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57B1 -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957B1
KR970007957B1 KR1019880015340A KR880015340A KR970007957B1 KR 970007957 B1 KR970007957 B1 KR 970007957B1 KR 1019880015340 A KR1019880015340 A KR 1019880015340A KR 880015340 A KR880015340 A KR 880015340A KR 970007957 B1 KR970007957 B1 KR 97000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astening
central body
peg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401A (ko
Inventor
까르메 프란시스
Original Assignee
알스톰(에스에이)
미셀 달사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스톰(에스에이), 미셀 달사세 filed Critical 알스톰(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89000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0Locking mechanisms for points; Means for indicating the setting of points
    • B61L5/107Locking mechanisms for points; Means for indicating the setting of points electrical control of points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ailway Track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의 총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확대 부분도.
제4도는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의 작동 로드가 파괴되어 있는 제1도와 유사한 총체도.
제5도는 결합 탐지 이동 장치의 개략도.
제6A도 내지 6E도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결함이 있는 경우의 시스템의 조작을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가동 설비, 결합 탐지기, 및 체결판을 도시한 모터 시스템중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시스템의 부분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IX-IX에 따른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제7도와 유사한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부분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2 :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
5 : 스페이서 바아7 : 우측 작동 로드
8 : 좌측 작동 로드9 : 우측 제어 바아
10 : 좌측 제어 바아13 : 하우징
16 : 가동 설비17 : 모터 장치
19 : 토크 제한기22 : 중심본체
24 :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5 :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
26 : 공통 기어륜27 : 탐지 장치
29 : 전기 접촉부30 : 우측 체결판
34,35,38,39 : 구동 및 체결 페그(peg)
32,33,36,37 : 노치40,41,42,43 : 수직 체결 요홈
44,44A : 제1단45,45A : 제2단
46 : 중심단
본 발명은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러 다른 국가들에 있어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특히 전철기가 파열 개방(burst open)될 수 있거나 "견인(trailed)"될 수 있는가에 따라, 철로 전철기들 또는 "포인트들(points)"용 조작 및 체결 기구들에 대한 몇가지 시스템들이 있다. 견인될 수 있는 전철기라는 것은, 견인 전철기(trailing switch)로서 사용될 때의, 즉 2개의 선로들을 갖는 방향으로부터 단일 선로로 접근될때 단일 선로에 도달하고, 손상됨이 없이, 전철기가 설치되는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의 선로로부터 오는 차량이 통과하고, 다음에 전철기는 축추력에 의해 변위되게 되는 전철기이다. 단일 선로로부터 와서 다수의 상이한 선로들 중 하나를 향하여 가는 차량에 의해 전철기가 접근될때, 전철기는 대면 전철기(facing switch)라 칭해진다. 전철기는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 및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로 칭해지는 2개의 이동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우측" 및 "좌측"이라는 명칭은 전철기가 대면 전철기로서 접근될때 볼 수 있는 포인트 블레이드들의 위치들과 일치한다. 블레이드들 중 하나가 대응하는 백킹 레일(backing rail)과 접촉하고 있으면, 나머지 다른 블레이드들을 백킹 레일로 부터 격설되어 있다.
프랑스의 전철기들은 견인자재하지 않으나, 독일의 선로상의 전철기들은 견인자재하다. 견인 전철기들로서만 사용되거나 40Km/h 이하의 속도에서 대면 전철기들로서 사용되는 프랑스의 전철기들은, 자체의 각각의 2개의 위치들 내에 전철기를 체결하기 위한 모터의 내부의 안내판 및 구동 휘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터 시스템을 갖는다. 40Km/h 이상의 속도에서 대면 전철기로서 사용되는 전철기들에 있어서, 프랑스 철도들은, 부가해서, 각각의 블레이드에 대해 각각 외부 직동식 체결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상기와 같은 체결 시스템들은 프랑스에서는 "carter-coussiner" 체결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들은 우측 및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들을 모두 작동시키는 단지 하나의 구동 로드만을 갖는다.
독일의 전철기들은 견인자재하다. 내부 체결식의 하나의 선행 조작 기구는 대응 구동 로드의 랙과 각각 치합하는 2개의 특수 기어륜들이 마련되어 있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구동 로드들 중 하나는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있다. 접촉 블레이드는 체결 바아에 체결되어 있는데, 체결 바아는 출력축 회전의 단부에서 및 구동 로드 범위의 단부에서, 접촉 블레이드의 구동 로드내에 마련된 노치내로 통과된다. 견인될때, 토오크 제한기로부터의 힘에 의해 정위치에 보유되어 있는 비체결 비접촉 블레이드를 작용시킴으로써 기구는 역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전철기를 조작 및 체결하기 위한 기구를 마련하는 외에도, 안전을 위해 전철 조작이 끝났을때 블레이드들의 작동 위치들을 점검하는 것이 역시 필수적이다.
프랑스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점검은 전철기들이 견인되어 있을 때에만 사용되는 전철기들용 블레이드들 자체 상에서 고정된 점검 장치들에 의해 이행된다. 대면 전철기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소위 "carter-coussinet"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철기들에 있어서, 체결 시스템 자체는 접촉 블레이드의 존재 및 체결을 점검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그밖의 다른 나라들에 있어서는, 공지된 시스템은 한쪽 블레이드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바아들에 의해 블레이드들을 조작 및 체결하는데 있는데, 2개의 블레이드들은 스페이서 바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들의 위치는 모터내에 일체로 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인 점검 장치로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2개의 다른 바아들에 의해 점검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전철기가 4-바아 모터 점검 유니트를 가지고 있으나, 프랑스에 있어서는 전철기가 안내판 및 구동륜을 이용한 내부 체결 시스템, "carter-coussinet" 체결들에 의한 외부 체결 시스템, 및 점검 장치들을 갖는 모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바아들만에 의해 본질적으로 안전하게 모든 요구된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고, 또한 점검 장치들과 함께 "carter-coussinet" 체결들을 이용하는 종래의 프랑스 시스템보다 더 큰 안전도를 제공할 수 있는 포인트 모터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 시스템은 또한 상기 선행 시스템 및 다른 나라의 4-바아 시스템들보다 더 간단하고 더 저렴하다.
