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433A -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433A
KR980008433A KR1019960028096A KR19960028096A KR980008433A KR 980008433 A KR980008433 A KR 980008433A KR 1019960028096 A KR1019960028096 A KR 1019960028096A KR 19960028096 A KR19960028096 A KR 19960028096A KR 980008433 A KR980008433 A KR 98000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oving table
workpieces
torque converter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5803B1 (ko
Inventor
다카히로 기쿠카와
Original Assignee
히라타 야스나리
히라타 기고오 가부시키가아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타 야스나리, 히라타 기고오 가부시키가아샤 filed Critical 히라타 야스나리
Priority to KR101996002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803B1/ko
Publication of KR98000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장치에서, 이동 테이블과 삽입 테이블은 위치된 트랜스미션을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다. 토오크 컨버터를 유지하기 위한 흡입 패드는 삽입 테이블상에서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축은 구동 로타리 유니트에 의해 회전되어 흡입 패드에 의해 유인되고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를 회전시키고 중심을 맞춘다. 그리고 토오크 컨버터는 트랜스미션에 근접하게 삽입 테이블과 함께 이동하고 가압된다. 동시에, 토오크 컨버터는 끼움축선에 대하여 회전된다. 토오크 컨버터와 트랜스미션이 함께 끼워지지 않으면, 토오크 컨버터는 푸셔 실린더(57)에 전후방으로 왕복운동이 야기 되어 이들은 함께 끼워진다.

Description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오크 컨버터 조립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실시예의 토오크 컨버터 조립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토오크 컨버터 삽입 장치의 저면도.
제3도는 토오크 컨버터 삽입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토오크 컨버터 삽입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토오크 컨버터 지지 부분의 정면도.
제6도는 토오크 컨버터 이동 기구의 정면도.
제7도는 토오크 컨버터 이동 기구의 정면도.
제8도는 실시예의 토오크 컨버터 조립 장치가 설치된 조립 라인의 레이아웃 도면.
제9도는 토오크 컨버터 조립 작용을 도시하는 순서도.
제10도는 토오크 컨버터 조립 작용을 도시하는 순서도.
제11도는 토오크 컨버터 조립 작용을 도시하는 순서도.
제12도는 토오크 컨버터의 회전수에 대한 평균 피팅 타임을 도시하는 그래프.
제13도는 토오크 컨버터 전진 또는 후퇴 운동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서 삽입된 공기의 압력에 대한 평균 피팅 타임을 도시하는 그래프. 그리고
제14도는 조립된 토오크 컨버터를 갖춘 통상의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도면.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가공물 조립장치와 가공물 조립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것에 의해 가공물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다른 가공물에 근접한 위치에 설정하며, 그리고 후자의 가공물을 전자의 가공물에 끼우는데, 이들은 자동 트랜스미션에서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는 것 등이다.
자동차의 자동 트랜스미션을 위한 조립 작업은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제14도는 조립된 토오크 컨버터를 갖춘 통상의 토오크 컨버터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3)은 트랜스미션(11)의 트랜스미션 케이스(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여러가지 변속기어(도시 생략)는 입력축(13)에 정착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케이스(12)에서 입력축(13)의 한쪽끝에는 오일펌프(14)가 장착되고 토오크 컨버터(16)는 트랜스미션 케이스(12)에 부착된 컨버터 하우징(15)에 장착되어 있다. 토오크 컨버터(16)는 보스부분(17)을 갖춘 펌프 하우징(18)에 격납되어 있다. 그러므로, 엔진(도시 생략)의 구동력은 토오크 컨버터(16), 클러치 그리고 유서기오(도시 생략)를 통해서 입력축(13)에 전달되고 그리고 각각의 기어를 통해서 트랜스퍼 축으로 전달된다.
트랜스미션(11)을 위한 이러한 조립작업에서, 작업자는 펠릿내의 토오크 컨버터(16)를 들어내어 컨베이어상에서 트랜스미션(11)의 컨버터 하우징(15)에 수동으로 이 토오크 컨버터(16)를 조립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이다.
트랜스미션(11)에 토오크 컨버터(16)를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끼움부분은 적절한 방식으로 함께 끼워져야 한다. 5개의 끼움부분 즉, 2개의 스플라인 끼움부분(A, B), 오일펌프 끼움부분(C), 오일시일 끼움부분(D,E)은 토오크 컨버터(16)와 입력축(13) 사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토오크 컨버터(16)가 트랜스미션(11)의 입력축(13)상에 끼워질 때 조차도 각각의 끼움부분(A, B, C, D, E)이 적절하게 끼워지지 않은다면, 토오크 컨버터(16)는 트랜스미션(11)에 조립될 수 없다. 경우에, 작업자에 의한 토오크 컨버터(16)의 종래의 조립작업은 성가신 일이며, 끼움을 위한 위치결정이 완성될 때까지 작업자는 무거운 부하를 어깨로 유지하여 토오크 컨버터(16)를 유지하여야 한다.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가 개시되는데, 예를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4-93130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조립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놓인 트랜스미션 위로부터 토오크 컨버터를 결합한다. 즉, 현가 시스템으로부터 매달린 토오크 컨버터는 이들 부품의 결합부분이 접촉되도록 승강장치에 의해 트랜스미션쪽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에, 이들 결합부분은 공기 실린더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가볍게 가압된다. 펄스 모터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므로서, 이들 결합부분은 절렬되고 끼원진다. 공기 실린더의 가압력하에서 토오크 컨버터는 트랜스미션으로 하강한다. 이러한 하강은 회전 플레이트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펄스 모터에 회전스톱 신호를 발하여 회전 플레이트를 멈춘다. 동시에, 하강신호는 승강장치로 출력되고 현가 시스템을 하강시키고, 결과적으로 토오크 컨버터는 트랜스미션에 완전히 장치된다.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기 위한 상기의 종래 장치에서 매달린 토오크 컨버터는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하고, 결합 축 튜브는 트랜스미션의 스플라인축과 접촉한다. 공기 실린더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어, 회전 플레이트는 펄스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이들의 아상은 맞추어져서 끼워지게 된다.
