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92A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92A
KR20140122092A KR20130038741A KR20130038741A KR20140122092A KR 20140122092 A KR20140122092 A KR 20140122092A KR 20130038741 A KR20130038741 A KR 20130038741A KR 20130038741 A KR20130038741 A KR 20130038741A KR 20140122092 A KR20140122092 A KR 2014012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ndicator
buoy
water lev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365B1 (ko
Inventor
남보현
주정현
유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9933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220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6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그리고 상기 트레이 내의 만수위 상태를 가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supplying device for drinking water or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사용자가 필요 시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즉,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거나 냉동되어 냉수나 얼음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것은 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료일 수도 있다. 일례로 커피나 청량 음료 같은 음료수도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 공급장치는 자체 정수 기능의 포함 여부와 무관하게 다양한 음용수(예를 들어, 음료, 커피, 온수, 냉수, 정수, 얼음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다른 장치와 독립성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외부에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인 디스펜서를 갖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도 1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일례인 정수기를 도시하고 있다.
정수기(1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과 디스펜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12)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스펜서(12)는 캐비닛(11)의 전방에 형성된다. 물론, 캐비닛(11) 전방에서 만입되거나 함몰된 공간 형태로 이러한 디스펜서(12)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12)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코크(15)가 구비되며, 음용수 배출을 위해 조작하는 레버(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코크(15)에서 음용수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16)의 조작은 레버를 누르거나 당기는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음료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음용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통해 냉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컵(17)을 코크 아래에 위치시킨 후 레버(16)를 밀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서, 코크(15)에서 냉수가 배출되어 컵(17)을 채우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12)의 하부 또는 코크(15)의 하부에는 트레이(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는 상기 코크(15)에서 떨어지는 적은 양의 음용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컵에 채워진 음용수를 사용자가 마신 후, 남아있는 음용수를 쉽게 버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상기 트레이(13)에 수용된 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별도의 배출장치가 마련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배출장치로 인해 음용수 공급장치의 가격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장치를 통해 잔수를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배수구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호스 등을 통해 트레이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배수구로 잔수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르고 미관을 해치는 일이므로,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배출되는 잔수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가 음용수 공급장치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미관을 해치는 일이며 설치 환경에 따라 이러한 별도의 용기를 마련하는 것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의 주방에서 이러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음용수 공급장치에서는 트레이에 물이 저수되며, 사용자가 필요 시 트레이를 비워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트레이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없다. 따라서, 트레이에 얼마만큼의 물이 채워져 있는지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는 특정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즉, 빈번하게 트레이에 얼마만큼의 물이 채워져 있는지 살펴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반대로, 다른 특정 사용자에게는 트레이에서 물이 자주 넘치는 불편함을 야기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물이 넘치기 전에는 트레이를 비울 필요성을 못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트레이를 비우려 하는 경우, 잔수가 가득 차 있어 트레이 이동 시 잔수가 넘치는 경우도 자주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번거로운 청소를 해야하는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정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트레이를 비울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를 비울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트레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잔수 배출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잔수 배출 시점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직관성이 증진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간단하고 청소가 용이한 수위 인디케이터를 갖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커버와 분리가 용이한 수위 인디케이터를 갖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대적으로 트레이의 높이가 낮은 소용량 트레이에서 효과적으로 잔수 배출 시점을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대적으로 트레이의 높이가 높은 대용량 트레이에서 효과적으로 잔수 배출 시점을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그리고 상기 트레이 내의 만수위 상태를 가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는 정수된 물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수돗물을 정수하여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의 일례라 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하는 부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 커버의 중앙 또는 상기 코크의 직하부에 상기 트레이 커버의 메인 홀이 형성되며, 상기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부표가 상기 메인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트레이를 비울 시점이 되었음을 부표의 돌출로 외부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표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부표의 하강 거리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표는, 트레이 내부 저면에서 적어도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부표가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의 트레이 내부 저면과 부표 최하부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따라서, 일정 수위에 이르기까지 상기 부표는 상승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정 수위보다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부표가 상승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트레이 내부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표 지지부는, 베이스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표의 중앙에는 상기 부표 지지부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부표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하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롯의 둘레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 발생부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그리고 상기 부표 지지부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표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트레이 내부 저면과 소정 높이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정수기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 트레이; 그리고 상기 내부 트레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서랍 형태로 정수기의 