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706A -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706A
KR980008706A KR1019960031614A KR19960031614A KR980008706A KR 980008706 A KR980008706 A KR 980008706A KR 1019960031614 A KR1019960031614 A KR 1019960031614A KR 19960031614 A KR19960031614 A KR 19960031614A KR 980008706 A KR980008706 A KR 98000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ehicle
unit
driv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0469B1 (ko
Inventor
장지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3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69B1/ko
Publication of KR98000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전방의 자동차과의 간격(거리)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고, 이 설정된 값에 의해 전방자동차와 일정거리가 자동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임의로 수동 또는 자동운전을 선택하여 일정속도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동운전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의 자동차중 임의의 대상자동차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칭부(3)와, 상기 선택스위칭부(3)에 의해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송·수신부에 의해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4)와, 상기 선택스위칭부(3)에 의해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차속에 비례하여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거리설정부(6)와, 상기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신호에 의해 거리감지부(4)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감안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제어하도록 가감속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모듈(8)과, 상기 전자제어모듈(8)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컨트롤용 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시키는 스텝모터(M)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을 제공하여 전방 자동차와의 거리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전방차를 장시간 따르는 경우의 수없이 반복되는 페달작동을 줄여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의 자동차중 임의의 자동차를 선택한 후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임의의 거리로 설정하고, 이 설정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제어하도록 제어된 상태로 운행되는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정속도로 자동운전되는 자동운전시스템(Cruise Control System)이 알려져 있었다. 즉, 고속주행이 가능한 도로에서 운전자가 임의의 속도를 지정하게 되면 지정된 속도로 자동운전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가감속폐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그 속도로 유지되면서 주행하게 되는 일종의 자동운전 시스템으로 장거리를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피로도를 덜기 위하여 채용된 운전시스템이다. 이러한, 자동운전시스템은 운전자가 자동차의 페달(액슬레이터, 브레이크 혹은 클러치)을 밟게 되는 경우에는 자동운전시스템에서 수동운전으로 자동 변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적용되는 자동운전시스템은 고속주행이 가능한 도로에서 장거리를 단독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우리나라 고속도로 대부분의 구간에서 나타나듯이 장거리를 고속주행하는 자동차가 많고, 또 끼어드는 자동차가 많은 경우에는 그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그러므로, 장거리를 고속주행이 가능한 고속도로에서 고속주행시 안전거리의 확보는 안전운행을 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운전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는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장치가 운용되지 않고 대부분의 자동차가 안전거리 확보 규칙을 간과한채 운전을 하게 되어 다른 차선의 자동차가 끼어드는 경우 전방자동차와의 추돌사고 내지는 연속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자동차가 장시간 주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전방자동차를 뒤따르는 경우의 장거리 운전에 있어서,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자동적으로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장치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방의 자동차중 임의의 대상자동차를 선택한 후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차속에 비례하여 설정하고, 이 설정된 거리를 일정하게 자동적으로 유지제어함에 의해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 주도록 한 안전거리 유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임의로 수동 또는 자동운전을 선택하여 일정속도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동운전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의 자동차중 임의의 대상자동차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칭부와, 상기 선택스위칭부에 의해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송·수신부에 의해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감지부와, 상기 선택스위칭부에 의해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차속에 비례하여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거리설정부와, 상기 거리세팅부에 세팅된 신호에 의해 거리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감안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제어하도록 가감속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모듈과, 상기 전자제어모듈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컨트롤용 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시키는 스텝모터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선택스위칭부 4:거리감지부
6:거리설정부 8:전자제어 모듈
14:발광다이오드 M:스텝모터
VR:가변저항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 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거리 유지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도면중 부호 2는 운전자가 임의로 수동 또는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이며, 부호 3은 전방자동차중 임의의 대상 자동차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칭부이다. 부호 4는 상기 선택스위칭부(3)에 접속되며,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정신호로 송·수신하여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감지부이고, 부호 6은 상기 선택스위칭부(3)에 의해 선택된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차속에 비례하여 안전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거리설정부이다. 또한, 도면중 부호 8은 상기 거리감지부(6)에 세팅된 거리신호에 의해 전방자동차와의 일정거리를 가감속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하도록 한 전자제어모듈이며, 부호 10은 상기 전자제어모듈(8)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컨트롤용 모터의 개도를 정속, 증속,감속등으로 조절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일정거리를 유지시키는 스텝모터(M)이다.
상기 선택스위칭부(3)는 자동차용 안전거리 유지시스템을 작동한 상태에서 전방자동차가 좌·우회전 및 다른 차선의 자동차가 끼어드는 경우엔, 스위칭부(3)은 스위치접점을 자동 브레이크 상태로 변환시키게 되고, 전자제어모듈(8)에서 브레이크접점을 인식하여 스텝모터(M)의 구동신호를 차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전방의 자동차중 대상자동차를 선택스위친부(3)로 선택한 후, 선택된 전방자동차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거래세팅부(6)를 통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세팅하게 되면, 세팅된 거리로 유지하도록 거리감지부(4)의 리모트송출기(41)로 전방으로 전자비임을 조사하여 전방자동차에 의해 반사된 비임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는 전자제어모듈(8)에 입력된다. 상기 전자제어모듈(8)은 입력된 신호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컨트롤용 모터의 개도를 가속, 정속 및 감속하는 신호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의 상세 회로도에 의거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변환되는 스위치(2)를 자동으로 변환시키고, 전방자동차중 임의의 대상자동차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칭부(3)로 대상자동차를 선택하면, 발광다이오드(LED;14)가 발광되어 대상자동차의 선택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운전자가 자동운전을 하기 위해 시스템 스위치(2)접점을 온시키고, 전방의 임의의 자동차를 선택한 후 거리세팅부(6)로 전방자동차와의 일정(안전)거리를 설정하게 되면, 거리감지부(4)의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는 전자제어모듈(8)에 입력된다.
