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329B1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5329B1 KR100445329B1 KR10-2001-0034533A KR20010034533A KR100445329B1 KR 100445329 B1 KR100445329 B1 KR 100445329B1 KR 20010034533 A KR20010034533 A KR 20010034533A KR 100445329 B1 KR100445329 B1 KR 1004453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ozone
- water tank
- water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3—O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물탱크 내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는, 물탱크의 공기 유입부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수단과; 공기 인입 수단과; 공기 인입 수단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고, 밀봉된 물탱크 안으로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되 인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정화 유닛과; 공기 정화 유닛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고, 공기 정화 유닛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하고 살균된 공기 중의 과잉 오존을 순화시켜 그 공기를 물탱크 안으로 배출시키는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과; 상기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 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와; 물탱크 내의 공기는 배출시키되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물탱크의 맨홀 뚜껑을 통하여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 물질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유입되는 공기가 살균되므로, 물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며 수질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일반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공간에 설치되는 상수도용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을 통해 빗물이나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곤충 또는 쥐 등이 물탱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맨홀을 통해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며, 부가적으로 물탱크의 인입수 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인입수 내의 이물질도 제거함으로써 물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물탱크 내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시스템 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아파트, 또는 일반 건물에서는 직수 수돗물을 사용하기보다는 물의 예비 저장 목적과 동시에 물 사용량을 충족시킬 목적으로 옥상이나 지하 공간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다세대 주택에서는 일반적으로 FRP로 제조되어 상부에 맨홀 뚜껑을 갖춘 물탱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파트나 일반 건물에서는 옥상이나 혹은 지하 공간에 콘크리트로 물탱크를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탱크에는 일반적으로 그 사용 형태에 상관없이 물탱크의 보수/유지를 위한 맨홀 부분과 맨홀 뚜껑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물을 쓰기 위해 수도꼭지를 틀게 되면 물탱크 내의 물은 중력의 작용(옥상에 설치된 경우)이나 펌프에 의한 펌핑 작용(지하에 설치된 경우)에 의해 물탱크의 배출 도관을 통해 빠져나간다. 배출 도관을 통해 물이 빠져나감에 따라 물탱크 내의 수위는 낮아지고, 그와 동시에 낮아지는 수위에 상당하는 부피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물의 배출에 따라 동시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는 물탱크 안으로의 공기의 유입은 물탱크의 맨홀과 맨홀 뚜껑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 물질과 같은 이물질도 공기와 함께 물탱크 안으로 빨려들어 간다. 이렇게 흡입된 먼지나 오염 물질은 물 속에 부유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이물질들은 서로 응집되어 물탱크 바닥에 침전되거나 물탱크 벽에 물때를 형성하는데, 이로 인해 수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악화된다. 결국에는, 일정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탱크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한다.
한편, 맨홀 뚜껑의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맨홀 뚜껑과 맨홀 사이에 어느 정도의 틈새가 벌어지면, 곤충이나 심지어는 쥐 등이 그 틈새를 통해 물탱크 안으로 침입하여 물탱크 안에서 사체로 변하거나 그 안에 서식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맨홀 뚜껑의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면 이와 같은 상황은 피할 수 있으나, 여전히 물의 배출에 따라 맨홀 사이의 작은 틈새를 통해 동시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입은 막을 수 없고, 그에 따라 공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이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막을 방법이 없다.
