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838U -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07838U KR980007838U KR2019960019885U KR19960019885U KR980007838U KR 980007838 U KR980007838 U KR 980007838U KR 2019960019885 U KR2019960019885 U KR 2019960019885U KR 19960019885 U KR19960019885 U KR 19960019885U KR 980007838 U KR980007838 U KR 98000783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skid plate
- bent
- coupling hole
- sid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37 Duralum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부의 하체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키트 플레이트(Skid Plate)에 관한 것으로, 종래 자동차의 스키트 플레이트는 엔진부의 하체를 보호하는 면적이 엔진부의 선단부 만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선단 부와 후단 부로 이루어진 스키트 플레이트는 그 형상이 단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강도가 미약하였으며, 스키트 플레이트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가 주행중 엔진부의 하체에 공기의 호흡을 차단하여 장거리 주행시 엔진오일이 과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스키드 플레이트의 몸체(10)가 이단절곡되어 상단면(14)과 하단 면(12)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면(12)은 개구부(18)가 형성된 절곡단부(16)와 양측으로 수평결합홀(20)이 형성되고, 상단면(14)에는 수직결합홀(20)과 측단부(24)의 양측에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일번 크로스멤버(32)와 로어암(34)에 상단면(14)의 수직결합홀 (22)과 결합부(26)가 보울트와 "U"자형 보울트로 결합이 되어 몸체(10)가 엔진부의 하체에 부착되어 짐으로, 비포장도로 주행시 엔진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절곡단부(16)의 개구부(18)와 하단 면(12)의 다수의 관통홀(28)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입할 수 있어 엔진부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엔진부의 하체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Skid Plate)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비포장도로와 같은 험로 주행시 돌출된 노면으로 인해 엔진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엔진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드 플레이트는 언더 가드 또는 언더 프로텍터라고도 지칭되고 있는 것으로 험한 길을 주행하는 엔진 하부를 노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이나 듀랄루민 재질로 제작되어 지고, 특히 차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가볍고 강한 카본 파이버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시도면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스키드 플레이트(2)는 외형상 선단부(3)가 굴곡진 현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3)의 양측에 한 쌍의 선단구멍(5)이 형성되어 일번 크로스멤버(7)의 수직면에 보울트로 결합되고, 후단후(4) 양측에 한쌍의 후단구멍(6)이 형성되어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8)의 저면에 보울트 결합되는 것으로 차체(1)의 하부에 부착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키드 플레이트(2)는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외형상 굴곡진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3)는 후단부(4)로 부터 완만하게 절곡되어, 측면상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3)와 후단부(4)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선단구멍(5)과 후단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일번 크로스멤버(7)의 수직면과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8)의 저면에 선단구멍(5)과) 후단구멍(6)이 선??후단부(3),(4)에 형성된 스키드 플레이트(2)를 보울트로 견고하게 부착시킴으로서 엔진 하체의 선단 부는 상기 스키드 플레이트(2)의 굴곡진 선단 부(3)에 의해, 비포장도로(자갈길이나 산악길)를 주행할 때, 돌출된 노면에 미끄러지듯 부딪히면서 주행을 하게되어 부딪히는 충격이 엔진부의 하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엔진부가 보호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의 스키드 프레이트(2)는 엔진부의 하체를 보호하는 면적이 엔진부의 선단부 만을 보호 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선단부(3)와 후단부(4)로 이루어진 스키드 플레이트(2)는 그 형상이 단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강도가 미약하였으며, 스키드 플레이트(2)가 차체(1)에 설치된 상태가 주행중 엔진부의 하체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장거리 주행시 앤진오일이 과열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스키드 플레이트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비포장도로와 같은 험로 주행시 돌출된 노면으로 인해 엔진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엔진부의 하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확장된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키드 플레이트의 몸체(10)가 이단절곡되어 하단면(12)과 상단면(14)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면(12)은 그 단부가 호형의 절곡단부(16)를 이루며, 중앙에 개구부(18)와 양측으로 수평결합홀(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면(14)에는 하단면(12)측으로 한 쌍의 수직결합홀(22)이 형성되고 측단부(24)의 양측이 연장된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하단면은 절곡단부의 수평결합홀을 통해 일번 크로스멤버에 부착이 되고, 상단면은 수직결합홀과 결합부를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와 로어암에 각각 보울트와 "U"자형 보울트로 장착이 견고하게 됨으로서, 엔진부의 선단뿐만 아니라 엔진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며, 절곡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주행중 엔진부의 하체에 공기를 커버할 수 있어 엔진 오일의 과열을 방지하고, 또한 하단면에 다수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 하측의 공기는 순환이 되므로, 주행중 과열된 엔진부의 열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스키드 플레이트를 나타낸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 플레이트의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 플레이트 장착상태 예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하단면 14 : 상단면
16 : 절곡단부 18 : 개구부 20 : 수평결합홀,
22 : 수직결합홀 24 : 측단부 26 : 결합부,
28 : 관통홀 30 : 일번 크로스멤버
32 :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 34 : 로어암
36 : "U"자형의 보울트.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스키드 플레이트의 몸체(10)가 이단절곡되어 하단면(12)과 상단면(14)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면(12)은 그 단부가 호형의 절곡단부(16)를 이루며, 중앙에 개구부(18)와 양측으로 수평결합홀(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면(14)에는 하단면(12)측으로 한 쌍의 수직결합홀(20)이 형성되고 측단부(24)의 양측이 연장된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이다.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 플레이트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단면(14)과 하단면(12)으로 이루어진 몸체(10)는 이단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면(12)은 선단부가 호형의 절곡단부(16)를 이루며, 양측으로 수평결합홀(20)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면(14)에는 하단면(12)측으로 한 쌍의 수직결합홀 (22)이 형성되고 측단부(24)의 양측이 연장된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하단 면(12)에는 다수의 관통홀(28)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상, 하측의 공기가 자연 순환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제4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하단면(12)의 절곡단부(14)에 형성된 수평결합홀 (20)을 통해 일번 크로스멤버(30)의 외측 수직면에 견고하게 부착이 되고, 또한 상단면(14)의 수직결합홀(22)을 통해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32)에 보울트 결합이 되며, 상단면(14)의 측단부(24)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26)가 "U"자형의 보울트(36)를 이용하여 로어암과 결합이 된다.
