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516B1 -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11516B1 KR970011516B1 KR1019880013015A KR880013015A KR970011516B1 KR 970011516 B1 KR970011516 B1 KR 970011516B1 KR 1019880013015 A KR1019880013015 A KR 1019880013015A KR 880013015 A KR880013015 A KR 880013015A KR 970011516 B1 KR970011516 B1 KR 9700115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urnal
- hole
- circular
- slot
- belt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uckl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제2도는 제 1 도 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4A도와 제 4B도는 제 3 도에서 보인 장치에서 잠금장치 부분을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제5도는 제 3 도에 따른 장치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차체에 착설되었을 때에 원형통공부의 횡방향 축선을 통한 우측 반부분과 통공의 횡방향 축선을 통한 좌측 반부분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20 : 동체
21 : 기부50 : 벨트지지구
60 : 저어널61 : 헤드
62 : 동체63 : 단부
210 : 슬로트 212 : 원형통공부
본 고안은 육상차량, 특히 승용차용의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벨트를 수동조절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차체에 고정되게 착석할 수 있게 된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안전을 이유로 승용차의 시이트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안전벨트는 항공기나 육상차량에 구비된다.
육상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2점 또는 3점 고정식이 사용된다. 안전벨트가 3점 고정식인 경우 벨트는 복부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부벨트 부분과 멜빵형태로 이용자의 가슴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흉부벨트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안전벨트가 사용되는 경우, 흉부벨트 부분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차량과 시이트의 구조에 따라서 그 위치가 달라지고 사용자의 피로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어떤 경우에는 흉부벨트 부분이 사용자의 목 부분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심한 충돌이 있는 경우 안전벨트는 관성탐지기의 제어하에 움직이지 않는 반면에 승객의 몸이 급격히 전방으로 튀어나가면서 그의 목이 벨트에 걸리게 되므로서 이 벨트는 더 이상 안전수단으로서 이용되지 않고 오히려 흉기로 이용될 것이다. 실제로 일부 충돌의 경우, 안전벨트 특히 흉부벨트 부분에 의하여 목 부분을 심하게 다치는 경우를 볼수 있다.
따라서 차량 구조에 대한 탑승자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흉부벨트 부분의 상측 고정점 위치를 조절토록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미 여러가지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들은 주로 흉부벨트 부분의 상측 고정점이 탑승자의 평균신체조건에 비교하여 가장 보편적인 위치가 포함된 범위내의 여러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어떤 경우 자동화되기도 한 이들 장치는 매우 복잡하다.
이들은 주로 흉부벨트 부분의 상측 고정점 위치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스크류-너트형태의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형태로서는 고리와 걸이공을 이용하여 가동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게된 것도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는 고정구가 구비된 볼트로 구성되는 구조를 이용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모두 복잡하여 신뢰성이 떨어지고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제조 및 설치비용이 적게드는 구조로 차체에 고정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형태로서, 슬로트가 형성된 기부와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갖는 동체와 이 동체에 결합되어 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보강체가 구비되고 통공이 형성된 벨트지지구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기부와 고정부가 슬로트의 배면측에 요입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슬로트에는 적어도 양단에 부분적으로 원형을 이루는 원형통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직경은 슬로트의 폭보다 크고, 통공이 형성된 벨트지지구와 동체가 원형통공부의 크기보다 큰 헤드, 동체 및 고정 수단착설되는 단부로 구성된 저어널로 연결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저어널 동체의 단면은 그 전 길이를 통하여 원형통공부에 내접하는 비원형의 윤곽을 가지고 두개의 직교축을 가지는 바, 장축은 원형통공부의 직경과 거의 같고 단축은 슬로트의 폭과 거의 같으며, 이 저어널 동체는 평상시 그 장축이 슬로트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게 배향되며 단부에는 고정부재가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장치는 저어널의 하부가 요입부에 일치하여 놓이고, 저어널 동체가 동체를 관통하며 벨트지지구는 그 통공을 통하여 저어널에 결합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서 원형통공부에 결합된 저어널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제작되었을 때에 장축이 슬로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저어널이 벨트지지구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안전벨트와 이들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것만으로 제한할 것이다.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서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서 문제의 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첨부도면은 차체(10)에 결합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를 보인 것이다. 특히 문제의 차체는 4륜차량의 전후측 도어사이에 위치하는 중간기둥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대체로 동체(20), 벨트지지구(50), 저어널(60)과, 필요한 경우 커어버(170)로 구성된다.
차체(10)에는 개방부(11)와 통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기능에 대하여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안장의 발받침대("등자"라고도 함)형태인 동체(20)는 기부(21)와 두 고정부(22)로 구성된다. 각 고정부(22)는 기부에 대하여 수직이며 단부측에 턱(222)이 형성된 지부(221)로 구성된다.
