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358B1 -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358B1
KR970008358B1 KR1019930029151A KR930029151A KR970008358B1 KR 970008358 B1 KR970008358 B1 KR 970008358B1 KR 1019930029151 A KR1019930029151 A KR 1019930029151A KR 930029151 A KR930029151 A KR 930029151A KR 970008358 B1 KR970008358 B1 KR 97000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der
moving
alignment memb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333A (ko
Inventor
이정모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358B1/ko
Publication of KR95002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순차정렬장치의 개괄적인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순차정렬장치의 개괄적인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중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에 의한 튜브의 정렬 상태도.
제 4 도는 종래의 이노베이션 로더에 튜브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벌크 튜브핸들링 부재200 :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
300 : 이동정렬부재400 : 튜브로딩 헤드부재
500 : 플렉시블 핸드부재600 : 언로딩 부재
본 발명은 반도체가 삽입된 튜브를 이노베이션(INNOVATION)에 순차정렬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작완료된 반도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튜브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소정의 길이로 되어 있고 상기의 튜브를 다음에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튜브를 이노베이션 로더(INNOVATION LOADER)에 카세트식으로 공급하여 주어 이송되게 하였다.
이러한 카세트식 튜브공급 방법에서는 이노베이션 로더에 튜브를 삽입하여 주기 위하여는 반드시 한명의 작업자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수만큼 작업인원을 배치하지 못하면 원할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튜브의 이송을 작업자 일일이 이노베이션 로더에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가 하나씩 선별되어 공급을 이루는 스탭핑 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진 벌크 튜브 핸들링 유니트부 ; 로테이션 홀더, 튜브홀더 등으로 이루어진 싱글레이트 유니트부 ; 튜브홀더가 여러개 구비된 타이밍 벨트, 밀대, 튜브가 하나씩 공급되어 정렬되는 이동정렬부 ; 튜브가 홀딩되는 홀더를 수평에서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튜브로딩 헤드부 등으로 이루어진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급장치에 의하면 장치에 작업자가 반드시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없어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치된 작업자가 한대 이상의 공급장치를 관리할 수 있어 생산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튜브가 하나씩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상태로 인하여, 일일이 이노베이션 로더에 공급하여 주던 종래의 작업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근로환경도 개선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에 대한 측면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장치에는 반도체가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가진 튜브(T)를 여러개 저장할 수 있는 공간(101)이 하측에 형성된 벌크 튜브핸들링 부재(100)에는 튜브를 하나씩 분리 이송시켜 주기 위해 홀더(102a)를 가지며 엔드리스형으로된 이동벨트(102)를 경사지고 당겨지는 상태로 설치하고, 경사진 이동벨트(102)의 하단에는 튜브(T)를 하나씩 공급시켜 주는 탭핑바(103)를 설치하며 경사진 이동벨트(102)의 상측에는 한개의 튜브만 센서신호에 의해 받도록 구성된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를 설치한다.
이동벨트(102)를 경사지며 당겨지게 설치하는 상태에서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3점 지지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밍 벨트로도 할 수 있다.
센서신호에 의해 하나의 튜브(T)를 받도록 구성된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는 튜브(T)를 공급받는 로울러(201)와, 로울러의 하단에는 하나의 튜브만이 공급되도록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의 하단개구를 개폐하는 로테이션 홀더(202)와, 싱글레이트 유니트 하단에서 하나의 튜브(T)를 공급받아 정렬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왕복운동을 실린더에 의하여 이루는 공급이송홀더(203)를 설치한다.
상기 공급이송홀더(203)의 행정완료 위치의 하단에는 공급이송된 튜브(T)를 이동정렬부재(300)에 공급하여 주기 위한 스토커(204)를 설치한다.
상기 스토커(204) 하단에는 엔드리스형의 이동정렬부재(300)를 당겨지게 설치하고, 이동정렬부재(300)의 상면에 튜브(T)를 공급받을 수 있는 튜브홀더(301)를 여러개 설치한다.
상기의 이동벨트(102)와 이동정렬부재(300)는 자체적으로 구동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인덱스 모터(104)와 스탭핑 모터(302)를 구동원으로 사용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구동원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의 이동정렬부재(300) 후방측에는 각 홀더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공급된 튜브(T)를 밀어내기 위한 로드(304)와 에어실린더(305)로 이루어진 밀대(306)들을 설치하고, 이동정렬부재(300)의 정면에는 튜브(T)로 부터 분리되는 튜브(T)를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에 공급하기 위한 튜브로딩 헤드부재(400)를 설치한다.