트랜스미션이 조립되기전에, 그 스플라인 축은 보통 결합되지 않는다. 토오크 컨버터의 결합축 튜브가 회전하는 한편 트랜스미션의 스플라인축에 대하여 가압될 때, 스플라인 축은 또한 토오크 컨버터와 트랜스미션이 결합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압력으로 인하여 결합축 튜브와 결합하여 회전한다. 이것은 이들의 위상이 용이하게 일치하지 않고 결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조립장치로, 트랜스미션의 스플라인 축이 비결합 상태에서 토오크 컨버터의 결합축 튜브와 함께 회전하면 토오크 컨버터는 상승할 것이며, 동일 절차가 다시 수행된다. 그러므로, 조립작업은 복잡하고 작업완료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조립전에 토오크 컨버터는 제품 테스트를 위해 오일을 포함하고 있다. 토오크 컨버터가 승강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매달리면, 오일이 남아있는 내부가 누출도어 트랜스미션과 주변의 장비를 오염시킬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수없이 단시간에 가공물의 결합을 수행함으로서 증진된 조립 효율로 가공물을 조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가공물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다른 가공물을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서 함께 끼워서 한쌍의 가공물을 서로 끼워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장치로서, 이 장치는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을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 테이블상에 구비된 가공물 유지수단, 가공물이 함께 끼워질 때 끼움축선에 대하여 가공물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공물 회전수단, 그리고 가공물이 함께 끼워질 때 가공물중의 하나를 다른 가공물로부터 멀리 정교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가공물 전진 및 후퇴 수단으로 구성된 가공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는 아래의 기구에 의해 작동한다. 서로 끼워지는 한쌍의 가공물중의 하나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가공물은 가공물 유지수단에 의해 이동 테이블상에 유지된다. 이동 테이블은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에 의해 하나의 가공물 쪽으로 이동하여 가공물을 여기서 접근시킨다. 이 경우에, 가공물중의 하나의 가공물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동시에, 가공물중에 하나는 가공물 전진 및 후퇴 수단에 의해 다른 가공물로부터 멀리 정교하게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가공물쌍의 함께 회전하지 않고 회전 위상으로 정렬되고 결국 위상이 맞아서 서로 끼워진고 조립된다. 그러므로 가공물쌍은 단시간에 용이학 위상 정렬되고 끼워져서 가공물 조립작업의 효율을 증진한다.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는 또한 가공물 쌍의 끼움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공물 끼움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이 끼워져야 할 때 가공물 끼움 검출수단이 가공물쌍이 함께 끼워지지 않았다고 검출하면,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은 가공물 중의 하나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가공물쌍이 끼워질 때, 가공물 끼움 검출수단이 이들의 끼움상태를 검출한다. 이들이 함께 끼워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은 가공물중의 하나를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결과적으로, 가공물쌍의 위상은 정렬되고, 이들의 끼움은 단시간에 적절히 수행될 수 있어서 단시간의 정확한 가공물 조립작업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는 또한 가공물쌍이 함께 끼워질 때, 가공물 회전수단은 각도 간격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가공물쌍중에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가공물쌍이 함께 끼워질 때, 가공물 회전수단은 각도 간격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가공물쌍중에 하나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가공물 쌍의 회전 위상은 단시간에 정렬될 수 있어서, 단시간의 정확한 끼움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는 또한 이동 테이블이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내로 그 운동의 전후방향으로 나누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은 서로 상대 이동하며, 전방 이동 테이블은 가공물 유지수단으로 구비되고, 전방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은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가공물 전진 또는 후퇴수단은 잠금수단을 통해서 전방과 후방 이동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가공물 전진 또는 후퇴수단이 피구동될 때, 잠금수단은 작동되어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이 피구동될 때, 잠금수단은 작동되어 가공물 전진 또는 후퇴수단은 전방 이동 테이블의 가공물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가공물을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잠금수단이 작동되지 않을 때, 가공물 전진 또는 후퇴수단에 의해 전방 이동 테이블의 운동은 불가능하고, 잠금수단 작동될 때, 가공물 전진 또는 후퇴수단에 의한 전방 이동 테이블의 운동은 가능하게 되어, 가공물의 전진 또는 후퇴를 허용하여 가공물쌍의 끼움을 촉진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가공물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다른 가공물을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서 함께 끼워서 한쌍의 가공물을 서로 끼워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장치로서, 이 장치는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을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 테이블상에 구비된 가공물 유지수단, 그리고 가공물중에 하나가 나머지 가공물에 대하여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가공물의 기움전에 끼움축선에 대하여 가공물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공물 회전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서로 끼워지는 가공물쌍중의 하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가공물은 가공물 유지수단에 의해 이동 테이블상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된 다른 가공물로, 다른 가공물의 중심맞추기를 수행하기 위해 가공물의 끼움전에 다른 가공물은 가공물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이동 테이블은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여 가공물을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 중심 맞추게 된다. 그러므로, 가공물쌍의 위상은 정렬되고 조립된다. 