동체의 이러한 말안장의 발받침형태의 구조로 기부(21)의 배면측에는 요입부(211)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21)에는 종방향 슬로트(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 원형통공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통공부(212)는 부분적으로 원형이며 이들의 직경은 슬로트(210)의 폭보다 크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로트 양단에 두개의 원형통공부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체의 길이와 필요에 따라서 중간에 동일간격으로 중간 원형통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지지구(50)는 통공(52)이 형성된 프레임(51)으로 구성되고 보강체가(53)가 매입되어 있다. 벨트(도시하지 않았음)가 관통되어 연결되는 통로(54)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다. 벨트는 이 통로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벨트지지구(50)는 저어널(60)로 동체(20)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어널(60)은 헤드(61), 동체(62) 및 단부(63)로 구성되고 고정수단과 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원형디스크형태인 헤드(61)는 그 직경이 원형통공부(212)보다 커서 요입부(211)에 결합시 슬로트(210)를 빠져나올 수 없게 되어 있다.
저어널 동체(62)는 그 단면이 원형통공부에 내접하는 비원형의 윤곽을 가지며 두 직교축선을 갖는 바, 장축은 원형통공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고 단축은 슬로트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예를들어서, 이 저어널 동체는 원형통인데 양축에 평면부(621)가 형성된 형태인 것이다.
단부(63)에는 예를들어 너트(632)가 결합되는 나선부(631)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부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이들 고정부재는 저어널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저어널에 결합되어 고정부재가 이 저어널의 종축선을 따라서 경사질때에 저어널이 회전된다.
동체(20), 벨트지지구(50) 및 저어널(60)을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립된다.
제 1 도는 예를들어 중력의 효과로 벨트지지구가 수직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보인 것인바, 저어널 동체의 장축이 슬로트의 종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한편으로 저어널 헤드와 동체의 주어진 상대적인 크기와, 다른 한편으로는 원형통공부와 기부의 슬로트에 주어진 상대적인 크기 때문에 벨트지지구가 수직위치로 놓여있는 경우 저어널은 한 원형통공부내에 갇혀 있게 되고 이 원형통공부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로트의 종축선에 대하여 저어널 동체의 장축선의 경사정도에 따라서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될것이다. 따라서 저어널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회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면 저어널 동체의 횡방향 장축은 슬로트의 장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될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저어널이 슬로트로 이동될 수 있어 결합되어 있던 원형통공부를 벗어나 다른 원형통공부에 이르를 수 있고 벨트지지구를 수직상태로 놓으면 이 원형통공부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벨트지지구와 일체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통공(52)은 비원형 단면의 윤곽을 갖는 저어널 동체(62)에 일치하는 윤곽(521)을 갖는다. 따라서 벨트지지구(50)가 저어널 동체(62)에 결합되어 너트(632)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 벨트지지구가 확고하게 고정되며 이를 일측위치로부터 타측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 이 벨트지지구를 제 1 도에서 화살표(F)방향으로 경사지게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는 대신에 저어널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게 벨트지지구를 착설할 수 있으며 저어널의 단부에 도시된 육각너트(632) 대신에 나비너트로 대체한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대적인 크기는 경사운동과 횡방향 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동체(20)는 금속으로 되어 있고 벨트지지구(50)는 금속보강체가 매입된 합성수지 성형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에 착설되는 것으로, 고정부의 턱(222)은 그 하나가 차체의 개방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의 턱(222)은 이에 통공이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통공(12)에 일치시켜 볼트(부호를 붙이지 않음)로 결합된다.
필요한 경우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커어버(170)가 씌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저어널(60)이 사전에 결합된 동체(20)를 먼저 차체(10)에 고정하고 커어버를 씌우며, 벨트지지구를 결합한 다음 고정수단을 결합시킨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슬로트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두개의 원형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원형통공부를 슬로트의 중간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는 안전벨트를 수동조절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최소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또한 기능이 단순하면서 신뢰가능하고 제작 및 조립경비가 적게 소요되는 본 발명의 최대 잇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도 작동상의 문제점은 있다.
실제로 슬로트가 그 전 길이를 통하여 대부분 노출되므로 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벨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저어널을 이동시키는 것에 장애가 된다. 아울러 아이들이 이에 열쇠나 다른 물건들을 집어넣어 아주 못쓰게 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제 3 도,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보인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제 5 도의 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체(10)는 양측이 상호 결합되어 내측에 이들의 요입부분이 대향되게 한 두개의 "U"자형 빔으로 구성되는 속이 비어 있는 기둥의 형태를 취한다. 금속판을 프레스하여 기계적으로 용접하여 얻는 이러한 기둥은 차량 제조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이 다른 실시형태는 동체(20), 스페이서(30), 보호장치(40), 벨트지지구(50), 저어널(60)과 잠금장치(70)로 구성된다.
