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481B1 -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481B1
KR100926481B1 KR1020090030192A KR20090030192A KR100926481B1 KR 100926481 B1 KR100926481 B1 KR 100926481B1 KR 1020090030192 A KR1020090030192 A KR 1020090030192A KR 20090030192 A KR20090030192 A KR 20090030192A KR 100926481 B1 KR100926481 B1 KR 10092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rque converter
elastic
backwar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훈
Original Assignee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조립, 특히 오토미션(automatic transmission)에 사용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토크컨버터의 자동조립시 토크컨버터의 전후진 이동시 발생되는 이동축의 미세한 밴딩현상을 차단하며, 토크컨버터의 클러치하우징에 대한 압입과 회전의 동작으로 조립시 탄성가압시의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공작물의 훼손이 없는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탄성가압, 전후진, 회전의 동작을 위한 모터나 실린더들의 노후화 혹은 예측 불가능한 고장이 발생되었다 하여도 현장에서 손쉽게 교체 수리가 가능하며, 자동차 생산현장에서 차종의 형식이 변경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이종차종에 대한 조립이 가능한 토크컨버터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의 구동축과 변속장치의 종동축 사이에 토크컨버터를 파지하여 트랜스미션의 클러치하우징 내에 파지되어진 토크컨버터를 회전하면서 탄성가압하여 토크컨버터를 삽입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토크컨버터를 흡착고정하는 패드부, 이 패드부의 후측으로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를 설치하여주며, 이 패드부와 탄성가압부 그리고 회전조립부를 전후진 수단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탄성가압부와 전후진수단의 사이에는 센서부를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의 현재위치를 센서부에 의하여 정확하게 감지하여 토크컨버터의 조립성을 정확하게 판단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가압부에 탄성댐퍼를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부(v)의 내부에 설치되어져 패드부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을 탄력적으로 흡수 및 유지하는 회전조립부에 의한 조립동작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4귀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들 탄성댐퍼가 전부 외부에 노출되어져 있어 댐퍼의 노후화, 오동작시 즉시 교체 수리도 용이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센서부가 전후진수단에 의하여 함께 전진과 후진하여 종래의 장봉구조로 인한 벤딩현상, 장봉구조에 따른 특수한 감지장치가 필요없이 정확한 위치감지가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이들 센서부에 사용된 것 중 어느 하나라도 노후화 혹은 오동작이 되더라도 즉시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극히 용이하게 되었다.
토크컨버터, 토크컨버터 조립기,토크컨버터 조립장치,토크컨버터 삽입기,토크컨버터 삽입장치,토크컨버터 조립설비,토크컨버터 삽입설비, 자동차 트랜스미션 조립라인, 자동차 트랜스미션 조립라인 설비

Description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Assembling machine for torque convert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조립, 특히 오토미션(automatic transmission)에 사용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의 조립작업에 있어서 트랜스미션(transmission)에 토크 컨버터를 부착하는 장치이다. 토크컨버터의 자동 부착조립장치로서 일본특개평 8-215947호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트랜스미션의 스플라인축과, 토크 컨버터의 결합하는 축 원통과의 공동 회전을 방지하여 공작물끼리의 결합을 단시간에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공작물에 대하여 접근 이탈 가능하게 이동 플레이트 및 삽입 플레이트 등의 전후 이동 테이블을 지지시키고, 이들의 전후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기 전 및 후 테이블 구동 수단과, 이들의 이동 테이블에 설치되어 다른 쪽의 공작물을 유지하는 공작물 유지 수단과, 상기 한 쌍의 공작물의 결합시에 어느 한쪽의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공작물 회전 수단과, 상기 한 쌍의 공작물결합시에 어느 한쪽의 공작물을 다른 쪽의 