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2219A -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2219A
KR970012219A KR1019960027872A KR19960027872A KR970012219A KR 970012219 A KR970012219 A KR 970012219A KR 1019960027872 A KR1019960027872 A KR 1019960027872A KR 19960027872 A KR19960027872 A KR 19960027872A KR 970012219 A KR970012219 A KR 97001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obtaining
vector
recogniz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4618B1 (ko
Inventor
가즈따가 야마사끼
Original Assignee
제프리 엘, 포맨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프리 엘, 포맨,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프리 엘, 포맨
Publication of KR97001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온라인으로 입력된 문자의 필기 순서이외의 정보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인식을 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온 라인으로 기입 영역 상에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온 라인으로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샘플링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으로부터 복수의 국소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와 각각의 국소 영역마다 특징 벡터를 구하는 단계와 각각의 특징 벡터의 기입 영역 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벡터열을 구하는 단계와, 벡터 열에 기초하여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

Description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서 인식 시스템(the handwriting-recognition system)의 블럭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서 인식 방법의 순서도,
제3도는 특징 벡터의 벡터 열을 구하는 점을 상술한 순서도, 제4도(a) 및(b)는 테블릿(tablet)의 기입 영역에 「と」가 입력된 경우의 점의 집합 및 국소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1)

  1.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영역에 존재하는 문자 또는 도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또는 도형에 있어서의 복수의 국소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국소 영역마다 특징 벡터를 구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특징 벡터를,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이 존재하는 영역 상의 상기 국소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순서에 따라 나열함으로써 상기 특징 벡터의 벡터열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열을 구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가 존재하는 평면 영역 상의 한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방향까지 각각의 상기 국소 영역의 위치 순서에 근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3. 온 라인으로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입 영역에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상기 문자 또는 도형으로부터 복수의 국소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국소 영역마다 특징 벡터를 구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특징 벡터의 상기 기입 영역 상의 배치에 기초한 상기 벡터 열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열을 구하는 단계는, 상기 기입 영역 상의 한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방향까지 상기 국소 영역이 배치된 순서에 근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방법.
  6. 온 라인으로 기입 영역 상에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으로부터 복수의 국소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국소 영역마다 특징 벡터를 구하는 단계; 온 라인으로 기입된 문자 또는 도형의 스트로크 순서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특징 벡터로 이루어지는 제1백터 열을 구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특징 벡터의 상기 기입 영역 상의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특징 벡터로 이루어지는 제2벡터 열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벡터 열 및 상기 제2벡터 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벡터 열을 구하는 단계는 상기 기입 영역 상의 한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방향까지 상기 국소 영역이 배치된 순서에 근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감춰진 마코브 모델법(a hidden markov model method) 또는 DP 매칭법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9. 기입 영역 상에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샘플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으로부터 복수의 국소영역을 결정하고, 각각의 상기 국소 영역마다 특징 벡터를 구하는 수단; 각각의 상기 특징 벡터의 상기 기입 영역상의 배치에 기초한 상기 벡터 열을 구하는 수단; 및 상기 벡터 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열을 구하는 수단은, 상기 기입 영역 상의 한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방향까지 상기 국소 영역이 배치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벡터 열을 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수단은, 감춰진 마코브 모델 또는 DP매칭을 이용한 인식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7872A 1995-08-24 1996-07-11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0204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16249A JPH0962787A (ja) 1995-08-24 1995-08-24 文字又は図形の認識方法及びシステム
JP95-216249 1995-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219A true KR970012219A (ko) 1997-03-29
KR100204618B1 KR100204618B1 (ko) 1999-06-15

Family

ID=1668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872A KR100204618B1 (ko) 1995-08-24 1996-07-11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62787A (ko)
KR (1) KR100204618B1 (ko)
CN (1) CN11003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772B1 (ja) 2001-05-22 2002-03-25 理世 野津 画像認識システム、認識管理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277A (en) * 1985-10-10 1991-10-22 Palantir Corporation Pattern classification means using feature vector regions preconstructed from referenc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62787A (ja) 1997-03-07
CN1100304C (zh) 2003-01-29
CN1145494A (zh) 1997-03-19
KR100204618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eger et al.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the NPen++ recognizer
JP2005228328A (ja) デジタルインク質疑検索装置及びその方法
JP3761937B2 (ja) パターン認識方法及び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制御装置
Sun et al. Convolutional multi-directional recurrent network for offline handwritten text recognition
Ray et al. Design of a nearest neighbour classifier system for bengali character recognition
Manke et al. A connectionist recognizer for on-line cursive handwriting recognition
Nakjai et al. Thai finger spelling localization and classification under complex background using a YOLO-based deep learning
Wazalwar et al. Multimodal Interface for deaf and dumb communication
KR970012219A (ko)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Jung et al. On-line recognition of cursive Korean characters using graph representation
Kosmala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rigraphs for large vocabulary cursive handwriting recognition
JPS62159291A (ja) 文章入力装置
KR970059977A (ko) 온라인 문자 인식 방법 및 온라인 문자 인식 장치
JPS592191A (ja) 手書き日本語文の認識処理方式
KR950020298A (ko) 한글필기체 온라인 문자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H05225399A (ja) 文書処理装置
Bhokse et al. Devnagari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ing dynamic time warping algorithm
JPH04115383A (ja)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装置の文字認識方式
KR950033945A (ko) 사전 등록 방법, 문자 인식 방법 및 문자 인식 장치
JP2989387B2 (ja) 入力文字処理装置における句点認識装置及び句点認識方法
Vikas et al. Sign Language Decoder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KR960042304A (ko)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JPH02114366A (ja) 漢字入力方式
JPH0576666B2 (ko)
JPS5668879A (en) Real-tim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