이들 각 부품은 다음과 같다.
특히 제 3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차체(10)의 한 빔에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개방부(11)와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동체(20)는 일반적으로 말안장의 발받침형태이고 변부측에서 두개의 고정부(22)를 갖는 기부(21)로 구성된다.
기부(21)에는 종방향 슬로트(2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통공(2110)과 적어도 두개의 원형통공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통공(2110)과 원형통공부(212)는 원형이며 크기가 서로 상이한 바, 통공(2110)이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이유로 원형통공부(212) 보다는 크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부(22)는 기부(21)에 대하여 수직이고, 단부에는 기부의 평면에 평행한 턱(222)이 형성된 지부(221)를 갖는다. 말안장의 발받침대형태이므로 요입부(211)가 고정부(22)의 일측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서 돌출된 부분, 즉 반대측 부분이 슬로트(210)에 일치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두개의 원형통공부(212)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동체의 길이와 이에 형성된 슬로트의 길이에 따라서 두 슬로트의 양단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다른 원형통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페이서(30)는 판체(32)에 형성된 베드(31)로 구성된다.
판체(32)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베드(31)는 개방부(11)에 약간 여유를 두고 맞는 형태의 윤곽을 가지면 판체(32)를 차체(10)에 결합시 베드(31)는 제 5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동체(20)에 결합된다.
베드(31)에는 동체(20)의 슬로트(210)와 원형통공부(212)와 동일한 크기와 상대적인 구조를 갖는 슬로트(310)와 원형통공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드에는 판체(32)의 대향측에 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11)는 통공(2110)에 유동없이 결합되며 제 5 도의 좌측부분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체(20)의 대향면측으로는 돌출되지 않고, 베드(31)측으로의 돌출부(311)는 동체(20)의 두께와 거의 같다.
또한 이 베드(31)와 판체(32)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삽입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삽입부는 잠금장치(70)의 일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호장치(40)를 갖는다.
이 보호장치는 스페이서(30)에, 특히 베드(31)에 절결부(41)로 구성된다. 판체(32)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이 절결부(41)는 베드(31)를 통하여 슬로트(310)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윤곽상에 나타나는 절결부(41)와, 제 3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슬로트(310)의 장측부측으로 개방된 측방향 요구(412)로 구성된다.
또한 이 보호장치는 약간 굽힘성이 있고 탄성이 있어 일시적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통공(420)과 절결구(412)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42)으로 구성된다. 평상시 이 스트립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절결부(41)에 결합된다. 이 스트립의 길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이유로 베드(31)의 길이에 두배가 된다. 통공(420)은 저어널(60)은 동체(62)가 삽입되도록 한 것이며 이 저어널 동체가 통공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스트립(42)은 예를들어 금속리본 또는 상표명 "mylay"로 알려진 형태의 폴리에틸렌 그리콜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제 밴드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벨트지지구(50)를 갖는다. 언급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벨트지지구(50)는 벨트(도시하지 않았음)의 방향을 변경시켜 흉부벨트 부분이 벨트권취장치축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가이드이다. 가이드 대신에 이 벨트지지구는 이 벨트지지구에서 벨트가 활동하게 하는 대신에 이동되지 않게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벨트지지구(50)는 프레임(51), 고정용 통공(52), 보강체(53)와 벨트통로(54)로 구성된다. 벨트(도시하지 않았음)는 공지된 바와 같이 통로(54)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벨트지지구(50)는 예를들어 금속보강체(53)가 매입된 합성수지성형물 프레임(51)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저어널(60)을 갖는다.
이 저어널은 헤드(61), 동체(62) 및 단부(63)로 구성된다. 헤드(61)는 디스크 형태이고 그 직경은 동체의 통공(2110)에 비교적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이나 저어널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원형통공부(212)(312)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 크기이다.
비원형 단면의 저어널 동체(62)는 상이한 길이의 두 직교축선을 갖는바, 한편으로는 동체가 원형통공부(212)(312)에 자유롭게 회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장축이 슬로트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놓일 때에 슬로트(210)(310)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단축이 슬로트(210)(310)의 폭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 저어널 동체(62)는 원통형으로서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두 평면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63)에는 함께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너트(632)와 와샤(633)가 결합되는 나선부(631)가 형성되어 있다.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상에는 탄력적으로 캡이 씌어진다. 이러한 캡(부호를 붙이지 않음)이 제 5 도의 우측에 반부분과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나 래치(latch)(73)와 키퍼(keeper)(74)로 구성되는 잠금장치(70)를 갖는 것이 좋다.
키퍼(74)는 스트립과 결합되며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트립의 종방향 변부를 따라 절결된 절결구(421)로 구성된다.
