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798U - 공기 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798U
KR980006798U KR2019960022621U KR19960022621U KR980006798U KR 980006798 U KR980006798 U KR 980006798U KR 2019960022621 U KR2019960022621 U KR 2019960022621U KR 19960022621 U KR19960022621 U KR 19960022621U KR 980006798 U KR980006798 U KR 9800067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heater
purified water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8317Y1 (ko
Inventor
전영모
Original Assignee
전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모 filed Critical 전영모
Priority to KR2019960022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17Y1/ko
Publication of KR980006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5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related to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간단한 구조를 갖추고, 소형이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공기배출이 이루어지고, 배출공기의 습도조절과 살균기능을 갖는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크기의 몸체내부에 정화수조와 펌프 및, 공기를 유도배출시키는 팬 등을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조의 상부에는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연이어서 흡입공기를 살균가온시키는 히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필터부재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시키면서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화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노즐분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히터부에는 흡입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나선형의 유로와 전기저항식 코일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필터부 와 히터부의 하부측에는 정화수조로 복귀되는 정화수로 부터 불순물을 제거시키기 위한 정화판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간단한 구조를 갖추고, 소형이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공기배출이 이루어지고, 배출공기의 습도조절과 살균기능을 갖는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100)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본출원인이 출원하여 출원공고된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91-476호( 국내실용신안공보 제 1361호 참조 )에 기재된 것으로서, 이는 정화수조(11)와 모터(112) 및 팬(114)을 갖추고, 상기 모터(112)의 축(112a)이 정화조(116)내면의 정화실(120)에 관통연결되며, 상기 모터축(112a)에 일체로 장착된 펌프(122)와, 복수개의 환형 비산판(124)을 갖추고, 상기 각각의 환형 비산판(124)의 사이에 제1및, 제2환형 경사판(128a)(128b)이 각각 장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100)는 정화조(116)의 내면에 각각 펌프와 복수개의 환형 회전비산판(124) 및, 복수개의 제 1 및 제 2환형 경사판(128a)(128b)을 구비하고 정화수를 이용하여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제거함으로서 상기 정화조(116)내에 흡입된 공기의 청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데에는 매우 효과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100)는 그 구조가 크고 복잡하여 제작상 곤란한 점이 발생하였고, 특히 배출공기중에 습도가 매우 높은 것이었으며, 정화수내에서 번식한 세균등이 배출공기를 통하여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소형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배출공기의 습도조절과 살균기능을 갖춤으로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킬수 있는 청소기겸용 공기정화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외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평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방향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정화기에서 필터부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정화기에서 히터부의 내부공기흐름을 도시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제7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청소기겸용 공기 정화기의 단면을 도시한 구성도.
* 도면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 : 몸체 10 : 정화수조 12 : 펌프
20 : 필터부 22 : 필터 부재 24 : 분사 노즐부
25 : 지지대 40 : 히터부 42 : 나선형 유로
45 : 전기저항식 코일 60 : 배출덕트 65 : 정화판
90 : 조작 판넬 92 : 보조 흡입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크기의 몸체내부에 정화수조와 펌프 및, 공기를 유도배출시키는 팬 등을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조의 상부에는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연이어서 흡입공기를 살균가온시키는 히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필터부재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시키면서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화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노즐분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히터부에는 흡입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나선형의 유로와 전기저항식 코일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필터부와 히터부의 하부측에는 정화수조로 복귀되는 정화수로 부터 불순물을 제거시키기 위한 정화판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1)는 제1도내지 제3도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몸체(5)내부에 정화수조(10)와 펌프(12) 및, 공기를 유도배출시키는 복수개의 팬(14)(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조(10)의 상부에는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에 연이어서 흡입공기를 살균가온시키는 히터부(40)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20)와 