A KR980009856A (ko) 1996-07-26 1996-07-26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856A true KR980009856A (ko) 1998-04-30

Family

ID=6624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616A KR980009856A (ko) 1996-07-26 1996-07-26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8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449B2 (en)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with a tank ventilation system
US5906189A (e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335691A (ja) 給油時の蒸気回収装置
US3289711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hydrocarbon evaporation losses from automotive vehicles
KR100214698B1 (ko)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콘트롤장치
KR20120033122A (ko) 차량용 캐니스터 및 이를 구비한 연료 공급 장치
KR100982644B1 (ko) 탄화수소 배출물의 저감 또는 방지 방법 및 장치, 그리고유도 탄화수소 배출물 제어 시스템
JPH0674107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4237860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980009856A (ko) 자동차의 댐핑캐니스터
KR101262511B1 (ko) 연료탱크 증발가스 퍼지시스템
JPH08246966A (ja) 燃料蒸発ガス排出抑止装置
KR200245197Y1 (ko) 자동차의캐니스터퍼지장치
JP2006194162A (ja) フューエルカットバルブ
KR950009126Y1 (ko) 자동차용 캐니스터
JP3300114B2 (ja) エンジンの蒸発燃料供給装置
KR19990019558U (ko) 캐니스터의 연료유입 차단장치
KR100273152B1 (ko) 연료증발가스의 누출방지장치
KR20230151213A (ko) 탄화수소 배출물의 저감 또는 방지 방법 및 장치
KR0124898Y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장치용 캐니스터
JP2005030367A (ja) 内燃機関の炭化水素排出量低減装置
KR200226521Y1 (ko) 차콜캐니스터의구조
EP1688610A2 (en) Fluid flow device for fuel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KR960001877Y1 (ko) 자동차 연료증발가스흡착용 캐니스터
KR0129213Y1 (ko)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 증발가스 배출억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