래치(73)는 스페이서(30)와 결합되며 측삽입부(35)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제 4 도 참조). 이 래치(73)는 연결부(731)로 베드(32)에 연결된 캐치(730)로 구성되고, 이 캐치(730)는 절결구(421)에 결합되는 돌기(732)와 차체(10)에 안치되어 접하게 된 멈춤돌기(733)를 갖는다(제4B도 참조).
캐치(730)는 돌기(732)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립의 절결구(421)에 결합되는 작용위치(제4A도)와, 스트립의 절결구로부터 분리되어 스트립을 해제하기 위하여 멈춤돌기가 차체에 안치되게 접할때에 절결부(41)내로 삽입되는 비작용 위치(제4B도)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30)는 차체(10)의 통공(12)에 결합되는 고정부(320)를 갖는다. 예를들어 이 고정부는 제 3 도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바와 같이 원추형 헤드가 단부에 형성된 분할핀으로 구성되는 탄성 스냅형 봉체로 구성된다.
또한 저어널(60)은 이에 고정수단이 삽입되고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이 고정수단이 회전가능하게 하므로서 슬로트(210)(310)내에서 일측 원형통공부(212)로부터 타측 원형통공부(312) 또는 그 반대로 활동가능하게 하여 벨트지지구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벨트지지구(50)의 고정용 통공(52)은 이를 저어널의 동체(62)에 삽입토록 되어 있다. 이 통공(52)의 윤곽은 저어널 동체(62)의 윤곽과 일치하여 벨트지지구를 결합시켰을 때에 저어널이 이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벨트지지구 자체가 고정부재로서 작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벨트지지구가 저어널에 느슨히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용 통공의 윤곽은 저어널 동체 또는 그 단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토록 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너트(632) 대신에 고정부재로서 작용하는 나비너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캡이 이에 적당히 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들어 분리가능하고 동체(20)에 독립하여 구비된 구조물에 취부고정되는 부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로 조립되는 독립된 단위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페이서(30), 저어널(60), 벨트지지구(50), 보호장치(40) 및 고정수단과 고정부재가 함께 결합된다.
동체(20)는 제 5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기둥내에 배치되어 스폿트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차체(10)에 결합된다.
동체(20)와 차체(10)의 상대적인 위치선정은 개방부(11)와 슬로트(210)가 상호 일치되도록 하여 스페이서(30)가 차체에 배치되고 베드(31)가 개방부(11)내에 결합될 때에, 슬로트(310), 돌출부(311) 및 스페이서(30)의 원형통공부(312)가 곧바로 정렬되어 슬로트(210), 통공(2110) 및 동체(20)의 원형통공부(212)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체에 고정된 동체는 특히 방식처리나 최종도색 처리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체(20)는 차체의 외부로 보이거나 돌출되는 부분은 없다. 따라서 이 동체(20)가 어떤 경우든지 장애가 되지는 않는다.
특히 스페이서(30), 벨트지지구(50), 저어널(60) 및 보호장치(40)로 구성되는 단위장치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다음 공정이 적용된다.
스트립(42)은 일측 출구(411)를 통하여 스트립을 삽입하므로서 절결부(41)에 결합되며, 절결구(421)가 잠금장치(70)의 돌출부(732)와 결합될 때까지 활동된다.
절결구(421)와 스트립(42)에 형성된 통공(420)의 상대적인 위치는 스트립이 잠금장치(70)에 의하여 움직이지 못할 때에 통공(420)이 돌출부(311)에 맞추어진다.
그리고 저어널(60)은 그 동체(60)의 장축이 슬로트(310)에 평행하게 되도록 하고, 또한 그 헤드(61)가 돌출부(311)에 대하여 안치되어 놓일때까지 스트립의 통공(420)을 통하여 관통되도록 적당히 방향을 잡아 결합시킨다.
필요한 경우 벨트지지구(50)에 이어서 와샤(633)를 끼우고 벨트지지구(50)는 그 고정용 통공(52)이 동체(62)에 정확히 결합되게 한 다음 너트(632)를 단부(63)의 나선부에 결합시켜 조립체 전체가 움직이지 않게 조인다.
저어널 동체(62)의 크기는 너트가 정상적으로 조여졌을때에 축방향 유동이 없도록 선택된다. 이를 위하여 와샤(633)는 예를들어 탄성의 와샤가 좋다.