가공물쌍이 그들의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고 중심이 맞추어지므로, 이들은 단시간에 함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그러므로 가공물 조립작업의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는 이동 테이블이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내로 그 운동의 전후방향으로 나누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은 서로 상대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전방 이동 테이블은 가공물 유지수단으로 구비되어 있는 한편, 후방 이동 테이블은 가공물 회전수단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의 상대위치에 관계없이 가공물 회전시키는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는 전방 이동 테이블은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 역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는 또한 가공물쌍의 끼움전에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에 의해 가공물의 회전되는 회전율이 70 내지 200rp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가공물쌍의 회전 위상은 단시간에 정렬되어 이들의 끼움은 단기간에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끼워지는 한쌍의 가공물을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가공물중의 하나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하게 다른 가공물을 위치시켜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을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상에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는 단계, 이동 테이블상에 유지된 다른 가공물로 끼우기 위해 위치된 가공물에 대하여 다른 가공물을 가압하도록 이동 테이블을 위치된 가공물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 그리고 가공물쌍이 서로 끼워지지 않을 때 다른 가공물이 끼워지기 위해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끼움 축선에 대하여 다른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가공물중의 하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는 한편, 다른 가공물은 이동 테이블상에 유지된다. 다른 가공물이 이러한 상태로 유지되어 이동 테이블은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하게 되어 다른 가공물은 하나의 가공물에 대하여 가압된다. 동시에, 가공물쌍이 함께 끼워지지 않으며, 다른 가공물은 전진 또는 후퇴한다. 그러므로 가공물쌍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회전 위상의 정렬을 달성한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함께 끼워지고 조립된다. 이들의 회전 위상이 끼울때 함께 회전되지 않고 정렬되므로, 가공물쌍은 단시간에 용이하게 함께 끼워질 수 있고, 그러므로 가공물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서로 끼워지는 한쌍의 가공물을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가공물중의 하나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게,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상에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므로서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하게 다른 가공물을 위치시키는 단게, 그리고 중심맞춤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지된 상태에서 다른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시키는 단계는 이동 테이블을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 하나의 가공물에 대하여 다른 가공물을 가압하고 가공물을 서로 끼우는 가공물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공물중에 하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가공물은 이동 테이블상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로 유지되어 다른 가공물은 중심맞추기 위해 회전한다. 그러므로, 이동 테이블은 수평으로 이동하여 유지되고 중심이 맞추어진 가공물을 하나의 가공물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가공물쌍의 위상은 정렬되고, 조립된다. 자세가 변하지 않고 가공물이 중심이 맞추어지므로 가공물쌍은 단시간에 용이하게 함께 끼워질 수 있고 그러므로 가공물 조립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가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기 위한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를 통해서 설명될 것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TM)과 토오크 컨버터(TC)는 평행하게 배치된 컨베이어(21,22)상에서 각각 이송되는 펠릿(23, 24)상에 운반된다. 트랜스미션(TM)을 위한 컨베이어(21)의 중간부분, 하지만 토오크 컨버터(TC)를 위한 컨베이어(22)의 후방 끝부분에서 본 실시예의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오크 컨버터(TC)를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25)상에 지지하는 처리 로보트(26)가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22)의 하류에 컨베이어(21)에 인접한 모델확인구역(27)과 스탠바이구역(28)으로 구비되어 있다. 모델확인구역(27)은 화상처리유니트 등에 의해 이송된 토오크 컨버터(TC)의 타입을 검출하여 소정의 모델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스탠바이 역(28)은 확인된 모델의 토오크 컨버터(TC)를 연속적인 조립작업을 위해 대기시킨다. 컨베이어(22), 모델확인구역(27) 그리고 스탠바이 구역(28) 사이의 토오크 컨버터(TC)의 전달은 이송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수행된다.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25)에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튜브(32)는 베이스(31)상에 기립되어 있다. 지지 튜브(32)의 외부에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33)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튜브(32)상에 위치한 승강 플레이트(34)의 하부부분에는 가이드 레일(33)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 한쌍의 가이드 부재(35)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플레이트(34)는 지지 튜브(32)에 대하여 Z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31)상에는 전방 끝부분이 상승 및 하강 플레이트(34)에 연결된 구동 로드(37)를 갖춘 승강 실린더(36)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승강 플레이트(34)는 승강 실린더(36)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34)의 상부표면상에서 한쌍의 가이드 레일(38)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34) 위에 위치된 이동 플레이트(39)의 하부에서는 가이드레일(38)쌍ㅇ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진 한쌍의 가이드 부재(40)가 고정되어 이동 플레이트(39)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승강 플레이트(34)에는 구동로드(도시 생략)를 갖춘 수평 실린더(41)가 장착되는데, 그 전방 끝부분은 이동 플레이트(39)에 연결된다. 이러한 수평 실린더(41)의 작용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39)는 X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제3도 및 제7도 참조).