공작물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소하게 구동시키는 공작물 전후진 이동 수단으로서의 푸시 실린더를 구비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특허등록 제571681호에서는 위치 결정된 제 2 공작물에 제 1 공작물을 삽입 부착하는 공작물의 삽입 부착 장치로서,상기 제 2 공작물측으로 제 1 공작물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수단과,상기 제 2 공작물에 대한 제 1 공작물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축선으로 하고 상기 축선 둘레로 제 1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며,상기 전후진 수단은 본체부에 의해 제 2 공작물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접속되어 제 1 공작물을 파지하는 파지 수단과, 이들 슬라이더와 파지 수단 사이에 필요한 탄성 가압력을 부여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공작물의 삽입 부착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는 레일 형상 또는 통 형상으로 길게 설치되고있으며, 전후진을 위한 수단으로 상기 특허에서 특별히 제작된 실린더(부호 82)를 이용하고 있다(청구항2). 그리고 전후이동가능하게 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유지기구로서 구동모터가 부착되어 사용되면서 그 회전구동모터가 내부에 장착되어져 있다(부호 32)(청구항3). 그리고 공작물을 파지하는 수단으로 도면에 의하여 살펴보면 4개의 축이 내부에 탄성적으로 가압돌출하도록 하고 있다(청구항7). 또한 공작물의 전후진과 회전을 위하여 도시한 도면에 의하면 랙앤피니언기어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기어방식에 대한 별도의 윤활유공급장치를 함께 병설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하여 일정한 차종에 대한 토크컨버터의 자동 삽입부착 조립의 공정이 자동화하는 장점이 있으나 차종의 다품종 다양화하면서 여러 가지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종이 변하면서 하나의 조립장치로 하나의 차종만이 조립가능하고 엔진형식의 변화발생시 토크컨버터의 외형이 변하게 되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나 내부구동모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노후화가 발생할 경우 범용화된 부품을 사용할 수 없어 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모든 구동부분이 조립을 위한 다른 부속들 사이에 내장되면서 교체와 수리를 위하여 전체를 분해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려운 문제는 조립라인이 타 차종으로 변화될 경우 변화된 엔진형식에 맞출 수 없어 다품종생산과 능동적인 조립라인의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토크컨버터의 자동조립시 토크컨버터의 전후진 이동시 발생되는 이동축의 미세한 밴딩현상을 차단한 새로운 구조의 토크컨버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크컨버터의 클러치하우징에 대한 압입과 회전의 동작으로 조립시 탄성가압시의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공작물의 훼손이 없는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탄성가압, 전후진, 회전의 동작을 위한 모터나 실린더들의 노후화 혹은 예측 불가능한 고장이 발생되었다 하여도 현장에서 손쉽게 교체 수리가 가능한 토크컨버터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현장에서 차종의 형식이 변경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이종차종에 대한 조립이 가능한 토크컨버터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토크컨버터를 파지하여 클러치 하우징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가 탄성가압시의 센터를 맞추어 주는 회전조립부전체를 감싸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공작물을 잡아서 전후진 하는 장치를 백래시가 없는 장치로 구동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전후진동작시 공작물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확한 위치감지와 그에 따른 전후진 동작 거리를 연산하도록 하는 감지센서부를 전후진수단과 함께 연동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후진수단도 폭이 넓게 쌍으로 배치하여 토크컨버터를 압입하는 장치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경우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가 전부 외부에 노출되어져 있도록 기본구성을 하여 이들에 대한 고장이나 노후화에 의한 교체수리가 언제든지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청구항2 기재의 경우 탄성가압부가 넓게 구성한 지지플레이트에 의하여 탄성댐퍼들이 4귀에 배치되어지므로 가압시 반발력을 넓은 면적을 갖춘 탄성가압부에 의하여 흡수하므로 반발력이 효과적으로 분산하게 되었다. 그 결과 탄성가압에 의한 축의 변형, 그 변형에 의한 공작물 손상 등의 문제를 없애 주었다.