본 발명의 견인자재하지 않은 선로 및 2개의 체결된 블레이드들을 가지고 있는 철로 전철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 및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인 두개의 가동 블레이드들로 구성되고 모터 장치을 포함하며, 상기 양 블레이드들은 스페이서 바아에 의해 그들 선단들 부근에서 상호 연결되고,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는 그 선단 부근에서 우측 작동 로드에 연결되고,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는 그 선단 부근에서 좌측 작동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 장치는 각각 우측 작동 로드 및 좌측 작동 로드에 정렬되어 연결된 우측 제어 바아 및 좌측 제어 바아를 종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모터 장치 및 상기 제어 바아들은 고정 위치에 배설된 하우징내에 장입되는 철로 전철기용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서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 및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 본체를 포함하는 가동설비를 포함하고, 양 슬라이드들은 상기 중심 본체 내에서 자유 회전하도록 장착된 공통 기어륜에 물려 있고, 상기 중심 본체에 대한 상기 양 슬라이드들의 행정은 접촉부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모터 장치는 가동 설비의 상기 중심 본체 상에 작용하고, 상기 중심 본체는 상호 평행하고 상호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어 바아의 축들에 평행한 우측 체결판 및 좌측 체결판들 사이에서 평행하게 가동되고, 우측 제어 바아는 우측 체결판 및 가동 설비 사이에서 상기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위치하고, 좌측 제어 바아는 좌측 체결판 및 상기 가동 설비 사이에서 상기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위치하고, 각각의 제어 바아에는 두개의 구동 및 체결 페그(peg)들이 마련되고, 이들 페그들은 원통형이며 부유 장착부내에 수직으로 배설되며 각각 체결판 및 슬라이드 사이에서 제어 바아들의 대응된 하나에 마련되는 노치내에 수납되고, 각각의 체결판은 판으로부터 바아를 향해 확개되는 경사 측벽들을 갖고 있는 상기 부유 페그들 중의 하나의 페그의 직경의 1/2, 즉 1/2D 이하인 깊이를 갖는 두개의 수직 체결 요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설비의 폭은 양 측면들의 외부 프랭크들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양 체결판들 사이에는 각각의 단부에서 양체결판들 사이의 간격 L보다는 작고 부유 페그의 직경 D의 2배보다 작은 폭의 제1단, 상기 가동 설비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가동 설비의 중간을 향하여 L-2D와 L-D 사이의 폭으로 위치하는 제2단, 및 L보다는 작고 상기 제2단의 폭보다는 큰 폭으로 된 중심단으로 구성되는 폭이 각각 다른 3개의 단들이 위치하고, 제1단으로부터 제2단으로의 전이는 경사벽으로 형성되고, 제어 바아의 양 노치들 사이의 간격은 중심단에 제2단중 하나의 폭의 2배를 더한 길이보다 작지 않고, 또한 중심단의 길이와 제2단들 중의 하나의 길이와 제1단들 중의 하나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작고, 상기 공통기어륜은 상기 기어륜이 회전되게 하는 비정상적인 작동을 체크하는 전기 접촉부와 협력하는 탐지 장치에 연결되어 결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특성에 따르면, 각각의 부유 페그는 그 단부들에서 인접 체결판 상으로 주행함으로써 상기 요홈들 외측에서 협력하는 주행륜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성에 따르면, 각각의 체결판은 상기 각각의 요홈들의 부근에서 가동 설비의 이동 방향에 대한 하류에서 상기 요홈을 향하여 상기 부유 페그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모터 장치는 상기 가동 설비의 상기 중심 본체에 고정된 너트와 협력하는 볼 스크류로 구성되고, 볼 스크류는 토오크 제한기를 통해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17)에 의해 회전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공통 기어륜의 회전을 탐지하는 상기 장치는 상기 공통 기어륜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된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은 그를 관통하는 상기 볼 스크류를 가지며 또한 스크류의 직경에 비해 충분히 크게 되어 있어 링을 기어륜의 회전에 따라 어느정도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은 슬라이드를 통해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제어 바아에 평행하게 주행하는 로드와 협력하는 축방향 레버를 반송하고, 상기 로드는 그 각각의 단부들에서 그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된 로커의 단부에 고정되고, 양 로커들 중의 하나의 로커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와 협력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로드상에서 자유활주하고 상기 축방향 레버의 단부에서 포크에 계합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링의 정부 부분은 볼 스크류의 너트용의 너트 케이지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와 협력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중심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종결 스트립으로 도체의 테이프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테이프는 하우징에 연결된 고정 저부 홈통 및 그 오목면이 직하방을 향하고 있고 상기 중심 본체에 고정된 활주식 상부 홈통(87)에 의해 보호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내지 6도에 대해 설명하면, 시스템은 시스템의 이론 및 조작과 함께 총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1) 및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를 포함하는 철로 전철기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시한 전철기는 우측으로 분기된 궤도의 해당하며 또한 이는 전철기가 대면 스위치로서 사용될때 직선로에서 지선으로 전환되는 차량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거나 또는 전환기가 견인 전철기로서 사용될때 차량을 지선으로부터 직선로로 통행시키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1)이 백킹 레일과 접촉하지 않고 있는 동안, 즉 분기 궤도가 우측으로 진행되기 시작하는 백킹 레일(4)로부터 격설되어 있는 동안,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는 일직선 백킹 레일(3)과 접촉해 있다.
상기 포인트 블레이드(1) 및 (2)는 자체의 선단들 근처에서 자체의 격설을 조절하기 위한 터어버클 장치(turnbuckle device)(6)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바아(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우측 조작 로드(7)은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1)의 선단 근처에서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1)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좌측 조작 로드(8)은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의 선단 근처에서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동 로드들(7) 및 (8)에 의해 포인트 블레이드들(1) 및 (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조립체는 우측 작동 로드(7)에 연결된 우측 제어 바아(9)에 의해 또한 좌측 작동 로드(8)에 연결된 좌측 제어 바아(10)에 의해 작동 로드들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제어 바아들(9) 및 (10)은 작동 로드들(7) 및 (8)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전달 길이를 조절 가능케 하는 포오크(fork)들 (11) 및 (12)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들과 일직선으로 배설되어 있다. 제어 바아들은 본 발명의 모터 시스템(100)의 절대 필요한 부분이다.
