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191B1 -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 Google Patents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191B1
KR970011191B1 KR1019890016551A KR890016551A KR970011191B1 KR 970011191 B1 KR970011191 B1 KR 970011191B1 KR 1019890016551 A KR1019890016551 A KR 1019890016551A KR 890016551 A KR890016551 A KR 890016551A KR 970011191 B1 KR970011191 B1 KR 97001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mmon mode
mode choke
coil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554A (ko
Inventor
신이찌 구라노
마사히로 반도우
야쓰히로 미쯔야
다께시 다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다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5051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7041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0320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95225U/ja
Priority claimed from JP2191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619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다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다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0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상기 도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상기 도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상기 평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해도.
제9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사용되는 코어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배경으로 되는 종래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일예를 나타낸 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보빈 5b : 권선부
6a, 6b : 코일 7 : 단자
10 :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12 : 폐자로 페어(a closed amgnetic path core)
14a, 14b : U자상 코어 16 : U자상 스프링
18, 20 : 코일 18a : 권선부
18b : 리이드부 22a, 22b : 보빈
본 발명은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a common-mode choking coi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컨대 EMI 제거 필터 등에 사용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에 관한 것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배경으로 되는 종래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일예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은 폐자로 코어(2)를 포함한다. 폐자로 코어(2)는 2개의 U자상의 코어(3)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2개의 코어(3)는, 예컨대 단면이 U자상인 스프링(4)에 의해서 고정된다.
폐자로 코어(2)의 하나의 다리부에는 보빈(5)이 취부된다. 보빈(5)에는 칼러(5a)에 의해서 2개의 권선부(5b)가 형성된다. 2개의 권선부(5b)에는 각각 도선을 두루감음으로써 코일(6a, 6b)이 형성된다. 코일(6a, 6b)은 서로 도선을 역방향으로 두루감음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코일(6a, 6b)을 형성할 경우, 도선을 필요회수로 두루감기 위하여, 보빈(5)의 권선부(5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도선을 두루감은 후, 그의 권선 위에 포개서 그의 타단으로부터 원래의 일단으로 향하여 도선이 두루감아진다. 이와 같이, 코일(6a, 6b)은 도선을 다층으로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코일(6a, 6b)의 권선의 단부는, 예컨대 보빈(5)에 형성된 단자(7)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은 도선을 다층으로 두루감음으로써 코일이 형성되기 때문에, 큰 분포용량을 갖는다. 그 때문에, 코일의 자기공진 주파수가 낮게 되고,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큰 삽입손실특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양호한 노이즈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도선을 1층만 두루감음으로써, 단층 권선 코일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코일을 단층으로 감음으로써, 코일의 분포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일을 단층 권선 코일로서 형성하면, 소정의 인덕턴스치를 얻기 위하여 1층으로 다수회 도선을 두루감아야만 하며, 큰 코일 길이가 필요케 된다. 코일 길이가 크게 되면, 그에 따라 코어의 자로 길이도 길어지게 되어서 자기저항이 커지게되고, 결국 삽입손실특성이 저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에서는, 2개의 U자상 코어를 조합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 등의 부품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부품의 비용으로 인해,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전체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코일의 단부를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 비용도 또한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삽입손실특성(insertion loss characteristic)이 뛰어난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은, 2개의 코어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폐자로 코어와, 이 폐자로 코어의 2개의 다리부에 두루감겨진 2개의 단층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2개의 코일은 도선을 서로 역방향으로 두루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단층 권선 코일은, 필요에 따라, 탄성을 갖는 도선을 두루감아서 형성된 권선부와, 이 권선부의 양측으로부터 뻗는 리이드부에 의해 구성되고, 권선부가 인장된 상태에서 폐자로 코어의 다리부에 취부되고, 리이드부에 의해서 2개의 코어가 조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2개의 코일은, 필요에 따라, 그의 도선의 두루감은 방향에 의해서 색 분리된다.
이와 같은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은, 각각의 코일이 단층으로 감아져 있기 때문에, 그의 분포용량이 작아진다. 더욱이, 각각의 코일은 폐자로 코어의 다른 다리부에 취부되기 때문에, 하나의 다리부에 2개의 코일을 취부한 경우에 비하여, 코어의 자로 길이가 길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손실특성이 뛰어난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단층 권선 코일을, 탄성을 갖는 도선을 사용한 권선부와, 이 권선부로부터 뻗은 리이드부에 의해서 구성하면, 탄성을 이용하여 리이드부에 의해 2개의 코어를 누를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별개부품으로서의 스프링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리이드부를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단자로서 사용하면, 별도부재로서의 단자에 코일의 단부를 감아 취부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가 있다.
이 경우, 권선부가 인장된 상태에서 폐자로 코어에 취부되기 때문에, 두루감아진 도선간의 거리가 크게 된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도선간의 부유용량이 작게 되고,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로서 효과가 있는 주파수영역을 넓힐 수가 있다.