본 발명의 청구항3 기재의 경우 전후진 동작시 감지되는 거리의 오차를 함께 연동하는 감지센서부에 의하여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센서부 자체가 이송축에 의하여 일체화되어져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특이한 구조의 실린더(82)가 장축의 로드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흔들림, 이동거리의 미세한 오차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정밀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4 기재의 경우에는 정밀한 볼이 내장된 스크류에 의하여 전후진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랙크앤피니언 구조의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백래시가 없어 보다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청구항5 기재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듯이 전후진수단의 폭이 탄성가압부의 폭보다 넓게 구성하므로 이곳에 실려지는 토크컨버터의 무게와 반복되는 압입, 반발 동작에 의한 벤딩현상을 가능한 억제토록 한다. 또한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 탄성가압구동모터, 연계된 실린더가 외부에 육안으로 관찰되어져, 이들의 오작동을 언제든지 감시할 수 있고, 특히 이들의 노후화 오작동시에도 전체 구조에 대한 변형이 없이 손쉬운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오토미션 자동차 엔진에 사용되는 토크컨버터를 트랜스미션에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형식이 변경하여도 조립작업이 가능한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토크컨버터의 이동과 회전 그리고 탄성가압을 위한 장치들이 장기간의 사용으로 노후화되어도 전체 구조에 대한 변경이 없이 교체와 보수가 용이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 에 사시도에 의하여 도시하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는 패드부와 탄성가압부의 확대정면도이고, 도 5 는 전후진수단과 센서부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6 은 전후진수단, 센서부 그리고 탄성가압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 은 전후진수단과 탄성가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며, 도 8 은 전후진수단만을 도시한 측면구성도이고, 도 9 는 전후진수단만을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의 구동축과 변속장치의 종동축 사이에 토크컨버터를 파지하여 트랜스미션의 클러치하우징 내에 파지되어진 토크컨버터를 회전하면서 탄성가압하여 토크컨버터를 삽입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토크컨버터(T/C)를 진공흡착하여 트랜스미션의 클러치하우징을 향하도록 파지하는 원반형상의 패드부(100),
상기한 패드부에 진공흡착한 토크컨버터를 클러치하우징(C/H)의 내측으로 탄성댐퍼(205)의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주는 탄성가압부(200),
상기한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201)와 홀더(206)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댐퍼(205)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v)의 내부에 설치되어져, 탄성가압구동모터(M1)의 동작에 의하여 패드부의 토크컨버터를 회전조립하는 회전조립부(210),
상기한 패드부, 탄성가압부, 회전조립부 그리고 센서부의 전체를 이송축(301)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게 하는 전후진수단(300),