이 입력된 신호에 의해 스텝모터(M)의 작동을 가속, 정속, 감속을 하면서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거리세팅부(6)는 가변저항(VR)의 저항값으로 인해 배터리전원량을 제어하여 클러스터 미터등과 같은 표시계로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세팅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전자제어모듈(8)은 운전자가 차속에 비례하여 거리설정부(6)로 세팅된 거리를 거리감지부(4)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거리로 산출하여 산출된 값으로 전방자동차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제어모듈(8)의 출력신호는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배터리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전방자동차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엔 스텝모터(M)의 회전량을 증가시켜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거리와 일치되면 일정속도로 유지되도록 스텝모터(M)의 회전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거리가 가까운 경우엔 스텝모터(M)의 회전량을 감속시켜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거리와 일치하게 되는 경우엔 회전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회전량을 일정하게 된다. 상기 스텝모터(M)는 엑셀러레이터 컨트롤용 모터로, 스로틀밸브 개도를 엑셀러레이터와 무관하게 무관하게 작동되며, 그에 따라 운행자동차를 가속하거나 감속 혹은 정속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일정속도로 자동적으로 유지되면서 전방자동차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운행을 하게 되는 경우엔, 거리감지부(4)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전자제어모듈(8)은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스텝모터(M)를 보다 강하게 작동시키므로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차의 속도를 높여 대상자동차와의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방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운행하게 되는 경우엔,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스위치(16), 엑셀러레이터 페달스위치(18), 및 클러치 폐달스위치(19)를 밟게 되는 경우엔, 전자제어모듈(8)은 선택스위칭부(3)의 접점이 오프시키고, 스텝모터(M)의 작동신호를 차단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수동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면 된다.
또한, 전방자동차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운행중인 자동차의 전방에 다른 차선의 자동차가 끼어드는 경우엔, 거리감지부(4)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거리로 산출하는 전자제어모듈(8)에서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거리값와 급작스런 차이가 생기게 되면 선택스위칭부(3)접점을 오프시키고, 스텝모터(M)의 작동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경보음(미도시됨)을 송출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거리 유지시스템으로, 종래 자동운전시스템(Cruise Control System)과 달리 전방의 임의의 자동차를 선택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일정거리를 유지한 채 자동 운전되는 시스템으로 많은 자동차가 장거리를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자동차를 지루하게 따라가는 경우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안전거리를 유지하게 되므로 돌발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전방자동차와 연속추돌은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운전자가 임의로 수동 또는 자동운전을 선택하여 일정속도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동운전시스템에 있어서, 전방의 자동차중 임의의 대상자동차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칭부(3)와, 상기 선택스위칭부(3)에 의해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송·수신부에 의해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부(4)와, 상기 선택스위칭부(3)에 의해 선택된 자동차와의 거리를 차속에 비례하여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거리설정부(6)와, 상기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신호에 의해 거리감지부(4)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감안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제어하도록 가감속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모듈(8)과, 상기 전자제어모듈(8)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컨트롤용 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전방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시키는 스텝모터(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세팅부(6)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으로 인해 배터리전원량을 제어하여 클러스터 미터등과 같은 표시계로 전방자동차와의 거리를 세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모듈(8)은 거리세팅부(6)에 세팅된 거리값과 급작스런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선택스위칭부(3)접점을 오프시키고, 스텝모터(M)의 작동을 차단시켜 수동운전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1614A 1996-07-30 1996-07-30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KR018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614A KR0180469B1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614A KR0180469B1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06A true KR980008706A (ko) 1998-04-30
KR0180469B1 KR0180469B1 (ko) 1999-04-01

Family

ID=1946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614A KR0180469B1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072B1 (ko) * 2005-06-28 2007-12-26 문종철 자동차의 운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0469B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0319B2 (en) Vehicle to vehicle distance controller and vehicle
US6902021B2 (en) Auto-cruise apparatus
US6134497A (en) Vehicle running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running control method
US6769504B2 (e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4969103A (en)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with creep control
US20020133285A1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system with state display apparatus
US7117077B2 (en) Speed control with stop function
US6681170B2 (en) Tracking and driving speed regul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4628317A (en) Inter-vehicle distance control system for vehicles
JP3497520B2 (ja) 車両の速度および車間距離制御方法および車両の速度および車間距離制御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H0438600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GB2298938A (en) Regulating the speed of a motor vehicle
US6311117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vehicle
JPH06255389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8514494A (ja) 車両の縦速度を調節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45465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속도 조절기
JPH1142955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US6434471B1 (en) Vehicle spacing control system
US20050055150A1 (en) Speed regulator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modes
GB2445291A (en) Vehicle speed control
JP2940174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KR980008706A (ko) 자동차용 안전거리 자동유지시스템
JP2003306053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H1142956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3666345B2 (ja) 自動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