먼지나 오염 물질 등이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맨홀 뚜껑을 완전히 밀봉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는 있으나, 이렇게 되면 물탱크 내의 물의 배출 시에 그에 상응하는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물탱크의 오염은 주로 물탱크 안으로 공급되는 인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맨홀 뚜껑의 틈새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물탱크의 오염 방지책으로 인입수의 여과 또는 물탱크 내에서의 수질 정화에만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1999-0010685호는 물탱크의 인입구에서 물을 살균 및 필터링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실용신안등록 출원제20-1999-0019624호는 물탱크 내부에 여과조를 설치하여 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0020494호는 물탱크 내의 물에 오존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물을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물을 살균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1999-0010373호는 물탱크의 입수관 측에 여과 장치를 연결하여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 속의 불순물을 여과 또는 침전시켜 물을 정화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1998-0016175호는 오존 발생기 등을 포함하는 오존 살균수 제조 장치를 물탱크 내에 설치하여 오존 가스와 물을 완벽하게 혼합한 살균 용수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발명들과 예시로 들지 않은 다수의 물탱크 관련 특허 또는 발명들은 인입수 또는 물탱크 내의 물의 여과 또는 살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결국, 최근까지는, 물탱크의 오염의 주요 원인이 물탱크의 맨홀 부분을 통한 먼지 및 오염 물질 등의 유입에 의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 물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물탱크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막으려는 시도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탱크 오염의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는 물탱크의 맨홀 뚜껑을 통하여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 물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함으로써, 물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수질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입 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인입수 내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재차 살균함으로써 물탱크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질을 원천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물탱크를 일부 단면도로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는 물탱크의 맨홀 뚜껑과 맨홀 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물탱크의 맨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생략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2의 선 III-III을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물탱크의 맨홀 뚜껑에 장착된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의 뚜껑 부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a는 공기 정화 유닛의 필터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6b는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의 필터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물탱크 11: 맨홀
12: 맨홀 뚜껑 11', 12': 패킹
13: 저장수 배출 도관 14: 인입수 인입 도관
20: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
21: 하우징 22: 상부 밀폐 뚜껑
23: 공기 인입 도관 24: 격판
25: 공기 정화 유닛 26: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
25a, 26a: 필터 부재 30: 오존 발생기
40: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 41: 상부 공간
42: 필터 카트리지 43: 오존 센서
44: 장착 하우징 45: 돌출부
46: 뚜껑 47: 하부 공간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르면, 물탱크의 공기 유입부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수단과; 공기 인입 수단과; 공기 인입 수단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고, 밀봉된 물탱크 안으로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되 인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정화 유닛과; 공기 정화 유닛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고, 공기 정화 유닛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하고 살균된 공기 중의 과잉 오존을 감소 또는 순화시켜(softening) 그 공기를 물탱크 안으로 배출시키는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과; 상기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 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와; 물탱크 내에 물이 채워질 때의 채워지는 물에 상당하는 공기는 배출시키되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시스템 또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 내로 유입되는 빗물과, 물탱크 내의 물의 배출에 따라 동시 발생적으로 물탱크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공기 중의 먼지 또는 오염 물질과, 물탱크 안으로 침입하는 곤충 등이 물탱크의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빗물, 공기 중의 먼지 또는 오염 물질 등이 물탱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물탱크의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 또는 밀봉시킨다. 일례로, 맨홀을 구비하는 형태의 물탱크에 있어서는 물탱크의 맨홀과 맨홀 뚜껑을 임의의 밀봉 수단을 가지고 완전히 밀봉시킨다.
이 경우, 물탱크를 완전히 밀봉시키기만 하면 물탱크로부터의 물의 배출 또는 물탱크 안으로의 인입수의 인입에 따른 물탱크 내의 공간의 체적 변화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인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물탱크로부터의 물의 배출 또는 물탱크 안으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어야 하는 공기는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공기 정화 유닛과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을 거쳐 유입되게 하면서 그를 통해 정화 및 살균되게 하고 또한 물탱크로부터 배출되어야 하는 공기는 체크 밸브를 거쳐 유출되게 함으로써, 물탱크 내부를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공기의 유입과 공기의 유출은 물탱크 내부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감소 및 증가에 따라 자연 발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다. 한편, 체크 밸브는 물탱크 안으로 인입수가 유입될 때에 물탱크 안의 공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체적이 감소됨에 따라 빠져나가야 할 공기가 물탱크 밖으로 배출되게는 하지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체크 밸브를 통해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한다.
물탱크 안으로 인입되는 공기는 1차적으로 공기 정화 유닛에서 정화되는데, 공기 정화 유닛은, 외부 공기 인입 수단과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며 공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종이 필터나 혹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부재와, 정화된 공기가 유동하는 정화 공기 유동 공간과,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 공기 배출 수단으로 구성된다. 공기 정화 유닛을 거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된 공기는 다시 상기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 안으로 유입되고, 그 안에서 공기는 오존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오존에 노출되고, 이로써 오존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곰팡이나 세균 등이 살균된다.
그런데,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섞이는 오존의 양의 많아지면 그 공기 중의 오존이 물탱크 안에 저장된 물에 녹아 들어가게 되고, 그에 따라 물에 녹아 들어가는 오존의 양은 여과되어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존의 양에 비례하게 된다. 물 속에 녹아 들어가는 오존의 양이 많아지면, 한편으로는 그 오존에 의해 물이 추가로 살균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생기기는 하지만, 그 양이 너무 많으면 물에서 비릿한 냄새가 나게 되어 음용수로서 사용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만 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오존이 과다하게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오존으로 살균된 공기가 "오존 순화" 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공기 중의 오존의 양을 낮춘다.
