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425U -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08425U KR980008425U KR2019980001438U KR19980001438U KR980008425U KR 980008425 U KR980008425 U KR 980008425U KR 2019980001438 U KR2019980001438 U KR 2019980001438U KR 19980001438 U KR19980001438 U KR 19980001438U KR 980008425 U KR980008425 U KR 98000842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casing
- wedge
- door
- lift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조절이 용이하고 그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도어레일에 미치는 과중한 하중을 분산함으로서 도어레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 것으로 상기 과제의 해결적수단은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 П상의 케이싱(1)과, 그 일측이 케이싱(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부재(2)와 그 중앙부 상측에 상기 가이드부재(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승강프레임(3)과, 승강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4, 4')와, 대략 직삼각형상으로 되어 그 경사면이 가이드부재(2)의 고정단측과 대응되는 측의 면에 접한 체로 케이싱(1) 내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지(5)와, 웨지(5)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 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5)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6)로 되어, 상기 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웨지(5)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2)의 자유단측과 승강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4')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또 다른 해결적수단으로서는 상기 가이드부재(2)와 승강프레임(3)을 회전축(3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서, 가이드부재(2)의 중앙부에 한쌍의 반원형의 요홈(33)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3) 중앙 하부에는 П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양측에 공간부(81)를 형성한후 중앙에 스프링(7)을 설치하여 롤러(4,4')가 도어레일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미닫이도어의 프레임 하부에 설치하여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도어틀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2개의 롤러를 부착함으로서 도어의 무게에 따른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서 도어레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도어는 도어프레임을 도어틀의 상, 하부 사이에 결합하여 도어틀을 따라서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미닫이도어는 도어틀과의 결합 및 분리를 고려하여 그 상,하 길이를 도어틀에 결합 및 분리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길이 만큼 짧게 제작하며, 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어프레임의 하부에는 롤러를 구비한 호차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미닫이도어는 도어가 도어틀에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유동할 우려가 있는 것이고 심할 경우에는 도어틀에서 이탈할 우려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가 도어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하는 호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으나, 종래의 호차는 그 결합구성이 견고하지 못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1997년 2월 11일자로 특허출원 제97-3978호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이 또한 롤러가 하나인 단호차로서 최근의 각종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도어는 사용유리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중유리 및 대형화로 인해 중량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대형화된 도어의 무게를 하나의 롤러로 지탱함으로 도어레일이 고하중에 견디지 못하여 단시일내에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대형화된 도어의 원활한 개폐 동작과 도어레일의 손상을 방지하는 강력한 승강능력과 내하중 및 내구성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도어에 설치가 보다 용이하고 승강조절방법이 용이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승강조절이 용이하고 그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도어레일에 미치는 과중한 하중을 분산함으로서 도어레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 것으로 상기 과제의 해결적수단은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 П상의 케이싱(1)과, 그 일측이 케이싱(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부재(2)와 그 중앙부 상측에 상기 가이드부재(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승강프레임(3)과, 승강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4, 4')와, 대략 직삼각형상으로 되어 그 경사면이 가이드부재(2)의 고정단측과 대응되는 측의 면에 접한 체로 케이싱(1) 내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지(5)와, 웨지(5)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 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5)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6)로 되어, 상기 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웨지(5)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2)의 자유단측과 승강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 4')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또 다른 해결적수단으로서는 상기 가이드부재(2)와 승강프레임(3)을 회전축(31)으로 시소운동을 할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서, 가이드부재(2)의 중앙부에 한쌍의 반원형의 요홈(33)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3) 중앙 하부에는 П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양측에 공간부(81)를 형성한후 중앙에 스프링(7)을 설치하여 롤러(4, 4')가 도어레일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해결적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도어의 하부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의 내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 주요부의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높이를 높인 상태의 내부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b 주요부의 확대도.