상기한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와 전후진수단의 이송축사이에 배치되어져 전후진수단의 위치와 탄성가압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400)로 구성한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서 패드부(100)는 탄성재질로 제작한 진공흡착패드(107a)에 의하여 진공흡입부(107b)에 의하여 진공으로 토크컨버터(T/C)를 흡착하여 고정한다. 클러치하우징(C/H)을 향하여 토크컨버터를 흡착고정한 채 상기한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 전체를 전후진수단(300)의 동작에 의하여 클러치하우징으로 전진하여, 클러치하우징 내부로 토크컨버터를 압입한다. 이러한 전진은 순간적으로 무거운 토크컨버터를 클러치하우징으로 압입하게 되므로, 반대의 저항을 받게 된다. 이러한 반대저항을 탄성가압부(200)가 4방향에 설치된 탄성댐퍼(205)에 의하여 전달되어오는 저항을 흡수하면서 탄력적으로 밀어주게 된다. 특히 4방향에서 분산처리가 가능하여, 발생가능한 토크컨버터의 손상 혹은 클러치하우징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도 4에 도시하듯이 토크컨버터를 진공흡착하는 패드부가 패드베이스(106)를 죠인트부(107)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다. 특히 이 조립구조가 외부에서 육안관찰가능하게 노출되어있으므로, 이 패드베이스의 죠인트부를 해체하고 다른 패드의 탈부착이 임의로 가능하다. 즉,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엔진의 형식이 변하여도 패드부만 교체하면 얼마든지 다양한 차종에 대한 토크컨버터 조립이 가능하여 하나의 조립장치로 여러 차종용 엔진형식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탄성가압부(200)가 지지플레이트(201)에 의하여 탄성가압구동모터(M1)를 지지하도록 하며, 탄성가압구동모터(M1)의 출력축은 회전조립부와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이 지지플레이트의 4귀에 4개의 정사각방향으로 배치된 탄성댐퍼(205)들에 의하여 패드부와 연결된 홀더(206)와 연결하였다. 상기한 탄성댐퍼들은 내부에 탄성 스프링과 유압실린더를 내장하고 있다. 이 탄성댐퍼는 토크컨버터의 클러치하우징내로 압입시, 토크컨버터가 클러치하우징내의 주축에 미조립되므써 발생하는 거리의 차이로 인한 반발력을 흡수하여 토크컨버터의 나사체결부와 클러치하우징의 나사체결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댐퍼는 스프링과 유압에 의하여 약간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토크컨버터를 클러치하우징으로 밀어주어 나사체결이 안된 부분이 있을 경우 전후진의 미세한 동작이 탄력적으로 반복되도록 한다.
탄성가압부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하듯이 회전조립부(210)가 설치되어져 있다. 회전조립부는 탄성가압구동모터(M1)의 회전력을 받아 패드부에 의하여 지지되어진 토크컨버터를 회전하여, 토크컨버터와 클러치하우징의 미션과 연결된 종동축(從動軸)과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곳으로 토크컨버터의 압입시 발생하는 순간적인 반발력으로 센터링블록(105)과 패드부가 뒤로 밀려질 경우 스플라인부를 따라 약간 밀려나면서 반발력을 흡수하여 준다.
상기한 구조의 탄성댐퍼들은 댐퍼고정구(205a)에 의하여 상술한 지지플레이트(201)에 조립고정되어져 있으며, 이 구조 역시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외부에 노출되어져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과 노후화에 의하여 댐퍼기능이 악화되었거나 혹은 엔진형식이 변경하여 댐퍼의 스펙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라 하여도 상기한 외부노출된 댐퍼고정을 위한 홀더(206)이나 센터링블록(105)등의 해체로 패드부의 해체후에 이곳에 다른 구조의 탄성댐퍼를 조립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식의 엔진에 적응이 능동적으로 가능하며, 유지보수도 극히 용이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 부분은 회전조립부(210)가 상기한 탄성댐퍼들에 의하여 구성된 공간부(V)의 내부에는 패드부의 센터링블록(105)과 스플라인부(210a)구조의 축에 의하여 패드부와 축결(軸結)되어지는 것이다. 토크컨버터를 패드부에 장착하여 준 상태에서 탄성가압구동모터(M1)가 콘트롤부에서 주어진 신호에 의하여 정(正)역(逆)회전을 하게 되며, 이러한 정역회전 동작과 동시에 회전조립부의 수평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술하듯이 토크컨버터의 강제적인 압입동작은 클러치하우징에 토크컨버터가 접촉하는 즉시 체결이 되지 않으므로 필연적으로 반발력을 발생하게 되며, 그 반발력을 받는 면적을 회전조립부보다 넓게 배치한 탄성댐퍼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진다. 마찬가지로 회전조립부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은 회전조립부의 센터링블록의 스플라인부에 의하여 흡수토록 한다. 즉, 토크컨버터의 클러치하우징내 강제 압입시 발생하는 반발력의 대부분을 탄성댐퍼에서 흡수하지만, 회전조립부에 형성된 스플라인부에서도 순간적으로 반발력에 대응하여 후진하면서 반발력을 흡수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댐퍼와 스플라인부에 의한 이중적인 반발력 흡수는 결국 토크컨버터와 클러치하우징간의 미세한 충격손상을 최소화하게 되면서, 조립속도도 크게 높이게 한다. 