또한, 코일을 그의 두루감는 방향에 의해서 색 분리하면,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2개의 코일을 식별하는데 요하는 시간과 노력이 줄고, 조립 미스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관련하여 행해지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 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2도는 그의 도해도이다. 이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0)은 폐자로 코어(12)를 포함한다. 이 폐자로 코어(12)는 2개의 U자상 코어(14a, 14b)를 조합하므로써 형성된다. 이들 U자상 코어(14a, 14b)의 2개의 다리부를 맞대므로써 폐자로 코어(12)가 형성된다. 이들 U자상 코어(14a, 14b)는, 예컨대 U자상의 스프링(16)으로 그의 양단을 누르므로써 고정된다.
폐자로 코어(12)의 2개의 다리부에는 각각 코일(18, 20)이 형성된다. 이들 코일(18, 20)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동선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수지재료로 피복한 것이 사용된다. 코일(18, 2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도선을 1층만 두루감은 단층감기로 감아져 형성된다. 더욱이, 코일(18, 20)은 서로 역방향으로 도선을 두루감아서 형성된다.
그리고, 2개의 코일(18, 20)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22a, 22b)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보빈(22a, 22b)에는 예컨대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들 단자에 코일(18, 20)의 단부가 접속된다. 그리고, 코일(18, 20)이 형성된 보빈(22a, 22b)이 폐자로 코어(12)의 2개의 다리부에 취부된다.
이와 같은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0)에서는, 코일(18, 20)이 단층으로 감아지기 때문에, 다층으로 감는 것에 비하여 분포용량이 작다. 더욱이, 각각의 코일(18, 20)은 폐자로 코어(12)의 2개의 다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다리부에 2개의 코일이 형성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코어의 자로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서 코일길이를 길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단층 권선 코일로 하기 위하여 코일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자기저항이 크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0)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삽입손실특성이 뛰어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코일(18, 20)의 재료로서 피복재를 형성한 동선을 사용하였으나,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도선재료로 코일(18, 20)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코일(18)은 탄성을 갖는 도선을 두루감아서 형성된 권선부(18a)와, 이 권선부의 양측으로부터 뻗는 리이드부(18b)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코일(20)도 권선부(20a)와 리이드부(20b)로 구성된다. 리이드부(18b, 20b)는 각각 권선부(18a, 20a)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된다.
이들 코일(18, 20)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그의 권선부(18a, 20a)의 중심선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그의 양측에 2개의 U자상 코어(14a, 14b)가 배치된다. 이 경우, 코어(14a, 14b)의 리이드부(18b, 20b)에 대응하는 측면에는 홈(30)이 형성된다.
다음,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U자상 코어(14, 14b)가 코일(18, 20)의 권선부(18a, 20a)를 관통하여 맞대어진다. 그리하여, 코일(18, 20)의 권선부(18a, 20a)가 양측으로 인장되고, 리이드부(18b, 20b)를 홈(30)에 끼움으로써, 2개의 U자상 코어(14a, 14b)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폐자로 코어(12)의 다리부에 직접 코일(18, 20)을 취부하였으나,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22a, 22b)을 사용하여 코일(18, 20)을 폐자로 코어(12)의 다리부에 취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0)에서는 코일(18, 20)의 탄성에 의해서 U자상 코어(14a, 14b)가 고정되기 때문에,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부품이 불필요하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별도부품을 사용하는데 비하여, 부품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코일(18, 20)의 리이드부(18b, 20b)를 외부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별도부자재로서의 단자에 코일의 단부를 접속할 필요가 없어,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와 같은 구조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0)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그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10)에서는, 코일(18, 20)의 권선부(18a, 20a)가 인장된 상태에서 폐자로 코어(12)에 취부되기 때문에, 두루감아진 도선간의 거리가 크게 된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도선간의 부유용량이 작아지고,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로서 효과가 있는 주파수 영역을 넓힐 수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코일(18, 20)을 그의 두루감는 방향에 따라 색을 정하여 각각 색을 구분해두면,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의 조립시에, 2개의 코일(18, 20)의 식별이 간단하고, 작업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폐자로 코어(12)를 작성하기 위하여 2개의 U자상 코어를 사용하였으나,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상 코어와 I자상 코어를 조합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이들 2개의 코어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어 도시되었으나, 그것은 단순한 도해 및 일예로서 사용한 것이고, 한정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7)

