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202Y1 - 배수물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배수물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202Y1
KR200392202Y1 KR20-2005-0013601U KR20050013601U KR200392202Y1 KR 200392202 Y1 KR200392202 Y1 KR 200392202Y1 KR 20050013601 U KR20050013601 U KR 20050013601U KR 200392202 Y1 KR200392202 Y1 KR 200392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purification apparatus
drain
adsorbent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20-2005-0013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씽크대 배수물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오픈되며, 내주면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오픈된 주위에는 배수구의 입구 단턱에 장착될 수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부를 따라 이어진 측면은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에 설치되는 여과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와 여과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흡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씽크대의 배수구에 배수물을 정화할 수 있는 정화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물 정화장치{FOUL WATER A PURIFICATION DEVICE}
본 고안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씽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되어 배수물을 정화함으로써 수질오염의 방지가 가능한 배수물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씽크대에서는 음식물 찌꺼기 걸름통에 의해서 음식물 찌꺼기만 걸러지고 거기서 발생되는 배수물은 별도의 여과과정 없이 바로 하수도로 방류됨에 따라 하천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하수가 하수종말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천 등으로 바로 방류되면 하천 등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하천의 부영양화를 유발시켜 적조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 가정 또는 생활하수 발생지역에서는 1차적 하수의 정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오픈되며, 내주면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오픈된 주위에는 배수구의 입구 단턱에 장착될 수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부를 따라 이어진 측면은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에 설치되는 여과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와 여과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흡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수물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오픈되며, 내주면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오픈된 주위에는 배수구의 입구 단턱에 장착될 수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부를 따라 이어진 측면은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에 설치되는 여과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와 여과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흡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물 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물 정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물 정화장치의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오픈되어 내주면에 걸림부(9a)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오픈된 주위에는 배수구의 입구 단턱에 장착될 수 있는 연장부(9b)가 형성되며, 상부를 따라 이어진 측면은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9c)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9); 상기 몸체부재(9)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9a)에 설치되는 여과부재(5); 상기 몸체부재(9)의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는 부직포(1); 및 상기 부직포(1)와 여과부재(5) 사이에 충진되는 흡착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재(9) 내부에는 은이 코팅되는 코팅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재(9)는 동재질, 알루미늄재질, 플라스틱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재(5) 상부에는 체크밸브 기능을 하는 캡(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제(3)는 은가루와 황토와 카본가루와 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7)의 상부 양쪽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평각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배수물 정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향균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탈취가 우수한 동재질과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질과 가벼운 플라스틱재질 중 어느 하나로 몸체부재(9)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재(9)의 내부에는 은이 코팅되는 코팅부가 포함되며, 내용물이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오픈되어 내주면에 걸림부(9a)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오픈된 주위에는 배수구의 입구 단턱에 장착될 수 있는 연장부(9b)가 형성되며, 상부를 따라 이어진 측면은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9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부재(9)의 내부에는 부직포(1)와 흡착제(3)와 여과부재(5)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되, 상기 여과부재(5)는 상기 몸체부재(9)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9a)에 설치되어 배수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10)를 구성한다.
상기 여과부재(5)의 상부면에는 씽크대에서 나오는 배수물은 흘려보내지만 하부에서 올라오는 악취는 차단하여 채크밸브 기능을 하는 상부 양쪽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평각으로 절개된 캡(7)이 설치된다.
이러한 여과부재(5)는 배수물의 통과시 혹시나 있을 수 있는 미세 찌꺼기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흡착제(3)는 은가루와 황토와 카본가루와 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은은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며, 이러한 살균용 은은 순도 90% 이상으로 한다.
상기 황토는 곰팡이 및 인체에 유해한 각종 균류의 서식을 방지하고, 유해한 냄새를 신속히 흡수, 정화 및 중화하며, 아울러 황토 미립자 속의 작은 기공으로 인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풍기 역할은 물론 공기 정화기 역할도 하며, 수많은 미생물이 있어 뛰어난 분해력을 가진다.
상기 카본가루는 흡착성이 강하여 강력한 정수력을 가지며,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그 악취를 흡착한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금속 및 중금속 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물질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흡착제(3)를 통해서 배수물이 통과됨으로써 정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착제(3)는 몸체부재(9)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부직포(1)에 의해 배수물이 통과하여도 배출구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용 정화장치는 향균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탈취가 우수한 동재질과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질과 가벼운 플라스틱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은이 코팅되는 코티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재에 부직포가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고, 은가루와 황토와 카본가루와 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상기 부직포 상부면에 충진되며, 상기 흡착제 상부에는 여과부재가 설치되는 배수물 정화장치를 씽크대 배수구에 장착함으로써 배수물이 정화되어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물 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물 정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직포 3 : 흡착제
5 : 걸름부재 7 : 캡
9 : 몸체부

Claims (6)

  1.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오픈되며, 내주면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오픈된 주위에는 배수구의 입구 단턱에 장착될 수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부를 따라 이어진 측면은 막혀있으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에 설치되는 여과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와 여과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흡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물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는 은이 코팅되는 코팅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물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동재질, 알루미늄재질, 플라스틱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물 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 상부에는 체크밸브 기능을 하는 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물 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은가루와 황토와 카본가루와 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물 정화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부 양쪽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평각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물 정화장치.
KR20-2005-0013601U 2005-05-14 2005-05-14 배수물 정화장치 KR200392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601U KR200392202Y1 (ko) 2005-05-14 2005-05-14 배수물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601U KR200392202Y1 (ko) 2005-05-14 2005-05-14 배수물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202Y1 true KR200392202Y1 (ko) 2005-08-19

Family

ID=4369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601U KR200392202Y1 (ko) 2005-05-14 2005-05-14 배수물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42B1 (ko) * 2014-08-19 2015-05-20 이봉대 맨홀 또는 하수도용 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42B1 (ko) * 2014-08-19 2015-05-20 이봉대 맨홀 또는 하수도용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66042A (ja) 重力供給水処理装置用フィルタ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0182567B1 (ko) 정수기
KR20070046281A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200392202Y1 (ko) 배수물 정화장치
JP4983277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KR200381845Y1 (ko) 정수장치의 전처리필터
CN105016548A (zh) 杀菌净水器
KR100808388B1 (ko) 하이브리드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중앙 정수시스템
KR10178033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1690106B1 (ko) 살균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전
CN210683502U (zh) 一种智能化废水一体化处理设备
KR200346272Y1 (ko) 정수장치 방법
CN107522366B (zh) 一种方便对有机物处理的污水处理设备
KR101758907B1 (ko) 우수 처리 시스템
CN111217464A (zh) 净水器用复合型净水过滤器
JPH0315198Y2 (ko)
KR100445329B1 (ko) 물탱크용 이물질 유입 차단 및 유입 공기 살균 장치
JP2001003420A (ja) 排水装置
KR20010054690A (ko) 오존을 이용한 정수기
CN212076721U (zh) 一体化医疗废水处理设备
CN210764797U (zh) 一种便于维护的绿色建筑施工中的废水处理装置
KR20130008343A (ko) 반응 살균식 정수장치
KR20030030583A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