제6도는 제2도에 있어서 A-A선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싱 2:가이드부재
3:승강프레임 4:롤러
5:웨지 6:조절나사
7:스프링 B:고정구
D:도어 DH:결합구멍
H:쌍호차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쌍호차(H)는, 그 내부에 각 구성부를 설치하고 지지시키기 위한 케이싱(1)을 포함한다. 케이싱(1)은, 몸체(11)와 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1)는 내부로부터 정면과 하측으로 개방된 블록형상의 탑부(13)와, 탑부(13)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연하여 각각 형성된 고정판부(14,15)로 되어 있다. 탑부(13)와 일측 고정판부(15) 사이의 코너부에는 결합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탑부(13)의 내측 상부에는 중심축(1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판부(15) 상측에는 조절나사홈(T)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중심축(18)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부재(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2)는 그 일측이 케이싱(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면(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재(2)의 내측 중앙부에는 회전축(31)이 밀착되게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한쌍의 반원형의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롤러(4, 4')를 고정한 체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프레임(3)을 포함한다. 승강프레임(3) 내부에는 롤러(4, 4')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부 하측에는 П형상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그 내부 양측에는 체결핀(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핀(8)의 중앙에는 스프링(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체결핀(8)과 승강프레임(3)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간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승강프레임(3)의 중앙 상부는 상기 가이드부재(2)의 회전축(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승강프레임(3)의 내부에는 롤러(4, 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은, 직선운동에 의해 가이드부재(2)와 승강프레임(3)을 승강시키기 위한 웨지(5, Wedge)를 포함한다. 웨지(5)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경사측의 면은 상기 가이드부재(2)의 슬라이딩면(23)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면(42)으로 되어 있다.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42)은, 가이드부재(2)의 슬라이딩면(23)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웨지(5)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나사(6)를 포함한다. 이 조절나사(6)는,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조절나사홈(T)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과 함께 그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5)의 측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지시부호 14'는, 몸체(11)의 고정판부(14)에 형성된 고정구 구멍이며, 지시부호 P는, 몸체(11)의 정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핀들이다.
지시부호 12는, 상기 몸체(11)의 정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커버이다. 이 커버(12)에는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결합핀(P)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12)는, 핀구멍(12')을 몸체(11)의 결합핀(P)에 삽입하여 상기 핀구멍(12')으로부터 돌출된 결합핀(P)의 선단측을 타격하여 그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몸체(11)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웨지(5)를 가이드부재(2)의 슬라이딩면(23)을 따라 경사 상방향(제4도에서의 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웨지(5)의 슬라이딩면(42)이 가이드부재(2)의 슬라이딩면(23)을 하방향으로 밀어내며 이때 가이드부재(2) 중앙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31)에 결합된 승강프레임(3)의 롤러(4, 4')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고, 이때 승강프레임(3) 정면 중앙 하측에 형성된 П형상의 구멍 내부 양측의 체결핀(8)과 승강프레임(3)사이의 공간부(81)에 의하여 2개의 롤러(4, 4')가 수평을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도어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아니하면서 도어레일을 따라 원활히 이동이 가능하며, 가이드부재(2)의 내측 중앙부에는 회전축(31)이 밀착되게 끼워져 시소운동을 할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한쌍의 반원형의 홈(33)이 형성되어 있어 웨지(5)의 직선운동을 가이드부재(2)와 결합된 승강프레임(3)의 시소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서 도어의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과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웨지(5)를 가이드부재(2)의 슬라이딩면(23)을 따라 경사 하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승강프레임(3)은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롤러(4, 4')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승강프레임(3)과 체결핀(8)사이의 공간부(81)에 의해 2개의 롤러(4, 4')가 수평을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도어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아니하면서 원활히 이동이 가능하며, 가이드부재(2)의 내측 중앙부에는 회전축(31)이 밀착되게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한쌍의 반원형의 홈(33)이 형성되어 있어 웨지(5)의 직선운동을 가이드부재(2)와 결합된 승강프레임(3)의 원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서 도어의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과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쌍호차(H)는, 조절나사(6)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그 높이를 극히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롤러를 2개로 함으로서 나타나는 롤러사이의 수평관계 및 도어레일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도어의 대형화로 인한 레일의 손상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쌍호차(H)를 도어에 설치하는 과정을 제2도와 제4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쌍호차(H)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하부프레임(D')에 형성된 결합구멍(DH)에 케이싱(1)의 탑부(13)를 삽입하여 결합돌기(17)을 결합구멍(DH)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에 삽입하고 일측 고정판부(1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 구멍(14')을 통하여 고정구(B)를 체결함으로서 도어(D)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쌍호차(H)가 설치된 도어(D)를 도어틀(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할 때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호차(H)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에서 행한다. 