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73B1 - 이앙기(rice transplanter) - Google Patents

이앙기(rice trans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73B1
KR970011473B1 KR1019940005959A KR19940005959A KR970011473B1 KR 970011473 B1 KR970011473 B1 KR 970011473B1 KR 1019940005959 A KR1019940005959 A KR 1019940005959A KR 19940005959 A KR19940005959 A KR 19940005959A KR 970011473 B1 KR970011473 B1 KR 97001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case
transmission cas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83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6220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filed Critical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73B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이앙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행차부분의 평면 설명도이다.
제2도는 승용이앙기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 1 도의 측면 설명도이다.
제5도는 제 1 도의 단면 설명도이다.
제6도는 차체 커버의 부착 설명도이다.
제7도는 차체 커버의 평면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차(2) : 엔진
(3) : 차체프레임(4) : 변속기케이스
(13) : 운전석(39) : 구동전달축.
본 발명은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모재치대로부터 한 포기분의 모를 식부날에 의하여 집어내어 포장(圃場)에 식부(植付)하는 이앙장치를, 주행차의 후방에 3점 링크기구 및 승강실린더를 개재하여 연이어 설치되는 승용형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행차는, 차체 앞쪽에 엔진을 탑재하고, 그 엔진 뒷부분에 연이어 설치되는 변속기케이스 양쪽에 앞차축(front axle) 케이스를 개재하여 전륜이 부착되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이앙작업 중에 전륜이 경반(耕盤)의 오목부 위를 주행했을 때, 차체 앞부분의 강하에 수반하여 변속기케이스 밑면이 포장면(圃場面)에 맞닿는 일이 있어서, 주행차의 주행에 지장을 초래할 뿐아니라, 변속기케이스 및 그 주변장치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의 앞부분 아래쪽에 연결프레임과 연결파이프를 옆걸어 고정하고, 그 연결프레임과 연결파이프 사이에 보강프레임을 배설고정하며, 그 보강프레임의 앞부분에 지지축을 설치함과 아울러, 조향실린더의 한쪽 끝을 상기한 지지축을 회동자재하게 연결부착하고, 전륜의 각 타이로드 한쪽 끝을 연결시키는 조향아암에 상기한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프레임(3), 연결프레임(51) 및 연결파이프(60)의 3자에 의한 프레임구성에 더하여, 보강프레임을 배설고정하는 것에 의한 복합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강도가 높고 안정된 조향실린더용 프레임구조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보강프레임 하방에 조향실린더를 콤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우수한 특징을 보유한다. 또한, 경반의 요철에 의한 차체의 상하운동이 가장 적은 전륜과 후륜의 사이에서, 변속기케이스 및 운전석을 차체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어, 전륜 혹은 후륜이 경반의 오목부 위를 주행했을 때에도 포장면에 변속기케이스의 밑면이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요동이 적어 안정된 주행차 위의 위치에서 주행조작을 할 수 있어서, 주행차를 종래에 비하여 안전하게 안전주행시킬 수 있으며, 또, 앞쪽의 엔진과 뒤쪽의 변속기케이스 사이의 차체프레임에 장치되는, 예를 들어, 조향장치 등을 회피하여, 엔진과 변속기케이스 사이에 구동전달축을 조립할 수 있고, 또, 상기한 구동전달축을 차체프레임의 좌우 폭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지 않고 차체프레임에 의한 보호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회전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엔진과 변속기케이스를 차체의 전후로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주행부의 평면 설명도, 제 2 도는 승용 이앙기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평면도를 표시하며, 도면에서의 참조부호(1)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주행차로서, 엔진(2)을 앞쪽에 탑재하는 차체프레임(3)의 뒤쪽에 변속기케이스(4)를 설치하고, 상기한 엔진(2)의 후방 양쪽에 앞차축케이스(5)를 개재하여 수전(水田)주행용 전륜(6)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한 변속기케이스(4)의 후방 양쪽에 뒤차축케이스(7)를 개재하여 수전주행용 후륜(8)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엔진(2)을 덮는 보닛(9)의 양쪽 바깥쪽에 예비모탑재대(10)를 적당하게 부착함과 아울러, 발판(11)을 형성하는 차체 커버(12)에 의하여 상기한 차축케이스(5)(7) 등을 덮고, 상기한 변속기케이스(4) 위쪽의 상기한 차체 커버(12) 상부에 운전석(13)을 부착하고, 그 운전석(13)의 전방에서 상기한 보닛(9) 뒷부분에 조향핸들(14)을 설치한다.