"오존 순화"의 개념은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1년 4월 27일자로 출원한 발명의 명칭이 "탈취기"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1-0012216호에 개시하고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참고로 포함한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출원의 오존 순화 필터에 있어서, "오존을 순화(softening)"시키는 기구(mechanism)는 오존이 촉매층에 흡착되어 산소로 전화(O3→O2+ O)되는 것이라고 개시하고 있다. "오존 순화"라 함은 오존의 상기와 같은 산소로의 전화로 인해 오존의 양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오존 순화 기구에 있어서 촉매층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카본 분말 이외에 철, 니켈, 알루미늄 등의 임의의 산화성 물질을 분말 형태로 첨가하면, 오존은 카본 분말뿐만 아니라 산화성 물질의 분말에도 흡착되므로, 오존의 순화(오존의 산소로의 전화)가 더 확실하게 이루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게 되었으며, 또한 일례로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으로 다공성 성형체를 형성하여 그 표면에 산화성 물질을 피복시켜서 오존이 그 다공성 성형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면 오존의 순화(오존의 양의 감소)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는 점도 밝혀내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오존을 순화시키는 촉매층을 카본 분말과 임의의 산화성 물질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한 것이나 상기 산화성 물질을 표면에 피복시킨 다공성 성형체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공기 인입 도관의 적절한 위치에 공기 유량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에서 감지되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오존 발생기의 오존 발생 작동을 제어시키는 제어기가 추가로 설치된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인입수 도관의 일정 위치에서 도관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인입수 인입측에는 오존 발생기가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인입수 배출측에는 오존 센서가 연결되어 있고, 인입수 인입측과 배출측 사이에는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층과 부직포와 이에 침투시킨 카본 분말 및 산화 물질 분말로 형성된 오존 순화 필터와 이 아래에 배치되어 오존 순화 필터를 거쳐 나온 물을 다시 여과하기 위한 부직포 필터층을 구비하는 필터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오존 센서는 이 센서에서 감지되는 오존량에 따라 오존 발생기의 오존 발생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의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이 추가로 설치된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을 참고하면, 도1에는 FRP로 제조된 물탱크를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거기에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1에서, 물탱크(10)에는 맨홀 부분(11)과, 맨홀 뚜껑(12)과, 저장수 배출 도관(13)과, 인입수 인입 도관(14)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부분(11)의 외주면과 맨홀 뚜껑(12)의 내주면 각각에는 일례로 고무제 패킹(11', 12')과 같은 밀봉 수단이 부착되고, 이 패킹(11', 12')을 개재하여 맨홀 부분(11)에 맨홀 뚜껑(12)을 닫아서 누르게 되면 물탱크는 완전히 밀봉 유지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다. 여기서, 맨홀 부분과(11) 맨홀 뚜껑(12)의 밀봉은 임의의 다른 밀봉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는 상기 고무제 패킹(11', 12')과 같은 밀봉 수단과; 일례로 맨홀 뚜껑(12) 바로 위에볼트 및 너트와 같은 적절한 체결구에 의해 설치되는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와;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 내에 장착되거나 일례로 튜브를 통해 연결된 오존 발생기(30)와; 물탱크 내에 물이 채워질 때의 채워지는 물에 상당하는 공기가 밖으로는 배출되게 하지만 외부로부터는 공기가 흡입되지는 않게 하는 체크 밸브(60)를 포함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가 물탱크의 맨홀 뚜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2의 선 III-III을 따라서 단면도로 도시한 도3과 분해 사시도인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의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는 기본적으로는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공기 정화 유닛(25)과,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하고 살균된 공기 중의 오존을 순화시키는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26)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한 것이다.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는,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 방향에서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된 턱(21a),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1b), 및 턱(21a) 아래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튜브 연결용 관통공(21c)을 구비하는 하우징(21)과; 원주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최외주부(22a)와 상부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공기 유입구(22b)가 마련되고 하우징(2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밀폐 뚜껑(22)과; 상부 밀폐 뚜껑(22)의 공기 유입구(22b)에 패킹(23a)을 개재시켜 내주면에 나사 형성된 체결구(23b)에 의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례로 역 J자형의 공기 인입 도관(23)과; 하우징(21)의 턱(21a) 위에 장착되어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며, 반경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소정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24b)을 구비하는 격판(24)과; 하우징(21)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접하며 상부 밀폐 뚜껑(22)이 하우징(21)에 체결되었을 때의 상부 밀폐 뚜껑(22)의 하부면과 격판(24)의 상부면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부(22c)와; 격판(24)에 의해 분할된 하우징(21) 내의 상부 분할 공간에 장착되는 일례로 종이 또는 부직포로 구성된 필터 부재(25a)와; 상기 필터 부재(25a)의 외주부와 중공 원통부(22c)에 의해 구획된 정화 공기 유동 공간(25s)과; 격판(24)에 의해 분할된 하우징(21) 내의 하부 분할 공간에 장착되며 일례로 종이 필터와 오존 순화 필터로 구성된 필터 부재(26a)와; 상기 필터 부재(26a)의 외주부와 하우징(21)의 내벽에 의해 구획된 공기 유동 공간(26s)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역 J자형의 공기 인입 도관(23)과 같은 외부 공기 인입 수단과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는 상기 공기 유입구(22b)와, 필터 부재(25a)와, 상기 필터 부재(25a)의 외주부와 중공 원통부(22c)에 의해 구획된 정화 공기 유동 공간(25s)과, 정화 공기 배출 수단으로서의 상기 격판(24)에 형성된 관통공(24b)은 공기 정화 유닛(25)을 구성한다.
