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77924A -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7924A
KR970077924A KR1019960019368A KR19960019368A KR970077924A KR 970077924 A KR970077924 A KR 970077924A KR 1019960019368 A KR1019960019368 A KR 1019960019368A KR 19960019368 A KR19960019368 A KR 19960019368A KR 970077924 A KR970077924 A KR 97007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ing element
pulse signal
juice
voltage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6763B1 (ko
Inventor
이경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763B1/ko
Priority to JP13124897A priority patent/JP3744648B2/ja
Priority to US08/864,686 priority patent/US5825103A/en
Priority to CN97112107A priority patent/CN1123963C/zh
Publication of KR97007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41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resonant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강압형 전원회로에서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회로는 AC 또는 DC 전압을 입력받아 DC 전압을 발생하는 DC 전압 발생부와, 일정한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아 그에 대응하는 듀티의 PWM 펄스를 출력하는 제어부, PWM 펄스의 듀티에 따라 입력되는 DC 전압을 강압하여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압 강압부로 구성되며, 제어부는 PWM 펄스를 시간지연하는 시간지연기와 PWM 펄스의 상승 에지에서 일정 시간의 트리거 펄스를 발생하는 트리거 펄스기를 구비하고, 시간 지연된 PWM 펄스와 트리거 펄스로 전압 강압부를 제어한다. 전압 강압부는 시간 지연된 PWM 펄스에 따라 스위칭되는 주스위칭소자와 트리거 펄스에 의해 주스위칭소자가 온(ON) 되기 직전에 일시 온(ON) 되는 부스위칭소자를 구비하여 주스위칭소자의 온(ON) 상태에서 전류를 0으로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며, 발열로 인한 냉각 시스템을 해소하여회로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종래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공진 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Claims (6)

  1. 교류(AC) 또는 직류(DC) 전압을 입력받아 직류(DC) 전압을 발생하는 DC 전압 발생부와, 일정한 출력 전압을 피드백받아 그에 대응하는 듀티의 펄스폭 변조(PWM)된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펄스 신호의 듀티에 따라 발생되는 직류(DC) 전압을 강압하여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는 전압 강압부로 구성되는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를 시간 지연하고, 시간 지연된 펄스 신호로 전압 강압부의 주스위칭 소자를 “온(ON)/오프(OFF)” 시키는 제 1 제어부 ; 상기 펄스 신호의 소정 에지에서 일정 시간의 트리거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주스위칭 소자가 “온(ON)” 되는 시점에서 부분 공진회로의 부스위칭 소자를 “온(ON)” 시키는 제 2 제어부 ; 상기 제 1 제어부의 시간 지연된 펄스 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주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주스위칭 소자가 “온(ON)” 상태에서 상기 발생된 직류(DC) 전압을 축적하고, “오프(OFF)”상태에서 축적된 직류(DC)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강압부 ; 및 상기 제 2 제어부의 트리거 펄스 신호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부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주스위칭 소자가 “온(ON)/오프(OFF)”로 스위칭될 때 상기 주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도록 상기 부스위칭 소자가 “온(ON)/오프(OFF)”되어 공진 전류를 발생하는 부분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부분 공진 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위칭 소자와 부스위칭 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공진 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된 펄스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하여 출력하는 시간 지연기 ; 및 상기 시간 지연된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주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제 1 FET 구동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공진 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된 펄스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일정 시간의 트리거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펄스발생기 ; 및 상기 트리거펄스신호에 따라 상기 부스위칭소자를 구동하는 제 2 FET 동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공진 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공진회로는 전류 방향 설정을 위한 복수 개의 다이오드 ; 상기 주스위칭 소자가 “오프(OFF)” 되는 시점에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공진 전류가 흘러 주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0”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직류(DC) 전압을 충전하는 공진용 콘덴서 ; 및 상기 주스위칭 소자가 “온(ON)” 되는 시점에 상기 부스위칭 소자가 “온(ON)”되고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공진 전류가 흘러 주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0”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공진용 콘덴서의 충전전압을 방진시키는 제 2 코일을 갖는 트랜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공진 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압부는 상기 주스위칭 소자의 “온(ON)/오프(OFF)” 상태에 따라 상기 발생된 직류(DC) 전압을 축적 또는 출력하고, 상기 주스위칭 소자가 “온(ON)” 되는 시점에서 상기 트랜스의 제 2 코일에 의해 충전전압이 방진되면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플라이 휠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시키는 트랜스의 제 1 코일 ; 상기 주스위칭 소자가 “오프(OFF)” 상태에서 도통되는 플라이 휠 다이오드 ; 및 상기 플라이휠 다이오드가 도통됨에 따라 상기 제 1 코일의 축적전압을 방전시키는 콘덴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공진방식의 전압 강압형 전원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9368A 1996-05-31 1996-05-31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KR0166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368A KR0166763B1 (ko) 1996-05-31 1996-05-31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JP13124897A JP3744648B2 (ja) 1996-05-31 1997-05-21 部分共振方式の電圧降圧型電源回路
US08/864,686 US5825103A (en) 1996-05-31 1997-05-28 Voltage-suppressed voltage source with partial resonance circuit
CN97112107A CN1123963C (zh) 1996-05-31 1997-05-28 使用局部谐振型的降压型电压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368A KR0166763B1 (ko) 1996-05-31 1996-05-31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924A true KR970077924A (ko) 1997-12-12
KR0166763B1 KR0166763B1 (ko) 1999-04-15

Family

ID=1946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368A KR0166763B1 (ko) 1996-05-31 1996-05-31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7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6763B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3062B2 (ja) パルス出力段に給電を行うための回路装置
JPH04364359A (ja) 同期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を備えた高効率パワーコンバータ
EP0102689A2 (en) Constant volt-second regulator apparatus
US117700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ulated hybrid converters
US200701264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power converters
US5245272A (en) Electronic control for series circuits
US7592852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driving circuits
US74005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KR970077924A (ko)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JP417256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3299356A (ja) 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H07307653A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
RU99112193A (ru) Резонанс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итания для возбуждения катушки
JPH061974B2 (ja) Dc−dc昇圧電源
KR950000287B1 (ko) 편향 주사 및 전원 스위칭 장치
JP4409076B2 (ja) 多出力同期整流式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739711A (en) Regulation circuit for bipolar voltage switching circuits having logic circuitry using a single error amplifier for regulation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voltages
JP3523902B2 (ja) 高圧電源装置
KR0181922B1 (ko) 하나의 피더블유엠 펄스에 의해 제어되는 부분공진방식의 전압강압형 전원회로
JP3445721B2 (ja) 正負パルス式高電圧電源
JP4433737B2 (ja) 電動機駆動回路
JP337545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246242B2 (ja) ゲートターンオフサイリスタのゲート駆動装置
JPH06105564A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KR950013321A (ko) 전자식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