케이스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는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는 상기 외부 트레이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커버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최상부(최대 수위를 형성하는)보다 수직 방향으로 높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는, 부력 발생부;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그리고 상기 부력 발생부와 상기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연결봉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연결봉 가이드;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인디케이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의 내경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인디케이터의 최대 하강 거리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디케이터, 상기 트레이 커버의 메인 홀을 관통 가능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경보다 상기 메인 홀의 내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은 스크류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결합의 해제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가 서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 지지부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통 슬릿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상기 트레이 커버의 중앙 또는 상기 코크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트레이 커버의 메인 홀; 그리고 상기 트레이 내부의 잔수 수위에 따라 상승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홀을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승을 위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표 지지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와 부력 발생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의 분리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와 부력 발생부는 상기 부표 지지부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그리고 상기 트레이 내의 만수위 상태를 가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표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그리고 상기 트레이 내의 만수위 상태를 가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표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를 비울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트레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잔수 배출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잔수 배출 시점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직관성이 증진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간단하고 청소가 용이한 수위 인디케이터를 갖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커버와 분리가 용이한 수위 인디케이터를 갖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대적으로 트레이의 높이가 낮은 소용량 트레이에서 효과적으로 잔수 배출 시점을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대적으로 트레이의 높이가 높은 대용량 트레이에서 효과적으로 잔수 배출 시점을 표시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저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고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저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저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저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고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저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고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고수위 시의
트레이에 대한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상 정수기를 일례로 하여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음용수 공급장치의 일례로 정수기를 일례로 하여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정수기의 경우, 음용수는 온수, 냉수, 상온의 정수 또는 얼음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정수기뿐만 아니라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가전제품으로 구비되는 정수기뿐만 아니라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분으로서의 음용수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종래의 음용수 공급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도 2와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이하 설명의 편의상 "정수기"라 한다)에서 트레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정수기(100)는 디스펜서(120)에 구비되는 레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12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가 구비될 수 있다.
정수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15)를 포함할 수 있고,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00)에 구비되는 수위 인디케이터(300)를 포함하는 정수기(100)를 개시한다.
도 2는 트레이(200) 내에 잔수가 없는 상태 또는 잔수의 수위가 낮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트레이(200)는 잔수를 수용하는 트레이 하우징(220)과 트레이 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과 착탈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레이 커버(210)와 트레이 하우징(220)의 형합으로 인해 트레이 커버(210)가 좌우 그리고 전후의 이동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잔수를 제외하고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트레이 하우징(220)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트레이 커버(210)에는 잔수가 관통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잔수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부(211, 2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는 슬릿(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210)에는 메인 홀(21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홀(211)은 상기 관통부의 일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는 슬릿(212)과 메인 홀(211)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홀(211)은 코크(15)의 직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코크(15)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 트레이 커버(210)에 부딪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코크(15)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은 상기 메인 홀(211)을 통해 직접 트레이 하우징(2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단순히 트레이 하우징(220)을 덮는 기능뿐만 아니라 물을 받기 위한 용기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트레이 커버(210)는 트레이(200)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컵 같은 용기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컵을 통해 레버(16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큰 물병이나 무게가 나가는 용기는 상기 트레이 커버(210)에 올려놓고, 사용자의 손으로 레버(160)를 조작하게 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0) 내에 잔수가 없는 상태 또는 잔수위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는, 트레이 외관의 변화가 없다. 물론, 슬릿(212)이나 메인 홀(211)을 통해 트레이 내부를 볼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일이 트레이 내부를 들여다 보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도 3은 트레이 내부의 잔수 수위가 상대적으로 고수위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잔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수위 인디케이터는 이를 트레이(200)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레이 커버(210)를 통해, 잔수의 수위가 고수위임을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300)는 인디케이터(31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디케이터(211)를 통해서, 잔수 수위를 트레이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메인 홀(2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잔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311)가 상승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수위에서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메인 홀(211) 하부에 위치되어 트레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위가 높아질수록,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점차 트레이 외부로 돌출되며, 만수위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가 최대가 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만수위에서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나 면적이 최대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트레이 외부에서 만수위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메인 홀(211)을 통해 트레이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만수위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311)를 돌출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만수위는 잔수가 트레이 외부로 넘칠 만큼의 수위는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만수위는 트레이의 최대 수위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트레이의 최대 수위에서, 트레이를 캐비닛(11)에서 분리하여 트레이를 비울 때, 잔수가 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만수위는, 트레이를 비울 때 잔수가 넘치지 않을 만큼의 적정 수위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메인 홀(211)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점차 수위가 더욱 상승하면,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는 더욱 증가한다. 