전체적으로 모터 시스템(100)은 궤도를 남아서 연장되는 2개의 침목들(14) 및 (15)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13)내에 위치되어 있다.
모터 시스템은 가동 설비(16)을 통해 우측 및 좌측 제어 바아들(9) 및 (10)으로 종방향, 즉 축방향, 구동을 마련하는 모터 장치를 포함한다. 이들 모터 장치는 벨트(18) 및 토오크 제한기(19)를 통해 볼 스크류(2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기어 박스 유니트(17)을 포함하며, 볼 스크류(20)은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이동 장치(16)의 중심 본체(22)에 고정된 너트(11)과 상호 작용한다. 볼 스크류(20)의 너트(21)은 중심 본체(22)에 고정된 너트 케이지(23)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1도, 2도, 4도, 5도 및 6도에 있어서, 볼 스크류(20) 및 너트(21)로 구성된 전달 시스템은 도시하지 않는다. 제3도에서는 스크류(20)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볼 스크류(20) 및 너트(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제7도 내지 12도에 도시되어 있다.
당분간, 이들 장치가 가동 설비(16)의 중심 본체를 종방향으로, 즉 제어 바아들(9) 및 (10)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역할을 함께 한다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며, 상기 가동 설비(16)은 기구 조립체로부터 제거된 채로 제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대해 설명하면, 가동 설비(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구동되며 또한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4)와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25) 상에 놓여 있는 중심 본체(22)로 구성된다. 이들 2개의 슬라이드들은 중심 본체(22)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 공통 기어륜(26)과 치합한다. 기어륜(26)은 상기 제1도, 3도, 4도, 5도 및 6도에 섹터(27)로 도시되어 있는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섹터(27)은 이각(anomalie)들을 탐지하여, 포인트 블레이드(1) 및 (2)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연결부내에 포함된 부품들중 어느 것에나 관해서, 예컨대 파괴된 부품, 비틀린 부품, 또는 헐겁게 작업된 고정구와 같은, 결함을 표시하는 기어륜(26)의 임의의 회전을 탐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전기 접촉부(2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노치(28)이 갖추어져 있다. 공통 기어륜(26)의 회전에 관계된 이와 같은 결함 탐지 시스템은 본 발명의 2개의 특수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제7도 내지 1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본체(22)에 관한 우측 및 좌측 슬라이드(24) 및 (25)에 유효한 행정들은 접촉부들에 의해 제한된다. 이들 접촉부들은 제7도 및 10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도, 3도, 4도 및 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 설비(16)은 우측 체결판(30)과 좌측 체결판(31) 사이에서 고정된 하우징(13)내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판들은 모두 다 하우징(13)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체결판들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제어 바아들(9) 및 (10)에 평행한다. 추가로, 우측 제어 바아(9)는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4)내에 수납됨으로써 우측 체결판(30)과 상기 가동 설비(16) 사이에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제어 바아(10)은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25)내에 수납됨으로써 좌측 체결판(31)과 가동 설비(16) 사이에 위치된다. 우측 제어 바아(9)는 구동 및 체결 페그(34) 및 (35)를 각각 수납하는 2개의 노치들(32) 및 (33)을 가지고 있다. 이들 페그들은 수직 축들을 가지고 있는 원통형이며, 또한 우측 체결판(30)과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4) 사이에서 "부유(floating)"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제어 바아(10)도 역시 좌측 체결판(3)과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25) 사이에 동일 방식으로 장착된 구동 및 체결 페그들(38) 및 (39)를 각각 수납하는 2개의 노치들(36) 및 (37)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페그들(34),(35),(38) 및 (39)는 대응하는 제어 바아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대응하는 제어 바아와 함께 이동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우측 체결판(30)은 홈의 저부로부터 우측 제어 바아(9)와 대면하는 홈의 개구부쪽으로 벌어진 경사진 측면벽들을 가지고 있는 2개의 수직 체결 홈들(40) 및 (41)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좌측 체결판(31)은 좌측 제어 바아(10)과 대면하는 홈의 개구부 쪽으로 벌어진 경사진 측면벽들을 가지고 있는 2개의 수직 체결 홈들(42) 및 (43)을 포함한다. 홈들(40) 내지 (43)은 깊이가 1/2 D 이하인데, 여기에서 D는 부유 페그들의 직경이다.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판들(30)과 (31) 사이의 2개의 슬라이드들(24)와 (25)의 외측면들 사이의 거리로 이루어진 가동 설비(16)의 폭은 3개의 상이한 폭들로 단이져 있으며 또한, 가동 설비의 각각의 단부에, 폭이 2개의 체결판(30)과 (31) 사이의 거리 L과 동일하게 부유 페그들의 직경 D의 2배 미만인 제1단(44) 또는 (44A)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 다음에는 제2단(45) 또는 (45A)가 가동 설비의 중간을 향하여 각각의 측면상에 L-2D와 L-D 사이의 폭으로 위치하며, 또한 마지막으로 폭이 제2단의 폭보다 더 크고 L보다는 크지 않은 중심 단(46)이 있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단과 제2단 사이의 전이(transition)는 경사벽을 통해 형성된다.
예컨대, 노치들(23) 및 (33)과 같이 양쪽 제어 바아들의 양 노치들 사이의 거리는,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단(46)의 길이에 양쪽 제2단들(45) 및 (45A)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작지 않으나, 중심단(46)의 길이에 제2단들(45) 또는 (45A)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더하고 제1단들(44) 또는 (44A)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는 크지 않아서, 부유 페그들은 항상 가동 설비(16)과 체결판들(30) 및 (31)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행정 단부 접촉부(end-of-stroke contact)들 (47) 및 (48)은 각각 가동 설비(16)의 중심 본체(22)의 우측으로 및 좌측으로의 행정의 단부에서 작동된다. 이들 접촉부들이 작동될때, 중심 본체 구동 모터 장치는 정지된다. 추가로, 슬라이드들(24) 및 (25)에 의해 작동된 접촉부들(49),(50),(15) 및 (52)는 포인트 블레이드들(1) 및 (2)이 위치(positioning) 및 체결에 대한 점검을 마련한다.
