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441A -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 Google Patents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441A
KR980008441A KR1019960029080A KR19960029080A KR980008441A KR 980008441 A KR980008441 A KR 980008441A KR 1019960029080 A KR1019960029080 A KR 1019960029080A KR 19960029080 A KR19960029080 A KR 19960029080A KR 980008441 A KR980008441 A KR 98000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allet
loading
pla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9489B1 (ko
Inventor
이기복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101996002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489B1/ko
Publication of KR98000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렛트(140)에 공작물(125)이 적재되어 로딩과 언로딩 동작을 반복하여 공작물(125)을 가공하도록 하는 공작물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공급기의 몸체(100)를 가공기(30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한 상판(103)의 일면에 리프팅모터(170)와 연결한 볼스크류(180)를 형성하고 상기 볼스크류(180)에 플레이트(230)를 형성하여 가이드봉(190)을 따라 승하강이 자유롭도록 형성하는 별도의 로딩 언로딩 파렛트의 구별없이 한 개의 파렛트를 제외하고는 전부 로딩 파렛트로 활용하여 자동운전시간을 극대화하고 가공완료 신호를 즉시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본 발명은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공기의 일측에 다수개의 파렛트를 형성한 회전판의 하부에 샤프트를 형성하여 몸체의 상판에 형성한 고정수단으로부터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공작물을 부상시키는 부상수단이 형성하며 타측에는 공작물의 가공 위치를 정확히 정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형성함으로서 자동운전시간을 극대화하고 가공완료 신호를 즉시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하는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 공급기는 도6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40)을 집어 선반 및 연삭기 또는 절삭기 같은 가공기(미도시)에 공작물(40)을 가공하도록 이송하고 가공완료된 공작물(40)을 다시 공작기에 원위치시키는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파렛트(17)에서 공작물(40)을 가공기 까지 공급하는 로딩부(20)와 가공 완료된 공작물(40)을 파렛트(17)까지 회수하는 언로딩부(30)가 형성되어 로딩과 언로딩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공작물 공급기(1)는 몸체(3)의 상판(11) 저면에 구동모터(10)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의 상부에 스프라켓(50)이 형성되어 구동모터(10)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프라켓(50)은 체인(51)과 연결되어 공작물(40)을 지지하는 가이드봉(15)을 구비한 다수개의 파렛트(17)가 체인(51)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렛트(17)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바퀴(25)가 형성되어 구동모터(10)의 회전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이 스프라켓(50)을 회전시켜서 상기 스프라켓(50)의 외주면에 형성한 체인(51)이 회동할 때 파렛트(17)와 상판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을 최소한으로 줄여 파렛트(17)의 이송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렛트(17)의 일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갖는 곳에 로딩 파렛트(17)의 근접을 확인하는 언로딩스위치(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3)의 타측에는 체인(51)과 연결된 스프라켓(50)이 상판(11)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라켓(50)과 소정의 거리를 갖고 지지대(9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작물(40)의 로딩 위치를 감지하는 로딩센서(80)가 형성되고 상기 로딩센서(80)와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하부에는 공작물(40)의 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85)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라켓(50)의 일측에는 체인(51)과 연결된 파렛트(17)를 부상시키는 실린더(60)가 상판(11)의 저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60)의 일측으로 상판(11)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실린더(13)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60)의 양측에는 가이드바(70)가 형성되어 실린더(60)의 상하 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몸체(3)의 상부에는 일정의 거리를 갖고 분리된 로딩핑거(5)와 언로딩핑거(7)를 구비한 선적장치(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작물 공급기(1)는 로딩부(20)의 파렛트(17)로 구분된 파렛트(17)의 플레이트(19) 위에 형성한 가이드봉(15)의 내측으로 공작물(40)을 적재하고 구동모터(10)에 의해 스프라켓(50)을 회전시켜 체인(51)과 연결된 파렛트(17)를 이송하여 실린더(60)가 형성한 상판(11)의 상부로 파렛트(17)를 이송하면 로딩 파렛트(17)의 근접을 확인하는 스위치(23)가 작동하여 실린더(60)가 공작물(40)을 로딩 위치까지 부상시킨다.