상기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는 최대가 되며, 더 이상의 수위 상승에도 불구하고,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는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가 최대가 되는 시점에서의 수위는, 트레이를 비울 시점에서의 수위라 할 수 있다. 즉, 잔수가 넘치지 않으면서도 트레이를 비우기 위한 적정 수위에서,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가 최대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정 수위를 본 실시예에서 만수위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수위는 트레이(200)의 최대 수위와 일정 수위 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만수위에서도 잔수를 더욱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만수위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잔수를 트레이로 더욱 공급할 수 있고, 이때 트레이가 넘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인디케이터를 통해 트레이를 비울 적정 시점을 알려줄 수 있고, 일정 양의 잔수를 더욱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트레이를 비워야 함을 지속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물론, 인디케이터(311)가 메인 홀(211)을 통해 돌출되기 시작할 때부터, 사용자에게 트레이를 비울 시점이 됐다거나 비울 시점이 곧 도래한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트레이와 수위 인디케이터(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잔수가 없는 상태에서의 수위 인디케이터(300) 위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200)는 트레이 하우징(220)과 트레이 커버(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은 정수기의 캐비닛(11)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00)를 비울 때,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과 트레이 커버(210)가 상기 수용부(2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30)는 상기 캐비닛(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레이(200)가 직접 상기 정수기의 캐비닛(11)에서 분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230)가 상기 캐비닛(11)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트레이(200)가 캐비닛(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트레이 하우징(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단턱(225)에 상기 트레이 커버(210)의 리브(213)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턱(225)과 리브(213)의 형합 구조로 인해,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하방, 좌우 그리고 전후 지지가 이루어져 이러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210)의 상방으로의 분리에 대한 제한이 없게 된다. 이를 통해, 트레이 커버(210)와 트레이 하우징(220)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수위 인디케이터(300)는 부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는 부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표(310)는 인디케이터(311)와 부력 발생부(31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상기 부표(310)의 상승은 상기 부력 발생부(31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력 발생부(312)는 내부의 빈 공간(31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공성 물질이 상기 빈 공간(313)을 채우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빈공간을 통해 수위에 따라 즉각적으로 부표(310)가 상승 및 하강을 할 수 있다.
상기 부표(310)는 상기 부력 발생부(312)의 상승 및 하강으로 인해, 승강하는 인디케이터(31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부력 발생부(312)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부력 발생부(312)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부표(310)의 일부분으로서, 수위에 따라 상기 트레이 커버(210)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커버(211)의 상부로 돌출되는 인디케이터(311)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의 이유로 부표의 승강이 반드시 수직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수위에 따라 인디케이터(311)의 승강에 제약이 따를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수평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체적인 인디케이터(311)의 외형은 공 형태 또는 원형의 봉우리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디케이터(311)의 형상으로 인해, 메인 홀(211)에 대해서 부드러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부드러운 승강을 위해, 상기 메인 홀(211)의 내경은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홀(211)의 내경은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최대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메인 홀(211)은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형상과 사이즈 그리고 상기 메인 홀(211)의 형상과 사이즈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수위의 변화에 인디케이터(311)의 승강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수위가 계속 상승하는데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일부가 상기 메인홀(211)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311)가 수직으로 상승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이러한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와 메인홀의 형상 및 사이즈를 통해 인디케이터(311)가 메인 홀(211)에 구속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표(310)는 가이드 슬롯(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314)은 상기 부표(310)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표(310)는 상기 가이드 슬롯(314)을 기준으로 좌우와 전후 모두 대칭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력 발생부(312)는 상기 가이드 슬롯(314)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311)는 상기 가이드 슬롯(314)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력 발생부(312)는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300)는 상기 부표(310)의 상하 이동, 즉 승강을 가이드하는 부표 지지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표 지지부(320)는 상기 트레이(200)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 지지부(320)와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은 하나의 몸체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표 지지부(320)는 베이스(321)와 연장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321)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의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부표 지지부(320)를 고정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부표 지지부(320) 전체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연장부(322)는 상기 베이스(32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321)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의 바닥면에서 라운드 형태를 갖고 상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22)는 동일한 외경을 갖고 상부로 더욱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22)가 상기 부표(310)의 가이드 슬롯(314)에 삽입되어, 상기 부표(31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부(322)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슬롯(314)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장부(322)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 슬롯(314)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부(322)의 높이와 가이드 슬롯(314)의 높이 차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우 중요하다.