본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결함을 전혀 없는 상태로서 어느 부품도 파손되거나 비틀려지지 않은 상태이며, 작동 로드들 및 제어 바아들은 상호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고 정확히 조정된 길이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제1도에 도시하였다.
좌측 블레이드(2)는 그 자체의 지지 레일(backing rail)에 접촉되어 있고 우측 블레이드(1)은 그 자체의 지지 레일에 접촉되지 않으며, 양블레이드들은 적절히 고정된다. 부유 페그(floating peg)(35)는 바아(9)내의 노치(33) 및 우측 체결판(30)의 요홈(41)내에 동시에 수납되며, 가동 설비(moving equipment)(16)의 제2단(45A)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페그(35)는 그 수납된 상태로부터 발출되지 못한다. 부유 페그(39)에 대해서도 동일한 상태가 제공된다. 따라서, 양 제어 바아(9) 및 (10)들은 체결판들 내의 요홈(41) 및 (43)내에 부분적으로 수납된 페그(35) 및 (39)에 의해 양 방향으로의 이동을 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전철기를 다른 위치로 변경시키기 위해, 모터 및 감속 기어 유니트(stepdown gear unit)(17)을 시동시켜, 볼 스크류(20)을 회전시켜 가동 설비(16)의 중심 본체(22)를 우측으로 구동시킨다. 중심 본체(22)의 이러한 이동은 슬라이드(24) 및 (25)의 경사 프랭크(sloping flank)(53) 및 (54)(제5도)가 구동 및 체결 페그(34) 및 (38)에 대해 지지될 때까지 슬라이드(24) 및 (25)를 기어륜(26)으로 동시에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에, 전체 링크들에 결함이 없고, 기계적인 연동 장치가 파손되지 않고, 양 포인트 블레이드(1) 및 (2)들이 스페이서 바아(5)에 의해 강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인 이동에 의해 페그(34) 및 (38)은 좌우측의 제어 바아(9) 및 (10)들을 우측으로 구동시켜 블레이드(1) 및 (2)를 함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기어륜(26)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동은 중심 본체(26)이 행정 접촉부(47)의 단부에 도달됨으로써 종료된다. 이 때에, 조립체의 위치는 제6A도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접촉부(49) 및 (50)들은 제어 바아(9) 및 (10)들이 체결판(30) 및 (31)의 요홈(40) 및 (42)내에 보유된 페그(34) 및 (38)에 의해 체결되어 적절히 위치함을 나타내도록 작동된다. 우측 포엔트 블레이드(1)은 따라서 자체의 지지레일(4)에 접촉되고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는 개방된다. 즉 제1도에 도시한 위치의 반대 위치가 된다. 변칙적인 작동을 체크하는 접촉부(29)는 이동되지 않는다.
다음 경우로서 작동 전달상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컨대 우측 작동 본체(7)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손된 것으로 가정한다.
초기에,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1)은 자체의 지지레일(4)에 접촉되어 있고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는 개방되어 있으며, 가동 설비는 제6A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게 된다.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모터 및 감속 기어 유닛(17)은 가동되어 중심 본체(2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전체 가동 설비(16)은 상기 작동에 의해 구동되며 슬라이드(24) 및 (25)의 경사 프랭크(55) 및 (56)(제5도)이 구동 및 체결 페그(35) 및 (39)에 대해 접촉될 때까지 슬라이드(24) 및 (25)와 중심 본체(22) 사이에는 상대 이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에, 로드(7)이 파손되어 있기 때문에, 연동 장치는 파손된 상태이고 제어 바아(9)에 작용하는 힘은 좌측 제어 바아(10)에 가해지는 힘보다 상당히 작기 때문에, 기어륜(10)에 차동적으로 작용하여 슬라이드(24)만을 구동시켜 우측 제어 바아(9)만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우측 슬라이드(24)가 중심 본체(22)에 접촉될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에 시스템은 제6B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게 된다. 섹터(sector)(27)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변칙적인 작동을 체크하는 접촉부(29)가 작동된다. 이러한 작동은 계속되고, 또한 슬라이드들이 중심 본체(22)에 대해 행정 단부에서의 접촉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 가동 설비(16)은 구동 및 체결 페그(35)가 체결 요홈(41)내에 체결될 때까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 바아(9)를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제6C도에 도시하였다. 작동이 계속되므로, 중심 본체(22) 및 좌측 슬라이드(25)만이 그들의 행정을 계속하게 되어, 구동 제어 바아(10) 및 전체 철로 전철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좌측 제어 바아(10) 및 스페이서 바아(5)에 의해 우측 블레이드(1) 및 좌측 블레이드(2)가 구동되게 된다. 이러한 작동중에, 중심 본체(22) 및 좌측 슬라이드(25)는 우측 슬라이드(24)를 당기게 된다. 이는 제6D도에 도시한 위치로 상승시킨 다음에 그 행정 종결시에 제6E도에 도시한 위치로 상승시키게 되며, 이때 행정 종결 접촉부(48)이 작동되게 된다. 섹터(27)은 그 중립 위치로 복귀되나 변칙적인 작동을 체크하는 접촉부(29)는 결함 표시 위치에 잔류하고 있으며 이는 수동으로 다시 세트하여야 된다. 위치 및 체결 상태를 체크하는 접촉부(51) 및 (52)(제3도)는 이미 작동된 상태이나, 결함의 존재는 접촉부(29)에 의해 연속적으로 표시되어 진다.
