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599U -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599U
KR980006599U KR2019960021023U KR19960021023U KR980006599U KR 980006599 U KR980006599 U KR 980006599U KR 2019960021023 U KR2019960021023 U KR 2019960021023U KR 19960021023 U KR19960021023 U KR 19960021023U KR 980006599 U KR980006599 U KR 9800065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bag
main body
ho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21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599U/ko
Publication of KR980006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599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진봉투가 정확히 장착될 경우 본체에 내장된 모터구동 회로와 사용전원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토록 하는 스위칭 구조를 갖도록 하여 집진봉투 미장착이나 오장착시 전기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이물질의 흡입에 따른 모터의 치명적인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봉투(41)의 헤드(42)를 제결하기 위해 슬릿으로 형성된 헤드체결부(100) 저면에 통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110)을 통해 스위칭수단(200)의 가동부재가 출몰가능토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수단(200)은 상기 체결부(100)의 통공(110)과 연통하도록 출몰공(211)이 상부에 형성된 함체형상의 케이스(210)를 청소기 본채(20)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는 상기 출몰공(211)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상면으로 돌설된 돌기부(221)를 갖고 하면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가동접점(222)이 저면되며, 그 양측으로 케이스(210) 저면과 일체로 탄설된 코일스프링(223)(224)이 구비된 가동부재(220)를 탄력적으로 설치하며 케이스(210) 저면에는 모터구동회로(70)와 상용전원(AC)에 연결된 고정접점(231)(232)이 상기 가동접점(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집진봉투(41)가 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223)(224)에 의해 이격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모터구동회로와 전원과의 전기적인 관계를 보인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집진봉투 체결부에 형성된 스위칭수단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스위칭수단을 보인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모터구동회로와 전원과 전기적인 관계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덮개 20 : 본체 30 : 흡입구 41 : 집진봉투
42 : 헤드 51 : 모터 100 : 헤드체결부 110 : 통공
200 : 스위칭수단 210 : 케이스 211 : 출몰공 220 : 가동부재
221 : 돌기부 222 : 가동접점 223,224 : 코일스프링
231,232 : 고정접점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오동작 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위치에 집진봉투를 오장착하거나 장착하지 않을 경우 모터구동회로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칭수단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집진봉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흡인력에 의해 발생된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제1도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덮개(10)와 본체(20)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0)전단에는 호스가 삽입되는 이물질 흡입구(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30) 후단에는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봉투(41)가 내장되는 집진실(40)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실(40) 후방에는 흡인력을 발생하는 모터(51)가 설치되어 집진봉투(41)로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봉투(41)는 집진실(40) 내부 전면에 구비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체결수단에 집진봉투(41)가 정확히 장착되지 않았거나 또는 미장착된 상태일 경우 덮개(10)와 본체(20)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지만 이는 전기적인 연결관계와 무관한 것으로 상기한 상태에서도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덮개(10)와 본체(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구(30)에 호스(60)를 삽착할 경우에도 제2도와 같이 본체 내부에 내장된 모터구동회로(70)와 호스(60)와의 접점(80)이 접속되므로 동작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호스(60)에 구비된 조절스위치(도면 생략)를 조작할 경우 모터(51)가 구동되면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흡입된 이물질중 일부는 집진봉투(41)에 집진되지 않고 집진실(40)을 경유하여 모터(51) 내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집진봉투(41)가 정확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터(51)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적인 연결이 가능할 경우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집진실로 유입되면서 모터에 치명적인 소손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또는 숏트가 발생하면서 화재에 대한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집진봉투가 정확히 장착될 경우 본체에 내장된 모터구동 회로와 상용전원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토록 하는 스위칭 구조를 갖도록 하여 집진봉투 미장착이나 오장착시 전기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이물질의 흡입에 따른 모터의 치명적인 소손을 방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진봉투의 장착시 회로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덮개와 본체로 형성되며 본체에 집진봉투를 체결하기 위한 상 ·하로 헤드체결부를 갖는 진공청소기의 집진봉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드체결부 저면에 집진봉투 체결여부에 따라 본체에 내장된 회로와 상용전원과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스위칭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저면 양측에 탄발부재가 구비되고 중앙에 가동접점이 형성되며 상부가 본체의 헤드체결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출몰가능한 돌기부를 갖는 가동부재와, 상기 탄발부재를 지지하고 본체의 모터구동회로와 상용전원이 각각 접속된 고정접점이 형성된 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집진봉투의 미체결시 또는 오장착시 가동부재가 통공으로 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모터구동 회로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호스에 구비된 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도 모터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 기술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첨부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봉투 체결구조를 보이기 위한 개략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상태도로써, 본 고안은 상 ·하부로 구획되는 본체(10)(20) 내부 전단에 이물질 흡입구(30)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30) 후단에는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해 설치되고 집진봉투(41)가 내장되는 집진실(40)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실(40) 후단에는 모터(51)가 내장되는 모터내장실(50)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30)와 집진실(40) 사이에는 집진봉투(41)를 장착하기 위해 상하로 체결부(11)(21)가 구비되고 흡입구(30)에는 호스(60)가 삽착되어 이물질을 집진봉투(41)로 유도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구성 제1도에 있어서, 집진봉투 체결부 구조를 변경하여 집진봉투 오장착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집진봉투(41)의 헤드(42)를 체결하기 위해 슬릿으로 형성된 헤드 체결부(100) 저면에 통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110)을 통해 스위칭수단(200)의 가동부재가 출몰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수단(200)은 상기 체결부(100)의 통공(110)과 연통하도록 출몰공(211)이 상부에 형성된 함체형상의 케이스(210)를 본체(20) 저면에 일체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는 상기 출몰공(211)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상면으로 돌설된 돌기부(221)를 갖고 하면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가동접점(222)이 접면되며, 그 양측으로 케이스(210) 저면과 일체로 탄설된 코일스프링(223)(224)이 구비된 가동부재(220)를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집진봉투(41)의 헤드(42)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220)가 승강하면서 모터구동회로(70)와 상용전원(AC)과 연결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시킨다.