저어널에 벨트지지구와 너트를 결합하기전에 벨트지지구에 실제 벨트를 연결하고 와샤(633)는 저어널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선택하여 이와 같이하여 연결된 부품들이 상호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위험없이 함께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였을 때에 특히 저어널이 제4A도의 위치에 놓인 잠금장치(70)의 작용의 결과로 그 헤드(61)가 돌출부(311)에 대하여 접하는 위치에 놓이므로 단위조립체의 부품은 상호 움직이지 않게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위조립체는 개방부(11)에 베드(31)를 결합하여 완전한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스트립(42)의 단부를 개방부(11)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출구(411)로부터 돌출된 스트립의 단부를 만곡시킨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진 다음에 고정부(320)를 통공(12)에 결합시킨다. 만약 전체 조립체가 모두 가압되면 판체(32)는 차체(10)에 안치되게 접하게 되고 고정부가 탄삽되어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동시에 캐치(730)의 스테이(733)는 차체에 접촉하게 되고 캐치가 제4A도의 위치를 벗어나도록 그 연결부(731)에 의하여 경사져 제4B도에서 보인 위치에 놓이게 되며, 돌출부(732)는 절결구(421)로부터 분리되고 스트립(42)이 해제된다. 스트립과 이에 관련된 모든 부분은 저어널과 특히 그 동체가 슬로트에 대하여 적당한 방향으로 맞추어져 있다면 슬로트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사전조립된 단위조립체 또는 단위장치가 이렇게 하여 차체에 고정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잠금장치(70)는 제4A도의 작용위치를 지나 제4B도의 비작용위치에 이른다. 따라서 잠금장치(70)는 작용하지 않게 되며, 스트립(42)이 더 이상 고정되지 않으므로 고정수단, 즉 이 실시형태에서 벨트지지구(50)가 고정되어 일측원형통공부 또는 타측 원형통공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에 저어널은 슬로트내에서 활동하며 이 저어널이 일측 또는 타측의 원형통공부에 이르렀을 때에 경사지게 되며 그렇지 않으면 자체가 중력의 작용하에 있거나 벨트의 장력에 의하여 경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었을 때에 그 장축은 슬로트의 축선에 대하여 일렬로 정렬되지 않으며 저어널이 원형통공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저어널이 어떤 각도로 회전되면, 저어널 동체(62)가 원형통공부내에 그대로 놓이고 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만약 벨트지지구가 다른 원형통공부에 놓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역순으로 반복하여 행한다. 즉 저어널의 장축을 다시 슬로트(8)의 축선에 대하여 정렬시킨 다름 조립체 전체를 이동시키고 저어널이 다른 원형통공부에 이르렀을때에 어떤 각도로 회전시켜 이 원형통공부내에서 다시 고정되게 하면 된다.
돌출부(311)의 크기는 스페이서(30)가 최종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이 돌출부가 동체(2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정도로 되어 있으며, 헤드(61)는 방해없이 동체의 요입부(211)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동성이 양호하도록 하고 활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과 금속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적당한 위치에 감마용 와샤가 배설된다. 이러한 의사가 헤드(61)와 기부(21)사이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테프론"으로 알려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만들어지거나 이로써 코팅된 와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구비되는 보호장치(40) 또는 잠금장치(70)는 곡 필요한 것이 아니고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만약 잠금장치(70)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헤드(61)가 통공(2110)에 일치되도록 하는 저어널이 시행착오를 거쳐 제자리를 잡게되므로 조립이 약간은 어려운 점이 있다. 고정과정 역시 신속치 못하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보호장치(40)도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만약 이를 생략한다면 어느 정도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불편한 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큰 유용성과 이로써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잇점은 최종조립이 생산라인에서 "눈 감고도"행하여질 수 있고 장치의 부분들이 로버트 또는 자동장치에 의하여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부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위장치의 형태로 구성되고 연결되는 점이다.
스페이서가 차체에 고정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판체(32)의 각 모서리 부근에 배치하여 고정하는 대신에 예를들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팝(POP)"형 리벳트로 알려진 형태의 리벳트가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연결부(731)에서 약간의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적당한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조되어 차체에 최종적으로 착설되기전에 캐치가 제4A도에서 보인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품은 힘을 받지 않으므로 고정용으로만 이용된다. 만약 안전벨트가 급격한 감속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벨트에 의하여 벨트지지구에 전달된 모든 힘은 벨트지지구를 통하여 다시 저어널에 전달되며, 이 저어널의 헤드는 언제나 동체(2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게됨을 알 수 있다. 이 동체(20)는 차체에 전달되는 큰 힘을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품질과 크기로 된 비교적 두꺼운 금속시이트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한편으로는 저어널(60)의 헤드와 동체에 주어진 상대적인 크기와 다른 한편으로 스페이서(30)와 동체(20)의 원형통공부, 슬로트 및 통공에 주어진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서, 벨트지지구가 그 정상위치에 놓여있을 때에는 벨트지지구가 하나의 원형통공부에 갇혀있게 되고 분리됨이 없이 슬로트의 종축선에 대한 저어널 동체의 장축의 경사정도에 따라 특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저어널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회전될 때에 저어널 동체의 장축은 슬로트의 장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될 수 있으며 이때에 저어널이 결합되어 있던 원형통공부를 벗어나 다른 원형통공부에 이를 수 있고 이 원형통공부에서 정상위치로 방향이 맞추어지면 그 위치에서 고정될 것이다.
