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987A -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987A
KR980008987A KR1019960030844A KR19960030844A KR980008987A KR 980008987 A KR980008987 A KR 980008987A KR 1019960030844 A KR1019960030844 A KR 1019960030844A KR 19960030844 A KR19960030844 A KR 19960030844A KR 980008987 A KR980008987 A KR 980008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eering angle
angle
wheel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두
Original Assignee
최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두 filed Critical 최성두
Priority to KR101996003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987A/ko
Publication of KR98000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987A/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핸들에 부착하여 자동차주행 또는 방향선회시에 바퀴의 변화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주행 또는 방향전환시에 조향핸들을 회전시키는 감각에 의하여 바퀴의 각도를 어림짐작으로 변화시켜 운전하게 됨으로 자동차운전에 능한자로도 운전을 수월하게 할 수 없어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었으며, 특히 초보운전자는 자동차 안전운전에 많은 고충을 겪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수단으로서 표면에 눈금을 표시한 중간에 지시침을 축설하여 지시침의 축에는 기어를 고정하고, 상기의 기어에는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을 이맞춤함과 아울러 금속추를 고정한 조향각도표시판을 케이스의 중앙에 형성한 축봉의 기어와 조향각도표시판에 유착한 기어와 이맞춤시킨후 케이스를 자동차의 조향핸들의 임의의 부분에 부착하여 조향핸들을 회전시 케이스는 조향핸들과 같이 회전되거나, 케이스의 안내돌턱에 회전자유롭게 끼워진 조향각도표시판은 금속추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경사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케이스의 기어와 이맞춤된 조향각도표시판에 유착된 기어 및 피니언에 의하여 지시침이 회전되게 함으로서 운전석에서 바퀴의 변화각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조향핸들에 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4도(가)(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1A:안내돌턱
2:축봉 2A:기어
3:조향각도표시판 3A:축
4:지시침 5:기어
6:기어 6A:피니언
7:각도눈금 8:금속추
9, 10:축 11:조향핸들
12, 12':표시점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핸들에 부착하여 자동차주행 또는 방향선회시에 바퀴의 변화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주행 또는 방향전환시에 조향핸들을 회전시키는 감각에 의하여 바퀴의 각도를 어림짐작으로 변화시켜 운전하게 됨으로 자동차운전에 능한자로도 운전을 수월하게 할 수 없어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었으며, 특히 초보운전자는 자동차 안전운전에 많은 고충을 겪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눈금을 표시한 중간에 지시침을 축설하여 지시침의 축에는 기어를 고정하고, 상기의 기어에는 기어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을 이맞춤함과 아울러 금속추를 고정한 조향각도 표시판을 케이스의 중앙에 형성한 축봉의 기어와 조향각도표시판에 유착한 기어와 이맞춤시킨후 케이스를 자동차의 조향핸들의 임의의 부분에 부착하여 조향핸들을 회전시 케이스는 조향 핸들과 같이 회전되거나, 케이스의 안내돌턱에 회전자유롭게 끼워진 조향각도표시판은 금속추에 의하여 항상일정한 경사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케이스의 기어와 이맞춤된 조향각도표시판에 유착된 기어 및 피니언에 의하여 지시침이 회전되게 함으로서 운전석에서 바퀴의 변화각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향각도표시판을 발명하게 된 것인데,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도눈금(7)과 사방향에 표시점(12)을 표시한 조향각도표시판(3)에는 축(3A)과 금속추(8)을 고정하고, 지시침(4)과 기어(5)를 축(9)으로 유착하여 기어(5)는 축(10)으로 유착된 기어(6)의 피니언(6A)과 이맞춤시키고, 표시점(12′)을 표시한 케이스(1)에는 안내돌턱(1A)과 기어(2A)를 일체로 형성한 관축(2)을 형성하여 상기의 안내돌턱(1A)에 조향각도표시판(3)을 회전자유롭게 접촉되게 축(3A)을 관축(2)에 끼워 축관(2)의 기어(2A)는 기어(6)와 이맞춤시켜 케이스(11)를 조향핸들(11)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은 조양축이다.