또한, 정화 공기 유입 수단으로서의 상기 격판(24)에 형성된 관통공(24b)과, 종이 필터와 오존 순화 필터로 구성된 필터 부재(26a)와, 상기 필터 부재(26a)의외주부와 하우징(21)의 내벽에 의해 구획된 공기 유동 공간(26s)과, 공기를 물탱크 안으로 배출하는 수단으로서의 하우징(21)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1a)는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26)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정화 유닛(25)과 공기 살균 및 오존 순화 유닛(26)이 단일의 하우징(21) 내에 격판(24)에 의해 분할되어 조립된 조립체(어셈블리) 형태로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태양에 따라서 일례로 상기 2개의 유닛을 바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별도로 형성하여 각각 분리시킬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조립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두 유닛은 파이프나 튜브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밀폐 뚜껑(22)의 최외주부(22a)의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하우징(21)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상부 밀폐 뚜껑(22)을 하우징(21)에 체결시키는 구조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최외주부(22a) 내면의 일정 개소에 반경 방향 내향으로 돌출된 걸림 턱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상단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향의 걸림 턱과 최외주부(22a)의 걸림 턱을 수용하는 걸림 홈을 형성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체결되게 하는 체결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부 밀폐 뚜껑(22)의 최외주부(22a)와 중공 원통부(22c) 사이의 간극에는 일례로 O링과 같은 패킹 부재(22d)가 장착되어 상부 밀폐 뚜껑(22)과 하우징(21)이 체결될 때에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반경 방향에서 중공 원통부(22c)보다 더 안쪽의 위치의 상부 밀폐 뚜껑(22)의 하부 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돌출된 원형의 턱(24e)이 형성되어 안에 장착되는 필터 부재(25a)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상부 밀폐 뚜껑(22)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밀폐 뚜껑(22)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밀폐 뚜껑(22)의 외주부에 적정 수의 착탈용 손잡이(22f)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중공 원통부(22c)는 상부 밀폐 뚜껑(22)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 뚜껑에 연결된 공기 인입 도관(23)의 형상을 역 J자형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에 의하면 빗물이 도관을 통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자중에 의해 가라앉으면서 도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공기 인입 도관(23)의 형상은 빗물이나 공기 중의 이물질이 자연적으로 도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어떤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공기 인입 도관(23)을 통해서 곤충이나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고형체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인입 도관(23)의 공기 흡입측 단부에 일례로 금속 망으로 이루어진 캡(23c)이 체결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3 및 도4 참조).
하우징(21)의 내면 중간 부분에 반경 방향 안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게 형성된 턱(21a)은 격판(24)이 O링과 같은 패킹(24a)을 개재하여 위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격판(24)의 상부면에는 상부 밀폐 뚜껑(22)의 턱(22e)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턱(24e)이 형성되어 안에 장착되는 필터 부재(25a)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유사하게, 격판(24)의 하부면에는필터 부재(26a)와 동심을 이루면서 필터 부재(26a)의 직경보다 약간 큰 원형의 턱(24f)이 형성되고, 이 턱(24f)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우징(21)의 바닥 부분에도 원형의 턱(21f)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21) 안에 장착되는 필터 부재(26a)가 반경 반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한편, 격판(24)의 최외주부와 턱(24e, 24f)의 외주부 사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 소정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24b)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24b)을 통해서 공기 정화 유닛(25)의 정화 공기 유동 공간(25s)으로부터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26)의 공기 유동 공간(26s)으로의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하우징(21) 내부의 바닥 중앙 부분에 공기가 관통하여 물탱크 안으로 들어 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 배출구(21b)의 외주면은 필터 부재(26a)의 내주부와 맞닿는 크기로 형성하여 필터 부재(26a)의 내주부가 공기 배출구(21a)의 외주면에 긴밀히 장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필터 부재(26a)를 거쳐서 나온 공기가 다시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21b)의 수직 방향 길이를 맨홀 뚜껑(12)의 두께 보다 길게 형성하고 그 하단 부분에는 나사를 형성시켜서 여기에 패킹을 개재하여 너트(27)를 체결시킴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기 배출구(21b)의 상단에 미세한 금속망 또는 부직포 혹은 이들이 조합된 여과 필터부가 마련된 착탈 가능한 캡을 체결시켜서 물탱크 안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다시 한번 더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공기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를 물탱크의 맨홀 뚜껑(12)에 장착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해 하우징(21)의 외주 바닥 부분에는 반경 방향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편(21e)이 형성된다. 