전철기는 물론 적정 상태로 작동되고 이제 좌측 제어 바아(10) 및 스페이서 바아(5)에 의해 체결된다. 양 포인트 블레이드(1) 및 (2)중의 하나가, 잘못된 위치로 되거나 또는 정위치로 체결되는 상태가 잘못되려면 상이한 양 부품에 동시에 결함이 발생되어야 한다. 즉, 우측 전동 장치의 부품과 좌측 전동 장치의 부품에 동시에 결함이 발생되거나, 또는 양 전동 장치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부품과 스페이서 바아(5)의 부품에 동시에 결함이 발생되어야 한다. 물론, 결함의 특성 및 연동 장치의 어느 부분에 결함이 발생하였는가에 관계없이 접촉부(29)에 의해 결함이 계속 표시되어지며, 이에는 슬리퍼(sleeper)(14) 및 (15)상의 하우징(13)이 고정에 대한 결함도 포함한다.
섹터(27)은 결함이 있는 프레임의 부분 또는 작동 연동 장치의 부분을 향하기 때문에, 섹터(27)을 관찰함으로써 결함을 용이하게 알 수가 있으며, 특히 부품들이 풀려지는 등의 발견하기 어려운 결함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제7도, 8도 및 9도는 비정상적인 작동을 탐지하는 접촉부(29)와 협력하는 결합 탐지 시스템의 제1실시예로 구성된 시스템의 주요 부분의 실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접촉부를 안전을 위해 두개의 접촉부(29)들로 구성한 것이며, 접촉부는 전기 회로의 양극선 및 음극선 모두에 위치한다.
중심 본체(22)는 I-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좌우측의 종방향 슬라이드(25) 및 (24)들은 실제적인 장착상의 이유로 해서 두개의 측면들로 구성되며, 우측 슬라이드(24) 는 (24A) 및 (24B), 좌측 슬라이드(25)는 (25A) 및 (25B)로 구성된다. 각각의 2분 측면들은 따라서 중심 본체(22)내에 합체되어 있는 공통의 기어륜(26)에 맞물리는 랙 부분을 포함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볼 스크류(20)은 중심 본체(22)에 고정된 너트 케이지(23)내에 장착된 너트(21)에 의해 중심 본체(22)를 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너트(21)은 탄성 스프링(57)에 의해 케이지내에 장착된다.
제7도에는 가동 설비(16)의 진행 방향에 대해 체결 요홈(41)로부터 직하류에 배설된 이탈 방지(antioverrun) 접촉부(58)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58)은 부유 페그(35)가 체결 요홈(41)내로 확실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유사한 접촉부(58)이 마찬가지로 각각의 체결 요홈들 하류에 위치한다.
부유 페그들은 축방향, 즉 수직으로 보유하기 위해 각각의 페그들에 칼러(59)를 마련하는데, 칼러(59)는 연관된 체결판 내의 요홈(60) 및 제어 로드(9) 및 (10)중의 하나가 수납되는 노치의 확대부(61)내로 진입된다.
또한, 구동 및 체결 페그들은 양단부에서 주행륜(running wheel)(62) 및 (63)을 포함하는데, 이들은(체결 요홈 40 내지 43 외측에서) 체결판(30) 및 (31)상의 전방으로 돌출된 주행 통로(64) 및 (65)상에서 주행한다.
슬라이드(24) 및 (25)와 중심 본체(22) 사이의 상대 행정을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2분 측면(24A),(24B),(25A) 및 (25B)는 중심 본체(22)에 의해 반송되는 스터드(67)을 수납하는 요구부(66)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심 본체(22)는 4개의 스터드(67)들을 갖는다.
먼저 결합 탐지 장치는 공통 기어륜(26)에 고정된 링(68)로 구성된다. 링(68)은 링을 관통하는 볼 스크류(20)과는 무관하게 기어륜과 함께 어느정도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링의 상부단에는 측면 레버(69)가 고정되는데, 측면 레버의 단부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드(71)을 수납하는 노치(70)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종결된다. 슬라이드(71)은 볼 스크류(20)의 측과 평행하게 배설된 로드(72)상에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자유 활주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단부들에서, 로드(72)는 각각의 로커(rocker)(73) 또는 (74)의 단부에 고정되는데, 로커의 타단부는 하우징(1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되어 있다. 로커(73)은 비정상적인 상태를 탐지하는 접촉부(29)와 협력하는 캠을 구성한다. 캠 로커(73)은 로드(72)의 양 요동 방향, 즉 링(68)의 양 회전 방향에 대해 접촉부(29)와 협력한다. 로커(73) 및 (74)에는, 결함 발생시에 레버(69)가 링(68)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해서 캠 로커(73)에 의해 로드(72)를 요동시키고 접촉부(29)들을 작동시키기 작은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75) 및 (76)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결함 탐지 장치에 결함이 발생되었을시에도 결함을 표시할 수 있는 안전 수단이 제공되게 한다. 안전 및 예비의 이유로 해서 하나의 스프링보다는 두개의 스프링(75) 및 (76)을 사용한다.
정상적인 작동시에, 즉 결함이 없을때, 링(68)은 회동되지 않고 가동 설비(16)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71)은 레버(69)에 의해 로드(72)를 따라 활주하나, 레버가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로드는 요동되지 않는다. 슬라이드(71)은 슬라이드의 소형 노치(78)내로 진입된 레버(69)의 수직 부분의 부분(77)에 의해 구동된다. 타측면(79)상에서, 레버(69)의 수직부는 결함 발생시 레버를 연관 링(68)과 함께 잼(jamming) 현상 없이 회전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71)의 원형 요구부(80)내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상태가 발생되면, 레버(69)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피봇됨으로 해서 로드(72)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요동시켜 접촉부(29)를 작동시키는 캠 로커(73)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중에, 슬라이드(71)도 로드(72)에 대해 약간 회전하게 된다.
제10도, 11도 및 12도는 적합한 결함 탐지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른 부분들은 동일하다. 제10도의 분해 사시도에서, 좌측 체결판(31)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생략하였다.
