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684B1 -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5684B1 KR0175684B1 KR1019920703338A KR920703338A KR0175684B1 KR 0175684 B1 KR0175684 B1 KR 0175684B1 KR 1019920703338 A KR1019920703338 A KR 1019920703338A KR 920703338 A KR920703338 A KR 920703338A KR 0175684 B1 KR0175684 B1 KR 0175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guide rail
- latch
- spring
- 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20)는 승객어깨 높이에서 또는 위로 차량의 일부에 안착되도록 채용되어 있고 복수쌍의 절결부(36)가 앞벽(28)내에 대향적으로 위치되어 있는 개방채널(34)형 가이드 레일(22), 채널(34)내에 미끄럼적으로 수용된 탄성캐리어(52)로 구성된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 안전벨트(146)와 D링(140) 상에 발휘된 힘과 토오크가 안내레일(22)내의 절결부(36)안으로 래치바아 수단(112)을 가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래치바아수단(112)에 관계하여 위치되어 있으며 D링(140)을 지지하는 부착수단(102)과 그리고 소정된 쌍의 절결부(36)를 맞물리하기 위하여 캐리어(52)로부터 상향으로 뻗어있는 래치바아수단(112)을 포함하고 있는 캐리어(52)에 의해서 캐리어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캐리어(52)에 의해 가이트 레일안으로 편심되어 있는 래칭기구(54), 그리고 캐리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때에 캐리어(52) 일부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어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뻗을수 있는 코일끝(84)과 가이드레일내에 형성된 제1 멈춤부(32)를 근접하여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부착끝(122)을 포함하고 있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를 상향으로 편심시키는 스프링(56)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발명의 배경과 개요]
본발명은 차량 승객보호용 좌석안전벨트를 위한 조절가능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3점 지지식 좌석안전벨트 시스템으로 공지된 것에 적용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에서 좌석안전벨트 및 특히 어깨벨트부가 차량의 B필라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D링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를 통하여 루프된다. 차량에 D링 또는 고정구를 단단히 부착하는 것은 승객의 다양한 크기를 수용하는 좌석안전벨트 시스템의 작동에 있어서의 융통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고정된 고정구를 채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앵커지점은 보통크기의 승객을 수용하도록 선택되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깨벨트는 승객의 어깨를 접촉하고 그 다음 승객의 몸통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혁대장식으로 뻗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을 보통사람보다 큰 또는 작은 승객인 경우에는 아니다. 승객의 다양한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서, 조절가능한 고정구 기구는 종래에 제안되어 왔는데, 이중 하나가 DE-8703094에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장치가 공동소유의 미합중국 특허 RE 32,524호에 공개되어 있다. 또다른 조절가능한 고정구 기구가 영국특허출원 2, 124,889; 2, 132,071; 2,136,670 및 2,138,670 호 뿐만 아니라 미합중국 4,556,25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그리고 고감속 및 차량충돌시 구조적인 보전성과 성능을 유지시키는 수동적으로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승객어깨 높이에서 높이에서 또는 위로 차량의 일부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된 가이드레일로 구성된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은 개방채널을 형성하고 가이드레일의 앞벽에 대향적으로 위치된 복수의 쌍의 절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고정구는 채널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 탄성 캐리어와 이 캐리어에 의해 가이드 레일안으로 가압되고 그리고 캐리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및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래치기구로 구성된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래치기구는 D 링과 같은 안전벨트 지지장치를 지지하는 나사 가공된 부싱인 부착수단 및 소정된 쌍의 절결부와 맞물림하도록 캐리어로부터 상향으로 뻗은 래치바이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 또는 D링은 안전벨트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채용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D 링의 부착 지점은 안전벨트 및 D 링상에 발휘된 힘과 토크가 가이드 레일에 있는 절결부안으로 래치바아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래치바아수단에 관계하여 위치되어 있다. 스프링은 상향으로 래치수단을 편심시키도록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은 캐리어 일부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캐리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때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뻗을 수 있느 코일부와, 기구적인 제1 멈춤부에 근접하여 가이드레일에 고정된 부착말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발명의 많은 다른 목적과 취지들은 아래에 상술된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가이드레일 및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의 정면도.