맨홀 뚜껑(12)에 상기 체결편(21e)의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하면 이물질 공기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가 맨홀 뚜껑(12)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 때, 맨홀 뚜껑(12)의 상부면과 체결편(21e)의 하부면 사이와 그리고 볼트 머리와 맨홀 뚜껑(12)의 하부면 사이에 임의의 패킹을 개재시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볼트 체결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 공기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를 맨홀 뚜껑(12) 바로 위에 장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물탱크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 배관을 통하여 물탱크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6a 및 도6b를 참고하여 공기 정화 유닛(25)의 필터 부재(25a)와 공기 살균 및 오존 순화 유닛(26)의 필터 부재(26a)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 부재(25a)는 주름 형태로 성형한 부직포 또는 종이 필터(25a-1)와, 종이 필터(25a-1)의 중앙 공동부의 공간을 유지시키는 내부 금속 망(25a-2)과, 종이 필터(25a-1)의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외부 금속 망(25a-3)과, 내부 금속 망(25a-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내부 금속 망(25a-2)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원형의 돌출부(25a-4)가 중앙에 형성된 하부 고정판(25a-5)과, 하부 고정판(25a-5)에 대향된 위치에 장착되며 중앙에 내부 금속 망(25a-2)의 내경에 대응하는 구멍(25a-6)이 천공되어 있는 상부 고정판(25a-7)으로 이루어진다.
필터 부재(26a)는 부직포를 중공 원통형으로 감거나 혹은 일체로 성형하여 여기에 카본 분말과 철, 니켈, 알루미늄 등의 산화 물질 분말을 침투시켜서 형성한 오존 순화 필터(26a-1)와, 오존 순화 필터(26a-1)의 중앙 공동부의 공간을 유지시키는 제1 내부 금속 망(26a-2)과, 제1 내부 금속 망(26a-2) 안에 수용되며 주름 형태로 성형한 부직포 또는 종이 필터(26a-3)와, 종이 필터(26a-3)의 중앙 공동부의 공간을 유지시키는 제2 내부 금속 망(26a-4)과, 둘레에 제2 내부 금속 망(26a-4)의 하단이 삽입되어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2 내부 금속 망(26a-4)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돌출부(26a-5)가 형성되고 돌출부(26a-5)의 내부는 천공되어 있는 하부 고정판(26a-6)과, 오존 순화 필터(26a-1)의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외부 금속 망(26a-7)과, 하부 고정판(26a-6)에 대향된 위치에 장착되는 상부 고정판(25a-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존 순화 필터(26a-1)에 있어서, 기부 부재, 즉 베이스를 부직포를 하는 대신에 일례로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다공성 고정형 성형물을 성형하고 그 위에 임의의 산화물을 도금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망을 소정의 두께로 중첩시켜 바라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존이 다공성 고정형 성형물이나 소정 두께의 금속망을 통과할 때에 오존은 다공성 고정형 성형물에 도금된 산화물이나 금속망과 접촉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산소(O2)와 산소 이온(O-)으로 분해되고, 이 때 산소 이온은 산화물 또는 금속망에 흡착되고 산소만 빠져나가게 되므로, 오존의 양의 감소("오존의 순화") 또는 오존의 산소로의 전화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7을 참고하여, 인입수 도관에 연결하여 인입수를 정화 및 살균하는 착탈 가능한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40)은, 상부 부분에 인입수 도관(14)의 인입측 단부가 연결되며 그리고 외부에 설치된 오존 발생기(30)로부터 이어지는 튜브(31)가 연결되고 하부 부분에 인입수 도관(14)의 배출측 단부가 연결된 장착 하우징(44)과, 장착 하우징(44)의 하부 부분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내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45) 위에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42)와, 일례로 O-링 등을 개재하여 장착 하우징(44)의 상부에 체결되는 뚜껑(46)을 포함한다.
장착 하우징(44)의 하부 부분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내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45) 위에 필터 카트리지(42)는 장착 하우징(44)을 상부 공간(41)과 하부 공간(47)으로 구획하는데, 상부 공간(41)으로는 직수와 오존이 공급되고 하부 공간(47)에는 필터 카트리지(42)를 통과한 물이 집수되어서 상부 공간(41)으로 유입되는 물의 하향 압력 작용에 의해 물 탱크 안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하부 공간(47)과 물 탱크를 연결하는 도관은 장착 하우징(44)의 바닥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필터 카트리지(42)를 통과한 물 중에 혹시라도 이물질이 있게 된 경우에는 이물질이 바닥에 침전되고 그 침전물은 물 배출구가 침전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물 탱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필터 카트리지(42)는 상부 공간(41)으로 유입되는 인입수의 압력과 이에 대항하여 필터 카트리지(42)를 지지하는 돌출부(45)에 의해 고정 위치를 유지한다.