  1. 2개의 코어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폐자로 코어와, 상기 폐자로 코어의 2개의 다리부에 두루감아진 2개의 단층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코일은 도선을 서로 역방향으로 두루감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자로 코어의 2개의 다리부 주위에 형성되는 2개의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단층 권선 코일은 각각 상기 2개의 보빈에 두루감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권선 코일은 탄성을 갖는 도선을 두루감아서 형성된 권선부와, 이 권선부의 양측으로 뻗는 리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권선부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폐자로 코어의 다리부에 취부되며, 상기 리이드부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코어가 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권선 코일은 탄성을 갖는 도선을 두루감아서 형성된 권선부와, 이 권선부의 양측으로부터 뻗는 리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권선부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폐자로 코어의 다리부에 취부되며, 상기 리이드부에 의해서 상기 2개의 코어가 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권선 코일은 그의 두루감는 방향에 따라 색을 정하고, 각각 상이한 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권선 코일은 그의 두루감는 방향에 따라 색을 정하고, 각각 상이한 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권선 코일은 그의 두루감는 방향에 따라 색을 정하고, 각각 상이한 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KR1019890016551A 1988-11-17 1989-11-15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KR970011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50513U JPH0270419U (ko) 1988-11-17 1988-11-17
JP150513/88 1988-11-17
JP63-150513 1988-11-17
JP1989003200U JPH0295225U (ko) 1989-01-13 1989-01-13
JP3200/89 1989-01-13
JP21916/89 1989-01-30
JP2191689A JPH0666195B2 (ja) 1989-01-30 1989-01-30 チョークコイ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54A KR900008554A (ko) 1990-06-04
KR970011191B1 true KR970011191B1 (ko) 1997-07-08

Family

ID=2727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551A KR970011191B1 (ko) 1988-11-17 1989-11-15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23585A (ko)
KR (1) KR970011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5457A (en) * 1990-06-18 1992-10-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ne filter assembly
US5227745A (en) * 1990-06-18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ne filter assembly
US5319343A (en) * 1990-08-21 1994-06-07 Powercube Corporation Integrated magnetic inductor having series and common mode windings
US5346410A (en) * 1993-06-14 1994-09-13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Filtered connector/adaptor for unshielded twisted pair wiring
US6084499A (en) * 1996-12-31 2000-07-04 Compaq Computer Corp. Planar magnetics with segregated flux paths
US20090302986A1 (en) * 2008-06-10 2009-12-10 Bedea Tiberiu A Minimal-length windings for reduction of copper power losses in magnetic elements
KR101153580B1 (ko) * 2010-12-16 2012-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라인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GB2501104A (en) * 2012-04-12 2013-10-16 Eltek As Compact, efficient common mode inductor for a power converter system
KR101382681B1 (ko) * 2012-10-18 2014-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라인 필터 및 전력 공급 장치
KR20140081224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신호보상 기능을 갖는 공통 모드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626A (en) * 1919-12-10 1921-01-27 James Brian Palmer Improvements relating to protective devices for alternating electric current systems
US2375593A (en) * 1943-04-01 1945-05-08 Rca Corp Reception of signals on a loop antenna
US3353132A (en) * 1965-05-27 1967-11-14 Gen Electric Leakage flux suppressor windings for transformers
US3590329A (en) * 1969-05-05 1971-06-29 Sarkes Tarzian Coil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541424A (en) * 1969-05-19 1970-11-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High voltage generating device
US3629761A (en) * 1970-05-01 1971-12-21 Motorola Inc Broadband high-frequency transformer
ATE51112T1 (de) * 1985-08-21 1990-03-15 Siemens Ag Hochleistungs-impulsuebertrager fuer kurze impulse hoher spannung und/oder hoher stroeme.
US4668930A (en) * 1985-10-21 1987-05-26 Webster Electric Company, Inc. Transformer coil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54A (ko) 1990-06-04
US5023585A (en) 199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6477A (en) Transformer
CN108183018B (zh) 绕组型线圈部件
US11817844B2 (en) Common mode filter
KR970011191B1 (ko) 코몬 모우드 초우크코일
US4779068A (en) Noise suppression inductor
JP2018107248A (ja) インダクタ部品
US5296830A (en) Choke coil
JPH10308315A (ja) インダクタンス要素部品
JP3317213B2 (ja) 巻線型チップインダクタ
US6429762B1 (en) Data communication isolation transformer with improved common-mode attenuation
US20210391110A1 (en) Common mode filter
CA1065421A (en) Distribution type delay line
JPH05291865A (ja) Lcフィルタ
JPH06295834A (ja) ラインフィルタ
JPH02132806A (ja) 多線条平衡伝送路用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20220336141A1 (en) Transformer
US20230253141A1 (en) Common mode filter
JPH0397219U (ko)
US20210391109A1 (en) Common mode filter
JPH05315137A (ja) ノイズ・フィルタ
JPH04254307A (ja) ノイズフィルタ用インダクタ
JPS6214652Y2 (ko)
JPH07220932A (ja) コイル素子およびそのモジュール
JPH03234008A (ja) 高圧トランス
JPH0680622B2 (ja) 扁平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