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294A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294A
KR980006294A KR1019970024007A KR19970024007A KR980006294A KR 980006294 A KR980006294 A KR 980006294A KR 1019970024007 A KR1019970024007 A KR 1019970024007A KR 19970024007 A KR19970024007 A KR 19970024007A KR 980006294 A KR980006294 A KR 98000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circuit
semiconductor memory
pairs
lin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819B1 (ko
Inventor
겐지 츠치다
유키히토 오오와키
가즈노리 오후치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조
Publication of KR9800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COB형 스택셀에 계층비트선방식을 채용해도 상층의 비트선(MBL)에서의 결합용량에 의한 간섭노이즈를 완전히 0으로 하기 위해,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메모리셀어레이와, 각 블록마다 설치된 복수의 SBL쌍, 분할된 블록의 복수에 대해서 배치되고, 동시에 SBL보다 윗층에 설치된 복수의 MBL쌍, MBL쌍마다 접속된 메모리셀정보를 검지·관리하기 위한 S/A회로 및, 블록마다 설치된 SBL쌍중 어느 하나를 MBL쌍으로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SSW회로를 구비한 DRAM에 있어서, SBL쌍 및 MBL쌍은 모두 반복형 비트선 구조를 갖추고, MBL쌍의 2조가 각각의 비트선쌍의 한쪽이 다른 비트선쌍의 사이에 배치된 구조를 형성하고, SSW회로는 SBL쌍중 선택된 메모리셀에 연결된 비트선쌍을 MBL쌍중 다른 MBL쌍 사이에 배치된 비트선에 접속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2도는 인접 MBL간의 간섭노이즈의 상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Claims (22)

  1.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메모리셀어레이와, 각각의 블록마다 설치된 복수의 제1비트선쌍, 상기 분할된 블록의 복수에 대해서 배치되고,동시에 제1비트선보다도 상층에 설치된 복수의 제2비트선쌍, 이 제2비트선쌍마다 접속되고, 메모리셀정보를 검지·증폭하기 위한 센스엠프회로 및, 상기 블록마다 설치된 제1비트선쌍중 어느 하나를 제2비트선쌍으로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선택회로를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비트선쌍은 모두 반복형 비트선구조를 갖추고, 사이 선택회로는 제1비트선쌍의 각 비트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제2비트선쌍의 한쪽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은 상기 제1비트선보다도 상부에 메모리셀캐패시터가 형성된 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회로는 분할된 블록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은 2조로 분할되고, 이 분할된 2조의 제2비트선쌍에서 상기 센스앰프회로를 공유하고, 동시에 이 분할된 2조의 제2비트선쌍마다 제2비트선을 임의의 프리차지전위로 유지하기 위한 이퀄라이즈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에 접속되는 센스앰프회로는 제2비트선쌍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은 하나 걸러 양단의 센스앰프회로에 마주보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어떤 어드레스가 입력된 경우에도 더욱 물리적으로인접한 특정 2개 걸러 제2비트선에 메모리셀데이터가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복수의 블록마다 제1비트선을 임의의 프리차지전위로 유지하기 위한 이퀄라이즈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의 프리차지동작을 상기 선택회로를 매개로 상기 블록마다 배치된 이퀄라이즈회로를 가지고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즈회로는 인접한 2개의 블록으로 공유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의 프리차지동작을 상기 선택회로를 매개로 상기 블록마다 배치된 이퀄라이즈회로를 가지고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12.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메모리셀어레이와, 각각의 블록마다 설치된 복수의 제1비트선쌍(하층비트선쌍), 상기 분할된 블록의 복수에 대해서 배치되고, 동시에 제1비트선쌍보다 상층에 설치된 복수의 제2비트선쌍, 이 제2비트선쌍마다 접속되고, 메모리셀정보를 검지·증폭하기 위한 센스엠프회로 및, 상기 블록마다 설치된 제1비트선쌍중 어느 하나를 제2비트선쌍으로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선택회로를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비트선쌍은 모두 반복형 비트선구조를 갖추고, 제2비트선쌍의 2조가 각각의 비트선쌍의 한쪽이 다른 비트선쌍의 사이에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선택회로는 제1비트선쌍중 선택된 메모리셀에 연결되는 비트선을 제2비트선쌍중의 다른 제2비트선쌍 사이에 배치된 비트선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은 상기 제1비트선보다도 상부에 메모리셀캐패시터가 형성된 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회로는 분할된 블록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은 2조로 분할되고, 이 분할된 2조의 제2비트선쌍에서 상기 센스앰프회로를 공유하고, 동시에 이 분할된 2조의 제2비트선쌍마다 제2비트선을 임의의 프리차지전위로 유지하기 위한 이퀄라이즈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에 접속되는 센스앰프회로는 제2비트선쌍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은 하나 걸러 양단의 샌스앰프회로에 마주보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어떤 어드레스가 입력된 경우에도, 더욱 물리적으로인접한 특정 2개 걸러 제2비트선에 메모리셀데이터가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복수의 블록마다 제1비트선을 임의의 프리차지전위로 유지하기 위한 이퀄라이즈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의 프리차지동작을 상기 선택회로를 매개로 상기 블록마다 배치된 이퀄라이즈회로를 가지고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즈회로는 인접한 2개의 블록으로 공유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트선쌍의 프리차지동작을 상기 선택회로를 매개로 상기 블록마다 배치된 이퀄라이즈회로를 가지고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회로.
KR1019970024007A 1996-06-11 1997-06-11 반도체기억장치 KR100288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9312A JPH09331032A (ja) 1996-06-11 1996-06-11 半導体記憶装置
JP96-149312 1996-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294A true KR980006294A (ko) 1998-03-30
KR100288819B1 KR100288819B1 (ko) 2001-06-01