이때 공작물(40)의 로딩 위치를 확인하는 로딩센서(80)가 동작하여 실린더(60)의 부상이 정지되고 선적장치(9)의 로딩핑거(5)가 공작물(40)을 집어 가공기에 공급하면 실린더(60)는 하강하여 플레이트(19)를 완전히 내린후에 구동모터(10)를 회전시켜 바로옆에 비어있는 언로딩부(30)의 파렛트(17)가 실린더(60)의 위치까지 오도록 회전되면 상기렛트(17)의 근접을 확인하는 언로딩스위치(21)가 동작하여 위치결정을 하는 실린더(13)로 파렛트(17)를 고정한 후 실린더(60)로 로딩 포지션까지 다시 부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끝난 후에 선적장치(9)의 언로딩핑거(7)로 물고온 가공된 공작물(40)은 파렛트(17)의 가이드바(70) 내측으로 안착시킨 후에 실린더(60)를 하강시켜 위치결정 실린더(13)의 체결을 풀어 구동모터(10)를 역회전시켜 로딩부(20)의 파렛트(17)로 다시 이동시킨 후에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반복동작으로 로딩부(20)의 파렛트(17)에 안착된 공작물(40)을 차례차례 가공기를 거쳐 언로딩부(30)의 파렛트(17)로 옮기게 되며 언로딩부(30)의 파렛트(17)에 적재된 공작물(40)은 가공기에서 정해진 가공을 완료한 가공물이 된다.
이와 동시에 로딩부(20)의 파렛트(17)에 적재된 공작물(40)이 가공 완료되어 파렛트(17)에서 없어지면 상기 공작물(40)의 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85)가 동작하고 다음 로딩부(20)의 파렛트(17)까지 구동모터(10)를 회전시켜 다시 가공을 하게되며 상기 로딩부(20)의 파렛트(17)에 적재된 가공물(40)의 전부를 가공 완료하면 수차례 회전후에 조작부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가공완료를 알린다.
이때 작업자는 언로딩부(30)의 기가공물을 빼어내고 미가공물을 로딩부(20)의 파렛트(17)에 적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작물 공급기(1)는 체인(51)과 스프라켓(50)의 연결로 회전부위에서 공작물(40)에 원심력이 발생하여 체인(51)에 무리한 힘이 걸리면 가이드바(70)에 마찰음이 발생하여 파렛트(17)의 위치결정도가 정확하지 못하고 로딩부(20)의 파렛트(17)와 언로딩부(30)의 파렛트(17)가 정해져 있으므로 공작물(40)을 반밖에 채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딩과 언로딩을 반복하는 구동모터(10)의 회전으로 필요이상의 전력이 낭비되고 공작물(40)을 전부 가공한 후에도 구동모터(10)가 계속 회전하여 더욱 더 전력의 낭비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공작물 공급기(1)와 가공기가 별도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조정이 매우 불편하고 까다로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를 가공기에 장착하여 별도의 로딩 언로딩 파렛트의 구별없이 한 개의 파렛트를 제외하고는 전부 로딩 파렛트로 활용하여 자동 운전시간을 극대화하고 가공완료 신호를 즉시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는 파렛트에 공작물이 적재되어 로딩과 언로딩 동작을 반복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하는 공작물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공급기의 몸체를 가공기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한 상판의 일면에 리프팅모터와 연결한 볼스크류를 형성하고 상기 볼스크류에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가이드봉을 따라 승하강이 자유롭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를 제공한다.
도1도는 본 발명이 가공기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2도는 봄 발명이 가공기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3도는 본 발명의 샤프트축과 연결되는 클런치 실린더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도는 본 발명의 클런치 실린더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5도는 본 발명의 부상수단을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절개 측면도.
도6도는 종래 공작물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7도는 종래 공작물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평면도.