상대적인 크기는 경사운동 및 병진운동을 용이하게 함이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 특히 제 3 도, 제 4 도 및 제 5 도의 실시형태에 의하여 제공된 안전성은 한층 개선될 수 있다.
실제로 사고가 있는 경우 벨트에는 강한 견인력이 가하여져 저어널(60)에 전달되고 이 저어널의 헤드(61)는 이 힘을 동체(20)에 전달하게 된다. 만약 이 힘이 일정한 크기에 이르거나 이를 초과한다면 동체(20)가 변형되어 저어널의 헤드(61)가 이탈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로트(210)의 변부에는 헤드측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구비되며, 이들 돌출편은 예를들어 기부(21)를 지부(221)의 반대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만곡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부(21)는 저어널(60)의 헤드(61)측으로 원형통공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원호 형태의 보강형상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보강부분은 프레스하여 얻어질 수 있는 저어널 헤드에 대한 양호한 지지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동체(20)의 지부(221)에는 이 동체의 외측을 향하는 접시형태의 프레스된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원형통공부(212)에 일치하는 각 지부(221)에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그 건고성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들 돌출편과 보강부분의 높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저어널(60)의 동체(62), 필요한 경우 스페이서(30)의 돌출부(311)의 길이를 상기 부분의 높이에 맞추어 증가시킬 수 있다.
이들 부가적인 구성에 따라서, 큰 힘이 저어널 헤드를 통해 동체에 가하여진다하여도 동체는 차체(10)의 방향으로 변형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중에 동체(20)의 기부(21)는 턱(222)에 대한 지부(221)의 연결선을 따라서 만곡되어 차체에 근접하게 되며 슬로트(210)의 종축선을 향하여 경사지게 되는 돌출편은 이들 돌출편이 이들의 단부에 접하여 있는 헤드(61)에 의하여 저어널 동체(62)에 대하여 가압되므로 저어널(60)의 동체(62)측으로 만곡되어 고정될 것이다. 따라서 헤드(61)가 원형통공부(2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이들 부가적인 구성의 특징은 "자기폐쇄형" 구조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구조적인 단순성과 안전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7)
- 차체(10)에 고정되는 형태로서 슬로트(210)가 형성된 기부(21)와 차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2)를 갖는 동체(20)와, 이 동체(20)에 결합되어 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벨트지지구(50)로 구성되고, 동체의 기부(21)와 고정부(22)가 슬로트(210)의 배면측에 요입부(211)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슬로트(210)에는 적어도 양단에 부분적으로 원형을 이루는 원형통공부(2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은 슬로트(210)의 폭보다 크며, 통공(52)이 형성된 벨트지지구(50)와 동체(20)가 원형통공부의 크기보다 큰 헤드(61), 동체(62) 및 고정수단(631,622)이 착설되는 단부(63)로 구성된 저어널(60)로 연결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에 있어서, 저어널 동체의 단면은 그 전길이를 통하여 원형통공부에 내접하는 비원형의 윤곽을 가지고 두개의 직교축을 가지는 바, 장축은 원형통공부의 직경과 거의 같고 단축은 슬로트(210)의 폭과 거의 같으며 이 저어널 동체는 평상시 그 장축이 슬로트(210)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게 배향되고 단부(63)에는 고정부재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저어널(60)은 헤드(61)에 요입부(211)에 일치하여 놓이고 저어널 동체(62)가 동체(60)를 관통하여, 벨트지지구(50)는 그 통공(52)을 통하여 저어널에 결합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서 원형통공부(212)에 결합된 저어널(60)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경사지게 되어 있고 장축이 슬로트(210)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저어널(60)이 벨트지지구(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동체(20)가 말안장의 발받침대형태로 고정부(22)가 기부(21)에 대하여 수직이고 단부에 턱(222)이 형성된 지부(221)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저어널 동체(62)가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두 평민부(621)를 갖는 원통형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벨트지지구(50)의 통공(52)이 저어널 동체(62)의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521)을 가지므로서 벨트지지구(50)가 저어널(60)과 함께 회전하며 고정부재로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단부(63)의 나선부(631)와 너트(6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벨트지지구(50)에 벨트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통로(54)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항-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10)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슬로트(210)는 연속된 원형통공부(212)에 부가하여 통공(2110)을 가지며, 그 크기는 저어널 헤드(6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이 헤드의 크기와 적어도 동일하고, 또한 이 장치는 베드(31)가 형성된 판체(32)로 구성되는 스페이서(30)를 가지며 베드(31)의 크기는 개방부(11)내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며 슬로트(310)와 동체의 원형통공부와 일치하는 원형통공부(312)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통공(2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통공(2110)과 거의 같으며, 스페이서(30)는 그 판체(32)가 차체(10)에 대하여 안치되어 놓이고 그 베드(31)가 개방부(11)에 결합되므로서 동체(20)와 스페이서(30)의 슬로트와 원형통공부가 각각 상호 일치하고, 돌출부(311)가 통공(2110)내에 놓일 수 있게 배설되며, 저어널(60)은 그 헤드(61)가 대향측 요입부(211)에 놓이고 