상기의 튜브로딩 헤드부재(400)는 이동정렬부재(300)의 전방과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의 튜브로딩 헤드부재(400)는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그의 최상단에 튜브(T)속에 삽입된 디바이스가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401)이 구성되어 있고, 경사진 가이드 레일(401)의 선단에는 튜브(T)를 홀딩하는 헤드 가이드홀더(402)를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1) 하단에는 이동정렬부재(400)의 헤드 가이드홀더(402)에 삽입된 튜브(T)를 공급 받기 위하여 이동정렬부재(400)와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사이의 공간에서 경사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403)를 설치하고, 밀대(306)에 의해 튜브홀더(301)에서 밀려 나오는 튜브(T)를 홀딩시키기 위한 헤드 가이드홀더(402) 저면에는 튜브(T)가 홀더선단에 홀딩된 상태에서 구동하여 튜브(T)가 경사진 가이드 레일(401)에 일치하는 경사각을 이루게 하는 에어실린더(404)를 설치하고, 상기 헤드 가이드홀더(402)의 상면의 수평방향 일측에는 튜브(T)속의 디바이스가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측으로 이동된 후 튜브(T)를 언로딩부측으로 낙하되게 하는 에어실린더(405)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공급된 튜브의 공급만을 작업자가 직접할 뿐 튜브를 하나씩 공급정렬하여 튜브속의 디바이스가 플렉시블 핸드에 공급된 후 튜브를 언로딩시키는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능력을 갖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가 삽입된 튜브를 작업자는 벌크 튜브핸들링 부재(100)에 공급하여 주고 통상의 방법처럼 전원을 '온'한다.
전원을 '온'시키면 인덱스 모터(104)가 구동을 하고, 인덱스 모터(104)의 구동에 의하여 탭핑바(103)가 공간(101)에 적재된 튜브(T)를 쳐주는 작용을 이루게 되고 상기의 작용으로 이동벨트(102)의 홀더(102a)에 튜브(T)가 하나씩 걸려 튜브(T)는 공간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벨트(102)에 의해 벌크 튜브핸들링 부재(100) 상측으로 이동된 튜브(T)는 이동벨트(102)의 상사점을 넘어서게 되어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의 로울러(201)측으로 낙하를 이루게 된다.
상기의 로울러(201) 구동에 의하여 튜브(T)는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의 하단으로 낙하하고 이어서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의 하단에 설치된 공급이송홀더(203)에 낙하된다.
그러나, 튜브(T)는 로테이션 홀더(202)가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의 하단을 막고 있으면 공급이송홀더(203)에 공급되지 못한다.
상기의 로테이션 홀더(202)는 공급이송홀더(203)에 튜브(T)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면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의 하단을 개방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공급이송홀더(203)는 튜브(T)가 홀더에 삽입된 상태를 감지할때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실린더가 구동을 하여 전진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튜브 실린더의 전진작용은 공급이송홀더(204)에 삽입된 튜브(T)를 이동정렬부재(300)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급이송홀더(203)의 전진상태에서는 스토커(204)위에 도달한다.
이때, 이동정렬부재(300)도 이동벨트의 구동과 함께 스탭핑 모터(303)의 구동으로 구동이 시작된다.
구동되는 이동정렬부재(300)는 튜브홀더(301)가 공급이송홀더(204)와 일치할때 정지하는 작용을 전기적인 신호나 감지에 의한 신호에 의해 정지하고, 이어서 로테이션 홀더(202)가 구동하여 공급이송홀더(203)에 얻혀진 튜브(T)를 스토커(204)를 통해 이동정렬부재(300)의 튜브홀더(301)에 공급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때 이동정렬부재(300)는 튜브홀더(301)에 튜브(T)가 얹혀지는 것을 감지하여 다음의 홀더가 스토커(204) 하방에 놓이도록 이동하는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튜브(T)의 정렬이 완료될 때까지 이동정렬부재(300)는 순차적인 구동을 이루고, 이동정렬부재(300)는 각 튜브홀더(301)가 밀대(306)의 로드(304)와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헤드 가이드홀더(402)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 이 상태는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가이드 레일(401)과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이 일치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정렬부재(300)의 밀대(306)는 에이실린더(305)에 의하여 구동하여 이동정렬부재(300)의 튜브홀더(301)에 삽입되어 있는 튜브(T)를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측으로 밀어내는 동작을 한다.
상기 동작으로 튜브(T)는 튜브홀더(301)내에서 슬라이딩을 하여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측의 헤드 가이드홀더(402)로 이송이 된다.
이송되는 튜브(T)는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헤드 가이드홀더(402)에 밀려서 홀딩되는 상태가 된다.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헤드 가이드홀더(402)에 튜브(T)가 홀딩되면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하단에 설치된 에어실린더(403)가 전진구동을 하여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과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가이드 레일(401)을 접촉시키어 가이드 레일(401)(501)이 이어지게 하고, 헤드 가이드홀더(402) 저면에 위치한 에어실린더(404)가 구동하여 헤드 가이드홀더(402)에 홀딩된 튜브(T)를 경사지게 들어준다.
상기의 에어실린더(404)에의 구동으로 헤드 가이드홀더(402)에 홀딩된 튜브(T)가 경사지면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과 튜브(T)가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의 가이드 레일(501)과 튜브(T)의 경사각이 일치하게 되면 튜브(T)속에 디바이스(D)가 자중에 의하여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측으로 미끄러져 내려 이노베이션 로더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는 플렉시블 핸드부재별로 독립적인 상태로 이루어지면서 연속 반복적으로 계속된다.