필터 카트리지(42)는 일례로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층(42a)과, 이 필터 층(42a)을 고정시키는 상부 금속 망(42a')과, 상부 금속 망(42a') 아래에 배치되며 부직포에 카본 분말 및 산화 물질 분말을 침투시켜 형성한 오존 순화 필터(42b)와, 오존 순화 필터(42b)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하부 금속 망(42b')과, 이 아래에 배치되어서 오존 순화 필터(42b)를 거쳐 나온 물을 다시 여과하기 위한 부직포 필터층(42c)과, 이들 전체를 둘러싸는 금속 망(42d)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42)는 뚜껑(46)을 열어서 장착 하우징(44)의 내주면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서 돌출부(45) 위에 놓인다.
한편, 상기 필터 카트리지(42)에 있어서 오존 순화 필터(42b) 부분은, 오존 순화 필터(26a-1)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일례로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다공성 고정형 성형물을 성형하고 그 위에 임의의 산화물을 도금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금속망을 소정의 두께로 중첩시켜 바라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공성 고정 성형물의 외형은 장착 하우징(44)의 단면 내부 형상에 맞도록 하여 소정의 두께로 하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들의 총 면적은 고정 성형물 전체 외형의 면적의 2분의 1 이하로 하는 것이 물의 원활한 유동에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통형의 장착 하우징(44)의 내면 형상에 맞도록 다공성 고정 성형물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성형하면서 원판의 상하면이 관통되도록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되 그 구멍의 총 면적은 원판의 면적의 2분의 1 이하가 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 속에 용존되는 오존은 다공성 고정형 성형물이나 소정 두께의 금속망을 통과할 때에 다공성고정형 성형물에 도금된 산화물이나 금속망과 접촉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산소(O2)와 산소 이온(O-)으로 분해되고, 이 때 산소 이온은 산화물 또는 금속망에 흡착되고 산소만 빠져나가게 되므로, 물 소독에 사용된 과잉 오존의 양이 감소하거나("오존의 순화") 또는 산소로 전화된다. 이에 따라, 식수로 사용하는 물에서 오존의 특성에 의한 비릿한 냄새가 나지 않게 되며 오존에 의한 미확인 생물학적 유해성도 배제된다.
이하에서는, 도1, 도3, 도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게 되면 그 사용량에 상당하는 공기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물탱크 안으로 흡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10)의 맨홀 부분(11)과 맨홀 뚜껑(12)이 완전히 밀봉되므로, 물 사용량에 상당하는 부피의 공기는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를 통해서 무동력으로 유입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보다 더 원활한 공기 유입을 위해 공기 압송 장치를 장착시킬 수도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서는 도3에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정화 유닛(25)과 공기 살균 및 오존 순화 유닛(26)의 순서를 거쳐서 물탱크 안으로 유입된다. 공기는 역 J자형의 공기 인입 도관(23)을 거쳐서 유입되므로 직하방으로 떨어지는 빗물이나 공기 중의 직하방으로 낙하하는 물질이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역 J자형의 공기 인입 도관(23)을 거쳐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정화 유닛(25)의 필터 부재(25a)의 중앙 공동부를 지나고, 이어서 종이 또는 부직포의 필터를 거쳐 정화 공기 유동 공간(25s) 쪽을 향해 빠져나가는데, 이를 통해 공기 중의 먼지 또는 오염 물질 등의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된다. 이와 같이 1차로 정화된 공기는 격판(24)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24b)을 통해서 공기 살균 및 오존 순화 유닛(26)의 공기 유동 공간(26s) 안으로 들어간다. 공기 유동 공간(26s) 안에는 오존 발생기(30)에서 일정량의 오존이 공급되므로, 이 공간 안에서 공기 중의 곰팡이나 세균 등이 오존의 살균 작용에 살균된다. 여기서, 오존의 공급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인입 도관(23)의 인입측의 소정의 위치에 공기 유량 센서를 설치하고, 이 유량 센서와 오존 발생기(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량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마련할 수 있다.
공기 유동 공간(26s)에서 오존에 노출된 공기가 바로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면, 공기 중의 오존이 물탱크 내의 물과 작용하게 되고, 만일 그 오존의 양이 많으면 물에서 비릿한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오존에 관한 미확인 생물학적 유해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 유동 공간(26s)에서 오존에 노출된 공기를 카본 및 산화 물질 분말을 부직포 등에 침투시켜 형성한 소위, 오존 순화 필터(26a)를 거치게 한다. 오존을 함유한 공기가 오존 순화 필터(26a)를 거치게 되면, 공기 중의 오존은 부직포에 침투된 카본 분말과 산화 물질 분말에 흡착되면서 산소로 전화(O3→O2+ O)된다. 이와 같이 해서 오존의 농도가 낮추어진 공기가 공기 배출구(23b)를 통해서 물탱크 안으로 유입된다.