정화수조(10)의 전방측으로는 몸체(5)의 전방측에 마련된 공기흡입구(5a)로 부터 몸체(5)의 내부로 공기를 흡인하는 송풍팬(14)과 흡입덕트(14a)가 갖춰지고, 상기 정화수조(10)에서 필터부(20)로 정화수를 공급하는 펌프(12)와 정화수 공급관(12a)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20)에는 필터부재(2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시키면서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화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노즐분사부(24)가 장착되는 바, 상기 노즐분사부(24)는 고압펌프(12)에서 연장되는 정화수 공급관(12a)에 연결되어 필터부(20)의 상부측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하부측의 필터부재(22)를 향하여 안개상의 정화수를 분무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24a)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20)의 필터부재(22)는 중공형의 지지대(25)가 필터부(20)의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후방벽(26)의 배출구(26a)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25)의 선단부는 원추형의 머리부(25a)를 형성하여 필터부(20)의 전방벽(28)에 마련된 유입구(28a)에 근접 배치된다. 또한, 상기 중공형의 지지대(25)에는 다수개의 구멍(25a)이 형성되고, 지지대(25)의 원주를 감싸도록 다수겹의 천(Cloth)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재(22)가 감기어서 공기중의 이물질을 분리제거시킨다. 이러한 필터부(20)에서는 전방벽(28)의 유입구(28a)를 통해서 흡입덕트(14a)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면, 이는 원추형 머리부(25a)로 인해서 내부공간의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되며, 필터부재(22)와 중공형의 지지대(25)를 통하여 배출구(26a)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필터부재(22)에 의하여 이물질이 분리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안개상으로 분무되는 상기 정화수에 의해서 공기중의 이물질은 입자가 비대화되고, 이는 중력에 의해서 정화수에 포집되어 공기와 함께 배출되지 못하고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20)에 연이어서 배치되는 히터부(40)는 흡입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나선형의 유로(42)와 전기저항식 코일(45)을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히터부(40)는 복수개의 단열재(47a)(47b)(47c)(47d)로 중첩된 구조를 이루고, 전방측의 단열재(47a)에는 중앙부에 유입구멍(49)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단열재(47b)에는 나선형의 유로(42)와 전기저항식 코일(4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나선형의 유로(42)와 전기저항식 코일(4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유로(42)의 일측벽을 따라서 전기저항식 코일(45)이 배치되며, 이는 나선형 유로(42)의 나머지 공간부분을 통하여 흐르는 공기와 장시간에 걸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형 유로(42)의 입구부분(42a)은 상기 단열재(47a)의 유입구멍(49)에 일치하고, 출구부분(42b)은 후방측 단열재(47c)(47d)에 마련된 구멍(52)에 일치되며, 상기 후방측 단열재(47c)(47d)의 구멍(51)은 환풍팬(16)이 장착된 배출덕트(60)에 연통하고, 상기 배출덕트(60)는 몸체(5)의 전면상부측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b)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20) 와 히터부(40)의 하부측에는 정화수조(10)로 복귀되는 정화수로 부터 불순물을 제거시키기 위한 정화관(65)이 상기 몸체(5)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 상기 정화관(65)은 정화수조(10)의 직상부에 배치되고, 몸체(5)에 대하여 서랍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정화판(65)이 위치되는 공간으로는 상기 필터부(20)와 히터부(4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67)가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20)와 히터부(40)의 바닥면에 수집된 정화수가 상기 배수구(67)를 통하여 정화판(65)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판(65)에는 필터부(20)와 히터부(40)로부터 불순물을 걸러주기 위한 판재형의 필터(69)가 장착되고, 상기 판재형 필터(69)의 하부측에는 정화수조(10)에 연통되는 배수구(67a)가 형성됨으로서 필터(69)에 의해서 불순물이 제거된 정화수가 회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5)의 전방측에는 사용자가 본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판넬(90)이 갖춰지고, 상기 조작판넬(90)은 송풍팬(14)과, 펌프(12) 및, 히터부(40)의 전기저항식 코일(45)과, 환풍팬(16)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사용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80a)(80b)는 히터부의 전,후에 마련된 필터들이고, (12b)는 정화수조에서 고압펌프로 정화수를 공급하는 도관이며, (11)는 정화수조의 배출배수관이고, (92)는 공기흡입구에 장착가능한 보조 흡입구이고, (95)는 바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공기정화기(1)는 작업자가 이를 동작시켜서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정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조작판넬(90)을 이용하여 송풍팬(14)과 펌프(12) 및 히터부(40)와 환풍팬(16)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는 흡입덕트(14a)와 송풍기(14)를 통하여 필터부(40)의 내부로 실내공기가 유입되고, 정화수조(10)에 담겨진 정화수는 고압펌프(12)와 정화수 공급관(12a)을 통하여 노즐 분사부(24)로 제공되어 필터부(20)의 내부공간으로 안개상으로 분부된다, 따라서 필터부(20)에서는 내부공간의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안개상의 정화수가 포집하여 이를 공기로부터 분리시킴과 아울러, 필터부재(22)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도 하부로 씻어 내린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필터부(20)내의 공기는 배출덕트(60)측의 환풍팬(16)이 동작함에 따라서 필터부재(22)와 중공형의 지지대(25)의 구멍(25a)을 통하여 깨끗한 공기가 필터부(20)을 빠져나가게 되고,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20)에 의해서 걸러져서 정화수에 의하여 하부로 씻겨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20)의 노즐분사부(24)는 상부측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필터부(20)의 전체영역에 걸쳐서 고른 정화수의 분무를 이룰수가 있으며, 필터부(20)를 빠져 나간 개끗한 공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후방측의 필터(80a)를 통과하여 히터부(40)로 유입된다.