튜브(T)에서 디바이스(D)가 빠져나가면 튜브로딩 헤드부재(400) 상측에 설치된 에어실린더(405)가 동작을 하여 헤드 가이드홀더(402)에서 경사져 있는 빈 튜브(T)를 헤드 가이드홀더(402)에서 빠지도록 밀어준다.
빈 튜브(T)가 이동정렬부재(300)위로 낙하하면 이동정렬부재(300)는 스탭핑 모터(303)에 의해 구동하여 이동정렬부재(300)의 하단에 설치된 언로딩부(600)로 회수한다.
이러한 구동상태를 이루는 본 발명의 튜브 순차이송 정렬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튜브를 트레이에 카세트 방식으로 적재하지 않아도 인덱스 모터와 스탭핑 모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적재 공급되는 것이어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할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장치의 구동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튜브의 공급과 디바이스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한사람이 여러대의 장치를 관리함이 가능하여 공정상에 작업인원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으며, 튜브의 벌크 튜브핸들링 유니트를 제외하고는 속이빈 튜브의 모으는 동작이 장치의 구동으로 해결되므로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고, 생산성의 향상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공간(101)의 하측으로 적재되는 튜브(T)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홀더(102a)를 구비한 상태로 당겨지게 설치한 이동벨트(102)와, 상기의 이동벨트(102)에 튜브(T)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인덱스 모터(104)의 탭핑바(103)로 이루어진 벌크 튜브핸들링 부재(100) ; 이동벨트(102)에 의하여 하나씩 공급되는 튜브(T)를 일정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홀더(301)를 가지고 당겨지게 되는 설치된 이동정렬부재(300) ; 상기의 벌크 튜브핸들링 유니트(100)와 이동정렬부재(300)사이에 설치되어 센서신호로 로테이션 홀더(202)가 하나의 튜브(T)만을 튜브홀더(203)에 받아내고 스토커(204)측으로 공급하는 싱글레이트 유니트부재(200) ; 이동정렬부재(300)의 홀더(301) 후방위치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튜브(T)를 홀더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로드(304)와 이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실린더(305)로 이루어진 밀대(306) ; 상기 이동정렬부재(300) 전방에서 경사진 플렉시블 핸드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01)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를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4010과, 상기 가이드 레일(401) 선단에는 튜브(T)가 홀딩되며 이동정렬부재(300)에 일치하는 수평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501)의 기울기와 일치하는 범위로 회전하게 에어실린더(405)가 연결된 헤드 가이드홀더(402)를 구비하여서 된 튜브로딩 헤드부재(400)를 포함하여서 된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정렬부재(300)의 하단에는 튜브로딩 헤드부재(400)의 헤드 가이드홀더(402)에서 분리되는 빈 튜브(T)를 회수하기 위해 설치된 언로딩부(60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KR1019930029151A 1993-12-22 1993-12-22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KR97000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151A KR970008358B1 (ko) 1993-12-22 1993-12-22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151A KR970008358B1 (ko) 1993-12-22 1993-12-22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333A KR950021333A (ko) 1995-07-26
KR970008358B1 true KR970008358B1 (ko) 1997-05-23

Family

ID=1937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151A KR970008358B1 (ko) 1993-12-22 1993-12-22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3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333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5207B2 (ja) パッケージ機にテープ材のリールを送給する装置
CN110948227A (zh) 主板装配线
GB2061893A (en) Pipe feeding apparatus
CN110254876B (zh) 针管供料装置及旋杆贴标机
KR870005451A (ko) Ic 시이트 절단 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ic 시이트 가공장치
US6062795A (en) Wafer ring feeding apparatus
JPH06127672A (ja) トレイの移送方法とその装置
KR970008358B1 (ko)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JPH03238233A (ja) Icテスターのためにスリーブを積み降ろしするための装置
CN218490843U (zh) 一种串焊机用电池板料盒抓取组件
CN111819447B (zh) 进样装置、样本分析设备以及进样装置的控制方法
US5108245A (en) Device for the axial transport of elongated objects
JP2550527Y2 (ja) 積重ねられたカップ状容器の供給装置
US4829748A (en) Apparatus for arraying parts on respective trays
KR100217287B1 (ko) 리드프레임의 푸셔장치
CN113351775B (zh) 一种自动化双头缩管机
US5435681A (en) Pusher device for plate-form articles
JP2023014589A (ja) 試験管整列装置
JPS62175324A (ja) リ−ドフレ−ムの供給・排出装置
US6042323A (en) Wire harness handling and storage system
KR200194726Y1 (ko) 자동 카드 연속 기록, 적재 및 인출장치
US5217120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leeves for integrated circuit ester
JPS60153306A (ja) プリント板給排装置
KR20000030063A (ko) 자동 카드 연속 기록, 적재 및 인출장치
JP3404679B2 (ja) 長尺物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