도8도는 종래 공작물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03 : 상판
105 : 회전판 113 : 고정수단
117 : 클런치실린더 120 : 샤프트
130 : 위치결정부 140 : 파렛트
150 : 로케이팅실린더 170 : 리프팅모터
180 : 볼스크류 190 : 가이드봉
200 : 부상수단 210 : 이송부재
220 : 가이드부 230 : 플레이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이 가공기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이 가공기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며, 도3는 본 발명의 샤프트축과 연결되는 클런치실린더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클런치실린더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로부터 상하 조정이 자유로운 받침대(101)가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상판(103)이 형성하여 상기 상판(103)의 일면에 샤프트(120)를 고정할 수 있는 관통구멍(111)을 구비한 고정수단(113)이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113)의 내측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진 샤프트(120)가 삽입하며 상기 고정수단(113)의 내주면에 형성한 걸림턱(109)에 지지된 볼(110)에 샤프트(120)가 안착되어 고정수단(113)으로부터 회전이 자유롭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13)의 하부에는 뚜껑체(115)가 볼트 결합하고 상기 뚜껑체(115)의 상부로 볼(107)이 지지되어 샤프트(12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120)의 끝단에는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런치실린더9117)가 형성하고 이 클런치실린더(117)의 일측에는 터닝실린더(121)가 형성하며 샤프트(120)의 상부에는 원판의 회전판(105)이 형성한다.
또한, 회전판(105)의 중앙에 형성한 샤프트(120)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샤프트(120)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를 갖고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치결정부(130)가 형성하여 상기 위치결정부(130)의 일측인 회전판(105)의 외주면 쪽으로 3개의 지지봉(141)을 구비한 파렛트(140)가 위치결정부(130)와 같은 개수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판(103)의 일면에는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작물9125)의 가공위치를 정확히 정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결정부(13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35)는 고정핀(131)을 구비한 로케이팅 실린더(150)가 형성하여 상기의 위치결정부(130)의 하부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형성한다.
상기에는 로케이팅 실린더(150)가 형성한 상판(103)의 타면에는 공작물(125)을 부상시키는 부상수단(200)이 형성하는데 그 구조는 하부로 리프팅모터(170)를 설치하여 상판(103)의 상부로 일정의 길이를 갖고 볼스크류(180)를 형성하고 상기 볼스크류(180)의 좌우측에 플레이트(230)를 지지하는 가이드봉(190)이 형성하여 플레이트(230)를 지지한다.
상기에서 플레이트(230)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레프트다운을 확인하는 스위치(123)가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230)에는 볼스크류(180)에 나사 체결한 이송부재(210)가 형성하고 좌우측에 형성한 가이드 봉(190)에는 가이드부(220)가 형성하여 플레이트(230)가 상하부로 유동시에 균형을 유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플레이트(230)의 좌우측에는 일정의 길이를 갖고 센서축(185)이 형성하여 상기 센서축(185)의 끝단부에 로딩 위치를 확인하는 로딩센서(181)가 서로 마주보고 형성하고 상기 로딩센서(181)의 하부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고 언로딩 위치를 확인하는 언로딩센서(183)가 형성하며 또한 상기 센서축(185)의 하부에는 공작물(125)의 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187)가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판(105)의 파렛트(140)에 적재하는 공작물(125)을 A∼I까지 적재하고 나머지 하나의 파렛트(140j)는 가공된 공작물을 담을 수 있도록 비워놓는 원점 파렛트(140j)로 형성하여 터닝실린더(121)의 전후진 작용으로 선적장치(9)가 공작물(125)을 집어가는 리프팅위치로 오게되면 리프팅모터(170)가 구동하여 플레이트(230)에 형성한 이송부재(210)가 볼스크류(180)의 나사선을 따라 상부로 부상하고 상기 플레이트(230)의 좌우측에 형성한 가이드부(220)는 가이드봉(19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플레이트(230)의 진행을 안전하게 도와 준다.
그리고 받침판(145)에 설치된 파렛트(140)의 상부에 안착된 공작물(125)을 로딩 위치까지 이송시켜 주면 로딩센서(181)는 로딩 위치를 확인하여 선적장치(9)의 로딩핑거(5)로 최상부의 공작물(125)을 클램프하여 가공기(300)로 보내준다.
상기에서 선적장치99)는 남은 한 개의 언로딩핑거(7)를 이용하여 가공기(300)에서 가공 완료한 공작물(125)을 클램프하여 선적장치(9)가 리프팅 위치까지 오는 반복동작을 하게 되며 가공기(300)에서 선적장치(9)가 작업할 동안에 리프팅모터(17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레프트다운 확인스위치(123)의 확인지점까지 내린 후에 로케이팅 실린더(150)를 작동하여 삽입되어 있던 고정핀(131)을 회전판(105)에 형성한 위치결정부(130)의 고정흠(133)으로부터 분리하고 터닝실린더(121)를 작동한다.