이와 같이 된 본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를 조향핸들(11)의 임의의 부분에 볼트나 접착제로 교정하면 조향 핸들(11)이 조향축(13)에 경사상으로 설치된 것에 의하여 케이스(1)도 제2도와 같이 경사상으로 유지되므로 케이스(1)의 안내돌턱(1A)에 회전자유롭게 접고, 축(3A)으로 유착된 조향각도표시판(3)의 금속추(8)는 항상 아래쪽으로 향하려는 하강력에 의하여 경사방향의 하부에 놓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향핸들(11)을 제4도(가)의 상태에서 조향핸들(11)을 제4도(나)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킬때에도 케이스(1)의 안내돌턱(1A)에 회전자유롭게 끼워진 조향각도표시판(3)은 금속추(8)에 의하여 제로도(0°)선상을 유지하게 되나, 케이스(1)의 기어(1A)와 연등되는 지시침(4)은 회전케되어 바퀴의 조향각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조향핸들(11)을 제4도(나)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스(1)와 축봉(2)및 기어(2A)도 조향핸들(11)의 회전방향으로 같이 회전하게되며, 이때 기어(2A)와 이맞춤된 기어(6)는 금속추(8)에 의하여 항상 제로도(0°)선상으로 유지하려는 조향각도표시판(3)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6) 및 피니어(6A)은 제4도(나)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피니언(6A)과 이맞춤된 기어(5)는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기어(5)와 축(9)으로 연결된 지시침(9)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지시침(4)이 각도눈금(7)의 지로도(0°)선상에서 왼쪽으로 이동된 각도를 보고 바퀴의 선회각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4도(가)의 상태에서 조향핸들(1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지시침(4)은 오른쪽으로 회전케 되므로 오른쪽으로 선회된 바퀴의 각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작동에 있어서 조향핸들(11)과 같이 회전되는 케이스(1)에 표시된 표시점(12′)은 제로도(0°)선상으로 유지되는 조향각도표시판(3)에 표시된 표시점(12)과 어긋나게 됨으로 표시점(12′)과 표시점(12)의 어긋나는 각도를 보고도 바퀴의 변화각도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발명은 조향핸들(11)을 회전시 바퀴의 선회조향각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므로 운전을 매우 수월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운전이 아직 서툰 초보운전자에게는 조향각도의 잘못 조작으로 인한 사고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도눈금(7)과 사방향에 표시점(12)을 표시한 조향각도표시판(3)에는 축(3A)과 금속추(8)을 고정하고, 지시침(4)과 기어(5)를 축(9)으로 유착하여 기어(5)는 축(10)으로 유착된 기어(6)의 피니언(6A)과 이맞춤시키고, 표시점(12′)을 표시한 케이스(1)에는 안내돌턱(1A)과 기어(2A)를 일체로 형성한 관축(2)을 형성하여 상기의 안내돌턱(1A)에 조향각도표시판(3)을 회전자유롭게 접촉되게 축(3A)을 관축(2)에 끼워 축관(2)의 기어(2A)는 기어(6)와 이맞춤시켜 케이스(11)를 조향핸들(11)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844A 1996-07-23 1996-07-23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KR980008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844A KR980008987A (ko) 1996-07-23 1996-07-23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844A KR980008987A (ko) 1996-07-23 1996-07-23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987A true KR980008987A (ko) 1998-04-30

Family

ID=6624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844A KR980008987A (ko) 1996-07-23 1996-07-23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9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0577A (en) Automobile front-wheel orientation and turning-angle indicator
KR980008987A (ko)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KR0179954B1 (ko)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JPS58170673A (ja) 車輛におけるタイヤ方向表示装置
KR100582472B1 (ko)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KR0179955B1 (ko)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JPS58145537A (ja) 自動車のタイヤ方向表示装置
KR100331424B1 (ko) 자동차의 조향위치 표시장치
KR960007808Y1 (ko) 전자동차 전륜 조향각(주행방향) 표시기
KR200258916Y1 (ko) 자동차용 조향 각 표시장치
KR0120496Y1 (ko) 자동차의 전륜조향각도표시계기장치
KR980008715A (ko) 자동차의 바퀴정렬상태 표시장치
KR100312632B1 (ko) 자동차조향각도표시기
JPS6141666Y2 (ko)
JPH0455475U (ko)
JPH0880865A (ja) 前輪舵角度表示装置
KR890001634Y1 (ko) 조향 핸들
KR19980035563A (ko) 자동차의 앞바퀴 회동각 인지장치
JP3018655U (ja) 自動車前輪の方向及び角度指示計
JPS58123425A (ja) 車両等の交叉式メ−タ−
JP3104340B2 (ja) 産業車両における操向輪方向指示装置
KR910004580Y1 (ko) 자동차용 속도계
DE3507189A1 (de) Bedienstand fuer fahrzeuge, insbesondere mehrzweckfahrzeuge
KR100312631B1 (ko)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JPH0674565U (ja) 車両における前進方向及び後退方向の簡易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