잔수의 이물질이나 물때 등이 상기 가이드 슬롯(314) 내부로 유입되어 고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표(310)의 승강이 즉각적으로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표(31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슬롯(314)이 상기 베이스(321)에 밀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베이스(321)의 라운드 부분의 외경이 상기 가이드 슬롯(314)의 내경보다 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22)의 높이를 상기 가이드 슬롯(314)의 높이 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부표(310)의 하강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314)의 최상부에 상기 연장부(322)의 최상부가 서로 맞닿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높이 차이로 인해, 상기 부표(310)는 항상 트레이 하우징(220)의 바닥면에서 소정 거리 높이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트레이 하우징(220)의 바닥면이나 상기 베이스(321)에 이물질이나 물때가 많이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표(310)를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항상 이격시킴으로써, 보다 즉각적인 부표(310)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잔수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의 수위 인디케이터(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표(310)는 상승한다. 이러한 부표의 상승은 부표(310)의 가이드 슬롯(314)과 부표 지지부(320)의 연장부(322)를 통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실질적으로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수기 자체가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트레이 커버(210)에 대응하여, 상기 부표의 부력 발생부(312)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A 수위에서, 부표(310)의 돌출 길이는 최대가 아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 부표가 더욱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만수위는 A 수위보다는 약간 높은 수위라 할 수 있다.
A 수위에서 만수위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부표(310)는 더욱 상승한다. 이때, 상기 부력 발생부(312)의 상면은 트레이 커버(210)의 하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인디케이터(311)의 돌출 길이는 최대가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위는 트레이(200) 용량의 60 내지 80%가 채워진 수위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만수위에서 부력 발생부(312)가 트레이 커버(210)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만수위에서도 잔수가 더 수용될 수 있으며, 잔수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311)의 최대 돌출 길이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트레이를 비울 시점이라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발생부(312)의 상면과 트레이 커버(210)의 밀착은 발생되는 부력이 최대한 넓은 면적을 통해 트레이 커버(210)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잔수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상기 부력 발생부(312)를 통해 트레이 커버(210)를 밀어 올리는 힘이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커버(210)의 상측으로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제약이 없다. 따라서, 만수위보다 높은 수위에서 상기 부표(310)는 상기 트레이 커버(21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이는, 상기 트레이 커버(210)의 리브(213)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트레이 하우징(220)의 단턱(22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트레이 커버(210)의 위치를 통해서도 트레이를 비울 시점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커버(210), 부표(310) 그리고 부표 지지부(320)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레이 커버(210)를 트레이 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하면, 부표(310)를 부표 지지부(3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부표(310)를 집어 올리기만 하면, 부표(310)가 부표 지지부(32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 인디케이터(300)의 구조로 인해, 청소가 용이하며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보다 큰 용량의 트레이에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다 더욱 큰 용량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코크(15, 도 1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트레이(200)와 수위 인디케이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트레이 하우징(220), 트레이 커버(210), 슬릿(212) 그리고 메인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들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수가 없는 상태 또는 잔수의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는, 인디케이터(411, 도 7 참조)가 트레이(2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수위 수위가 높아지면 인디케이터(411)는 트레이(2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411)를 통해 만수위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수위 인디케이터(4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위 인디케이터(400)는 트레이(200) 내의 만수위 상태를 가시적으로 트레이 커버(210)을 통해 외부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위 인디케이터(400)의 부표(410)가 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수위를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400)는 부표(410)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4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표 지지부(420)는 상기 트레이 커버(210)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표 지지부(420)가 상기 트레이 커버(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표 지지부(420)는 상기 트레이 커버(21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커버(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부표 지지부(420)는 상기 트레이 커버(21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트레이(200)에 적합하다. 따라서, 부표 지지부(420)를 트레이 하우징(220)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트레이 하우징(220)의 하부와 상기 트레이 커버(210) 사이의 높이차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표 지지부(420)를 트레이 커버(210)에 형성함으로써, 부표 지지부(420)의 크기와 체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표(410)는 부력 발생부(413), 인디케이터(4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인디케이터(411)의 승강 길이는 매우 클 수 있다. 이는, 인디케이터(411)의 신뢰성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 발생부(413)는 직접 수면과 맞닿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력 발생부(413)와 상기 인디케이터(411)가 서로 이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부력 발생부(413)로부터 일정 거리 상측에 상기 인디케이터(411)를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부력 발생부(413)와 인디케이터(411)를 연결하는 연결봉(412)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411)는 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디케이터(411)가 상기 메인 홀(211)을 통해 관통됨으로써, 만수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부력 발생부(413)는 부력 발생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부력 발생부(413)의 형상이 공 형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부표(410)는 상기 인디케이터(411), 연결봉(412) 그리고 부력 발생부(413)를 포함하므로, 이들 전체가 수위에 따라 승강한다. 