이러한 패드부, 탄성가압부 그리고 회전조립부의 후진은 이것과 함께 연동되어진 지지플레이트(201)도 함께 후진하게 되므로, 센서부의 거리감지센서(303)에서 이러한 후진과 전진의 거리를 감지하여 미도시한 콘트롤센터로 신호전달하여 현재의 위치가 정부(正否)위치가 아님을 판단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201)의 하부는 전후진수단의 이송축(301)과 함께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지지플레이와 이송축 사이에는 도 5와 6의 점선 박스 표시하듯이 전방베드, 후방베드 그리고 센서베드로 구성된 이송베드들이 설치되어진다. 상기한 이송베드중에서 전방베드(312a)와 후방베드(312b)는 상기한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를 직접 받쳐주는 반면에 센서베드부는 록킹실린더(323)를 직접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후방베드와 센서베드부(312c)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제1 및 제2 센서플레이트들(316)(317)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하였으며, 이 센서플레이트들의 사이에는 탄성체(322)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2센서플레이트(317)를 관통하도록 탄성체(322)를 설치하며, 이렇게 설치된 탄성체의 말단부와 지지플레이트(201)의 사이에는 거리감지센서(303)를 설치하였다. 거리감지센서는 그 일측이 상기한 탄성체에 접하도록 설치하며, 타측은 지지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전후방베드와 센서베드들이 구동모터(M2)의 구동력으로 회전작동하는 이송축(301)을 따라 전진 혹은 후진하면, 센서베드들과 함께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도 함께 이동하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한 동작으로 위치를 변동하게 되면 상기한 거리감지센서(303)에 압력을 주게 되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 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베드부(312c)는 후방베드(312b)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센서플레이트들(316)(317)이 설치되어져 있고, 상술하듯이 센서베드부에 별도의 록킹실린더(323)가 설치되어져 전후진하는 탄성가압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400)를 구성한다.
상기한 록킹실린더는 미도시한 콘트롤부로 부터 송신되어진 신호에 따라 전후진이송수단(300)이 전진하여 목표 위치에 도달하면 록킹로드(323a)가 하부로 돌출하여 록킹부(301a)에 록킹로드의 선단 일부가 이곳에 록킹(locking)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송축(301)을 따라 전후진하던 탄성가압부, 회전조립부 그리고 패드부 들이 록킹로드의 록킹동작에 의하여 이송축(301)에 고정되어진다. 록킹로드의 고정으로 전후진수단의 상측에 설치된 패드부, 탄성가압부, 회전조립부, 센서부들의 후진을 막아준다. 이 상태는 클러치하우징내로 토크컨버터가 강제로 압입되어져 있으나 아직 조립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탄성가압부에 설치된 탄성가압구동모터(M1)의 동작에 의하여 토크컨버터와 클러치하우징의 주축이 조립이 되도록 토크컨버터가 회전하면서 조립이 되며, 이 회전 조립동작시 발생하는 반발력은 탄성가압부의 탄성댐퍼가 흡수하는 동시에 탄성댐퍼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밀어주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한다. 즉, 토크컨버터의 조립동작시 대부분의 체결압력은 탄성가압부의 탄성댐퍼에서 작용하며, 조립은 회전조립부의 탄성가압구동모터의 회전동작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록킹실린더와 센서부가 전후진수단의 이동과 함께 연동하면서 전후진 거리의 정확한 감지를 위한 별도의 감지용 푸쉬풀로드(도 1 부호 84)가 불필요하다. 특히 센서부에 대한 오동작이나 고장이 발생한다 하여도 센서베드에 대한 조립구조만 해체하면 얼마든지 분해하여 교체 혹은 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전후진수단의 구동모터(M2)의 출력축에 축결되어있는 이송축(301)에 연동가능하게 배치된 센서베드(312c)와 후방베드(312b)의 사이에는 탄성체(322)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도록 하며,
