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788U -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788U
KR980006788U KR2019960022994U KR19960022994U KR980006788U KR 980006788 U KR980006788 U KR 980006788U KR 2019960022994 U KR2019960022994 U KR 2019960022994U KR 19960022994 U KR19960022994 U KR 19960022994U KR 980006788 U KR980006788 U KR 9800067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limit switch
drip tray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진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60022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788U/ko
Publication of KR980006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78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물받이통에 모여진 물을 일정 수위에서 증발시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의 편리화, 물낭비 억제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기능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는 가습기올을 가진 정수기에 관한 기술내용으로서,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누수된 물이 모여지는 물받이통에 물의 수위에 따라 부침(浮沈)작용하도록 배치된 부구와, 이 부수의 부침작용에 따라 연동되면서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와, 리미트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구동되면서 물받이통내의 물을 가열하여 주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누수된 물이 일장수위에 도달하면 가열 수단에 의해 그 물을 가열증발케 하여 가습기능을 수행토록 하므로서 기기용도의 다양화와 물의 낭비억제화 및 사용의 편리화를 기대할 수 있는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본체(10)에 대해 급수구(냉·온)(20)가 구비되어 있으며, 급수구의 하측에는 급수시 누수된 물을 모아 둘수 있는 물받이통(30)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물받이통(30)내로 일정수위의 물이 모이게 되면 사용자는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 내지는 확인후 물받이통(30)을 본체(10)로 부터 분리하여 물을 버려야 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물받이통에 모여진 물을 일정 수위에서 증발시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의 편리화, 물낭비 억제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기능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는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정수기의 개략적인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물받이 통 40 : 부구 41 : 레버
50 : 리미트스위치 60 : 가열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구성은,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누수된 물이 모여지는 물받이통에 물의 수위에 따라 부침(浮沈) 작용하도록 배치된 부구와, 이 부구의 부침작용에 따라 연동되면서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와, 리미트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구동되면서 물받이통내의 물을 가열하여 주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정수기의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으로 구비된 통상적인 필터링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급수하여 주는 급수구(20)와, 급수구(20) 하측에 배치되어 정수기 사용중 누수된 물이 모요지는 물받이통(30)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물받이통(30)은 본체(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시도로서, 물받이통(30)과, 이 물받이통(30)내로 충전되는 물의 양에 따라 점(a)를 중심으로 부침작용하는 레버(41)를 갖춘 부구(40)와, 이 부구(40)의 부침과정에서 물이 일정수의 이상에 도달하면 레버(41)후단의 하강으로 온작동되고 물이 일정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오프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50)와, 리미트스위치(50)와, 리미트스위치 온/오프상태에 따라 구동제어되면서 물받이통(30)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60)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가열수단(60)을 물받이통(30) 주변 특히, 하부에 내장형으로 배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기회로도로서, 리미트스위치(50)와, 가열수단(60)이 전기적으로 회로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는,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물받이통(30)내로 모아서 이를 가열수단(60)으로 가열증발시켜 가습기능을 수행토록 된 기술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급수구(20)를 통해 물을 급수하는 과정에서 누수된 물이 물받이통(30)내로 저장되고 동시에 부구(40)는 상승되어 지는데 이때, 물받이통(30)내의 수위가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부구(40)의 레버(41) 후단이 점(a)을 중심으로 하강되므로 이에 의해 리미트스위치(50)가 운동작(닫힘)되고 전원이 가열수단(60)에 공급되어 발열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받이통(30)내의 물은 가열수단(60)의 발열에 의해 가열증발 되어 가습기능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계속적인 가습기능 실행으로 인하여 물받이통(30) 내의 물의 양이 일정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부구(40)는 점(a)을 중심으로 하강하고 레버(41)의 후단은 상승하게 되므로 리미트스위치(50)는 오프동작(개방)되고 가열수단(60)의 구동역시 정지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습기의 사용과정에서 누수된 물을 모아 두는 물받이통내의 물을 일정수위 이상에서 가열증발시켜 가습기능을 실현토록 하므로서, 종래의 같이 주기적 내지는 확인 후 물받이통의 물비움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대단히 편리하며, 또, 물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고 가습기능 추가에 의한 기기의 기능 다양화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수기의 사용과정에서 누수된 물이 모여지는 물받이통(30)에 물의 수위에 따라 부침작용토록 배치되고 레버(41)를 갖춘 부구(40)와, 이 부구(40)의 부침작용에 따라 레버(41)에 의해 연동되게 배치되고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50)와, 리미트스위치(50)의 상태에 따라 구동제어되면서 물받이통(30)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6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994U 1996-07-31 1996-07-31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KR9800067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994U KR980006788U (ko) 1996-07-31 1996-07-31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994U KR980006788U (ko) 1996-07-31 1996-07-31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88U true KR980006788U (ko) 1998-04-30

Family

ID=5396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994U KR980006788U (ko) 1996-07-31 1996-07-31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678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92B1 (ko) * 2002-12-20 2009-10-27 주식회사 포스코 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 본체 튜브 누수검출장치
KR20140122092A (ko) * 2013-04-09 2014-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CN111578502A (zh) * 2020-05-20 2020-08-25 宁波云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极调温热水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92B1 (ko) * 2002-12-20 2009-10-27 주식회사 포스코 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 본체 튜브 누수검출장치
KR20140122092A (ko) * 2013-04-09 2014-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CN111578502A (zh) * 2020-05-20 2020-08-25 宁波云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极调温热水器
CN111578502B (zh) * 2020-05-20 2024-02-27 宁波云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无极调温热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1289370B1 (it) Macchina lavatrice con serbatoio d'acqua multifunzionale
ATE365494T1 (de) Elektrische kaffeemaschine zur herstellung von espresso-kaffee
JP4872810B2 (ja) 美容器
KR980006788U (ko)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JPS5722065A (en) Waste ink reservoir for ink jet recording device
CN209556021U (zh) 一种用于空气制水机可收纳的应急水源连接结构
US20040128853A1 (en) Moisturizing hairdressing apparatus
JP3820377B2 (ja) 冷熱浄水供給装置
JPH0366400A (ja) コードレススチームアイロン
CN110822606A (zh) 一种空调冷凝水雾化机及其处理控制方法
JP2020139713A (ja) 加湿器
JPS59232600A (ja) スチ−ムアイロン
CN211177265U (zh) 一种空调冷凝水雾化机
CN218262032U (zh) 一种筒子色纱残液循环利用装置
JPS6349195A (ja) スチ−ムアイロン
JPH062640Y2 (ja) スチームアイロン
JP2000342457A (ja) 自動給水ジャーポット
US20040129291A1 (en) Moisturizing hairdressing apparatus
JPS6272399A (ja) 電気アイロン
JPS5416379A (en) Filtering unit
JPS5595053A (en) Supersonic wave humidifier
JPH05163749A (ja) ヘッド引出し型の水栓装置
CN114514206A (zh) 用于家用电器的液体过滤和填充装置
JPH06257804A (ja) 加湿器
KR200327036Y1 (ko) 이온 정수기의 온수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