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469B1 -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469B1
KR970008469B1 KR1019940029037A KR19940029037A KR970008469B1 KR 970008469 B1 KR970008469 B1 KR 970008469B1 KR 1019940029037 A KR1019940029037 A KR 1019940029037A KR 19940029037 A KR19940029037 A KR 19940029037A KR 970008469 B1 KR970008469 B1 KR 970008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etal mold
forming
present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993A (ko
Inventor
장근석
Original Assignee
장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석 filed Critical 장근석
Priority to KR101994002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469B1/ko
Publication of KR96001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2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1Selec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의 타일 제조용 금형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으로 완성된 타일 제조용 금형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형2 : 상면부
3 : 모서리부3' : 수직면부
4 : 우레탄수지5 : 요입홈
6 : 보강부
본 발명은 각종의 타일을 성형시에 사용되는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타일 성형용 금형은 상, 하형의 금형을 가지고, 상, 하형 상간에 타일 성형용 재료(예를 들면 점토류 등)를 투입한 후 성형을 하형쪽으로 압형함으로서 소정형의 타일성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금형의 상단 각 모서리부는 타일이 통상 모서리가 라운드부로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금형의 전체 재질보다는 경도가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금형과 일체로 보강부를 용접가공함으로서 수많은 제품성형시에도 장기간 금형의 모서리부가 마모 및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로 타일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금형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코져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금형 보강부 성형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통상 S45C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상단 모서리부를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따기를 수행한 후, 모따기를 한 모서리부에 경도가 금형보다 강한 스텔라이트 등의 재질을 아르곤 용접 등으로 금형에 고정한 후, 수평, 수직부 표면을 정밀연마하여 보강부를 형성한 후, 금형의 상단면을 요입형으로 평삭함으로서 금형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의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첫째는 고경도의 재질을 사용하여 금형의 모서리부에 보강부를 아르곤 용접 등을 함에 있어서 용접시간 및 인력의 낭비는 차치하고라도 용접의 균일성을 보장받기가 어려워 고품질의 금형을 생산하는데에는 난접이 있었으며, 용접이 완료된 후 용접부를 표면연마하는 과정이 수평면과 수직면을 별도로 행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다대한 인력소모와 작업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이 가지고 있던 시간 및 인력낭비라는 문제점을 일소함과 아울러 금형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정도(精度) 역시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을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제 2 도 내지 제 4 도와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타일 성형용 금형(1)의 전체사시도로서, 개략 사각형의 2 단으로 구성된 금형(1)의 상면부(2)는 전체적으로 약 15mm 정도가 요입되고, 상면의 외곽 모서리부는 금형(1)의 전체 재질이 가지는 경도(硬度)보다는 우수한 경도(약60)를 가진 모서리부(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면부(2)에는 제품성형후 이형률을 향상키 위하여 우레탄수지(4) 등을 코팅처리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것으로서, 이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금형(1)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금형(1)상단 모서리부(3)에 있어서 수직면부(3')에 개략(C)형의 요입홈(5)을 가공한다.
2. 제 1 항에 의하여 가공된 요입홈(5)에 브레이징 파우더를 사용하여 토오치 등으로서 가열하여 요입홈(5)을 충진시켜 보강부(6)를 형성시킨다.
3. 금형(1)의 수직면부(3')상에서 돌출된 부위를 표면 연마가 가공한다.
4.. 금형(1)의 상면부(2)를 평삭으로 요입가공한다.
5. 금형(1)의 상면부(2)에 우레탄수지(4) 등을 코팅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은 금형가공의 용이성은 물론, 작업 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견고한 타일 성형용 금형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 종래와는 달리 금형(1)의 상면 모서리부를 모따기하지 않고, 개략(C)형의 요입홈(5)을 금형(1)의 수직면부(3')에 형성하여 이에 브레이징 파우더로서 경도가 우수한 합금을 브레이징 결합함으로서 수지면부(3')에서 돌출된 부위를 금형(1)의 수직면부(3') 표면 연마를 할시에 동시에 연마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면부(2)는 별도 연마를 할 필요가 없어 연마시간상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금형(1)의 상면부(2)를 요입형으로 평삭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금형(1)은 종래의 모서리부(3) 절삭을 행할 필요가 없이 상면부(2)만 평삭가공하면 작업이 종결되므로, 경도가 우수한 모서리부 연삭으로 인한 작업상의 난점 및 인력, 시간상의 손실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경도의 재질은 스텔라이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금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특성상에 기인하여 예상되는 효과는 본 발명과는 무관한 것이라 하겠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일 성형용 금형을 제조함에 있어서, 금형의 수직면부에만(C)형의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고경도의 재질을 브레이징 파우더로서 결합하여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서 작업공정의 간소화 및 금형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제품의 수명을 장구히 하여 양산성을 배가시킴으로서 제품의 단가를 낮출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이 개시될 것이지만, 일부 요입홈의 형상을 달리하거나 보강부의 재질을 달리하는 등 당해업계에 숙달된 자에 의하여 용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유사한 실시예 역시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본 발명과 같이 하는 한 본 발명과 동일성이 있다 할 것이다.

Claims (1)

  1. 타일 성형용 금형(1)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금형(1)의 수직면부(3')에는 요입홈(5)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요입홈(5)상에 고경도의 재질로서 보강부(6)를 브레이징 파우더로서 용접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보강부(6)의 돌출면부를 연마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1)의 상면부(2)에 평삭가공후 우레탄수지(4)를 코팅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KR1019940029037A 1994-11-04 1994-11-04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KR970008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037A KR970008469B1 (ko) 1994-11-04 1994-11-04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037A KR970008469B1 (ko) 1994-11-04 1994-11-04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93A KR960016993A (ko) 1996-06-17
KR970008469B1 true KR970008469B1 (ko) 1997-05-24

Family

ID=1939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037A KR970008469B1 (ko) 1994-11-04 1994-11-04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4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9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63107A (ja) 切削インサートとその製造方法
CN103144224B (zh) 一种45°o型密封圈模具及其加工方法
CN108924298A (zh) 中框制作方法、中框及电子设备
KR970008469B1 (ko) 타일 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CN102228330A (zh) 贵金属加工方法
CN101065232B (zh) 内浇道处理成形品
JPH03110029A (ja) プレス型の加工方法
EP1732721A1 (en) Cutting tool for simultaneous facing and grooving of cmp pad
CN108406447A (zh) 一种精密非圆曲面的轨迹磨削方法
CN106738733B (zh) 具有消除镶拼线的模具结构
CN210372849U (zh) 一种钢质零件的机械加工改进结构
JPH0197608A (ja) カーボン成形型及びその製法
US20120001360A1 (en) Concrete block mold with diamond insert
CN109080360A (zh) 一种石材盘子器皿的数控雕刻铣削加工方法
CN218227633U (zh) 一种剪钳初品加工用的注射成型模具
JPH01113167A (ja) 軽合金ホイールの製造方法
JPH06179045A (ja) 鋳造金型
CN214640211U (zh) 一种镶嵌式铸造槽帮砂型以及镶嵌式铸造槽帮
CN210547992U (zh) 一种模具排气治夹具
KR20020095641A (ko) 금형의 주조방법
CN115805512A (zh) 模具零件处理方法
KR100186642B1 (ko) 곡형 호스금형의 제조방법
JPS6328611A (ja) 格子状製品の成形用金型
JPH0724652A (ja) 成形金型の加工方法
CN114770059A (zh) 一种带喇叭网孔的模具制造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