이동 플레이트(39)상에는 커플링 브래킷(42)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43)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43)상에는 토오크 컨버터 이동기구(44)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토오크 컨버터 삽입장치(45)는 컨베이어(21)의 펠릿(23)상에 위치된 트랜스미션(TM)을 접근시키는 한편, 토오크 컨버터(TC)를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된 토오크 컨버터(TC)를 트랜스미션(TM)에 조립한다.
토오크 컨버터 삽입장치(45)가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자유로운 이동방식으로 토오크 컨버터 삽입장치(45)를 지지하는 토오크 컨버터 이동기구(44)가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도면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 토오크 컨버터 삽입장치(45)가 누락되고 단지 토오크 컨버터 이동기구(44)만 예시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46)이 지지 플레이트(43)상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6)상에는 가이드부재(49, 50)를 통해서 이동 플레이트(47)와 삽입 플레이트(48)를 가동적으로 지지한다. 이동 플레이트(47)는 삽입 플레이트(48)보다 한쪽이 더 넓고 지지 플레이트(43)의 하부 표면상에 장착된 구동 실린덩(51)의 구동 로드(52)의 전방 끝부분은 이동 플레이트(47)의측부에 고정된 커플링 브래킷(42)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47)의 상부표면상에서 구동로드(55)를 갖춘 삽입 실린더(54)가 장착되어 있는데, 그 전방 끝부분은 삽입 플레이트(48)상에 고정된 커플링 브래킷(56)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동 실린더(51)가 구동될 때, 구동 로드(52)는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어서, Y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이동 플레이트(47)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삽입 실린더(54)를 통해 이동 플레이트(47)에 연결된 삽입 플레이트(48)는 동일방향으로 동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삽입 실린더(54)가 구동될 때, 구동 로드(55)는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어서, Y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 플레이트(48)를 이동시킨다. 삽입 실린더(54)는 펄스 검출기를 수납하고 있는데, 이것은 작동량, 말하자면 삽입 플레이트(48)가 이동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삽입 플레이트(48)의 하부표면상에서 푸셔 실린더(57)가 장착되어 있고, 피스톤(59)이 이동 플레이트(47)쪽으로 뻗어 있는 푸셔 실린더(57)의 푸셔 로드(58)의 전방 끝부분에 체결된다. 피스톤(59)은 실린더 케이스(60)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압축 스프링(61)에 의해 한방향으로 가압된다. 실린더 케이스(60)에 이동 플레이트(47)쪽으로 뻗어 있는 지지 로드(62)가 체결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47)의 하부 표면상에는 공압 잠금 지지튜브(63)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지 로드(62)로 끼워져 있다. 푸셔 실린더(57)는 삽입 실린더(54)보다 큰 내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푸셔 실린더(57)가 구동될 때, 푸셔 로드(58)는 팽창 또는 수축되어 피스톤(59), 실린더 케이스(60) 그리고 압축 스프링(61)을 통해서 축선방향으로 지지 로드(62)를 이동시킨다. 이 때에, 공압잠금지지튜브(63)가 잠금상태에 있고 그리고 지지 로드(62)를 억제하면, 지지 로드(62)는 잠금지지튜브(63)를 통해서 이동 플레이트(47)에 연결될 것이다. 그러므로 푸셔 로드(58)가 푸셔 실린더(57)의 구동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때, 삽입 플레이트(48)는 이동 플레이트(47)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삽입 실린더(54)가 작동더하면, 푸셔 실린더(57)는 삽입 실린더(54)보다 성능이 능가하여 삽입 플레이트(48)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구(45)가 설명될 것이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에서, 지지 패널(71)이 이동 플레이트(47)사에 고정되고, 베어링 튜브(72)가 지지패널(71)에 부착된다. 한편, 삽입 플레이트(48)상에는 베어링 튜브(74)가 지지 브래킷(73)에 의해 유사하게 부착되어 있다.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의 토오크 컨버터 지지부분(75)은 부착된 토오크 컨버터(TC)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제4도 및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크 컨버터(TC)에 부착된 흡입 패드(78)는 3개의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연장부(76)를 갖춘 회전 플레이트(77)의 중앙부분상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연장부(76)상에는 위치 결정 핀(79)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8)을 통해서 위치 결정 핀(79)이 지지되어 있다. 위치결정 핀(79)의 운동은 셀 탑(cell top) 실린더(81)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77)의 중앙부분의 후방표면상에는 유지부재(82)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것은 중심맞춤부재(83)를 지지하여 중심맞춤부재(83)를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84)를 통해서 토오크 컨버터(TC)의 보스부분을 수용한다. 유지부재(82)에 고정된 커플링 플레이트(85)는 고무장착대(86)를 통해서 장착 플레이트(87)에 수직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위치결정 실린더(88)에 의해 위치된다.