또, 도면에서의 참조부호(15)는 다조식부용(多條植付用)의 모탑재대(16) 및 복수의 식부날(17) … 등을 구비하고 있는 식부장치로서, 앞쪽이 높고 뒤쪽이 낮은 후방경사식의 모탑재대(16)를 안내레일(18) 및 가이드레일(19)을 개재하여 식부케이스(20)에 좌우왕복 미끄럼운동 자재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한쪽방향으로 등속회전시키는 로터리케이스(21)를 상기한 식부케이스(20)에 지지시키고, 그 케이스(21)의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위치에 한쌍의 식부아암인 식부날케이스(22)(22)를 설치하고, 그 식부날케이스(22) 선단에 식부날(17)(17)을 부착한다. 또, 상기한 식부케이스(20)의 앞쪽에 회전지지점축(23)을 개재하여 지지프레임(24)을 설치하고, 상부링크(25) 및 하부링크(26)를 포함하는 3점링크기구(27)를 개재하여 주행차(1) 뒤쪽에 지지프레임(24)을 연결시키고, 상기한 링크기구(27)를 개재하여 이앙장치(15)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8)를 주행차(1)에 구비하고, 상기한 전후륜(6)(8)을 주행구동시켜서 대략 정속(定速)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좌우왕복 미끄럼운동시키는 모탑재대(16)로부터 로터리케이스(21)의 1회전으로 2개의 식부날(17)(17)에 의하여 2포기의 모를 끄집어내어 연속적으로 이앙작업을 실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면중 참조부호(29)는 주행변속레버, (29a)는 부변속레버, (30)는 식부승강레버, (31)는 식부감도 조절레버, (31a)는 줄멈춤 클러치레버, (32)는 주행클러치페달, (33)(33)는 좌우 브레이크페달, (34) …는 포장면균평용(均平用) 플로우트이고, 식부깊이 조절링크(35) 등을 개재하여 식부케이스(20) 아래쪽에 상기한 플로우트(34)를 지지하고 있다.
제 1 도,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차체프레임(3)은 주행차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설치되는 사다리형상의 섀시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차체프레임(3)의 앞쪽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는 4개의 엔진브래킷(36)에 방진고무(37)를 끼워서 엔진대(38)의 4귀퉁이를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한 엔진대(38) 상면에 상기한 엔진(2)을 볼트로 고정한다. 한편, 상기한 차체프레임(3)의 뒤쪽에 대향형상으로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는 변속기케이스 브래킷(39) 사이에 상기한 변속기케이스(4)를 설치하고, 그 변속기케이스(4) 양측면의 전후 및 상하중간부분을 상기한 브래킷(39)에 볼트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엔진(2)과 변속기케이스(4) 사이에 구동전달축(40)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엔진대(38)의 오른쪽 뒷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편(41)을 연장설치하여 형성하고, 그 돌출편(41)에 볼트로서 고정하는 축받이부재(42)를 개재하여 엔진(2)의 출력축(43)을 차체프레임(3)의 우단(右端) 상방에 설치하고, 이 출력축(43)과 변속기케이스(4)의 입력축(44)에 자재이음(universal coupling)(45)을 개재하여 상기한 구동전달축(40)의 양단을 연결시켜서 상기한 차체프레임(3)의 좌우폭 내에서 앞쪽의 우단상방으로부터 뒤쪽의 대략 중간을 향하여 상기한 구동전달축(40)을 좌우 및 상하로 경사형상으로 차체프레임(3) 사이를 통해 설치시킨다.
또, 상기한 차체프레임(3)의 전단에 앞범퍼(4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범퍼(46)의 중간후방에 축전지(47)를 올려놓는 앞쪽과 위쪽을 개방한 축전지케이스(48)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한 엔진대(38)보다 앞쪽의 차체프레임(3)의 양측 상면에 측판(49)이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고, 이 측판(49)의 중간부분을 관통시켜서 일체적으로 고정설치하는 좌우 제 1 강관(50)의 안쪽 끝에 상기한 케이스(48)의 양측벽이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측판(49)의 후단에서 차체프레임(3)에 옆걸기하여 고정되는 제 2 강관(51)의 중간부분에 상기한 케이스(48)의 뒤쪽이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앞범퍼(46)를 상기한 케이스(48) 밑판 하면에 축걸침하는 지지점축(52)에 회동자재하게 지지하고, 상기한 범퍼(46)를 개폐자재하게 그 양쪽을 셋트볼트(53)를 개재하여 측판(49)에 연결시킨다.