제2도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가 없는 제1도의 부분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단면(3-3)을 통하여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가 없는 제3도의 부분 단면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캐리어의 대한 다양한 예시도.
제9도 및 제10도는 래치기구의 측면도 및 평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스프링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13도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에 부착된 D-링의 예시도.
제14도는 제2도의 단면(14-14)을 통하여 취한 단면도.
제15도 및 16도는 스프링을 여러 각도에서 본 예시도, 그리고
제17도 및 제18도 및 제19도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 및 가이드 레일용 커버의 믿면도, 단면도 및 끝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발명에 따라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20)의 여러주요 구성요소를 예시하고 있다.
더 상세히는 이들 도면은 승객의 어깨 높이에서 또는 어깨 높이에서 또는 어깨높이 위로 차량의 B포스트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된 가이드 레일(22)을 예시하고 있다.
이 가이드 레일은 이격된 앞벽(28a, 28b), 측벽(26a, 26b) 및 뒷벽(24)을 포함하고 있어 채널 또는 홈(34)을 형성한다.
가이드레일(22)의 상부에 형성된 것은 하부 절결부(31)를 가지고 있는 Y자형 슬롯(30)이다. 뒷벽(24)에 형성된 중앙 태브(32)는 기계적 멈춤부를 제공하도록 채널 또는 개방홈(34)안으로 뻗어있다. 앞벽(28a, 28b)은 마주하여 위치된 절결부(36)의 복수의 쌍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벽(28)의 하부말단부(40)는 또다른 기계적 멈춤부를 제공하도록 42 에서와 같이 구부려 올려져 있다. 가이드 레일(22)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된 것은 제1도 및 제3도에서 또한 도시되어 있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이다.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는 캐리어(52)(제5도 내지 제8도에서 또한 도시됨), 래치기구(54)(제9도 및 제10도에서 또한 도시됨), 및 리턴 스프링(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면들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캐리어(52)는 래치기구(54)를 지지하고 있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어(52)는 아세탈 공중합체와 같이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고 있는 탄성재질로 제조되어있다. 캐리어(52)는 보강된 말단부(64)로부터 뻗어있는 상부 캐리어 플레이트(62)와 하부캐리어 플레이트(60)로 구성되며 이 보강된 말단부(64)의 하부(65)는 뒷벽(24)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캐리어 플레이트의 폭(W)은 유입을 허용하도록 채널 또는 개방홈(34)의 폭보다 약간 작다.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는 가요성이고, 그리고 66 으로 도시된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의 밑부분(제7도 참조)에서 중앙에 배치된 홈(68)을 가지고 있으며, 그 홈밑에 스프링(56)일부가 수용된다. 말단부(64)에 근접하여 절결부분(66)내에 위치된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의 일부(70)는 캐리어(52)로부터 축선바깥방향으로 뻗어있다.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3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이 연장부(70)는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가 가이드레일(22)의 홈(34)상부로부터 밖으로 미끄럼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태브 또는 멈춤부(32)와 맞물림 한다.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로부터 상향으로 뻗어있는 것은 72로 도시된 스프링 유지구 및 캐리어 가이드기구이다. 이 가구는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의 좁은 말단부(74)로부터 뻗어있고 그리고 이격되어 수직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포스트(76a, 76b)로 구성된다. 각각의 포스트로부터 측방향으로 뻗은 것은 맞물림 표현(80a, 80b)을 구획형성하는 방사플랜지 또는 리브(78a, 78b)이며, 이 맞물림 표현은 캐리어가 채널(34)내로 미끄럼할때에 캐리어(52)의 스큐잉(skewing)을 방지하도록 측벽(26a, 26b)의 내부와 상호작용한다. 상부는 82로 도시된 포스트를 이음하고 아크형으로 형상화 되어있다. 스프링(56)의 코일부(84)(가상선으로 도시됨)은 포스트(76)와 상부(82)와의 사이에 수용된다.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의 편평한부(86)는 홈(68)내에서 하부캐리어 플레이트 아래에 뻗어있다. 