제5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87)는 회전 튜브(89)의 끝부분에 체결되고, 회전 튜브(89)는 삽입 플레이트(48)에 부착된 베어링 튜브(7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튜브(89)의 다른 끝부분에는 회전축(90)의 끝부분이 일체로 끼워지고 연결된다. 회전축(90)의 다른 끝부분은 베어링 튜브(74)를 통해서 후방(제5도 및 제3도에서 좌측)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47)에 부착된 베어링 튜브(74)내를 통과한다. 그러므로, 회전축(90)의 다른 끝부분은 브래킷(91)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47)에 부착된 로타리 조이트(9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선 방향으로 가동된다. 더욱이, 베어링 튜브(74)내를 통과하는 회전축(90)의 다른 끝부분은 브래킷(91)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47)에 부착된 로타리 조인트(9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타리 조인트(92)에는 공기 공급 및 배출장치(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공기 공급 및 배출장치는 회전축(90)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통해 흡입 패드(78)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47)상에 베어링 튜브(74)에 인접하여 장착 벽(101)이 기립되어 있다. 장착 벽(101)에는 서보모터와 감속기어로 구성된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가 부착되고 구동 폴리(104)는 그 출력축(103)에 체결된다. 상기한 회전축(90)상에는 주변방향으로 일체로 회전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피구동 폴리(105)가 키이맞춤되어 있다. 구동 풀리(104)와 피구동 풀리(105) 사이에는 무한 타이밍 벨트(106)가 걸려있다. 이동 플레이트(47)에는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에 인접하여 관형의 만곡된 파이프 통로(107)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기 공급 및 배출장치는 회전축(90)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통해서 흡입 패드(78)를 진공화하여, 흡입 패드(78)가 토오크 컨버터(TC)에 부착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가 피구동되어 구동 폴리(104)를 회전시킬 때, 피구동 풀리(105)는 타이밍 벨트(106)를 통해서 회전된다 회전축(90)은 또한 회전하여 토오크 컨버터(TC)의 회전을 허용하여 흡입 패드(78)가 부착도고 유지되게 한다. 이 때에, 이동 플레이트(47)와 삽입 플레이트(48)가 상대운동할지라도, 회전축(90)과 베어링 튜브(74)를 통해서 삽입 플레이트(48)상에 지지된 흡입 패드(78)는 삽입 플레이트(48)를 따라 이동하는 한편 토오크 컨버터(TC)를 유지하다.
상기 실시예의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25)에 의한 조리작용이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순서도를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TM)은 컨베이서(21)상의 펠릿(23)에 의해 이송되는 한편 토오크 컨버터(TC)는 컨베이어(23)상의 펠릿(24)에 의해 이송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복수 조류의 트랜스미션(TM)이 사전에 결정된 제작순서에 따라서 컨베이어(21)로 이송된다. 유사하게 복수 종류의 토오크 컨버터(TC)가 사전에 결정된 제작 순서에 따라서 컨베이어(22)로 이송된다.
스텝(S1)에서, 처리 로부트(26)는 토오크 컨버터(TC)를 펠릿(24)상에 유지하도록 하강한다. 스텝(S2)에서, 처리 로보트(26)는 토오크 컨버터(TC)를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25)의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에 구비된 흡입 패드(78)에 대하여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를 가압한다. 스텝(S3)에서,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25)(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는 흡입 패드(78)에 의해 토오크 컨버터(TC)를 유인하기 시작하고 진공을 만들어 토오크 컨버터(TC)를 유지한다. 스텝(S4)에서, 진공 스위치가 ON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말하자면 흡입 패드(78)가 진공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진공이라면, 저라는 스텝(S5)으로 이동한다. 스텝(S5, S6)에서, 처리 로보트(26)에 의해 토오크 컨버터(TC)의 체크가 해제된다. 스텝(S7, S8)에서, 처리 로보트(26)는 반복을 위해 수평으로 움직이고 상승한다. 이 때에, 각각의 위치결정 핀(79)의 운동이 3개의 셀 탑 실린더(81)에 의해 억제되어, 각각의 위치결정 핀(79)의 전방 끝이 토오크 컨버터 유지부(75)의 흡입 패드(78)에 의해 유지되는 토오크 컨버터(TC)와 접촉할 때 토오크 컨버터(TC)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실린더(41)는 스텝(S9, S10)에서 피구동되어 이동 플레이트(39)와 지지 플레이트(43)를 움직여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를 지지 플레이트(43)상에 수평으로(측면으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운동과 동시에, 승강 실린더(36)는 스텝(S11, S12)에서 피구동되어 승강 플레이트(34)를 상승시키고 이것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43)상의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를 상향으로(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제1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13, S14)에서, 펠릿(23)상에서 이송된 트랜스미션(TM)은 컨베이어(21)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사태에서 제1도 내지 제3도 그리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크 컨버터 이동기구(44)는 작동하여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가 토오크 컨버터(TC)를 트랜스미션(TM)에 조립한다.