또, 상기한 차체프레임(3)의 중간부분보다 약간 앞쪽에 앞차축기판(基板)(54)이 고정설치되고, 이 기판(54) 아래쪽에 상기한 앞차축(5)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한 기판(54)의 앞끝 중간부 하면과 뒤끝 중간부하면에 전후차축홀더(55)를 대향시켜 볼트로 고정하고, 앞차축(5)의 중앙부분 전후플랜지부(5a)(5b)가 상기한 차축홀더(55)에 부시를 개재하여 회동자재하게 끼워맞추어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변속기케이스(4)의 앞면에 돌출되는 제 1 출력축(56)전단과 앞차축(5)의 뒤쪽 플랜지부(5b)로부터 돌출되는 이 입력축(57)을 제 2 구동전달축(58)을 개재하여 연동연결시킨다.
또, 상기한 앞차축기판(54)의 전단 중간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또 앞쪽이 올라가는 형상으로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핸들기판(59)이 연장설치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이 기판(59)의 전단이 엔진대(38) 후단 하방의 차체프레임(3)에 옆걸어 고정하는 연결파이프(60)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고, 또한 상기한 연결파이프(60)와 상기한 제 2 강관(51) 사이에 보강프레임(61)이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상기한 핸들기판(59)에 조향박스(steering box)(62)가 볼트로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한 핸들(14)을 부착하여 중간부분이 자유롭게 절곡되는 핸들지주(63)를 상기한 조향박스(62)에 세워설치하여 고정하였다. 또한, 상기한 보강프레임(61)의 경사진 상단쪽에 지지축(64)을 늘어뜨려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제 2 강관(51)에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는 브래킷(65)에 상기한 지지축(64) 중간을 관통지지시켜서, 조향실린더(66)의 한쪽 끝을 상기한 지지축(64)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전륜(6)의 각 타이로드(67) 한쪽 끝을 연결시키는 조향아암(68)에 상기한 실린더(66)의 피스톤로드(66a)를 회동자재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뒤차축케이스(7)의 최종케이스(7a) 안쪽에 플랜지(69)를 형성하여, 상기한 차체프레임(3)의 후단 양쪽에 상기한 플랜지(69)를 개재하여 뒤차축케이스(7)를 볼트로 고정함과 아울러, 그 뒤차축케이스(7)의 전단을 변속기케이스(4) 후면에 볼트로 고정시켜서, 변속기케이스(4)의 상기한 제 1 출력축(56) 후단과 뒤차축케이스(7)의 입력축(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을 연동연결시킨다.
또한, 변속기케이스(4) 후면에는 식부장치(15)에 구동력을 분배하는 PTO축(70)도 돌출된다.
그리고, 차체프레임(3)의 중간부분 아래쪽에 좌우 한쌍의 파이프(71)를 '八'자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그 파이프(71)의 전단이 전후차축홀더(55)에 볼트로 고정됨과 아울러, 후단이 뒤차축케이스(7)의 플랜지(69)에 볼트로 고정된다.
또, 상기한 차체프레임(3) 후단에 세워설치하여 고정되는 문틀형의 뒤프레임(72)과, 변속기케이스(4) 앞쪽부분에 차체프레임(3) 양측의 측판(73)에 양단이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는 제 3 강관(74)과의 사이에 좌우한쌍의 승강실린더프레임(75)이 평행하게 설치고정되고, 이 프레임(75) 사이에 합성수지성이며 통형상인 완층부재(28b)를 보유하는 상기한 승강실린더(28)를 배치하고, 프레임(75) 중간의 축받이부(76)에 승강실린더(28)를 이 중간 양쪽에 돌출고정하는 지지점핀(77)을 개재하여 요동자재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승강실린더프레임(75)의 경사진 상단 사이에 옆걸기되는 횡축(78)에 상기한 상부링크(25)의 한쪽끝을 요동자재하게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한 뒤프레임(72)의 양측부분에 설치되는 통축(79)에, 승강아암(80) 하단을 일체적으로 고정설치시키는 상기한 하부링크(26)의 한쪽 끝을 요동자재하게 연결시키고, 또 상기한 승강아암(80)의 상단에 상기한 승강실린더(28)의 피스톤로드(28a) 선단을 요동자재하게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한 승강실린더프레임(75)의 경사진 하단쪽에 옆걸어 고정되는 연결파이프(75a)에도 브래킷(75b)을 개재하여 변속기케이스(4) 앞쪽을 볼트로서 고정시킨다.