Family

ID=1547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007A KR100288819B1 (ko) 1996-06-11 1997-06-11 반도체기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33380A (ko)
JP (1) JPH09331032A (ko)
KR (1) KR100288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125B1 (ko) * 1998-12-29 2001-03-02 김영환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장치
US6147919A (en) * 1998-06-29 2000-11-14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employing direct-type sense amplifiers capable of realizing high-speed access
KR100469151B1 (ko) * 2002-05-24 2005-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형성 방법
US8368137B2 (en) * 2007-06-26 2013-02-05 Sandisk Technologies Inc. Dual bit line metal layers for non-volatile memory
US8097504B2 (en) * 2007-06-26 2012-01-17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forming dual bit line metal layers for non-volatile memory
JP5814867B2 (ja) 2012-06-27 2015-11-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10957382B2 (en) * 2018-08-09 2021-03-23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assemblies comprising vertically-stacked memory array decks and folded digit line conn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8194A (ja) * 1984-08-15 1986-03-08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691280B2 (ja) * 1988-05-12 1997-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07114792A (ja) * 1993-10-19 1995-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672946B2 (ja) * 1993-11-30 2005-07-2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JP3474637B2 (ja) * 1994-06-22 2003-12-08 株式会社東芝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US5555203A (en) * 1993-12-28 1996-09-10 Kabushiki Kaisha Toshiba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256620B2 (ja) * 1993-12-28 2002-02-1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H07201170A (ja) * 1993-12-28 1995-08-04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331032A (ja) 1997-12-22
KR100288819B1 (ko) 2001-06-01
US5933380A (en) 199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171A (en) Semiconductor memory
KR930008008B1 (ko) 반도체 메모리셀
US511143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4800525A (en) Dual ended folded bit line arrangement and addressing scheme
US20100128546A1 (en) Embedded Memory Databus Architecture
US509744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ory arrays with improved peripheral circuit location and interconnection arrangement
US4888732A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open bit line architecture
US6711050B2 (en) Semiconductor memory
KR910003674A (ko) 반도체기억장치
KR950020732A (ko) 다이나믹 반도체 기억장치
US5014241A (en)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ced soft error rate
US7221580B1 (en) Memory gain cell
US4922453A (en) Bit line structure of dynamic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567329B2 (en) Multiple word-line accessing and accessor
KR980006294A (ko) 반도체 기억장치
CA2373460A1 (en) Improved multilevel dram
US5862072A (en) Memory arra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dynamic cell plate sensing
US5375097A (en) Segmented bus architecture for improving speed in integrated circuit memories
KR0179682B1 (ko)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
US6928012B2 (en) Bitline equalization system for a DRAM integrated circuit
JP3817409B2 (ja) 集積化メモリ
JPH11145426A (ja) Dram及びそのメモリセルアレイ
KR101446336B1 (ko) 리세스 타입의 밸런싱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EP0180054A2 (en) Dual ended adaptive folded bitline scheme
US20030206479A1 (en) High area efficient data line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