즉, 스텝(S15)에서 구동 실린더(51)는 피구동되어 이동 플레이트(47)를 이동시킨다. 삽입 실린더(54)를 통해서 이동 플레이트(47)에 연결된 삽입 플레이트(48)는 또한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를 전신시켜 토오크 컨버터(TC)를 유지한다. 스텝(S16)에서,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가 소정의 위치로 전진할 ㄸ, 센서가 켜져서 구동 실린더(5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삽입 플레이트(48)를 멈춘다(토오크컨버터(TC)를 유지하는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 스텝(S17)에서,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는 피구동되어 구동 풀리(104), 타이밍 벨트(106) 그리고 피구동 풀리(105)를 통해서 회전축(90)을 회전시키고, 이것에 의해 흡입 패드(78)에 유인한 토오크 컨버터(TC)를 회전시켜 그 중심 맞추기를 수행한다. 스텝(S18)에서, 삽입 실린더(54)는 피구동되어 이동 플레이트(47)에 대하여 삽입 플레이트(48)를 이동시켜,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를 전진시켜 토오크 컨버터(TC)를 유지한다.
스텝(19)에서, 삽입 플레이트(48)가 이동한 위치는 삽입 실린더(54)내의 펄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이 스텝에서, 펄스 신호(1)는 토오크 컨버터 유자부(75)에 의해서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가 컨베이어(21)상에 위치하고 트랜스미션(TM)과 접촉하는 위치, 말하자면 토오크 컨버터(TC)의 스플라인 구멍의 끝 부분이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의 전방끝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산출된다(이 목적을 위해서 제14도참조).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가 펄스신호(1)용 위치로 이동할 때, 위치결정 실린더(88)의 구동은 스텝(S20)에서 멈추며, 이에 따라 흡입 패드(78)에 의해 유인된 토오크 컨버터(TC)와 평면상의 트랜스미션(TM) 사이에 어떤 정렬이 수행되며, 이들은 회전 플레이트(77)를 통해서 고무 장착대(86)에 의해 면한다. 스텝(S21)에서, 공기가 공압 잠금 유지튜브(63)에 공급되어 잠금해제상태가 달성되고, 이것에 의해 푸셔 실린더(57)의 푸셔 로드(58)에 연결된 지지 로드(62)의 구속을 해제한다.
스텝(S22)에서, 삽입 플레이트(48)가 이동하는 위치는 삽입 실린더(54)내의 펄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이 스텝에서, 펄스신호(2)는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이 토오크 컨버터(TC)의 스플라인 구멍내로 끼워지는 위치, 말하자면 스플라이 끼움부분(A)이 끼워지는 위치에서 산출된다(이 목적을 위해서 제14도 참조).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가 펄스신호(2)를 위한 위치로 이동할 때, 절차는 스텝(S23)으로 이동한다.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의 토오크 컨버터(TC)의 스플라인 구멍내로 끼워지지 않으면, 이것은 주변 위상의 변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엔, 절차는 스텝(S24)으로 이동한다.
스텝(S24)에서, 회전축(90)은 구동 회전 유니트(102)에 의해 각도 간격으로 정ㆍ역회전 한다. 유사하게, 흡입 패드(78)에 유인돈 토오크 컨버터(TC)는 각도 간격으로 정ㆍ역회전 한다. 스텝(S25)에서, 공압 잠금 유지 튜브(63)로의 공기 공급이 중단되어 잠금 상태를 산출하고, 이것에 의해 푸셔 실린더(57)는 푸셔 로드(58)에 연결된 지지 로드(62)를 구속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텝(S26)에서, 푸셔 실린더(57)는 피구동되어 푸셔 로드(58)가 소정의 간격으로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고, 그러므로 지지 로드(62)가 피스톤(59), 실린더 케이스(60) 그리고 압축 스프링(61)을 통해서 축선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게 한다. 이 경우에, 지지 로드(62)는 공압 잠금 유지 튜브(63)에 의해 구속되어 삽입 플레이트(48) 그리고 따라서 토오크 컨버터 유지부(75)에 의해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는 푸셔 실린더(57)의 팽창 및 수축 구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정교한 왕복운동을 야기한다. 푸셔 실린더(57)의 팽창 및 수축운동 동안에, 삽입 실린더(54)는 작동되지만, 푸셔 실린더(57)는 삽입 실린더(54)보다 내경이 크고, 그러므로 푸셔 실린더(57)는 삽입 플레이트(54)의 작동력을 압도하여 삽입 플레이트(48)를 이동시킨다.
스텝(S24, S25, S26)에서 이러한 작동으로, 토오크 컨버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는 전후방향으로 정교한 왕복운동을 이루는 한편, 주변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하여 토오크 컨버터(TC)의 스플라인 구멍과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은 스플라인 끼움부분(A)의 회전위상의 관점에서 정렬될 것이다. 끼움부분(A)의 회전위상이 정렬을 달성할 때, 삽입 실린더(54)는 작동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푸셔 실린더(57)의 작동상태에 불구하고, 토오크 컨버터(TC)는 삽입 플레이트(48)와 함꼐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플라인 끼움부분(A)이 끼워지게 한다.