상기한 후방베드와 지지플레이트(201)의 사이에는 거리감지센서(303)가 설치되어져 센서베드의 후미에 설치된 록킹실린더(323)와 연동하여 토크컨버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신호를 송신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송축(301)의 작동으로 탄성가압부가 전진하게 되며, 일정한 위치(콘트롤부에 미리 세팅된 거리로 차종별로 엔진형식별로 다양하게 설정됨)에 도달하게 되면 토크컨버터가 클러치하우징에 압입하게 되면서 반발력을 받게 되며, 클러치하우징에 조립이 완벽하게 조립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클러치하우징내로 토크컨버터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상술한 거리감지센서(303)에 전달하여 더 이상의 전진을 막도록 록킹실린더(323)에 신호를 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의 동작에 의하여 토크컨버터가 목적위치에 조립이 되면 토크컨버터가 클러치하우징내에 안착하게 되므로 그만큼 토크컨버터의 위치가 클러치하우징내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토크컨버터를 밀어내는 반발력이 사라지게 되면서 상기한 거리감지센서(303)에 대한 압력이 사라지게 되면서 거리감지센서의 신호가 정신호가 발생하므로 1차조립이 된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다시 전후진이송수단에 2차조립을 위한 전진신호를 주어 목적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목적위치에 도달하면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여, 통상적으로 3 내지 5회의 조립작업이 완성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도 8에 도시하듯이 전후진수단(300)이 이송축(301)에 의하여 전후진이 되도록 하였다. 이 이송축의 외주면에는 스크류(302)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 스크류에는 볼(303)을 배치하여 너트부(304)와 체결하였다. 그리고 이 너트부의 상측으로 탄성가압부(200)와 회전조립부(100)를 지지하는 전후방 베드 혹은 센서베드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후진은 좌.우슬라이더(308)(309)의 쌍으로 평행배치되어 상기한 탄성가압부(200)가 회전조립부(100)를 하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되, 좌.우슬라이더의 간격(D)이 도 7과 같이 상기한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의 전체 폭(D1) 보다 크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좌우폭의 장대화는 무거운 토크컨버터와 그것을 지지하는 상술한 탄성가압부(200), 회전조립부(100) 그리고 이것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함께 전후진하면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이나 축의 밴딩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게 되었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토크컨버터의 조립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4에 도시하듯이 토크컨버터(T/C)가 패드부에 있는 진공흡착패드(107a)에 부착이 된다.
이 상태에서 전후진수단의 구동모터(M2)가 구동하면 이송축(301)이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력은 이곳에 체결된 케이싱부(304)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송축에는 상술하듯이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201)의 하부가 중간에 센서부(400)을 배치한 채 패드부, 탄성가압부, 회전조립부가 함께 연동하도록 고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송축의 동작에 의하여 1차적으로 패드부에 고정되어진 토크컨버터가 트랜스미션의 클러치하우징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1차적인 전진이란 미도시한 콘트롤부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진입거리가 설정되어져 있다. 설정된 길이만큼 전진이 이루어지면, 록킹실린더(323)에서 록킹로드(323a)가 하부로 전진하여 이송축의 록킹부(301a)에 록킹되어지면서 패드부, 탄성가압부,센서부 그리고 회전조립부가 더 이상의 이동이 차단되어진다.
