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49820A -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49820A
KR970049820A KR1019960066834A KR19960066834A KR970049820A KR 970049820 A KR970049820 A KR 970049820A KR 1019960066834 A KR1019960066834 A KR 1019960066834A KR 19960066834 A KR19960066834 A KR 19960066834A KR 970049820 A KR970049820 A KR 97004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candidate image
local region
isoline
cont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4736B1 (ko
Inventor
주니찌 후나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7004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국소정보 추출부 (11) 는 화상이 분할되는 각 국소영역에 대해 복수개의 등선 후보화상을 추출한다. 제 1 등선 후보화상 선택부 (12) 는 각 국소영역에 대한 등선일 가능성이 높은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선택한다. 접속성 평가부 (13) 는 각 국소영역 사이에서 제 1 등선의 접속성을 평가한다. 클러스터부 (14) 는 접속성 평가부 (13) 의 평가결과에 해당하는 국소영역을 클러스터하며 국소영역군을 발생시킨다. 클러스터 평가부 (15) 는 등선 가능성이 높은 국소영역군인 초기 국소영역군을 판정한다. 등선화상 복원부 (16) 는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국소영역에 대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등선화상 복원부 (16) 는 등선의 추출결과로서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되지 않은 각 등선에 대한 최적 등선 후보화상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FINGERPRINT/PALMPRINT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의 일예의 블록도.
도 2 는 입력화상 (지문/장문 화상) 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 은 국소화상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의 구조의 또다른 일예의 개략 다이어그램.

Claims (17)

  1. 지문/장문 화상을 2 차원 국소영역으로 분할하며, 각 2 차원 국소부에서, 각 2 차원 국소영역으로부터의 등선을 나타내는 복수개의 등선 후보화상을 추출하는 국소정보 추출수단,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각 등선 후보화상에 대한 등선 가능성을 평가하며,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등선 후보화상으로부터 등선 가능성이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한 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선택하는 제 1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
    인접한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는 접속성 평가수단,
    상기 접속성 평가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이 높은 2 차원 국소영역을 클러스터하여 국소영역군을 발생시키는 클러스터수단,
    상기 클러스터 수단에 의해 발생된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에 대한 등선 가능성을 평가하며 등선 가능성이 높은 국소영역군을 초기 국소영역군으로서 판정하는 클러스터 평가수단, 및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등선화상으로서 출력하는 등선 복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지문/장문 화상으로부터 등선을 추출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한 개 이상으로 2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한 개 이상으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제 1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진폭이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을 제 1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한 개 이상으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다루며,
    상기 접속성 평가수단은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위상차,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피치차, 및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정현파의 2차원 국소영역 근처에 인접한 변의 화소값의 차 중 한 개 이상으로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평가수단은
    각 국소영역에 포함된 2 차원 국소영역의 수,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인접 2 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의 평가양의 합,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을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응하는 지문/장문 화상의 에너지 합으로 나눈 몫, 및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을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제 1 등선 후보화상 이외의 등선 후보화상에서 에너지가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 에너지 합으로 나눈 몫 중 한 개 이상에 따라 각 국소영역군에서의 등선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과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되지 않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복수개의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되지 않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등선 후보화상으로부터 접속성이 최대인 한 개의 등선 후보화상을 최적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선택하며,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최적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선택하는 최적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등선화상 복원부는 최적 등선 후보화상을 등선화상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순서대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순서대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제 1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진폭이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을 제 1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한 개 이상으로 2차원 정현파에 대응하 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접속성 평가수단은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위상차,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피치차, 및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정현파의 2차원 국소영역 근처에 인접하는 변의 화소값의 차 중 한개 이상으로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평가수단은
    각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2 차원 국소영역의 수,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인접 2 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의 평가된 양의 합,
    각 국소영역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을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응하는 지문/장문 화상의 에너지 합으로 나눈 몫, 및