동체(62)가 차체(10)를 관통할 수 있게 배치되고, 동체(20), 스페이서(30) 및 벨트지지구(50)가 통공(52)을 통하여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므로서 원형통공부(213,312)에 결합된 저어널(60)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경사질 수 있게 될 때에 장측이 슬로트(210,310)에 평행하게 되어 이를 통하여 벨트지지구(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동체(20)가 차체(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적어도 스페이서(30), 저어널(60) 및 벨트지지구(50)가 차체(10)에 부착되는 독립된 단위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단위장치(30,60)가 동체(20)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차체(10)에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벨트지지구(50)의 통공(52)이 동체(62)의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521)을 가지므로서 벨트지지구(50)가 저어널(60)과 함께 회전하고 고정부재로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스페이서(30)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보호장치(40)가 판체(32)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슬로트(310)측으로 베드(31)의 윤곽을 따라서 개방된 절결부(41)가 형성된 스페이서(30)와 절결부(41)내에 활동가능하게 착설되고 저어널(60)의 동체(62)가 자유롭게 지날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가 적어도 베드(31)의 길이에 두배가 되는 스트립(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2항에 있어서, 이 장치가 스페이서(30)와 결합된 래치(73)와 스트립(42)와 결합된 키퍼(74)를 갖는 잠금장치(70)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3항에 있어서, 래치(73)가 연결부(731), 돌출부(732) 및 멈춤돌기(733)를 가지며, 스페이서(30)를 가지며 스페이서(30)에 대하여 스트립(42)을 고정시키는 작용위치와 스트립(42)과 스페이서(3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비작용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캐치(7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이 장치가 차체(10)의 정위치에 스페이서(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20)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고정부(320)가 차체(10)에 형성된 통공(12)에 결합되는 저어도 하나의 탄성스냅봉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저어널(60)의 헤드(61)가 삽입되는 측에서 슬로트(210)의 변부를 향하여 기부(21)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원형통공부(212)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보강형태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8713866 | 1987-10-07 | ||
FR8713866A FR2621545B1 (fr) | 1987-10-07 | 1987-10-07 | Dispositif de maintien pour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a reglage manuel de la position |
FR888801599A FR2626826B2 (fr) | 1987-10-07 | 1988-02-10 | Dispositif de maintien pour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a reglage manuel de la position |
FR8801599 | 1988-02-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6457A KR890006457A (ko) | 1989-06-13 |
KR970011516B1 true KR970011516B1 (ko) | 1997-07-11 |
Family
ID=2622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3015A KR970011516B1 (ko) | 1987-10-07 | 1988-10-06 |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4938914A (ko) |
EP (1) | EP0311509B1 (ko) |
JP (1) | JPH01212644A (ko) |
KR (1) | KR970011516B1 (ko) |
DE (1) | DE3873468T2 (ko) |
ES (1) | ES2034328T3 (ko) |
FR (1) | FR2626826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38689B1 (fr) * | 1988-11-04 | 1991-01-25 |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 Mecanisme pour ceinture de securite a position reglable manuellement |
JP2832067B2 (ja) * | 1990-05-16 | 1998-12-02 | タカタ株式会社 | シートベルト用スリップアンカー |
US5544917A (en) * | 1995-07-13 | 1996-08-13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eat belt webbing guide assembly |
US6250681B1 (en) * | 1997-07-18 | 2001-06-26 | Nsk Ltd. | Shoulder anchor device |
JP2000168497A (ja) * | 1998-12-07 | 2000-06-20 | Nissan Motor Co Ltd | シートベルトショルダアジャスタ構造 |
US6644692B2 (en) * | 2001-06-15 | 2003-11-11 | Jin Hee Kang | Anchor with an improved uppe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WO2004114031A2 (en) * | 2003-06-18 | 2004-12-29 |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 Load control device |
US6913288B2 (en) * | 2003-07-14 | 2005-07-05 | Key Safety Systems, Inc. | Load limiting structure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
AU2008201394A1 (en) * | 2007-04-23 | 2008-11-06 | Phil And Teds Most Excellent Buggy Company Limited | Strap Support Apparatus |
US8641096B1 (en) * | 2012-10-01 | 2014-02-04 | Autoliv Development Ab | Web mounted load limiting seatbelt anchor |
US9434349B1 (en) * | 2015-04-24 | 2016-09-0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eat belt height adjuster system and method |