공통 기어륜(26)은 링(68)에 고정된 상태이나, 캠(81)은 링(68)에 직접 고정되어 접촉부(29)와 직접 협력하게 되며, 접촉부(29)는 하우징(13)상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 브래킷(82)에 의해 볼스크류의 너트 케이지(23)에 고정된다. 접촉부(29)들이 너트 케이지(23)에 고정되고 다시 너트 케이지(23)은 중심 본체(22), 즉 가동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접촉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고정판(84) 사이에 의해 하우징(13)에 고정된 종결 스트립(83)으로 전달된다. 접촉부(29) 및 고정 종결 스트립(83) 사이에 전기적 연결은 도체(85)의 테이프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테이프는 판(84)에 고정된 바닥 홈통(86) 및 브래킷(82)에 의해 중심 본체(22)에 고정된 활주식 상부 홈통(87)에 의해 보호된다. 상부 홈통(87)의 오목한 측면은 당연히 아래로 향하게 된다.
로드 및 바아(7),(8),(9) 및 (10)들의 길이가 적절히 조정되어 있는 것은 접촉부(29)들을 제어하는 캠(81)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7도, 8도 및 9도에서, 링(68)에는 화살표(88)을 표시하고 너트 케이지(23)에는 기준 대역(89)(제7도 및 8도 참조)를 마련하고 상기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대역(89)는 결함 접촉부(29)가 작동되지 않는 적절한 조정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의 폭을 갖는다.
전반적으로, 모터 및 체크 시스템은 고유 안정성을 갖고 있어 이에 의해 포인트 블레이드들에 가해지는 모든 작동 및 체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블레이드들의 실제 위치를 체크하고 임의의 결합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시스템은 단일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 부분, 즉 각각의 부유 페그들은 구동 및 체결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상태가 적정 위치로 수행되면 필연적으로 체결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파손 부품이 있는 경우에 포인트 블레이드들을 정위치에 체결하지 않고 포인트 블레이드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현존 시스템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체결된 위치에서, 제어 바아(9) 및 (10)들은 양 방향으로 체결되고, 이들에 가해질 수도 있는 임의의 축방향 힘은, 부유 페그들에 의해, 가동 설비(16)에 축방향 힘을 인가하지 않으면서 하우징(13)에 용이하게 보유될 수 있는 체결판(30) 및 (31)상에 가해지는 횡방향 및 종방향 힘으로 변형시킨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매우 강고하게 된다.
체결판(30)은 예컨대 하우징의 연부(91)에 대해 지지되는 체결판(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상되는 최대힘에 부응할 수 있는 크기로된 스페이서(90)상에 지지된다. 판(30) 및 (31)들은 접촉부(90) 및 (91)에 대해 고정된다.
부가해서, 두개의 다른 부재들 사이에 물려있는 원통형 페그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소형의 부유 페그들을 사용함으로써 큰 전단 면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비정상적인 작동을 체크하는 접촉부(29)들은 일단 작동되면 자동으로 그 휴지 위치로 귀환되지 않으나 수동으로 상기 휴지 위치로 귀환시켜야 되는 접촉부들, 또는 작동되지 않을시에는 자동으로 귀환되나, 수동으로 다시 세트해야 되는 릴레이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촉부들로 구성된다, 상기 양 경우에, 수동으로 해제하기 전에는 결함 표시 상태는 지속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단지 두개의 제어 바아들만이 필요한 체크 시스템 및 모터에 의해 본질적인 안정성으로서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 안정성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기에 충분한 두개의 상이한 작동 및 체결 연동 장치들 사이에 부품("차동" 가동 설비 17 및 기어륜 26의 회전을 탐지하는 장치)을 삽입하는데 기초하며, 상기 요소들은 양 연동 장치들 내에 모든 부품들 및 조립체들이 매작동시마다 양호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연동 장치들은 구동 및 체결 상태를 제공하는 부유 페그들, 제어 방(9) 및 (10), 작동 로드(7) 및 (8), 스페이서 바아(5), 길이 조정부(6),(11) 및 (12), 및 로드(7) 및 (8)과 스페이서 바아(5)를 포인트 블레이드(1) 및 (2)에 연결하는 고정판(93) 및 핀(92)들과 로드(7) 및 (8)을 바아(9) 및 (10)에는 연결하는 고정핀(94)들로 구성된다.
본 장치는 결속대(tie) 또는 슬리퍼(14) 및 (15)에 하우징(1)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는가의 여부도 나타내준다.

Claims (10)

  1.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1) 및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2) 및 두개의 가동 블레이드들로 구성되고 모터 장치(17)을 포함하며, 상기 양 블레이드들은 스페이서 바아(5)에 그들 선단들 부근에서 상호 연결되고, 우측 포인트 블레이드는 그 선단 부근에서 우측 작동 로드(7)에 연결되고, 좌측 포인트 블레이드는 그 선단 부근에서 좌측 작동 로드(8)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 장치(17)은 각각 우측 작동 로드(7) 및 좌측 작동 로드(8)에 정렬되어 연결된 우측 제어 바아(9) 및 좌측 작동 바아(10)을 종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모터 장치 및 상기 제어 바아들은 고정 위치에 배설된 하우징(13)내에 장입되는 철로 전철기용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내에서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4) 및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25)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 본체(22)를 포함하는 가동설비(16)을 포함하고, 양 슬라이드들은 상기 중심 본체(22) 내에서 자유 회전하도록 장착된 공통 기어륜(26)에 물려 있고, 상기 중심본체에 대한 상기 양 슬라이드들의 행정은 접촉부(66,67)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모터 장치는 가동 설비의 상기 중심 본체(22)상에 작용하고, 상기 중심 본체는 상호 평행하게 상호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어 바아(9,10)의 축들에 평행한 우측 체결판(30) 및 좌측 체결판(31)들 사이에서 평행 가동되고, 우측 제어 바아(9)는 우측 체결판(30) 및 상기 가동 설비(16) 사이에서 상기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4)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위치하고, 좌측 제어 바아(10)은 좌측 체결판(31) 및 상기 가동 설비(16) 사이에서 상기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25)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위치하고, 각각의 제어 바아에는 두개의 구동 및 체결 페그(34,35,38 및 39)들이 마련되고, 이들 페그들은 원통형이며 부유 장착부내에 수직으로 배설되며 각각 체결판 및 슬라이드 사이에 제어 바아(9,10)들의 대응된 하나에 마련되는 노치(32,33,36,37)내에 수납되고, 각각의 체결판은 판으로부터 바아를 향해 확대되는 경사 측벽들을 갖고 있는 상기 부유 페그들중의 하나의 페그의 직경의 1/2, 즉 1/2D 이하인 깊이를 갖는 두개의 수직 체결 요홈(40 내지 43)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설비의 폭은 양 측면들의 외부 프랭크들 사이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양 체결판들 사이에는 각각의 단부에서 양 체결판들 사이의 간격 L보다는 크지않고 부유페그의 직경의 D의 2배보다 작은 폭의 제1단(44,44A), 상기 가동 설비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가동 