쌍호차(H)의 높이를 낮게 하는 방법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웨지(5)를 경사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쌍호차(H)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에서 도어(D)를 도어틀에 결합하는 것은, 도어(D)의 상단에서 쌍호차(H)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작게 함으로서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D)를 도어틀에 결합한 상태에서 쌍호차(H)의 조절나사(6)를 앞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웨지(5)를 경사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호차(H)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이에 의해 도어(D)의 상단과 도어틀과의 간격을 도어(D)가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최소의 간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쌍호차가 결합된 도어는 도어틀과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를 도어틀에 결합한 후 쌍호차의 높이를 높이는 것에 의해 도어의 상단과 도어틀과의 간격을 도어가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최소의 간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의해 도어틀에서 도어가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쌍호차는 조절나사를 도어의 하부프레임 밑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도어프레임에 조절나사 회전용의 공구삽입구멍을 천공할 필요가 없어 그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그 높이 조절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롤러를 2개로 함으로서 대형화된 도어의 하중을 분산함으로서 도어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롤러의 개수를 2개로 복수로 함으로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거나, 가이드부재에 한쌍의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므로서 과중한 무게로 인한 본 고안의 수명단축 및 도어레일의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롤러의 수평 유지를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그 구성이 극히 간단하고 견고한 것이어서, 생산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개방된 대략 П상의 케이싱(1)과, 그 일측이 케이싱(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가이드부재(2)와, 그 중앙부 상측에 상기 가이드부재(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승강프레임(3)과, 승강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롤러(4, 4')와, 대략 직삼각형상으로 되어 그 경사면이 가이드부재(2)의 고정단측과 대응되는 측의 면에 접한 체로 케이싱(1) 내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웨지(5)와, 웨지(5)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1) 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단부는 상기 웨지(5)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6)로 되어, 상기 조절나사(6)를 회동시켜 웨지(5)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2)의 자유단측과 승강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 4')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
-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재(2)의 내측 중앙부에는 회전축(31)이 밀착되게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한쌍의 반원형의 홈(3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재(2)와 승강프레임(3)이 시소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
- 제1항에 있어서, 승강프레임(3) 중앙 하부에는 П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내부 양측에 체결핀(8)을 형성한 후 이 체결핀(8)과 승강프레임(3)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8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1438U KR200174743Y1 (ko) | 1998-02-09 | 1998-02-09 |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1438U KR200174743Y1 (ko) | 1998-02-09 | 1998-02-09 |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8425U true KR980008425U (ko) | 1998-04-30 |
KR200174743Y1 KR200174743Y1 (ko) | 2000-04-01 |
Family
ID=1953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1438U KR200174743Y1 (ko) | 1998-02-09 | 1998-02-09 |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474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6596Y1 (ko) * | 2009-01-29 | 2011-11-09 | (주)명진 | 상하조정가능한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 |
KR101921431B1 (ko) * | 2017-12-19 | 2018-11-22 | 서병준 | 수평 유지 가능한 도어 이동장치 |
-
1998
- 1998-02-09 KR KR2019980001438U patent/KR20017474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4743Y1 (ko) | 200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60189A (en) | Door wheel | |
JPH10331513A (ja) | 調節機構 | |
US11713607B2 (en) | Roller centering device for centering a sliding door or window | |
HUE031132T2 (en) | Parallel opening hinge | |
CN101688422A (zh) | 自然换气装置 | |
KR200174743Y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쌍호차(戶車) | |
KR20120092666A (ko) | 윈도우 또는 도어의 이동 가능한 윙을 위한 피팅 | |
CN201333518Y (zh) | 钢包滑动水口装置 | |
CN212958177U (zh) | 侧移门轨道机构 | |
KR200188830Y1 (ko) |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 |
KR200187436Y1 (ko) | 창문용 호차 | |
JP2007182675A (ja) | 吊戸のガイド | |
JP3538765B2 (ja) | 傾斜面設置用伸縮門扉 | |
CN218568378U (zh) | 一种便于安装led灯条的led灯箱 | |
JP3754677B2 (ja) | 吊り戸の取付け構造 | |
KR960001564B1 (ko) | 호차 | |
KR19980067727A (ko) | 호 차(戶車) | |
KR200490456Y1 (ko) | 연동 도어용 피봇 모듈 | |
CN116988703B (zh) | 一种趟门用异向联动吊轮 | |
CN218234786U (zh) | 一种可调缓冲器挡件 | |
JP3654111B2 (ja) | 引戸装置 | |
JP3612281B2 (ja) | 伸縮門扉 | |
CN207363504U (zh) | 一种平移窗滑动结构 | |
CN220504839U (zh) | 三联移动机构及三联移动门 | |
CN201810082U (zh) | 一种防坠平开窗用滑撑铰链及其专用滑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