스프링부(84, 86)는 이들 도면들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식될수 있는 바와같이 스프링은 캐리어(52)를 상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상부 캐리어 플레이트(62)는 래치기구(54)를 수용하도록 절결부(94)를 포함하고 있는 일부의 벽(92)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90)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상부 캐리어 플레이트(62)는 중앙개구(96)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앙개구의 목적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벽(92) 일부는 래치기구(54)의 또 다른 일부를 수용하도록 오목부 또는 절결부(98)를 포함하고 있다.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 래치플레이트(100)과 부싱(102)으로 구성된 래치기구(54)가 도시되어 있다. 래치 플레이트는 중앙 편평한부(106)내에 개구(104)를 포함하고 있다. 부싱은 개구(104)를 통하여 삽입된다. 부싱의 일부(103)는 래치플레이트(100)의 편평한부(106)에 대하여 형을 뜨게된다. 한 말단부(110)에서 래치 플레이트는 래치 또는 바아(112)를 형성하도록 상향으로 만곡되어있다. 다른 한 말단부에서 래치 플레이트(100)는 114에서 하향으로 만곡되어있고 캐리어(52)의 연장부(70)를 수용하는 절결부(116)를 포함하고 있다. 편평한부(106)내에 형성된 것은 연장 플랜지(116a, 116b)이다. 플랜지(116a)는 캐리어내에 형성된 개구(94)내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한편 플랜지(116b)는 유사한 개구(94b)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의 말단부(117)는 캐리어(52)에 형성된 절결부(98)내에 또한 수용된다. 조립동안, 래치 플레이트(100)는 캐리어의 상부 플레이트(62)의 오목부(90)에 끼워 멎춤되어있어, 플랜지(116a)가 공간내에서 끼워 맞춤되고, 플랜지(116b)가 오목부 또는 절결부(98)내에 스냅식 끼워맞춤되며, 그리고 하향으로 만곡된 부가 말단부(64)위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부싱이 플랜지부(120)는 캐리어의 개구(96)안으로 뻗어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코일구조로된 스프링(56)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것을 예시하고 있다. 스프링(56)은 T자형으로 형성된 말단부(122)와 코일부(84)를 가지고 있는 코일스프링이다. 이러한 말단부 아래에 굽어진 좁은 부위(124)가 있다. 조립동안 이 말단부(122)는 Y자형 홈(30)의 좁은부위(31)내에 삽입되어 T자형 말단부(122)의 윙(Wing)이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뒷벽(24)의 뒷면상에 놓여지도록 한다.
상술된 고정구(20)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스프링(56)은 상술한 방식으로 홈(30)내에 삽입되어 코일부(86)가 홈(30)의 좁은부 바로 아래에 놓이도록 한다.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캐리어(52) 및 래치기구(54)로 구성됨)는 캐리어 가이드기구(78)가 먼저 가이드 레일로 들어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2)의 상부 개방 말단부(126)내로 미끄럼 이동된다.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는 억압되어 바아(112)가 앞레일(28) 아래에 놓이도록하여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를 가이드 레일(22)에 부분적으로 잡혀지도록 한다. 그후,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는 채널(34)안으로 하향 가압되어 스프링(56)이 포스트(76) 및 만곡된 상부(82)에 의해 형성된 유지구에 의해 잡혀지게된다.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의 그 이상의 하향운동은 채널에서 스프링의 코일부분(84)을 하향으로 밀어서 이 스프링의 코일부분을 풀어서, 스프링의 풀어진 또는 편평한부(86)가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의 하측상에 형성된 홈(68)아래로 놓이도록 한다.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가 가이드레일 보다 더 아래로 이동될때에 래치바아(112)는 절결부(36)쌍중 하나의 절결부 바로 아래에 위치될 것이며 이에 따라, 탄성 캐리어가 절결부안으로 바아를 상향 가압하여 정위치에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를 잠금하도록 한다.
제2도는 본발명 변경실시예를 또한 예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연장레그(132a, 132b)를 갖춘 선택적으로 편평하고 분기된 스프링(130)이 캐리어(52)내의 V자형 공간(134)(제6도 참조)내에 삽입됨으로써 본발명의 작용이 부가적인 탄성을 제공한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스프링(130)의 일예를 예시하고 있다. 스프링(130)은 스프링(130)의 몸체로부터 뻗은 훅(136)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 훅(136)은 오목부(138)내에 수용되어 있고 말단부(64)의 일부(제3도 또는 제13도 참조)위에 뻗어있다.