또, 상기한 좌우 제 1 강관(50)의 외단에 하부를 일체적으로 고정설치하는 사이드범퍼(81) 상단 사이에 앞부분 지지프레임(82)을, 또 앞차축케이스(5)와 승강실린더프레임(75) 사이의 차체프레임(3)에 브래킷(83)(84)을 개재하여 중간부분 지지프레임(85)(86)을, 또 승강실린더프레임(75)의 경사진 상단에 뒷부분 지지프레임(87)을 각각 옆걸어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앞차축케이스(5) 전방의 차체프레임(3) 바깥쪽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지지파이프(88)와, 상기한 앞부분 지지프레임(82) 측단과의 사이에 좌우지지프레임(89)을 설치하고, 또한 각 프레임(82)(86)(87)의 양측 상면에 셋트핀(90)을 꽂아 설치함과 아울러, 제 6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물쇠(91)를 브래킷(92)을 개재하여 상기한 각 프레임(82)(86)(87)의 양측부분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제 7 도에도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차체커버(12)는 앞쪽부분에 엔진(2) 및 조향핸들(14)을 돌출시키는 구멍(12a)이 뚫려 설치되어 있어서, 그 구멍(12a)을 개재하여 차체프레임(3) 위쪽으로부터 각 프레임(82)(85)(86)(87)(89) 상면에 올려놓고 지지하는 것으로서, 차체커버(12)에는 상기한 각 프레임(82)(85)(86)(87)(89)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오목부(95)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셋트핀(90)을 관통시키는 위치고정구멍(94)을 보유하는 원형의 오목부(95)를 형성하고, 또 상기한 자물쇠(91)를 걸어맞추는 훅(96)을 차체커버(12)의 하면에 적당하게 고정설치시켜서, 차체프레임(3) 상면쪽에 자유롭게 착탈자재하게로 차체커버(12)를 장착시킨다.
또한, 상기한 차체 커버(12)의 구멍(12a)에는 상기한 보닛(9)이 부착된다.
또, 전륜(6)과 후륜(8) 사이에서 차체 커버(12) 바깥쪽에 탑승용의 발판(97)을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한 중간부분 지지프레임(86)과 차체프레임(3)의 바깥쪽에 상기한 스텝(97)의 지지아암(98)이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브레이크페달(33)(33)은 상기한 제 3 강관(74)내에 삽입하는 페달축(99)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한 주행클러치페달(32)은 제 3 강관(74)을 부착하는 측판(73) 사이에 옆걸어 고정하는 내축(100)의 외통(101)에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2), 조향핸들을 보유하는 조향장치, 앞차축케이스(5), 변속기케이스(4), 뒤차축케이스(7), 승강실린더(28), 3점링크기구(27), 차체 커버(12) 및 보닛(9) 등을 차체프레임(3)에 장비하여 주행차(1)를 구성함과 아울러, 차체프레임(3) 앞쪽의 엔진(2)의 구동력을 차체프레임(3) 뒤쪽의 변속기케이스(4)로부터 앞차축케이스(5), 뒤차축케이스(7) 및 식부장치(15)로 배분전달시키고 있다.
이상, 실시예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3)의 앞부분 아래쪽에 연결프레임(51)과 연결파이프(60)를 옆걸어 고정하고, 그 연결프레임(51)과 연결파이프(60) 사이에 보강프레임(61)을 배설고정하고, 그 보강프레임(61)의 앞부분에 지지축(64)을 설치함과 아울러, 조향실린더(66)의 한쪽 끝을 상기한 지지축(64)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부착하고, 전륜(6)의 각 타이로드(67) 한쪽 끝을 연결시키는 조향아암(68)에 상기한 실린더(66)의 피스톤로드(66a)를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차체프레임(3), 연결프레임(51) 및 연결파이프(60)의 3자에 의한 프레임구성에 더하여, 보강프레임을 배설고정하는 것에 의한 복합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강도가 높고 안정된 조향실린더용 프레임구조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보강프레임 하방에 조향실린더를 콤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우수한 특징으로 보유한다.