설비의 중간을 향하여 L-2D와 L-D 사이의 폭으로 위치하는 제2단(45,45A), 및 L보다는 작고 상기 제2단의 폭보다는 큰 폭으로 된 중심판(46)으로 구성되는 폭이 각각 다른 3개의 단들이 위치하고, 제1단으로부터 제2단으로의 전이는 경사벽(53 내지 56)으로 형성되고, 제어 바아의 양 노치들 사이의 간격은 중심단에 제2단의 하나의 폭이 2배를 더한 길이보다 작지 않고, 또한 중심단의 길이와 제2단들 중의 하나의 길이와 제1단들 중의 하나의 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작고, 상기 공통 기어륜(26)은 상기 기어륜이 회전되게 하는 비정상적인 작동을 체크하는 전기 접촉부(29)와 협력하는 탐지 장치(27)에 연결되어 결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유 페그가 그 단부들에서 인접 체결판 상을 주행(64,65)함으로써 상기 요홈(40 내지 43)들 외측에서 협력하는 주행륜(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결판이 상기 각각의 요홈들의 부근에서 가동 설비의 이동 방향에 대한 하류에서 상기 요홈을 향하여 상기 부유페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유 페그는 페그에 고정되고 페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칼러(59)에 의해 축방향으로 보유되고, 상기 칼러는 당해 페그에 연관된 체결판 내의 종방향 요홈(60)내로 진입되고 다음에 제어 바아들 중의 하나의 바아내의 페그를 수납하는 상기 노치의 확대부(61)내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장치가 상기 가동 설비(16)의 상기 중심 본체(22)에 고정된 너트(21)과 협력하는 볼 스크류(20)으로 구성되고, 볼 스크류(20)은 토오크 제한기(19)를 통해 모터 및 감속 기어 유닛(17)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우측 종방향 슬라이드(24) 및 좌측 종방향 슬라이드(25)들은 공히 두개 종방향 2분 측면(24A,24B,25A,25B)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어 바아(9,10)은 상기 2분 측면들의 각각의 쌍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설비용의 행정 단부 접촉부(47,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어륜의 회전을 탐지하는 상기 장치가 상기 공통 기어륜(26)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된 링(68)로 구성되고, 상기 링은 그를 관통하는 상기 볼 스크류(20)을 가지며 또한 스크류의 직경에 비해 충분히 크게 되어 있어 링을 기어륜의 회전에 따라 어느 정도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링의 정부 부분이 볼 스크류(20)의 너트(21)용의 너트 케이지(23)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9)와 협력하는 캠(81)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중심 본체(22)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부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하우징(13)에 고정된 종결 스트립(83)으로 도체(85)의 테이프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테이프는 하우징에 연결된 고정 저부 홈통(86) 및 그 오목면이 직하방을 향하고 있고 상기 중심본체(22)에 고정된 활주식 상부 홈통(87)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슬라이드(71)을 통해 상기 스크류 및 상기 제어 바아에 평행하게 주행하는 로드(72)와 협력하는 축방향 레버(69)를 반송하고, 상기 로드는 그 각각의 단부들에서 그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된 로커(73,74)의 단부에 고정되고, 양 로커들 중의 하나의 로커(73)은 고정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9)와 협력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71)은 상기 로드(72)상에서 자유 활주하고 상기 축방향 레버(69)의 단부(77,79)에서 포크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KR1019880015340A 1987-11-23 1988-11-22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KR970007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6189 1987-11-23
FR8716189A FR2623461B1 (fr) 1987-11-23 1987-11-23 Dispositif de motorisation d'un aiguil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401A KR890008401A (ko) 1989-07-10
KR970007957B1 true KR970007957B1 (ko) 1997-05-19

Family

ID=935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340A KR970007957B1 (ko) 1987-11-23 1988-11-22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96850A (ko)
EP (1) EP0317927B1 (ko)
JP (1) JPH0741839B2 (ko)
KR (1) KR970007957B1 (ko)
CN (1) CN1014879B (ko)
AT (1) ATE86930T1 (ko)
CA (1) CA1304809C (ko)
DE (1) DE3879398T2 (ko)
ES (1) ES2040312T3 (ko)
FR (1) FR2623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0035A (en) * 1992-08-05 1995-11-28 National Trackwork, Inc. Electrical switch stand
AT399697B (de) * 1992-11-04 1995-06-26 Alcatel Austria Ag Weichenantrieb mit einem hydraulischen stellzylinder
SI9300651A (en) * 1992-12-17 1994-06-30 Voest Alpine Eisenbahnsysteme Device for bolding movable parts of railway switches
SE506183C2 (sv) * 1993-05-27 1997-11-17 Abb Daimler Benz Transp Anordning vid järnvägsspår för omläggning av spårväxel
US5586737A (en) * 1994-08-19 1996-12-24 General Railway Signal Corporation Switch machine cam bar
DE19535577A1 (de) * 1995-09-14 1997-03-20 Siemens Ag Einrichtung zum Entriegeln des Festhaltekupplungsgehäuses und der Prüferschieber von Weichenantrieben mit Kugelspindeltrieben
GB2313611B (en) * 1996-05-25 2000-07-05 British Railways Boar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electrically driven machinery
FR2769278B1 (fr) * 1997-10-07 2002-10-11 Gec Alsthom Transport Sa Ensemble de motorisation pour la manoeuvre d'un aiguillage
US6186448B1 (en) * 1998-09-08 2001-02-13 Union Switch & Signal, Inc. Captivity point detection system with single switch position target
US6164602A (en) * 1999-02-17 2000-12-26 Abc Rail Products Corporation Railroad frog assembly with multi-position holdback
AT411047B (de) * 2001-01-11 2003-09-25 Vae Eisenbahnsysteme Gmbh Einrichtung zum verriegeln der endlagen von beweglichen weichenteilen
ITFI20010028U1 (it) * 2001-03-27 2002-09-27 Siliani Harmon S P A Cassa di manovra per scambi
KR100671706B1 (ko) * 2004-12-16 2007-01-19 주식회사 세화 선로 변환기
FR2896752B1 (fr) * 2006-02-01 2008-04-25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d'actionnement d'un aiguillage.
