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536U -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536U
KR980008536U KR2019960020821U KR19960020821U KR980008536U KR 980008536 U KR980008536 U KR 980008536U KR 2019960020821 U KR2019960020821 U KR 2019960020821U KR 19960020821 U KR19960020821 U KR 19960020821U KR 980008536 U KR980008536 U KR 980008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cylinder block
engine
cooling
siam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해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0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536U/ko
Publication of KR980008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53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1/108Siamese-type cylinders, i.e. cylinders cast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고출력화와 경량화를 위해 보어와 보어간의 간격을 감소시킨 샴 형식의 실린더 블록에 다수의 냉각수 홀을 형성함으로써, 엔진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보어(18)와 보어(18')간의 간격을 작게 형성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킨 샴 형식의 실린더 블록에 있어서, 보어(18)와 보어(18')간에 형성된 중앙의 분리영역(P)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 재킷(16)과 연통된 다수의 냉각홀(20)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지닌다.

Description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엔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고출력화와 경량화를 위해 보어와 보어간의 간격을 감소시킨 샴 형식의 실린더 블록에 다수의 냉각수 홀을 형성함으로써, 엔진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동력 발생원인 엔진은 주로 4사이클의 수냉식 기관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엔진의 중심이 되는 기관본체와,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와, 혼합기의 흡입시점과 기간 및 연소가스의 배출시점과 기간을 제어하는 밸브기구와, 연료와 공기를 혼합시켜 기관의 운전조건에 알맞은 혼합기를 형성하는 혼합기 형성기구 및 점화장치, 윤활장치, 냉각장치, 배기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부속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관본체는 엔진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 크랭크 케이스와 오일팬 및 실린더 헤드 커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실린더 블록은 기관의 본체가 되는 것으로, 수냉식 기관에서는 대부분 여러 개의 실린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크랭크 케이스와 일체로 주조된다.
또한, 실린더내의 연소가스 온도는 상당히 고온이며, 이 열의 상당량은 실린더를 비롯하여, 실린더헤드나 피스톤 등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스톤이나 피스톤링 같은 각각의 부품들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그 기능을 최적화하기 의해 냉각장치를 사용한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엔진의 고출력화에 따라 엔진의 열부하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열부하의 증가에 따라 엔진의 냉각성능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엔진의 냉각성능은 엔진의 피로및 마모등에 의한 엔진의 수명과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결과적으로, 냉각성능이 향상되면 노킹현상이 감소됨에 따라 압축비를 높여 엔진의 효율과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엔진의 폭발시 발생되는 압력파와 고온에 의한 실린더블록의 열적변형으로 많은 량의 엔진오일이 소모되는 바, 냉각수를 이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샴(siamese)형식의 실린더블럭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실린더블럭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린더 블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 단면도로, 실린더 블록(2)에 설치된 다수의 보어(8)둘레에는 워터 재킷(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체결공(4)에 삽입되는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여 실린더 헤드를 조립한다. 엔진의 작동 시에 발생되는 고온의 열은 화살표(P)방향을 따라 유입되어 보어(8) 둘레에 형성된 워터 재킷(5)을 유동하고 있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엔진의 과열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 기술에 의한 샴 실린더 블록(siamese cylinder block)의 냉각구조에서는 보어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보어와 보어 사이에는 냉각수 통로를 형성할 수 없으며, 보어 내에 설치된 피스톤과 같은 내부부품의 과열로 인해 냉각성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보어와 보어간의 간격이 작은 샴 형식의 실린더 블록에 다수의 냉각홀을 형성하여 엔진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어와 보어간의 간격을 작게 형성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킨 샴 형식의 실린더 블록에 있어서, 보어와 보어간에 형성된 중앙의 분리영역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 재킷과 연통된 다수의 냉각홀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린더 블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실린더 블록 16 : 워터 재킷
18, 18' : 보어 20 : 냉각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샴 실린더 블록(12)을 정면에서 보면,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는 보어(18)와 보어(18')간에 형성된 분리영역(P)에는 수직으로 배치된 다수의 냉각홀(20)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영역(P)을 감싸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블록(12)에는 냉각홀(20)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플랜지(22)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플랜지(22)에 드릴링 머신 등을 장치하고 드릴작업을 행하여 냉각홀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드릴작업 후에는 커버를 씌어 냉각수의 유출을 방지한다.
다음, 제3도에는 보어와 보어간의 분리영역에 형성된 본 고안의 냉각홀을 단면 도시하여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보어(18)와 보어(18')간의 경계 부분인 분리영역(P)에는 워터 재킷 (16)과 연통된 냉각홀(20)을 형성함으로써, 화살표(Q)방향을 따라 유입되어 워터 재킷(16) 및 냉각홀(20)을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보어(18), (18')내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신속히 냉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플랜지(22)의 외측에는 커버(24)를 씌워 냉각수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운 겨울철에 부동액의 점도 부족으로 인해 냉각수가 얼어 팽창되는 경우, 커버(24)가 플랜지(2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엔진의 파열을 방지하게 된다. 플랜지(22)와 인접한 곳에는 실린더 헤드를 장착하기 위한 실린더 헤드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는 보어간에 다수의 냉각홀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성능을 높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보어(18)와 보어(18')간의 간격을 작게 형성하여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킨 샴 형식의 실린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보어(18)와 보어 (18')간에 형성된 중앙의 분리영역(P)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 재킷(16)과 연통된 다수의 냉각홀(20)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821U 1996-07-13 1996-07-13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KR9800085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821U KR980008536U (ko) 1996-07-13 1996-07-13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821U KR980008536U (ko) 1996-07-13 1996-07-13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536U true KR980008536U (ko) 1998-04-30

Family

ID=5397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821U KR980008536U (ko) 1996-07-13 1996-07-13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5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972A1 (ko) * 2013-11-06 2015-05-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제거 용이한 지관, 이를 이용한 물품 및 물품의 연속 사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972A1 (ko) * 2013-11-06 2015-05-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제거 용이한 지관, 이를 이용한 물품 및 물품의 연속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259A (en) Cylinder hea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95963B1 (en) Four cycle engine for a marine propulsion system
US6581381B2 (en) Engine having adiabatic members in its combustion chambers, engine capable of reusing exhausted energy, and high pressure jet assembly having the engine
JPS60145444A (ja) 液冷式直列ピストン内燃機関
CA1277557C (en) Engine head cooling system
JPH1054296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冷却装置
EP0651855A1 (en) G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Lean Mixture Combustion.
KR980008536U (ko)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KR980008537U (ko)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JP3414035B2 (ja) 空冷4サイクルエンジンシリンダの冷却装置
KR0123896Y1 (ko) 수냉식 다기통 엔진의 사이어미즈 실린더 블록
KR0133977Y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실린더블럭 구조
KR200144251Y1 (ko) 실린더 블록의 보어 변형 방지구조
CN109026321B (zh) 发动机的冷却用油通路构造
US4328769A (en) Cooling system of liquid-cooled multicylinder engine
KR0139139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블록
KR19990032857U (ko) 차량용 엔진의 습식 라이너
KR980008535U (ko) 자동차용 엔진의 실린더 블록
JP3320081B2 (ja) 多気筒エンジン
KR19980012857U (ko) 실린더 블록의 보어 변형 방지구조
KR0149269B1 (ko) 수냉식 다기통 엔진의 사이어미즈 실린더블록
KR19980016733A (ko) 실린더 블록의 냉각구조
KR200160618Y1 (ko) 자동차의 오일 누유 방지형 가스켓
KR970003065Y1 (ko) 일체형 실린더
KR19980064638U (ko) 롤링면을 가지는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