상기와 같이, 상단면(14)과 하단면(12)으로 이루어진 몸체(10)가 엔진부의 선단부로 뿐만 아니라 엔진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일번 크로스멤버(30)로 부터 로어암(34)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비포장도로 주행시 돌출된 노면에 의한 충격이 엔진부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번 크로스멤버(30)의 외측 수직면에 부착되는 하단면 (12)의 절곡단부(16)에 형성된 개구부(18)를 통해 주행중 부딪히는 외부의 공기를 엔진부의 하체 측으로 유입할 수 있어 과열된 엔진오일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하단면(12)에 다수의 관통홀(28)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 하측의 공기가 자연순환이 되어 주행중 과열된 엔진부의 열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키트 플레이트의 몸체(10)가 이단절곡되어 상단면(14)과 하단면(12)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면(12)은 개구부(18)가 형성된 절곡단부(16)와 양측으로 수평결합홀(20)이 형성되고, 상단면(14)에는 수직결합홀과 측단부(24)의 양측에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일번 크로스멤버(30)에는 하단면(12)의 절곡단부(16)가 결합되고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32)와 로어암(34)에 상단면(14)의 수직결합홀(22)과 결합부(2)가 보울트와 " U"자형 보울트로 결합이 되어 몸체(10)가 엔진부의 하체에 부착되어 짐으로, 비포장도로 주행 엔진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절곡단부(16)의 개구부(18)와 하단면(12)의 다수의 관통홀(28)을 통해 외부의 공기을 효과적으로 유입할 수 있어 엔진부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본 고안은, 스키드 플레이트의 몸체(10)가 이단절곡되어 하단면(12)과 상단면(14)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면(12)은 그 단부가 호형의 절곡단부(16)를 이루며, 중앙에 개구부(18)와 양측으로 수평결합홀(22)이 형성되고 측단부(24)의 양측이 연장된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하단면(12)은 절곡단부(16)의 수평결합홀(20)을 통해 일번 크로스멤버(32)와 로어암에 각각 보울트와 "U"자형 보울트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단면(14)은 수직결합홀(22)과 결합부(26)를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멤버(32)와 로어암에 각각 보울트와 "U"자형 보울트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9885U KR980007838U (ko) | 1996-07-04 | 1996-07-04 |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9885U KR980007838U (ko) | 1996-07-04 | 1996-07-04 |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7838U true KR980007838U (ko) | 1998-04-30 |
Family
ID=5397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19885U Withdrawn KR980007838U (ko) | 1996-07-04 | 1996-07-04 |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8000783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712B1 (ko) * | 2012-04-10 | 2014-01-27 |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 차량용 스키드 플레이트 |
-
1996
- 1996-07-04 KR KR2019960019885U patent/KR980007838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712B1 (ko) * | 2012-04-10 | 2014-01-27 |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 차량용 스키드 플레이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36677B2 (en) | Inside fender skirts for trailers | |
US20040130168A1 (en) | Front grille guard for vehicle | |
KR980007838U (ko) | 자동차의 스키드 플레이트 | |
CN214985215U (zh) | 一种车辆前保险杠和具有其的车辆 | |
SE501861C2 (sv) | Arrangemang för att dämpa ljudöverföring genom ett utrymme eller spalt mellan ett fordonschassi och en på chassit fjädrat upphängd hytt | |
KR200281832Y1 (ko) |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빔 | |
JPH08164755A (ja) | 自動車の外気導入装置 | |
JP2007008389A (ja) |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 |
KR100353691B1 (ko) | 자동차의 보행자 보호를 위한 크로즈 박스형 카울 패널구조 | |
JP2535675Y2 (ja) | 車輌用冷却水パイプの配設構造 | |
KR19980015132U (ko) | 차량용 노즈 스포일러 | |
SU1759711A1 (ru) | Усилительный защитный поддон кузова легкового переднеприводного автомобил с поперечно расположенным силовым агрегатом | |
KR19980036679U (ko) | 에어 댐의 취부구조 | |
KR100472139B1 (ko) | 차량 번호판 | |
KR200156279Y1 (ko) | 충격 흡수용 견인장치 | |
JPH06255555A (ja) | 自動二輪車のラジエター装置 | |
KR0119865Y1 (ko) | 차량용 배기파이프의 취부구조 | |
KR19980022155U (ko) |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프로텍터 | |
KR200245127Y1 (ko) | 도로 교차로 충돌방지용 경계석구조 | |
KR19980026784U (ko) | 차량의 프론트 에어 댐 장착구조 | |
KR200147950Y1 (ko) | 자동차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 |
JPH061908Y2 (ja) | 自動車のフロア下配管保護構造 | |
JPH11157403A (ja) | 自動車用バンパー | |
JP2582199B2 (ja) | フィラチューブの配設構造 | |
IT202100002006A1 (it) | Motociclo con carenatura con apertura frontale per l'ingresso di ari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704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