    각 국소영역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을 각 국소영역에 대한 제 1 등선 후보화상 이외의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가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으로 나눈 몫 중 한 개 이상에 따라 각 국소영역군에서 등선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순서대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최적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은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2 차원 국소영역과 최소 거리순으로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되지 않은 2 차원 국소영역으로부터 최적 후보화상을 계속적으로 선택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되며 초기 국 소 영역군에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인접한 각2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 화상과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피치차, 위상차 및 상기 2 차원 국소영역의 경계 위치의 화소값의 차 중 한 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동선 후보화상이 선택된 각 2차원 국소영역에서의 각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과 동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피치차, 위상차 및 2차원 국소영역의 경계 위치의 화소값의 차 중 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등선 후보 화상이 선택된 각 2 차원 국소영역내의 각 등선 후보 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의 선택된 2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각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제 1 등선 후보화상과 각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의 평균과 피치차의 평균 중 한 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후보화상이 선택되어질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각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된 2 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각 2차원 국소영역의 최적 등선 후보화상과 각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형파의 방향차의 평균과 피치차의 평균 중 한 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후보화상이 선택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각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평가된 값에 따라 인접하거나 근처에 놓인 2 차원 국소영역의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여 접속성이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을 최적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성 평가수단 및 상기 클러스터 평가수단에 최적 등선 후보화상을 제 1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공급하며, 상기 접속성 평가수단, 상기 클러스터수단, 상기 클러스터 평가수단, 및 상기 최적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의 처리의 주기적인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한 개 이상으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대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제 1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진폭이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을 제 1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대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접속성 평가수단은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위상차,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피치차, 및
    각 인접 2 차원 국소영역에서 제 1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정현파의 상기 인접한 2 차원 국소영역끼리 접하는 변에 대한 화소값의 차 중 한 개 이상으로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평가수단은
    각 국소영역중에 포함된 2 차원 국소영역의 수,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인접 2 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의 평가양의 합,
    각 국소영역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을 각 국소영역군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응하는 지문/장문 화상의 에너지 합으로 나눈 몫, 및
    각 국소영역에 대한 각 2 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 1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을 각 국소영역에 대한 제 1 등선 이외의 등선 후보화상에서 에너지가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의 에너지 합으로 나눈 몫 중 한 개 이상에 따라 각 국소영역군에서 등선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정보 추출수단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에 대해 2 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행하며, 푸리에 변환 결과 평면상에서 피크 근처의 최대 진폭 및 최대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순서대로 2 차원 정현파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피크를 추출하며, 피크에 대응하는 2 차원 정현파를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다루며,
    상기 최적 등선 후보화상 선택수단은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2 차원 국소영역과 최소 거리에서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되지 않은 2 차원 국소영역으로부터 최적 후보화상을 계속적으로 선택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되며 초기 국 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2차원 국소영역에 인접한 각2차원 국소영역에서의 제1 등선 후보 화상과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피치차, 위상차 및 상기 2 차원 국소영역의 경계부분의 픽셀값의 차 중 한 개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등선 후보 화상이 선택되어질 각 2 차원 국소영역내의 각 등선 후보 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의 선택이 완료되고 최적 등성 후보화상이 선택된 각 2 차원 국소 영역에 인접한 각2차원 국소 영역에서의 최적 후보화상과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 피치차, 위상차 및 상기 2 차원 국소영역의 경계위치의 화소값의 차중 한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된 각 2 차 국소영역에서의 각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여,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된 2 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거리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각 초기 국소영역군에 포함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제 1 등선 후보화상과 각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의 평균과 피치차의 평균 중 한 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후보화상이 선택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각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최적 등선 후보화상이 선택되며 최적 등선 후보 화상이 선택된 2 차원 국소영역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최적 등선 후보화상과 각 등선 후보화상을 나타내는 2 차원 정현파의 방향차의 평균과 피치차의 평균 중 한 개 이상에 대응하여 최적 후보화상이 선택된 각 2 차원 국소영역의 각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며,