제13도는 제3도의 일부를 예시하고 있다.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에 부착되어 있는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부싱(102)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공지된 종류의 D링(140)이다.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같이 D링은 터닝루프(truning loop)로 자주 불리워진다. D링(140)은 파스너(fastrner)에 의해 부싱(120)에 회전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D링은 좌석안전벨트(146)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서 루프 또는 개구(144)를 포함하고 있다. D링을 재위치시키기 위하여, D링은 안쪽방향(화살표(148)참조)으로 밀어지게되어 캐리어(52)를 압축하여 래치바아(112)가 절결부(36)중 하나의 절결부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에 래치바아(112)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 승객은 고정구(20)내에서 D링을 상, 하로 이동시켜 좌석안전벨트(146)가 안락한 방식으로 승객의 어깨를 가로질러 몸통위로 뻗을수 있도록 한다.그러나, 내부방향 힘만이 D링(140)상에 작용된다면, 스프링(56)은 가이드 레일의 상부로 캐리어를 이동시킬 것이다.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안내레일(22)과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용 커버조립체(160)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커버조립체(160)는 안내레일 위로 스냅식 끼워맞춤하기에 적합하게된 커버플레이트 또는 외부 커버(162)와 그리고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와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또는 내부커버(16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162)는 슬라이드(164)를 수용하도록 2개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홈(166a, 166b)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 태브(168a 내지 168d)은 위치(70a 내지 70d)(제1도 참조)에서와 같이 앞벽(28)의 넓은 상, 하부에서 가이드레일(22)에 스냅식 끼워맞춤하도록 홈에 근접하여 내부방향으로 뻗어있다. 커버 플레이트(162)로부터 하향으로 뻗은 것은 가이드레일의 측벽(26)을 맞물림하는 복수의 편평한 위치결정 태브(172a 내지 172d)이다. 잠금 말단부 태브(174a 내지 174d)는 가이드레일(22)의 상, 하부와 스냅식 기워 맞춤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62)의 말단부(176a 및 176)는 상승되어 내부 차량트림(180)(가상선으로 도시됨)이 그 뒤에서 끼워 맞춤할수 있도록 하며, 플레이트(162)가 직사각형 개구(182)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164)는 부싱(102)이 관통하여 뻗어있는 개구(186)를 구획형성하는 원형 보스(boss)(187)를 갖춘 직사각형 몸체(184)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164)의 수직 운동은 보스(187)가 개구(182)와 접촉할 때 제한된다. 부싱(102)이 가이드레일(22)내에서 이동될때에 슬라이드(164)는 함께 이동한다. 말단부(188a, 188b)는 몸체(184)보다 더 얇게 만들어져 있어서 차량트림 안쪽의 장애가 발생될 경우에 이들 말단부는 만곡될수 있다. 이 말단부(188)는 차량 트림뒤에 위치되이 있는 것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된 캐리어(52)가 스프링 유지구(74) 근처의 바닥부(65)의 일부와 말단부(65)만이 뒷벽(24)과 접촉하고 있는 무응력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는 것에 주의를 하여야 한다. 부싱(102)이 억압될 때, 가요성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는 뒷벽(24)을 대항하여 변형하며 여기에서 바닥부(66)의 보다 큰 부분이 뒷벽과 접촉하고 있다.
충돌시 어깨벨트(146)는 공지된 종류의 잠금장치인 리트렉터기구(150)에 의해 뻗은 것으로부터 방지될 것이다. 이러한 충돌상황에서 승객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어, 화살표(152a, 152b)의 방향으로 좌석안전벨트(146)를 인장시킨다. 이러한 응력 상태에서 그리고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에 D링의 부착 형식에 의해 비틀림 력(화살표(154)참조)은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에 주어지게 된다. 부싱(102)에 대한 D링(140)의 부착 지점아래로 래치바아(112)의 방향을 맞춤으로써 충돌시 발생된 힘과 토오크를 이용하여서 가이드레일(22)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그의 상당하는 절결부(36)안으로 더 가압하도록 하여 래치바아가 그러한 응급상황시 소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된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많은 변경과 수정은 본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물론 수행될수 있다. 따라서, 그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되어있다.