이렇게 1차적인 토크컨버터의 진입이 클러치하우징내로 이루어지면, 탄성가압구동모터(M1)가 구동하여 탄성가압부(200)의 탄성댐퍼는 탄발적으로 그리고 회전조립부는 토크컨버터를 회전하면서 중심을 맞추어 전진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트랜스미션의 주축에 대한 토크컨버터의 1차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 동작시 미세한 차이에 의한 반발력은 지지플레이트(201)의 4귀에 4개의 정사각방향으로 배치된 탄성댐퍼(205)들에 흡수하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형태로 회전조립부도 함께 회전하면서 중심의 미세한 이탈에 의한 순간적인 반발력은 회전조립부의 스플라인부(210a)에 의하여 회전조립부도 그 반발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탄성댐퍼들에 의한 흡수와 동시에 중앙에서의 반발력도 회전조립부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토크컨버터의 조립시 발생하는 모든 반발력을 최대한 흡수제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1차 조립이 되면, 토크컨버터가 클러치하우징에 미조립상태로 압입시 거리차이로 인하여 탄성가압부가 밀려지면서 거리감지센서(303)에 대한 정위치가 아닌 이상위치라는 신호가 이제는 정위치로 (즉, 거리감지센서에 대한 압력이 제거되므로 신호발생이 없다)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록킹실린더에 대한 록킹을 해제하는 신호가 전달된다. 록킹이 해제되면 다시 이송축이 2차 조립을 위하여 동일한 형태로 이송하게 되며, 이송축이 목표한 거리에 진입하면 역시 록킹실린더에 의한 록킹,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의 탄발압력과 회전에 의한 조립으로 2차 조립이 이루어지며, 동일한 형태로 3차, 4차의 연속적인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목적한 토크컨버터 조립공정이 완수되어진다.
도 1 은 종래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은 정면도,
도 4 는 패드부와 탄성가압부의 확대정면도,
도 5 는 전후진수단과 센서부의 확대정면도,
도 6 은 전후진수단, 센서부 그리고 탄성가압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 은 전후진수단과 탄성가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츠정면도,
도 8 은 전후진수단만을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9 는 전후진수단만을 도시한 평면구성도임.

Claims (5)

  1. 자동차의 엔진의 구동축과 변속장치의 종동축 사이에 토크컨버터를 파지하여 트랜스미션의 클러치하우징 내에 파지되어진 토크컨버터를 회전하면서 탄성가압하여 토크컨버터를 삽입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토크컨버터(T/C)를 진공흡착하여 트랜스미션의 클러치하우징을 향하도록 파지하는 원반형상의 패드부(100),
    상기한 패드부에 진공흡착한 토크컨버터를 클러치하우징(C/H)의 내측으로 탄성댐퍼(20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주는 탄성가압부(200),
    상기한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201)와 홀더(206)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댐퍼(205)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v)의 내부에 설치되어져, 탄성가압구동모터(M1)의 동작에 의하여 패드부의 토크컨버터를 회전조립하는 회전조립부(210),
    상기한 패드부, 탄성가압부, 회전조립부 그리고 센서부의 전체를 이송축(301)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게 하는 전후진수단(300),
    상기한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와 전후진수단의 이송축사이에 배치되어져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40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가압부(200)는 지지플레이트(201)에 의하여 탄성가압구동모터(M1)를 지지하도록하며, 이 지지플레이트의 4귀에 4개의 정사각방향으로 배치된 탄성댐퍼(205)들에 의하여 패드부와 연결된 홀더(206)와 연결하며,
    상기한 탄성댐퍼들에 의하여 구성된 공간부(V)의 내부에는 패드부의 센터링블록(105)과 스플라인부(210a)에 의하여 축결(軸結)된 회전조립부(210)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는 전후진수단의 이송축(301)에 체결되어있는 이송베드들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부는 탄성가압부의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는 전방베드(312a)와 후방베드(312b), 록킹실린더(323)을 직접 지지하는 센서베드부(312c)로 이루어진 이송베드들로 구성하되,
    상기한 후방베드와 센서베드부(312c)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제1 및 제2 센서플레이트들(316)(317)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탄성체(322)를 매개로 설치하며,