상기 히터부(40)에서는 전방 단열재(47a)의 유입구멍(49)으로 필터부(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고, 이러한 습한 공기는 나선형의 유로(42)을 통과하여 흐르는 동안 전기저항식 코일(45)에 접하면서 통과하게 되어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등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40)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덕트(60)의 환풍팬(16)에 의해서 공기배출구(5b)측으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20)와 히터부(40)에서 하부측으로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정화수는 배수구(67)를 통하여 정화판(65)으로 수집되고, 상기 정화판(65)의 필터부재(69)를 통하여 불순물이 제거되며, 정화판(65)과 정화수조(10)를 이어주는 배수구(67a)를 통하여 정화수조(10)로 회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화판(65)의 필터부재(69)는 몸체(5)에 대하여 서랍식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필터부재(69)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은 정화판(65)을 몸체(5)로 부터 분리하여 필터부재(69)를 세척함으로서 항상 청결한 상태로 정화수를 걸러줄수 있으며, 장시간의 사용으로 오염된 정화수는 몸체(5)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관(11)을 개방시켜서 오염된 정화수를 제거하고, 새로운 정화수를 정화관(65)을 제거한 상태에서 정화판(65)과 정화수조(10)를 연결시키는 배수구(67a)를 통하여 호스(미도시)등으로 재공급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필터부(20)에 하나의 지지대(25)와 이에 장착되는 하나의 필터부재(22)를 갖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대용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내에 다수개의 지지대(25′)와 필터부재(22′)를 갖추고 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몸체(5)의 전면측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구(5a)를 원형구조로 형성하고, 이러한 원형구조의 흡입구(5a)에는 플렉시블 호스(93a)와 어댑터(93b) 및 흡기구(93c)를 갖는 보조흡입구(92)를 장착하여 구석진곳이나 사용자가 쉽게 청소하지 못하는 후미진곳을 용이하게 소제할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히터부(40)의 전기저항식 코일(45)에 가해지는 전류량을 가변시켜서 전기저항식 코일(45)의 온도를 사용자가 조작판넬(90)상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수도 있으며, 이는 특히 동절기 등에 실내의 온도를 적절하게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연관된 기술적인 구조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측에 필터부(20)와 히터부(40)가 배치되고, 그 하부측에 정화판(65)과 정화수조(10)가 배치되는 간단한 구조와 소형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필터부(20)에서 정화수를 안개상으로 분무시킴으로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히터부(40)에서 정화된 배출공기의 습도조절과 살균기능을 갖춤으로서 항상 깨끗한 실내공기를 유지시키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킬수 있는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일정크기의 몸체(5)내부에 정화수조(10)와 펌프(12) 및, 공기를 유도배출시키는 팬 (14)(16)등을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조(10)의 상부에는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에 연이어서 흡입공기를 살균가온시키는 히터부(40)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20)에는 필터부재(22)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시키면서 흡입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화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나선형의 노즐분사부(24)가 마련되고, 상기 히터부(40)에는 흡입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나선형의 유로(42)와 전기저항식 코일(45)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필터부(20)와 히터부(40)의 하부측에는 정화수조(10)로 복귀되는 정화수로 부터 불순물을 제거시키기 위한 정화판(65)이 상기 몸체(5)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의 필터부재(22)는 중공형의 지지대(25)가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후방벽(26)의 배출구(26a)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25)의 선단부는 원추형의 머리부(25a)를 형성하여 필터부(20)의 전방벽(28)에 마련된 유입구(28a)에 근접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의 지지대(25)에는 다수개의 구멍(25a)이 형성되고, 지지대(25)의 원주를 감싸도록 다수겹의 천(Cloth)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재(22)가 감기어서 공기중의 이물질을 분리제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40)는 복수개의 