Claims (12)
- 승객어깨 높이에서 또는 위로 차량의 일부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개방채널(34)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수쌍의 절결부(36)가 앞벽(28)내에 대향적으로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22), 채널(34)내에 미끄럼적으로 수용된 탄성캐리어(52)로 구성된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50), 캐리어(52)에 의해 가이드레일안으로 가압되어 캐리어(52)에 의해 캐리어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치기구(54)로서, D링(140)을 지지하는 부착수단(102)과, 소정된 쌍의 절결부(36)를 맞물림하기 위해 캐리어(52)로부터 횡단방향으로 뻗어있는 래치바아수단(112) 그리고 래치 플레이트 조립체를 상향으로 가압시키는 스피링(56)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래치기구로 구성된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20)에 있어서, 래치바아수단(112)이 래치기구(54)에 대하여 D링(140)의 부착지점 아래에 위치되어 가이드레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D링을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D링(134)과 안전벨트상에 발휘된 힘 및 토오크가 작용하여 소정된 쌍의 절결부안으로 래치바아수단(112)을 가압하며,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때에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연장가능하고 캐리어(52)의 일부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로부터 바깥으로 횡단하여 감겨진 코일 말단부(84)로 구성된 스프링(56)은 가이드레일내에 형성된 제1 멈춤부(32)에 근접하여 가이드레일에 고정된 부착말단부(12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52)는 서로 상대운동이 허용되도록 방향잡힌 상,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 62)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캐리어 플레이트(60)가 하부 말단부에서 스프링(56)의 코일부(84)를 유지하는 제1 수단(72)과 그리고 홈(34)에 대하여 캐리어(22)를 안정시키는 제2 수단(78)을 포함하고 있으며, 홈 또는 슬롯(68)이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의 하부 표면(66)내에 위치되어있고 그 아래에 스프링(56)의 연장된 부(86)가 위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태브(70)가 제1 멈춤부(32)를 맞물림하기 위하여 제1 수단에 마주한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로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2항에 있어서, 제1 수단(72)은 안으로 스프링(56)의 코일부(84)가 수용되는 아치형 상부(82)와 수직으로 뻗은 한쌍의 포스트(7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2항에 있어서, 제2수단은 가이드레일(22)의 측벽(26)을 맞물림하기 위하여 맞물림표면(80)을 각각 구획형성하는 측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리브(7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60, 62)는 단일구조이고 보강된 말단부(64)에서 힌지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분기된 스프링(130)은 탄성을 보충하도록 상, 하부 캐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22)의 뒷벽(24)은 Y자형 개구를 포함하고 있고, Y자형 개구에 근접한 가이드레일(22)의 일부가 제1 멈춤부(32)를 형성하도록 상향으로 상승되어 있으며, 그리고 스프링(56)의 하나의 말단부(122)는 Y자형 개구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2항에 있어서, 래치기구(54)는 안으로 부착수단(102)이 고정되어있는 구멍 뚫린 래치 플레이트(10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 안전벨트 고정구.