한편, 물의 사용에 따라 물탱크 내의 수위가 낮아지면 직수, 즉 인입수가 물탱크 안으로 공급된다. 이 때, 물탱크 안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상당하는 부피의 공기는 밖으로 빠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차단하면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허용하는 체크 밸브(60)를 통해서 공기가 빠진다.
본 발명 다른 실시 태양에 에 따르면, 직수가 공급될 때에 직수를 여과하고 소독하기 위하여 직수가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40)을 거치도록 구성한다(도7 참조). 인입수는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40)의 상부의 공간(41)으로 들어가고 여기서 인입수는 오존 발생기(30, 도1 참조)에 의해 도관(31)을 통해 공급된 오존에 노출되어 살균된다. 이어서 살균된 인입수는 필터 카트리지(42)의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층(42a)을 거치면서 물 속의 이물질이 여과되고, 이어서 부직포와 이에 침투시킨 카본 분말 및 산화 물질 분말로 형성된 오존 순화 필터(42b)를 거치면서 물 속의 오존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구(mechanism)에 의해 순화되고, 끝으로 오존 순화 필터(42b) 아래에 배치된 부직포 필터(42c)를 거치면서 물 속의 이물질이 다시 여과된다. 이렇게 여과는 인입수는 필터 카트리지(42) 아래의 공간(47)을 거쳐서 물탱크 안으로 공급된다. 여기서도,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40)의 배출측의 소정의 위치에 오존 센서(43)를 설치하고, 이 오존 센서(43)와 오존 발생기(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오존 센서(43)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마련함으로써, 인입수에 공급되는 오존의 양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는 물탱크의 맨홀 뚜껑을 통하여 물탱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 물질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유입되는 공기가 살균되므로, 물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며 수질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입수 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인입수가 살균되며 살균된 인입수 내의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물탱크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질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의 물탱크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시설 공사 비용이 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 정화 유닛(25)의 필터 부재(25a),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26)의 필터 부재(26a), 그리고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40)의 필터 카트리지(42)는 모두가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터 부재 및 필터 카트리지만 면밀히 감시하면서 주기적으로 교환만 해주어도 물탱크를 청소해야 하는 주기를 상당히 연장시키면서도 물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며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에 있어서,물탱크의 공기 유입부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수단과; 공기 인입 수단과; 공기 인입 수단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고, 밀봉된 물탱크 안으로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되 인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정화 유닛과; 공기 정화 유닛에 유체 연통되게 연결되고, 공기 정화 유닛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하고 살균된 공기 중의 과잉 오존을 순화시켜 그 공기를 물탱크 안으로 배출시키는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과; 상기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 내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와; 물탱크 내에 물이 채워질 때의 채워지는 물에 상당하는 공기는 배출시키되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인입 수단과, 공기 정화 유닛과, 공기 살균/오존 순화 유닛이 하나의 어셈블리로서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를 구성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공기 살균 어셈블리(20)는, 하우징(21)과; 원주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최외주부(22a)와 상부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공기 유입구(22b)를 구비하며 하우징(2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밀폐 뚜껑(22)과; 상부 밀폐 뚜껑(22)의 공기 유입구(22b)에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역 J자형의 공기 인입 도관(23)과; 하우징(21) 내의 소정 높이에 장착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반경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소정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24b)을 구비하는 격판(24)과; 하우징(21)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접하며 상부 밀폐 뚜껑(22)이 하우징(21)에 체결되었을 때의 상부 밀폐 뚜껑(22)의 하부면과 격판(24)의 상부면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부(22c)와; 격판(24)에 의해 분할된 하우징(21) 내의 상부 분할 공간에 장착되는 종이 또는 부직포로 구성된 필터 부재(25a)와; 격판(24)에 의해 분할된 하우징(21) 내의 하부 분할 공간에 장착되며 종이 필터와 오존 순화 필터로 구성된 필터 부재(26a)와; 