단열재(47a)(47b)(47c)(47d)로 중첩된 구조를 이루고, 전방측의 단열재(47a)에는 중앙부에 유입구멍(49)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의 단열재(47b)에는 나선형의 유로(42)와 전기저항식 코일(45)을 형성하고, 상기 전기저항식 코일(45)은 나선형 유로(42)의 일측벽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후방측 단열재(47c)(47d)에는 구멍(5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나선형 유로(42)의 입구부분(42a)은 상기 단열재(47a)의 유입구멍(49)에 일치하고, 출구부분(42b)은 후방측 단열재(47c)(47d)에 마련된 구멍(52)에 일치되며, 상기 후방측 단열재(47c)(47d)의 구멍(51)은 환풍팬(16)이 장착된 배출덕트(60)에 연통하고, 상기 배출덕트(60)는 몸체(5)의 전면상부측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b)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판(65)은 정화수조(10)의 직상부에서 몸체(5)에 대하여 서랍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정화판(65)이 위치되는 공간으로는 상기 필터부(20)와 히터부(4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67)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20)와 히터부(40)의 바닥면에 수집된 정화수가 상기 배수구(67)를 통하여 정화판(65)으로 낙하되며, 상기 정화판(65)에는 불순물을 걸러주기 위한 판내형의 필터(69)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판재형 필터(69)의 하부측에는 정화수조(10)에 연통되는 배수구(67a)가 형성됨으로서 필터(69)에 의해서 불순무링 제거된 정화수가 정화수조(10)로 회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의 전방측에는 조작판넬(90)이 갖춰지고, 상기 조작판넬(90)은 송풍팬(14)과, 펌프(12) 및, 히터부(40)의 전기저항식 코일(45)과, 환풍팬(16)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사용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621U 1996-07-29 1996-07-29 공기정화기 KR0138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621U KR0138317Y1 (ko) 1996-07-29 1996-07-29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621U KR0138317Y1 (ko) 1996-07-29 1996-07-29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98U true KR980006798U (ko) 1998-04-30
KR0138317Y1 KR0138317Y1 (ko) 1999-04-15

Family

ID=1946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621U KR0138317Y1 (ko) 1996-07-29 1996-07-29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54B1 (ko) * 2001-05-17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입공기 중 금속성분이 포함된 먼지 수집장치
KR100445329B1 (ko) * 2001-06-19 2004-08-21 박수태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KR100457770B1 (ko) * 2001-04-30 2004-11-20 황규천 공기 정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922B1 (ko) * 2022-02-07 2022-09-19 (주)세라컴 활성탄허니컴필터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70B1 (ko) * 2001-04-30 2004-11-20 황규천 공기 정화기
KR100398154B1 (ko) * 2001-05-17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입공기 중 금속성분이 포함된 먼지 수집장치
KR100445329B1 (ko) * 2001-06-19 2004-08-21 박수태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8317Y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WO2016197402A1 (zh) 多功能蒸汽熨斗
KR20160024507A (ko) 공기청정시스템
KR20050032673A (ko)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KR0138317Y1 (ko) 공기정화기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20190122357A (ko) 가습기
CN210267414U (zh) 一种有组织油烟净化系统
KR101247267B1 (ko) 기능성 헤어드라이어
KR20190128285A (ko) 공기청정기
KR20140073328A (ko) 건조 덕트부와 탈취부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CN113137667A (zh) 一种家用空气调节器
CN110812514A (zh) 一种球类体育器材高效消毒设备
KR20090071693A (ko)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CN208878192U (zh) 一种高效除尘的喷淋塔
KR20200086164A (ko) 가습청정기
JPH09220429A (ja) 空気清浄装置
KR102501693B1 (ko) 에어워셔
CN214051011U (zh) 一种稳定型强的废气处理装置
KR20060008174A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20190036043A (ko) 분사형 습식노즐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242149B1 (ko) 실내공기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