    평가된 값에 따라 인접하거나 근처에 놓인 2 차원 국소영역의 등선 후보화상의 접속성을 평가하여 최대 접속성이 최대인 등선 후보화상을 최적 등선 후보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66834A 1995-12-18 1996-12-17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KR10021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28690 1995-12-18
JP7328690A JP2739856B2 (ja) 1995-12-18 1995-12-18 指掌紋画像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820A true KR970049820A (ko) 1997-07-29
KR100214736B1 KR100214736B1 (ko) 1999-08-02

Family

ID=1821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834A KR100214736B1 (ko) 1995-12-18 1996-12-17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937082A (ko)
EP (1) EP0780780B1 (ko)
JP (1) JP2739856B2 (ko)
KR (1) KR100214736B1 (ko)
AU (1) AU708216B2 (ko)
CA (1) CA2192525C (ko)
DE (1) DE696201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348B1 (en) * 1997-10-20 2001-05-15 Fujitsu Limited Fingerprint registering apparatus, fingerprint identifying apparatus, and fingerprint identifying method
US6631211B1 (en) * 1999-07-08 2003-10-07 Perkinelmer Las, Inc. Interactive system for analyzing scatter plots
JP3725998B2 (ja) * 1999-10-14 2005-12-14 富士通株式会社 指紋照合装置及び照合方法
JP3558025B2 (ja) 2000-09-06 2004-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US7627145B2 (en) 2000-09-06 2009-12-01 Hitachi, Ltd.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6766040B1 (en) 2000-10-02 2004-07-20 Biometric Solu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enrolling and verifying a fingerprint
IL141389A0 (en) * 2001-02-12 2002-03-10 Weiss Golan A system and a method for person's identity authentication
JP4193163B2 (ja) * 2001-03-26 2008-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指掌紋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134522B2 (ja) 2001-03-26 2008-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指掌紋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2288642A (ja) * 2001-03-27 2002-10-04 Nec Corp 掌紋部位分割装置とその掌紋部位分割方法、及び掌紋部位分割プログラム
US6489149B1 (en) * 2001-03-29 2002-12-03 Pe Corporation (Ny) Isolated human NADPH oxidase,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said proteins, and uses thereof
JP2002304561A (ja) * 2001-04-03 2002-10-18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EP1288856A1 (de) * 2001-08-01 2003-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konstruktion ungültiger Bildwerte in einem aus Bildpunkten zusammengesetzten Bild
KR100432491B1 (ko) 2001-08-31 2004-05-22 (주)니트 젠 융선방향 모델을 이용한 지문 특징데이터 추출방법
GB2388457A (en) * 2002-05-09 2003-11-12 Central Research Lab Lt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JP4292837B2 (ja) * 2002-07-16 2009-07-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ターン特徴抽出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40057606A1 (en) * 2002-09-25 2004-03-25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Apparatus for capturing a palmprint image
US7466846B2 (en) 2002-09-25 2008-12-16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for analyzing a palm print for the identification of an individual using gabor analysis
US7496214B2 (en) 2002-09-25 2009-02-24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palm print identification
WO2004111919A1 (en) * 2003-06-12 2004-12-23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palm print identification
US7769206B2 (en) 2004-03-04 2010-08-03 Nec Corporation Finger/palm print image processing system and finger/palm print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50281438A1 (en) * 2004-06-21 2005-12-22 Zhang David D Palm print identification using palm line orientation
JP4569781B2 (ja) * 2004-07-22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4375308B2 (ja) * 2005-08-30 2009-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隆線方向抽出装置、隆線方向抽出方法、隆線方向抽出プログラム
JPWO2007088926A1 (ja) 2006-02-01 2009-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画像特徴抽出、および画像照合の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照合システム
ES2347687T3 (es) 2006-04-26 2010-11-03 Aware, Inc. Calidad y segmentacion de la vista previa de una huella dactilar.
CN100365646C (zh) * 2006-09-15 2008-01-30 哈尔滨工业大学 基于差分运算的高精度掌纹识别方法
WO2009093381A1 (ja) 2008-01-21 2009-07-30 Nec Corporation パターン照合システム、パターン照合方法およびパターン照合用プログラム
JP5440182B2 (ja) 2008-02-19 2014-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ターン照合装置、パターン照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61988B2 (ja) * 2008-03-25 2012-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隆線方向抽出装置および隆線方向抽出プログラムと隆線方向抽出方法
EP2500862B1 (en) 2009-11-10 2018-09-19 Nec Corporation Fake-finger determination device, fake-finger determination method and fake-finger determination program