스텝(S23)에서, 삽입 플레이트(48)가 이동하는 위치는 삽입 실린더(54)내의 펄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이 스텝에서, 펄스신호(3)는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이 토오크 컨버터(TC)의 스플라인 구멍내에 끼워지는 위치, 말하자면 스플라인 끼움부분(B)이 끼워지는 위치에서 산출된다(이 목적을 위해 제14도 참조).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가 펄스신호(3)를 위한 위치로 움직일 때, 절차는 스텝(S27, S28)으로 이동한다. 이들 스텝에서, 공기가 공압 잠금 유지 튜브(63)로 공급되어 잠금해제상태로 만들어 푸셔 실린더(57)의 구동을 멈추어 삽입 플레이트(48)의 전후방운동을 끝낸다.
스텝(S29)에서, 삽입 플레이트(48)가 이동하는 위치는 삽입 실린더(54)내의 펄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이 스텝에서, 펄스신호(4)는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이 토오크 컨버터(TC)의 끼움구멍내에 끼어지는 위치, 말하자면 오일펌스 끼움부분(C)이 끼워지는 위치에서 산출된다(이 목적을 위해서 제14도 참조).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가 펄스신호(4)를 위한 위치로 이동할 때, 절차는 스텝(S30, S31)으로 이동한다. 이들 스텝에서,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의 구동이 멈추고, 이에 따라 흡입 패드(78)에 유인된 토오크 컨버터(TC)의 회전 역시 멈춘다. 진공 스위치는 꺼져서 토오크 컨버터(TC)를 토오크 컨버터 유지부(75)의 흡입 패드(78)에 의한 유지로부터 해제한다.
5개의 끼움부분, 즉 2개의 스플라인 끼움부분(A, B), 오일펌프 끼움부분(C), 그리고 오일시일 끼움부분(D,E)(제14도 참조)은 상기한 방식으로 끼워지고, 이에 따라 토오크 컨버터(TC)는 트랜스미션(TM)에 조립된다.
조립 완성된 후, 구동 실린더(51)는 상기한 것에 역의 방식으로 이동 플레이트(47)와 삽입 플레이트(48)를 휴퇴시켜 제1도에 도시된 원래 위치로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를 되돌린다. 유사하게, 스텝(S3)에서, 삽입 실린더(54)는 악서 언급한 것에 역으로 피구동된다. 그러므로, 삽입 플레이트(48)는 이동 플레이트(47)로 접근하여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를 원래 위치로 되돌린다. 스텝(S35)에서, 위치결정 실린더(88)는 흡입 패드(78)를 제위치에 설정하도록 피구동된다. 스텝(S36, S37)에서, 수평 실린더(41)는 피구동 되어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를 지지 플레이트(43)상에 수평으로(측면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스텝(S38, S39)에서, 승강 실린더(36)는 피구동되어 승강 플레이트(34)를 하강시키고 이것에 의해 토오크 컨버터 삽입기계(45)는 아래로 이동하여(수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유사하게, 스텝(S40, S41)에서,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는 피구동되어 이것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스텝(S42)에서, 펠릿(23)상에서 토오크 컨버터(TC)와 조립된 트랜스미션(TM)은 하강한다. 스텝(S43)에서, 컨베이어(21)는 피구동되어 조립된 것을 실어내고 조립되는 트랜스미션(TM)을 싣는다.
본 시시예에서, 더욱이 유지된 토오크 컨버터(TC)는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으로 ㄲ워지도록 푸셔 실린더(57)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야기되고 구동 로타리 유니트(102)에 의해 정방향 그리고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에, 제13도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우는 시간이 전후 왕복운동이 푸셔 실린더(57)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을 때 보다 더 짧아진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더욱이 트랜스미션(TM)의 입력축(13)과 토오크 컨버터(TC)의 스플라인 끼움부분(A)이 함께 끼워지지 않으면, 토오크 컨버터(TC)는 끼워지도록 푸셔 실린더(57)에 의해 전후로 왕복운동이 야기된다. 토오크 컨버터(TC)가 스플라인 끼움부분(B) 또는 오일펌프 끼움부분(C)의 위치에서 끼워지지 않으면, 토오크 컨버터(TC)는 끼워지도록 푸셔 실린더(57)에 의해 전후 왕복운동이 야기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가공물 조립장치가 토오크 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기 위한 토오크 컨버터 조립장치에 적용하여 개시되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많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며 당업자라면 이러한 모든 변경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0)

  1. 하나의 가공물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다른 가공물을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서 함께 끼워서 한쌍의 가공물을 서로 끼워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장치로서, 이 장치는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을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 테이블상에 구비된 가공물 유지수단, 가공물이 함께 끼워질 때 끼움축선에 대하여 가공물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공물 회전수단, 그리고 가공물이 함께 끼워질 때 가공물중의 하나를 다른 가공물로부터 멀리 정교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가공물 전진 및 후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공물 쌍의 끼움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공물 끼움 검출수단으로 더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끼워져야 할 때 상기 가공물 끼움 검출수단이 가공물쌍이 함께 끼워지지 않았다고 검출하면, 상기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은 가공물 중의 하나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공물쌍이 끼워질 때,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은 각도 간격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가공물쌍중의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은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내로 그 운동의 전후방향으로 나누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은 서로 상대이동하며, 전방 이동 테이블은 상기 가공물 유지수단으로 구비되고, 전방 이동 테이블 구동 수단은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은 잠금수단을 통해서 전방과 후방 이동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이 피구동될 때, 잠금수단은 작동되어 상기 가공물 전진 및 후퇴수단은 전방 이동 테이블의 상기 가공물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가공물을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은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내로 그 운동의 전후방향으로 나누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은 서로 상대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전방 이동 테이블은 상기 가공물 유지수단으로 구비되어 있는 한편, 후방 이동 테이블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의 상대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물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가공물에 전달하여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6. 하나의 가공물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다른 가공물을 상기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서 함께 끼워서 한쌍의 가공물을 서로 끼워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장치로서, 이 장치는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을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테이블 구동수단,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 테이블상에 구비된 가공물 유지수단, 그리고 가공물중에 하나가 나머지 가공물에 대하여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가공물의 끼움전에 끼움 축선에 대하여 가공물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공물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공물쌍이 끼움전에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에 의해 가공물이 회전되는 회전율은 70 내지 200rp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은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내로 그 운동의 전후방향으로 나누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은 서로 상대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전방 이동 테이블은 상기 가공물 유지수단으로 구비되어 있는 한편, 후방 이동 테이블은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방 이동 테이블과 후방 이동 테이블의 상대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가공물 회전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가공물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가공물에 전달하여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장치.