- 제7항에 있어서, 부착수단(102)은 D링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된 나사 가공된 부싱(102)이며, 이 부싱(102)은 그 구멍에 근접하여 래치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8항에 있어서, 래치 플레이트(106)와 상부 캐리어 플레이트(62)는 서로 스냅식 끼워 맞춤을 하도록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부착수단(102)은 래치바아수단(112)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길다란 개구(182)를 안에 갖춘 가이드 레일(22)에 끼워 맞춤된 커버 플레이트(162)와 개구(182)를 통하여 뻗은 부착수단(106)에 대하여 끼워 맞춤되어 함께 이동가능한 내부 커버 또는 슬라이드(164)로 구성된 커버조립체(160)를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커버 또는 슬라이드(164)는 커버 플레이트(162)에 미끄럼 가능하게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제11항에 있어서, 내부커버 또는 슬라이드(164)의 말단부(188)는 내부 트림부(180)뒤에 위치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좌석 안전벨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54613290A | 1990-06-29 | 1990-06-29 | |
US546,132 | 1990-06-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701302A KR930701302A (ko) | 1993-06-11 |
KR0175684B1 true KR0175684B1 (ko) | 1999-05-01 |
Family
ID=2417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703338A KR0175684B1 (ko) | 1990-06-29 | 1991-06-13 |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0535142B1 (ko) |
JP (1) | JPH05507453A (ko) |
KR (1) | KR0175684B1 (ko) |
CA (1) | CA2085483A1 (ko) |
DE (1) | DE69104612T2 (ko) |
MX (1) | MX173640B (ko) |
WO (1) | WO199200020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79072A1 (en) | 2006-08-28 | 2012-07-25 |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 Configurable restraint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947391A1 (de) * | 1979-11-24 | 1981-05-27 |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 Vorrichtung zur verstellung eines sicherheitsgurt-verankerungspunktes |
DE3514980A1 (de) * | 1984-05-28 | 1985-11-28 | TRW Repa GmbH, 7071 Alfdorf | Beschlag fuer einen sicherheitsgurt fuer kraftfahrzeuge |
DE8703094U1 (de) * | 1987-02-27 | 1987-05-21 | Tibbe KG, 85253 Erdweg | Umlenkbeschlag für Kraftfahrzeugsicherheitsgurte mit höhenverstellbarem Gurtbandumlenkglied |
JP2620877B2 (ja) * | 1988-11-08 | 1997-06-1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センタピラー構造 |
JPH02279445A (ja) * | 1989-04-18 | 1990-11-15 | Mutsumi Sugimoto | シートベルトアンカ装置 |
-
1991
- 1991-06-10 MX MX026168A patent/MX173640B/es unknown
- 1991-06-13 CA CA002085483A patent/CA2085483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1-06-13 EP EP91912461A patent/EP053514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6-13 JP JP91511932A patent/JPH05507453A/ja active Pending
- 1991-06-13 DE DE69104612T patent/DE6910461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6-13 WO PCT/US1991/004228 patent/WO1992000209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1-06-13 KR KR1019920703338A patent/KR01756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535142B1 (en) | 1994-10-12 |
WO1992000209A1 (en) | 1992-01-09 |
MX173640B (es) | 1994-03-18 |
KR930701302A (ko) | 1993-06-11 |
JPH05507453A (ja) | 1993-10-28 |
EP0535142A1 (en) | 1993-04-07 |
CA2085483A1 (en) | 1991-12-30 |
DE69104612T2 (de) | 1995-05-18 |
DE69104612D1 (de) | 1994-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92181A (en) | Anti-cinch and anti-chafe seat belt system | |
KR100614733B1 (ko) | 안전 벨트 높이 조절 장치 | |
US5806148A (en) | Tongue assembly | |
US4550933A (en) | Adjustable anchorage | |
KR100714560B1 (ko) | 좌석 벨트 시스템의 웨브 가이드용 높이 조절 장치 | |
US5308148A (en) | Seat belt module assembly | |
US8523229B1 (en) | Seatbelt height adjuster assembly | |
EP0676309A1 (en) | Infant safety seat for motor vehicles | |
US8052170B2 (en) | Locking height adjuster for a seat belt | |
US5280959A (en) | Shoulder adjuster | |
US5050907A (en) |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 |
US4569537A (en) | Anchorage means for vehicle safety belts | |
KR0175938B1 (ko) | 숄더어저스터 | |
EP0086633A2 (en) | Adjustable anchorages | |
US4962572A (en) | Tongue assembly | |
US4871190A (en) | Safety apparatus | |
US5023980A (en) | Free running cinching latch plate | |
EP0818344B1 (en) | A carriage adapted to be slidably mounted on a track | |
US4861071A (en) | Anchoring device for seat belt | |
US6123391A (en) | Adjustable track and slide mechanism | |
US5286058A (en) |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a pivotable anchoring fitting of a safety belt system to a load-bearing part of a vehicle | |
KR0175684B1 (ko) | 조절가능한 좌석안전벨트 고정구 | |
US5333905A (en) | Shoulder anchor weight adjusting apparatus | |
JPH02179570A (ja) | 安全装置用のタング組立体 | |
US5186495A (en) |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