JP5534411B2 (ja) 2010-01-20 2014-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WO2011108582A1 (ja) 2010-03-04 2011-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異物判定装置、異物判定方法および異物判定プログラム
US20110262013A1 (en) * 2010-04-21 2011-10-27 Harris Corporation Fingerprint matcher using iterative process and related methods
US8942439B2 (en) 2010-06-04 2015-01-27 Nec Corporation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program
US11373439B1 (en) 2013-03-14 2022-06-28 Telos Corporation Touchless fingerprint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US9710691B1 (en) * 2014-01-23 2017-07-18 Diamond Fortress Technologies, Inc. Touchless fingerprint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CN104392455B (zh) * 2014-12-09 2017-03-29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方向检测的在线掌纹有效区域快速分割方法
US10157306B2 (en) 2015-02-27 2018-12-18 Idex Asa Curve matching and prequalification
US10528789B2 (en) 2015-02-27 2020-01-07 Idex Asa Dynamic match statistics in pattern matching
US9940502B2 (en) * 2015-02-27 2018-04-10 Idex Asa Pre-match prediction for pattern testing
US10055661B2 (en) * 2015-03-24 2018-08-21 Intel Corporation Skin texture-based authentication
WO2016159052A1 (ja) * 2015-03-31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生体パターン情報処理装置、生体パター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776664S1 (en) * 2015-05-20 2017-01-17 Chaya Coleena Hendrick Smart card
JP6680812B2 (ja) * 2018-01-30 2020-04-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ーク画像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173A (ja) 1982-07-28 1984-0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指紋画像コ−ド化方法
US4547898A (en) * 1983-03-11 1985-10-15 Siemens Corporate Research & Support, Inc.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wo-dimensional connectivity of a prescribed binary variable associated with a surface
US4747147A (en) * 1985-09-03 1988-05-24 Sparrow Malcolm K Fingerprint recognition and retrieval system
ATE78353T1 (de) * 1986-05-07 1992-08-15 Brendan David Costell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eststellen der identitaet.
ES2161250T3 (es) * 1987-02-20 2001-12-01 Sagem Procedimientos para comparar huellas digitales.
JPH05746A (ja) * 1991-06-24 1993-01-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765335B2 (ja) 1992-01-07 199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隆線方向パターン平滑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57590B2 (ja) * 1992-08-06 2000-06-26 中央発條株式会社 個人識別装置
JPH07105370A (ja) * 1993-10-01 1995-04-21 Nippon Denki Security Syst Kk 指紋紋様分類方法
US5631971A (en) * 1994-05-24 1997-05-20 Sparrow; Malcolm K. Vector based topological fingerprint ma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80780A2 (en) 1997-06-25
EP0780780B1 (en) 2002-03-27
DE69620125D1 (de) 2002-05-02
AU7534996A (en) 1997-06-26
AU708216B2 (en) 1999-07-29
US6118891A (en) 2000-09-12
JP2739856B2 (ja) 1998-04-15
US5937082A (en) 1999-08-10
KR100214736B1 (ko) 1999-08-02
CA2192525A1 (en) 1997-06-19
JPH09167230A (ja) 1997-06-24
DE69620125T2 (de) 2002-07-18
EP0780780A3 (en) 1997-07-02
CA2192525C (en)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49820A (ko) 지문/장문 화상 처리장치
Hannad et al. Writer identification using texture descriptors of handwritten fragments
KR100540001B1 (ko) 지문·손금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EP0811946A3 (en) Image pre-processor for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KR20020076142A (ko) 지문/장문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N101010697A (zh) 图像处理系统
Shekar et al. Grid structured morphological pattern spectrum for off-line signature verification
JP2017027201A (ja) 文字切り出し装置、文字認識装置、および文字切り出し方法
Gupta et al. Non-deterministic approach to allay replay attack on iris biometric
Hu et al. Low quality fingerprint image enhancement based on Gabor filter
Hu et al. Offline signature verification using local features and decision trees
Chalechale et al. Line segment distribution of sketches for Persian signature recognition
Barrenechea et al. A low-cost FPGA-based embedded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matching system
Kumawat et al. Offline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invariant moments and curve let transform with combined SVM-HMM classifier
DK0483299T3 (da) Ekstrahering af billedmønstre
Palanikumar et al. Advanced palmprint recognition using unsharp masking and histogram equalization
CN115761713B (zh) 一种车牌识别方法、系统、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Sobhana Novel Approaches to Machine Recognition of Handwritten Tamil Documents
Sony et al. Latent Finger Print Matching using FFT and DCT
Misra et al. A review report on fingerprint image enhancement filter
Kolade et al. Fingerprint database optimization using watershed transformation algorithm
Farinella et al. A mobile application for braille to black conversion
Batista et al. A Multi-Hypothesis approach for Off-Line signature verification with HMMs
Fei et al. Fingerprint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by Region Decomposition
Alqadi et al. Fingerprint Matching Algorithm Based on Ridge Path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