따라서, 이들 구성들은 모두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부표 지지부(420)는, 상기 연결봉(41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연결봉 가이드(4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표 지지부(420)는, 상기 인디케이터(41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인디케이터 가이드(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 가이드(422)의 내경은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21)의 내경과 상기 인디케이터(411)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411)가 하강 할 때, 상기 연결봉 가이드(422)에 걸려 더 이상의 하강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 가이드(422)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411)의 하강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 가이드(422)는 일정한 수직 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 가이드(422)의 내경은 상기 연결봉(41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봉(412)가 상기 연결봉 가이드(422)를 통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승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12)도 일정한 수직 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12)의 내경은 상기 인디케이터(411)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411)가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12)를 통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표(41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 가이드(412)와 연결봉 가이드(422)를 통해, 부표(410)가 수직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인디케이터(411)의 외경은 메인 홀(211)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411)가 상기 메인 홀(211)에 구속되어 상승이 제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2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릿(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이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2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423)은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21) 내부에 잔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트레이 커버(210)를 통해 잔수가 공급되면, 메인 홀(211)을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421)로 잔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잔수는 즉시 인디케이터 가이드(421) 외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잔수가 고이면 상기 인디케이터(411)의 승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디케이터(411)와 부력 발생부(413)는 스크류 결합의 해제를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봉(412)을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411)와 부력 발생부(413)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412)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나사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을 통해 하나의 연결봉(41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412)의 상측은 인디케이터(4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봉(412)의 하측은 부력 발생부(4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관계를 통해, 부표(410)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트레이 커버(210)를 트레이 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하면, 수위 인디케이터(400)가 트레이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부력 발생부(413)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인디케이터(411)를 잡고 비틀 수 있다. 이러한 비트는 힘을 통해, 상기 부력 발생부(413)와 인디케이터(411)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디케이터(411)는 트레이 커버(210)의 메인 홀(211)을 통해 부표 지지부(420)와 분리되고, 부력 발생부(413)은 연결봉 가이드(422)를 통해 부표 지지부(420)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 순서의 역순으로 수위 인디케이터(400)의 결합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수위 인디케이터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며, 이를 통해 수위 인디케이터 및 트레이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트레이를 갖는 정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최대 수위를 형성하는 트레이와 트레이 커버가 구비되는 트레이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정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는 정수기(100)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 트레이(200B)와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트레이(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와 외부 트레이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트레이(200A)는 상기 내부 트레이(200B)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210)는 상기 외부 트레이(200A)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200)는 서랍 형태로 케이스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이때 내부 트레이(200B)만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트레이 구조는, 잔수를 보다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2-0102924(이하 "트레이 선행특허"라 한다)에서 이중 트레이 구조를 개시한 바가 있다. 이러한 이중 트레이 구조는, 케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한 잔수와 케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한 잔수를 모두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구조는 상기 트레이 선행특허에 개시된 트레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200)의 최대 수위는 내부 트레이(200B)에 의해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트레이(200A)의 높이가 내부 트레이(200B)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내부 트레이(200B) 높이보다 잔수가 많이 공급되면, 잔수가 넘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내부 트레이(200B)의 최대 높이(최대 수위를 결정하는)보다 상측에 트레이 커버(210)가 위치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표 발생부(3413)와 인디케이터(411) 사이의 거리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만수위는 A 수위보다 조금 높을 수 있다. 즉, 만수위와 최대 수위까지는 일정한 양의 여유가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트레이를 비울 시점이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부표(310, 410)의 하강 거리는 부표 지지부(310, 410)을 통해서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표의 최하부는 항상 트레이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는 소정 수위 이상인 경우에만 부표가 상승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부력 발생부는 항상 트레이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부표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제한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부표의 이동이 방지되며, 트레이를 비울 시점에 근접해서야 부표가 이동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표와 부표 지지부의 관계를 통해, 부표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신뢰성이 증진되 수위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음용수 공급장치(정수기) 200 : 트레이
210 : 트레이 커버 220 : 트레이 하우징