  9. 서로 끼워지는 한쌍의 가공물을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가공물중의 하나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하게 다른 가공물을 위치시켜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을 접근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상에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는 단계, 이동 테이블상에 유지된 다른 가공물로 끼우기 위해 위치된 가공물에 대하여 다른 가공물을 가압하도록 이동 테이블을 위치된 가공물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단계, 그리고 가공물쌍이 서로 끼워지기위해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끼움축선에 대하여 다른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10. 서로 끼워지는 한쌍의 가공물을 조립하기 위한 가공물 조립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가공물중의 하나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게,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 및 이격시키도록 지지된 이동 테이블상에 다른 가공물을 유지하므로서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하게 다른 가공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중심맞춤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지된 상태에서 다른 가공물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시키는 단계는 이동 테이블을 위치된 하나의 가공물에 근접시켜 하나의 가공물에 대하여 다른 가공물을 가압하고 가공물을 서로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조립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거하여 기재한 것임.
KR1019960028096A 1996-07-12 1996-07-12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19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096A KR100195803B1 (ko) 1996-07-12 1996-07-12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096A KR100195803B1 (ko) 1996-07-12 1996-07-12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433A true KR980008433A (ko) 1998-04-30
KR100195803B1 KR100195803B1 (ko) 1999-06-15

Family

ID=1946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096A KR100195803B1 (ko) 1996-07-12 1996-07-12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81B1 (ko) * 2009-04-08 2009-11-13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38B1 (ko) 2005-07-26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토크컨버터 조립방법
KR100862224B1 (ko) 2007-08-20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풀리회전 시스템
KR101458736B1 (ko) * 2014-01-14 2014-11-05 최동옥 촉매 컨버터용 단열재 계량장치
KR101853587B1 (ko) 2017-07-11 2018-04-30 최동옥 촉매 컨버터용 단열재 계량장치의 개량구조
US11685455B2 (en) 2021-02-11 2023-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ol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hybrid module with clutch and torque convertor into transmission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81B1 (ko) * 2009-04-08 2009-11-13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580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8253B (zh) 工件检查搬运装置
CN215237084U (zh) 一种限位板冲压装置
US5974650A (en) Transmission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175985B (zh) 主从动带轮锁紧螺母自动拧紧系统及其料仓、上料和拧紧装置
KR980008433A (ko)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CN111071728A (zh) 一种自动移载测试线
CN113857842B (zh) 一种起动机限位圈自动装配装置
CN106323631A (zh) 一种变速箱全自动检测实验台
CN210753880U (zh) 全自动直线轴承缺钢球检测机
CN215845350U (zh) 一种限位板冲压上料装置
CN109975310B (zh) 一种管接头锻件外观检测及关键尺寸测量的自动化线
CN113414586B (zh) 一种单向阀自动装配设备及方法
CN209321959U (zh) 一种显示屏自动检测装置
CN115971878A (zh) 一种减震器用油封装置的自动装配设备
WO2023221159A1 (zh) 单向器智能配装系统中的实时检测系统
CN210546435U (zh) 一种管卡螺纹检测机构及管卡自动组装机
CN111982494A (zh) 一种扭簧检测注油装置及方法
CN107686438B (zh) 适于雷管生产的机器人自动卡扣系统
CN111351647A (zh) 一种智能多工位磨合空载检测台及其工作方法
JPH08215948A (ja) ワーク組付装置並びに組付方法
CN110977436A (zh) 一种雨刮动力输入组件组装检测自动化系统
CN218311929U (zh) 一种同步器自动装配机及同步器生产线
CN215432420U (zh) 一种用于齿轮箱壳体装配的上料装置
CN212254580U (zh) 一种扭簧检测注油装置
JPH08215947A (ja) ワーク組付装置並びに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