이때 샤프트(120)에 설치된 회전판(105)을 회전시켜서 원점 파렛트(140j)를 리프팅 위치로 오게하고 정위치에 왔을 때 로케이팅 실린더(150)를 작동시켜 고정핀(131)을 위치결정부(130)의 고정흠(13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이와 동시에 리프팅모터(170)를 정회전시켜 A파렛트(140a)을 플레이트(230)로 이송하여 언로딩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선적장치(9)의 언로딩 핑거(7)에 물린 가공 완료된 공작물(40)을 원점 파렛트(140j) 상부에 놓는다. 상기의 과정이 끝나면 리프팅모터(170)를 역회전하여 레프트 다운 스위치(123)가 형성한 하부까지 완전히 다운시키고 다시 로케이팅 실린더(150)를 작동하여 위치결정부(130)의 고정흠(1330에 삽입한 고정핀(131)을 분리시킨 후 터닝실린더(121)를 전진시켜 회전판(105)에 형성한 A파렛트(140a)를 가공하지 않은 공작물(125)이 쌓인 상태로 놓은 후에 상기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최초의 A파렛트(140a)에 공작물(125)이 전부 가공되면 원점 파렛트(140j)로 가공완료 된 공작물(125)이 전부 이동한다. 그리고 터닝실린더(121)를 전진시켜 공작물(125)의 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187)에 공작물(125)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지금까지 로딩 파렛트 였던 A파렛트(140a)가 이제는 언로딩 파렛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로케이팅 실린더(150)는 위치결정부(130)의 고정흠(133)에 고정장치(135)의 고종판(131)이 삽입된 상태로 두고 회전판(105)을 돌려주던 샤프트(120)와 단락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러치 실린더9117)를 작동시켜 클러치핀(118)을 샤프트(120)와 결합시킨 후에 로케이팅 실린더(150)를 작동하고 고정핀(131)을 결합시켜서 터닝실린더(121)를 작동하여 파렛트 전체(140a∼140j)를 한 단계 이동하며 공작물(125)의 리프트 업과 다운을 반복함으로서 가공기(300)에 공작물(125) 공급 작동을 하게 한다.
그리고 원점 파렛트(140j)에 놓이기 시작한 가공된 공작물(125)은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H파렛트(140h)까지 차게되고 I파렛트(140i)가 비게되어 원점 파렛트(140j)가 터닝실린더(121)의 작동에 의해 공작물(125) 리프팅 위치에 오게 되면 원점 파렛트(140j)의 반대편 즉 E파렛트(141e) 하부에 부착된 로그가 회전완료 스위치에 확인을 받으면서 작업자에게 가공완료 신호를 보내어 가공된 공작물(125)이 다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작업자는 가공된 공작물(125)을 회수하고 다시 가공할 공작물(125)을 적재하여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도록 가동 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를 가공기에 장착하여 별도의 로딩 언로딩 파렛트의 구별없이 한 개의 파렛트를 제외하고는 전부 로딩 파렛트로 활용하여 자동운전시간을 극대화하고 가공완료 신호를 즉시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파렛트(140)에 공작물(125)이 적재되어 로딩과 언로딩 동작을 반복하여 공작물(125)을 가공하도록 하는 공작물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공급기의 몸체(100)를 가공기(30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한 상판(103)의 일면에 리프팅모터(170)와 연결한 볼스크류(180)를 형성하고 상기 볼스크류(180)에 플레이트(230)를 형성하여 가이드봉(190)을 따라 승하강이 자유롭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0)의 상부에 상판(103)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103)의 일면에 샤프트(120)를 고정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고정수단(113)을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120)의 상부에 원판을 갖는 회전판(105)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판(105)의 원둘레에 다수개의 지지봉(141)을 구비한 다수개의 파렛트(140)가 형성하고 상기 파렛트(140)의 일측인 회전판(105)의 중심쪽으로 위치결정부(130)를 형성하며 상기 샤프트(120)의 하단에는 클런치실린더(117)가 형성하고 상기 클런치실린더(117)의 일측에는 터닝실린더(121)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위치결정부(130)의 하부에는 고정흠(133)이 형성하고 상기 고정흠(133)의 하부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고 고정핀(131)을 구비한 로케이팅 실린더(150)가 몸체(100)의 상판(103)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080A 1996-07-19 1996-07-19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KR10020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080A KR100209489B1 (ko) 1996-07-19 1996-07-19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080A KR100209489B1 (ko) 1996-07-19 1996-07-19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441A true KR980008441A (ko) 1998-04-30