300(400) : 수위 인디케이터 310(410) : 부표
311(411) : 인디케이터 320(420) : 부표 지지부

Claims (22)

  1.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그리고
    상기 트레이 내의 만수위 상태를 가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커버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용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중앙 또는 상기 코크의 직하부에 상기 트레이 커버의 메인 홀이 형성되며, 상기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부표가 상기 메인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표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중앙에는 상기 부표 지지부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부표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디케이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하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롯의 둘레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발생부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그리고
    상기 부표 지지부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표를 지지하고 상기 부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정수기의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 트레이; 그리고
    상기 내부 트레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트레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트레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는 상기 외부 트레이의 상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부력 발생부;
    상기 트레이 커버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그리고
    상기 부력 발생부와 상기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지지부는,
    상기 연결봉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연결봉 가이드;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인디케이터 가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인디케이터 가이드의 내경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인디케이터의 최대 하강 거리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상기 트레이 커버의 메인 홀을 관통 가능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경보다 상기 메인 홀의 내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스크류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결합의 해제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가 서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지지부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통 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19.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코크;
    상기 코크 하부에 구비되어 잔수를 저수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덮어 용기를 지지하고, 잔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 트레이 커버;
    상기 트레이 커버의 중앙 또는 상기 코크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트레이 커버의 메인 홀;
    상기 트레이 내부의 잔수 수위에 따라 상승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홀을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인디케이터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승을 위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는 부표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표 지지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와 부력 발생부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부력 발생부의 분리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와 부력 발생부는 상기 부표 지지부와 분리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30038741A 2013-04-09 2013-04-09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10163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41A KR101637365B1 (ko) 2013-04-09 2013-04-09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41A KR101637365B1 (ko) 2013-04-09 2013-04-09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92A true KR20140122092A (ko) 2014-10-17
KR101637365B1 KR101637365B1 (ko) 2016-07-07

Family

ID=5199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741A KR101637365B1 (ko) 2013-04-09 2013-04-09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456A (ko) * 2018-02-02 201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9805762A (zh) * 2017-11-21 2019-05-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788U (ko) * 1996-07-31 1998-04-30 이영서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KR200286035Y1 (ko) * 2002-05-15 2002-08-22 주식회사 한일콘트롤 수조의 수위감지장치
JP2003175994A (ja) * 2001-12-11 2003-06-24 Honda Motor Co Ltd 満水報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788U (ko) * 1996-07-31 1998-04-30 이영서 가습기능을 가진 정수기
JP2003175994A (ja) * 2001-12-11 2003-06-24 Honda Motor Co Ltd 満水報知装置
KR200286035Y1 (ko) * 2002-05-15 2002-08-22 주식회사 한일콘트롤 수조의 수위감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62282B2 (en) 2015-11-30 2021-03-30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805762A (zh) * 2017-11-21 2019-05-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KR20180016456A (ko) * 2018-02-02 201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69217B1 (ko) * 2018-02-02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365B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390B1 (ko) 정수기
KR102201909B1 (ko) 스탠드
KR101637365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JP2018531103A6 (ja) 飲料生成マシン
JP2018531103A (ja) 飲料生成マシン
JP4802299B1 (ja)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5118694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のサーバートレイ
CN115108515A (zh) 灌装饮水机的水冷却盘
GB2455330A (en) Control of lid closure in a vessel of a liquid-heating appliance
WO2015159425A1 (ja) 台座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789334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090206106A1 (en) Purified water dispensing system
WO2006096146B1 (fr) Recipient pour boire
CN106551588A (zh) 一种防侧漏式杯子
CN103622551A (zh) 一种饮水机
CN108852010B (zh) 一种防止接水盒溢水的饮水机
KR101907820B1 (ko) 정수기
US20110174825A1 (en) Liquid storage system
CN210602168U (zh) 家用电器
KR20090094881A (ko) 벽걸이형 냉온수기
KR20190040948A (ko) 정수기
CN216569576U (zh) 缺水警报水箱及其家用电器
JP3233477U (ja) 容量を変えることができる濾筒及び濾筒を有する飲料容器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CN219126024U (zh) 一种一体化的直饮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11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07

Effective date: 201901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