DE102017008021B4 (de) * | 2017-08-24 | 2021-07-29 | Audi Ag | Gurt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
US10405613B2 (en) * | 2017-12-26 | 2019-09-1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Extendable two-piece seatbelt tongu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590512A (ko) * | 1968-11-04 | 1970-04-13 | ||
FR2299875A1 (fr) * | 1975-02-10 | 1976-09-03 | Chrysler France | Perfectionnement a une ceinture de securit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FR2362641A1 (fr) * | 1976-08-23 | 1978-03-24 | Guitard Laurent | Support reglable pour ceinture de securite pour automobiles |
DE3120182C2 (de) * | 1981-05-21 | 1984-08-16 | Ford-Werke AG, 5000 Köln | Kraftfahrzeug mit höhenverstellbarem Sicherheitsgurt-Umlenkbeschlag |
DE3371885D1 (en) * | 1982-02-11 | 1987-07-09 | Ase Uk Ltd | Adjustable anchorages |
US4550933A (en) * | 1982-04-08 | 1985-11-05 | Ase (Uk) Limited | Adjustable anchorage |
GB8313023D0 (en) * | 1983-05-11 | 1983-06-15 | Britax Wingard Ltd | Anchorage means for vehicle safety seats |
EP0180306A3 (en) * | 1984-08-31 | 1986-09-10 | Ase (Uk) Limited | Adjustable anchorage |
-
1988
- 1988-02-10 FR FR888801599A patent/FR2626826B2/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04 DE DE8888402510T patent/DE3873468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04 EP EP88402510A patent/EP0311509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04 ES ES198888402510T patent/ES2034328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06 KR KR1019880013015A patent/KR9700115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8-10-07 US US07/254,642 patent/US493891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8-10-07 JP JP63253629A patent/JPH01212644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3873468D1 (de) | 1992-09-10 |
JPH01212644A (ja) | 1989-08-25 |
FR2626826B2 (fr) | 1991-05-24 |
DE3873468T2 (de) | 1992-12-03 |
US4938914A (en) | 1990-07-03 |
EP0311509B1 (fr) | 1992-08-05 |
FR2626826A2 (fr) | 1989-08-11 |
KR890006457A (ko) | 1989-06-13 |
ES2034328T3 (es) | 1993-04-01 |
EP0311509A1 (fr) | 1989-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11516B1 (ko) |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 | |
US5806148A (en) | Tongue assembly | |
US6669302B2 (en) | Seat belt position adjus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 |
US5870816A (en) | Method of assembling a tongue assembly for use with a seat belt system | |
EP1037773B1 (de) | Rückhaltesystem bei fahrzeug, zug und flugzeug zur erhöhung des insassenschutzes | |
EP0046286B1 (en) | Anchoring structure for a self-standing seat belt unit | |
KR960012611B1 (ko) | 유아용 구속 보호시이트 | |
DE4243826A1 (de) | Kraftfahrzeug mit mindestens einem Fahrzeugsitz und ein dazugehöriger Kindersitz | |
US5413401A (en) | Restraining protective seat for infants | |
JPH06115386A (ja) |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 |
PT747258E (pt) | Cadeira para crianca com assento moldado | |
US5286058A (en) |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a pivotable anchoring fitting of a safety belt system to a load-bearing part of a vehicle | |
EP1717096B1 (en) | Children's safety seat with guide and tension device | |
KR970007367B1 (ko) | 차량용 안전벨트의 수동조절위치 고정장치 | |
CA1306225C (en) | Mechanism for maintaining a strap of a safety belt in an adjustable position | |
US5066043A (en) | Adjustable shoulder anchorage | |
US4681344A (en) | Safety hold-down bar system | |
JPS6271741A (ja) | ベルト案内部取付け部品 | |
PT96366A (pt) | Banco pra veiculo dotado de um cinto de seguranca com pontos de fixacao inseridos na armacao do banco | |
US4867477A (en) | Device for maintaining a strap of a safety belt in an adjustable position | |
JPH02199335A (ja) | 浮動ラッチを形成する上部及び下部エレメントを有するスライド | |
DE102004022316A1 (de)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Kindersitzes | |
KR0175684B1 (ko) |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
US20190143932A1 (en) | Pivoting latch plate for seatbelt | |
DE19647805C1 (de) | Vorrichtung zum Absorbieren der auf einen Sicherheitsgurt übertragenen Aufprallkräf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