KR100209489B1 KR100209489B1 (ko) 1999-07-15

Family

ID=1946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080A KR100209489B1 (ko) 1996-07-19 1996-07-19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4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01A (ko) * 2014-08-21 2016-03-03 송봉수 소재 자동 공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씨엔씨 가공기계
CN109290837A (zh) * 2018-11-21 2019-02-01 陕西海力特精密机械有限公司 回转料仓高精度控制系统
KR20220169109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성우 5축 로봇아암을 이용한 cnc선반 가공시스템
KR20220169107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성우 Cnc선반용 소재 적재장치
CN116213571A (zh) * 2023-01-12 2023-06-06 承龙科技(嘉兴)有限公司 一种自锁螺母加工用收口装置及其收口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8998B (zh) * 2012-12-28 2016-08-03 重庆机床(集团)有限责任公司 精确定位料仓
CN103273360A (zh) * 2013-05-20 2013-09-04 江西理工大学 多工位储料供料方法及装置
CN104985358B (zh) * 2015-06-09 2016-09-14 温州市冠盛汽车零部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焊接法兰式滑移万向节外壳的装置
CN104999198A (zh) * 2015-07-03 2015-10-28 安徽省振华科技工业有限公司 一种钢管加工成品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01A (ko) * 2014-08-21 2016-03-03 송봉수 소재 자동 공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씨엔씨 가공기계
CN109290837A (zh) * 2018-11-21 2019-02-01 陕西海力特精密机械有限公司 回转料仓高精度控制系统
KR20220169109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성우 5축 로봇아암을 이용한 cnc선반 가공시스템
KR20220169107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성우 Cnc선반용 소재 적재장치
CN116213571A (zh) * 2023-01-12 2023-06-06 承龙科技(嘉兴)有限公司 一种自锁螺母加工用收口装置及其收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9489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567A (en) Workpiece transferring, positioning and machining system
CN103028998A (zh) 精确定位料仓
KR980008441A (ko) 원판식 공작물 공급기
KR20170138277A (ko) 컴파운드 롤러 자동 가공장치
KR101130057B1 (ko) 원통형 소재 자동 가공 시스템
CN113547158A (zh) 一种可对零件进行开槽检测的非标零件铣加工装置
KR100506368B1 (ko) 원목의 센터링 공급장치와 그 방법
KR101574096B1 (ko) 오토로딩수단을 가지는 브로칭 머신
CN216971204U (zh) 一种用于医疗产品cnc加工的自动上下料机构
CN113118784B (zh) 一种自动化身管生产线
JPH0763911B2 (ja) ワーク加工用トランスファ装置
KR101130058B1 (ko) 너트 자동 가공 시스템
CN108608242B (zh) 一种数控车床自动上卸料装置
KR100259100B1 (ko) 필터 베이스플레이트의 탭핑장치
KR101605548B1 (ko) 브로치 머신
CN112846821B (zh) 一种具有自动装夹工作线的立式加工中心
KR102393758B1 (ko) 수차식 가공기용 피가공품 자동 이송장치
CN111283408B (zh) 一种工业制动器镶套件自动组装设备
JP4124871B2 (ja) 主軸移動型立形工作機械用のワークフィーダおよび主軸移動型立形工作機械における工作物把持方法
JP2008080370A (ja) ワーク供給装置
CN210232379U (zh) 一种机加工系统
CN213730678U (zh) 一种数控机床
JP3618548B2 (ja) 主軸移動型立形工作機械および主軸移動型立形工作機械における工作物授受方法
KR100219433B1 (ko) 모터풀리의 위치 결정장치 및 방법
JP2023102878A (ja) ワークストッカおよびワーク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