또, 상기한 구성에 의해, 경반의 요철에 의한 차체의 상하요동이 가장 적은 전륜(6)과 후륜(8) 사이에서 변속기케이스(4) 및 운전석(13)을 차체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어서, 전륜(6) 혹은 후륜(8)이 경반의 오목부위를 주행했을 때에도 포장면에 변속기케이스(4) 밑면이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요동이 적은 안정한 주행차 상의 위치에서 주행조작을 할 수 있어서, 주행차(1)를 종래에 비하여 안전하게 안전주행시킬 수 있으며, 또 앞쪽의 엔진(2)과 뒤쪽의 변속기케이스(4) 사이의 차체프레임(3)에 장치되는, 예를 들어, 조향장치 등을 회피하여 엔진(2)과 변속기케이스(4) 사이에 구동전달축(39)을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구동전달축(39)을 차체프레임(3)의 좌우폭의 바깥쪽에 돌출시키지 않고, 차체프레임(3)에 의판 보호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회전구동시킬 수 있어서, 엔진(2)과 변속기케이스(4)를 차체의 전후에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차체프레임(3)의 앞부분 아래쪽에 연결프레임(51)과 연결파이프(60)를 옆걸어 고정하고, 그 연결프레임(51)과 연결파이프(60) 사이에 보강프레임(61)을 배설고정하며, 그 보강프레임(61)의 앞부분에 지지축(64)을 설치함과 아울러, 조향실린더(66)의 한쪽 끝을 상기한 지지축(64)에 회동자재하게 연결부착하고, 전륜(6)의 각 타이로드(67) 한쪽 끝을 연결시키는 조향아암(68)에 상기한 실린더(66)의 피스톤로드(66a)를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19940005959A 1988-04-04 1994-03-24 이앙기(rice transplanter) KR970011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3461 1988-04-04
JP63083461A JP2696220B2 (ja) 1988-04-04 1988-04-04 田植機
KR1019890003740A KR0167332B1 (ko) 1988-04-04 1989-03-24 이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40A Division KR0167332B1 (ko) 1988-04-04 1989-03-24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473B1 true KR970011473B1 (ko) 1997-07-11

Family

ID=264244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958A KR970011472B1 (ko) 1988-04-04 1994-03-24 이앙기(rice transplanter)
KR1019940005959A KR970011473B1 (ko) 1988-04-04 1994-03-24 이앙기(rice transplant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958A KR970011472B1 (ko) 1988-04-04 1994-03-24 이앙기(rice transpla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700114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472B1 (ko) 199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473B1 (ko) 이앙기(rice transplanter)
KR0167332B1 (ko) 이앙기
JP3393605B2 (ja) 乗用型田植機
JP3151524B2 (ja) 乗用型田植機
JPS5918946Y2 (ja) 農用索引車
JP3151525B2 (ja) 乗用型田植機
JP3118714B2 (ja) 乗用型田植機
JP3010295B2 (ja) 田植機
JP3151526B2 (ja) 乗用型田植機
JP3742373B2 (ja) 乗用型田植機
JP3151523B2 (ja) 乗用型田植機
JP3118715B2 (ja) 乗用型田植機
JP2522496Y2 (ja) 田植機の運転装置
JPH0751985Y2 (ja) 乗用田植機
JP3259175B2 (ja) 乗用型田植機
JP3585574B2 (ja) 乗用管理作業車
JP3151527B2 (ja) 乗用型田植機
JP2622577B2 (ja) 田植機のアクスル装置
JP3151522B2 (ja) 乗用型田植機
JP4636578B2 (ja) 田植機
JP2569479B2 (ja) 乗用型農業機
JP3390922B2 (ja) 乗用型田植機
JP4678745B2 (ja) 田植機
JP4753269B2 (ja) 田植機
JP2000032812A (ja) 乗用型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