    상기한 제2센서플레이트(317)을 관통한 탄성체(322)의 말단부와 지지플레이트(201)의 사이에는 거리감지센서(303)의 일측이 상기한 탄성체에 접하도록 설치하여 구동모터(M2)의 구동력으로 회전작동하는 이송축(301)을 따라 함께 전진 혹은 후진하며,
    상기한 센서베드부(312c)의 록킹실린더(323)는 록킹로드(323a)가 하부로 전후진하여 록킹부(301a)에 록킹로드의 선단 일부가 록킹(locking)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후진수단의 이송축(301)은 외주면에 스크류(302)가 형성되어져있으며,
    상기한 스크류에는 볼(303)을 배치하고, 이 볼을 감싸주는 케이싱부(304)의 상측으로는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를 지지하는 베드들이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후진수단(300)의 이송축은 쌍으로 평행배치되어 있는 좌.우슬라이더(308)(309)에 의하여 전후진 하며, 좌.우슬라이더의 간격(D)이 탄성가압부와 회전조립부의 전체 폭(D1) 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KR1020090030192A 2009-04-08 2009-04-08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KR10092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92A KR100926481B1 (ko) 2009-04-08 2009-04-08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92A KR100926481B1 (ko) 2009-04-08 2009-04-08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481B1 true KR100926481B1 (ko) 2009-11-13

Family

ID=4156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192A KR100926481B1 (ko) 2009-04-08 2009-04-08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17B1 (ko) * 2021-07-14 2021-12-23 박영호 로타케이스 및 커버 결합을 위한 가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433A (ko) * 1996-07-12 1998-04-30 히라타 야스나리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KR19980086419A (ko) * 1997-05-13 1998-12-05 히라타 고우야 공작물의 삽입 부착 장치 및 방법
JP2007118167A (ja) 2005-10-31 2007-05-17 Aisin Aw Co Ltd 組付装置
JP2007222966A (ja) 2006-02-21 2007-09-06 Fuji Heavy Ind Ltd トルクコンバータ自動組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433A (ko) * 1996-07-12 1998-04-30 히라타 야스나리 가공물 조립장치 및 방법
KR19980086419A (ko) * 1997-05-13 1998-12-05 히라타 고우야 공작물의 삽입 부착 장치 및 방법
JP2007118167A (ja) 2005-10-31 2007-05-17 Aisin Aw Co Ltd 組付装置
JP2007222966A (ja) 2006-02-21 2007-09-06 Fuji Heavy Ind Ltd トルクコンバータ自動組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17B1 (ko) * 2021-07-14 2021-12-23 박영호 로타케이스 및 커버 결합을 위한 가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7724B (zh) 一种飞机类钛合金零件加工工装台压紧机构
CN204504697U (zh) 一种立式轴承压装机
CN205110907U (zh) 数控机床分度铣头
CN102039543A (zh) 电液直驱式分度转台
KR20120063778A (ko) 클램핑 장치
CN103862305A (zh) 铣床夹具
JP6173699B2 (ja) 締付チャック
CN104607907A (zh) 行星排小齿轮轴压装机
KR100926481B1 (ko) 토크컨버터 조립 장치
KR101283769B1 (ko) 차동기어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1503015B1 (ko) 볼트 자동 조립 장치
CN103612083A (zh) 压电换能器电极与检测夹头对准和接触装置
CN114346404A (zh) 一种摩擦焊设备
KR20150050923A (ko) 와셔 조립장치
KR100938872B1 (ko) 액슬 타입의 터렛공구대
CN210789787U (zh) 一种焊接用自动工装夹具
JP4279632B2 (ja) プレス装置
KR102063064B1 (ko) 너트용 탭핑장치
KR101754113B1 (ko) 리텝핑 장치
JP2002205244A (ja) 割り出し装置と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506741B1 (ko) 무백래쉬 기어박스 구조
CN112775769A (zh) 一种汽车转向系统蜗轮磨合设备
CN212330304U (zh) 汽车用干摩擦式自调式盖总成力感应器ds的装配机
KR101014785B1 (ko) 터렛공구대
CN210281187U (zh) 一种仪表车焊装用的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