하우징(21)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1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인입수 도관(14)의 일정 위치에서 도관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인입수 인입측에는 오존 발생기(30)가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인입수 배출측에는 오존 센서가 연결되어 있고, 인입수 인입측과 배출측 사이의 공간에는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 층(42a)과 부직포에 카본 분말 및 산화 물질 분말을 침투시켜 형성한 오존 순화 필터(42b)와 이 아래에 배치되어 오존 순화 필터를 거쳐 나온 물을 다시 여과하기 위한 부직포 필터층(42c)을 구비하는 필터 카트리지(42)가 장착되고, 오존 센서는 이 센서에서 감지되는 오존량에 따라 오존 발생기(30)의 오존 발생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의, 인입수를 정화 및 살균하는 착탈 가능한 인입수 여과/살균 유닛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4533A KR100445329B1 (ko) | 2001-06-19 | 2001-06-19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4533A KR100445329B1 (ko) | 2001-06-19 | 2001-06-19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8240U Division KR200246677Y1 (ko) | 2001-06-19 | 2001-06-19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6217A KR20020096217A (ko) | 2002-12-31 |
KR100445329B1 true KR100445329B1 (ko) | 2004-08-21 |
Family
ID=2770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4533A KR100445329B1 (ko) | 2001-06-19 | 2001-06-19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453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5940B1 (ko) * | 2005-03-14 | 2006-08-28 | 이피엔피(주) | 에어필터링부재 제조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에어필터링장치 |
CN201308399Y (zh) * | 2008-07-11 | 2009-09-16 | 于乔治 | 外置臭氧杀菌装置的桶装饮水机 |
CN102808437A (zh) * | 2012-07-31 | 2012-12-05 | 四川玉树自动供水科技有限责任公司 | 封闭式储水容器进排空气净化器 |
CN108589826B (zh) * | 2018-05-23 | 2020-04-14 | 新郑市云骞科技孵化器有限公司 | 一种用于城市绿地的节水设备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745A (ko) * | 1991-06-12 | 1993-01-15 | 다나베가쓰 | 세정방법 및 오존수 세탁기 |
KR950030330A (ko) * | 1994-04-01 | 1995-11-24 | 김주용 | 반도체 기억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
KR960037563A (ko) * | 1995-04-10 | 1996-11-19 | 조수환 | 오존 발생 장치 |
KR980006798U (ko) * | 1996-07-29 | 1998-04-30 | 전영모 | 공기 정화기 |
KR200164094Y1 (ko) * | 1999-07-12 | 2000-02-15 | 임순자 | 오존에의한물탱크의정수시스템 |
KR200216319Y1 (ko) * | 2000-09-25 | 2001-03-15 | 나욱찬 | 음식 쓰레기 발효장치 |
-
2001
- 2001-06-19 KR KR10-2001-0034533A patent/KR1004453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745A (ko) * | 1991-06-12 | 1993-01-15 | 다나베가쓰 | 세정방법 및 오존수 세탁기 |
KR950030330A (ko) * | 1994-04-01 | 1995-11-24 | 김주용 | 반도체 기억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
KR960037563A (ko) * | 1995-04-10 | 1996-11-19 | 조수환 | 오존 발생 장치 |
KR980006798U (ko) * | 1996-07-29 | 1998-04-30 | 전영모 | 공기 정화기 |
KR200164094Y1 (ko) * | 1999-07-12 | 2000-02-15 | 임순자 | 오존에의한물탱크의정수시스템 |
KR200216319Y1 (ko) * | 2000-09-25 | 2001-03-15 | 나욱찬 | 음식 쓰레기 발효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6217A (ko) | 2002-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7584B1 (ko) | 물 필터 피처 | |
CN205820966U (zh) | 污水净化反应器及污水处理系统 | |
JP2011224495A (ja) | 浄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ー | |
KR100445329B1 (ko)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
KR200246677Y1 (ko) |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 |
US6082394A (en) | Closed type water storage container with water level controller and air filtering device | |
JP4019209B2 (ja) | 水の浄化システム | |
CN207774968U (zh) | 一体化防阻污水处理装置 | |
CN101898807A (zh) | 曝气式家用常压净水器 | |
JP2000336702A (ja) | 雨水貯留装置 | |
JPH0315198Y2 (ko) | ||
CN212334928U (zh) | 一种微生物生态污水处理装置 | |
CN220565381U (zh) | 一种除臭窨井盖 | |
KR0164268B1 (ko) | 생물막 폐수처리장치 | |
CN215209002U (zh) | 一种生活污水一体化处理装置 | |
CN210410076U (zh) | 一种废水管道的除臭装置 | |
KR200392202Y1 (ko) | 배수물 정화장치 | |
JP2557370B2 (ja) | 浄水器 | |
CN210764797U (zh) | 一种便于维护的绿色建筑施工中的废水处理装置 | |
RU2221629C1 (ru) | Проточ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фильтр | |
CN105948219A (zh) | 污水净化反应器、污水处理系统及污水净化方法 | |
JP3092384U (ja) | 汚水浄化設備等用の排気生物脱臭装置及び浄化槽 | |
KR200312207Y1 (ko) | 가습기용 정수장치 | |
JPS6313837Y2 (ko) | ||
KR20090009252U (ko) | 가정용 잡배수 전용 정화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