또한 케이스(210) 저면에는 모터구동회로(70)와 상용전원(AC)에 연결된 고정접점(231)(232)이 상기 가동접점(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집진봉투(41)가 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223)(224)에 의해 이격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집진봉투 체결방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본체 집진실 저면에 사출형성된 헤드체결부(100)의 슬릿에 집진봉투(100)의 헤드(42) 하부를 삽입하고 상기 헤드(42) 상부를 상부에 구비된 헤드체결부(100)에 체결함으로써 집진봉투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집진봉투(41)의 헤드(42)가 헤드체결부(100)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4도와 같이 가동부재(220)이 가동접점(222)가 고정접점(231)(232)이 코일스프링(223)(224)의 탄발력에 의해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단락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집진봉투를 오장착한 상태에서 호스(60)를 흡입구(30)에 삽입하고 조절수위치를 조작하여도 제5도와 같이 본체에 내장된 모터구동회로(70)와 상용전원(AC)이 전기적으로 단락되기 때문에 모터(51)가 구동하지 않게 되며, 결국 이물질이 모터(51)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집진봉투를 장착하기 않았을 경우에도 모터구동회로(7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오장착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집진봉투를 헤드체결부(100)에 정확히 삽입하게 될 경우에는 가동부재(220)의 돌기부(221)가 집진봉투의 헤드(42)에 의해 압압되면서 가동부재(220) 하면에 구비된 가동접점(222)과 케이스(210) 저면에 구비된 고정접점(231)(2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모터구동회로(70)에 상용전원(AC)이 인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모터가 구동됨으로 인해 미장착이나 오장착시 모터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집진봉투가 정확히 체결될 경우 모터구동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헤드체결부에 스위칭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집진봉투가 잘못 장착되거나 또는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모터의 구동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모터에 이물질이 흡입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손이나 숏트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덮개와 본체로 형성되며 본체에 집진봉투를 체결하기 위한 상 ·하로 헤드체결부를 갖는 진공청소기의 집진봉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드체결부 저면에 집진봉투 체결여부에 따라 본체에 내장된 모터구동회로와 상용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스위칭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저면 양측에 탄발부재가 구비되고 중앙에 가동접점이 형성되며 상부가 본체의 헤드체결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출몰가능한 돌기부를 갖는 가동부재와, 상기 탄발부재를 지지하고 모터구동회로와 상용전원이 각각 접속된 고정접점이 형성된 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1023U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KR9800065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023U KR980006599U (ko)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023U KR980006599U (ko)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99U true KR980006599U (ko) 1998-04-30

Family

ID=5396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023U KR980006599U (ko)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659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1692A (en) Operating-condition indicator for vacuum cleaners
KR980006599U (ko)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KR101093763B1 (ko)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KR950008078B1 (ko) 공기 청정기
KR100357459B1 (ko)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US5920043A (en) Circuit breaker control device for a vacuum cleaners dust hopper
CN112611056B (zh) 一种滤网结构及空调器
US5925280A (en) Fuse housing for a microwave oven
JP2005279269A (ja) ミシン
KR200243428Y1 (ko) 착좌스위치를 가진 위생세정기
JPH0734747Y2 (ja) 自動車の室温検出用アスピレータ
CN215186708U (zh) 一种无线发射器
CN217236003U (zh) 饰板开启感应结构、水洗空调
JPS6012027A (ja) 電気掃除機
CN219868051U (zh) 一种助开系统及应用该系统的吸油烟机
JP4020526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5673421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10054948A (ko) 진공청소기의 안전장치
JP2570645Y2 (ja) 電気集塵機用スイッチ装置
EP1857033A2 (en) Vacuum cleaner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0170584B1 (ko) 진공청소기의 안전장치
KR200228666Y1 (ko) 공기조화기
KR200194410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장치용샤프트조립체의샤프트설치구조
KR930007942Y1 (ko) 전자식 타자기의 캐리지 0점 감지장치
CN117079994A (zh) 一种电路快速导通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