US7699272B2 (en) * 2007-09-14 2010-04-20 Jim Arnold Railroad switching indicator mechanism
JP5137886B2 (ja) * 2009-03-25 2013-02-06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転てつ機の連結機構
RU2457132C1 (ru) * 2011-02-21 2012-07-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Центр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Технологии" Гарнитура стрелочного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RU2456191C1 (ru) * 2011-02-21 2012-07-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Центр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Технологии" Гарнитура стрелочного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FR2989049B1 (fr) * 2012-04-10 2015-10-02 Pascal Teyssier Mecanisme de manoeuvre d'aiguillage
FR3003531B1 (fr) * 2013-03-19 2017-01-13 Pascal Teyssier Mecanisme de manoeuvre d'aiguillage
HUE053635T2 (hu) * 2016-03-07 2021-07-28 Wolber Antriebstechnik Gmbh Reteszelõ eszköz két egy vezetési pályán egymáshoz képest csúszó módon mozgatható testen
IT201700118308A1 (it) * 2017-10-19 2019-04-19 Silsud S R L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deviatoi ferroviari
EP3705754B1 (de) * 2019-03-07 2021-04-28 Gruner AG Stellklappenreduktionsgetriebe
TWI760903B (zh) * 2020-10-27 2022-04-11 台灣高速鐵路股份有限公司 道岔系統的定位辨識輔助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7447A (en) * 1917-05-31 1917-11-20 Christopher Columbus Petty Railroad-switch.
US1919272A (en) * 1927-03-05 1933-07-25 Lionel Corp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track switch for toy railroads
DE621168C (de) * 1934-04-21 1935-11-02 Roman Lourie Schmiedefeuer mit mehreren Windformen nebeneinander
GB493825A (en) * 1937-03-25 1938-10-14 Ettore Sola Apparatus for operating, locking and controlling switches for railways, tramways and the like
DE1010555B (de) * 1955-02-24 1957-06-19 Siemens Ag Weichenantrieb mit Zungenueberpruefung
DE1098980B (de) * 1956-04-27 1961-02-09 Siemens Ag Weichenantrieb mit in den Endlagen festgelegter Stellstange
NL6901277A (ko) * 1969-01-24 1970-07-28
SE396425B (sv) * 1976-01-19 1977-09-19 Elektromekano Bredaryd Sparvexel
FR2338832A1 (fr) * 1976-01-23 1977-08-19 Jeumont Schneider Mecanisme cale pour l'entrainement des tringles de manoeuvre d'aiguilles talonnables
JPS52106506A (en) * 1976-03-03 1977-09-07 Japanese National Railways<Jnr> Lock mechanism of railway switch
DE2713561A1 (de) * 1977-03-28 1978-10-05 Trix Mangold Gmbh & Co Stellvorrichtung zur betaetigung von kreuzungsweichen
CH621168A5 (en) * 1977-06-24 1981-01-15 Ericsson Telefon Ab L M Points
JPS60121172A (ja) * 1983-12-02 1985-06-28 日本信号株式会社 割出し電気転てつ機
US4845225A (en) * 1986-04-09 1989-07-04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Substituted thiacycloalkeno [3,2-b] pyrid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86930T1 (de) 1993-04-15
CN1034171A (zh) 1989-07-26
EP0317927A1 (fr) 1989-05-31
DE3879398D1 (de) 1993-04-22
JPH01198901A (ja) 1989-08-10
FR2623461A1 (fr) 1989-05-26
JPH0741839B2 (ja) 1995-05-10
ES2040312T3 (es) 1993-10-16
EP0317927B1 (fr) 1993-03-17
CA1304809C (fr) 1992-07-07
DE3879398T2 (de) 1993-06-24
CN1014879B (zh) 1991-11-27
KR890008401A (ko) 1989-07-10
US4896850A (en) 1990-01-30
FR2623461B1 (fr) 199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957B1 (ko) 철로 전철기 모터 시스템
US4842225A (en) Device for operating a railroad switch
EP0582742B1 (de) Sperrwerk für eine Sicherheitstüre
ES2303052T3 (es) Mecanismo de cambio para cambios de via de ferrocarril y tranvia.
SE506183C2 (sv) Anordning vid järnvägsspår för omläggning av spårväxel
US9630634B2 (en) Traveling route structure of conveying traveling body
AU2014369422B2 (en) Railway points, railway points operating apparatus and railway track crossing
CN1276761A (zh) 火车和电车等轨道的转辙器箱,特别是英式的
CA2188708C (en) Vertically actuated rail guide wheels
US3356039A (en) Device for switch in track system
DE3929118C2 (de) Anlage zum Steuern des Fahrens von Transportzügen
EP0915045B1 (en) Conveyor arrangement
KR101488353B1 (ko) 이중 선로전환시스템
DE3209157C2 (de) Anordnung zur Sicherheitsüberwachung eines Zuges
DE2819068B2 (de)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Weichen bei einer Hängebahn mit Fahrwerken
CN110562294A (zh) 一种用于道岔区可动齿轨的转向装置
KR20020018653A (ko) 가이드웨이 절환스위치
DE2054846C3 (de) Weiche, insbesondere für seilgetriebene, zwangsgeführte Schienenstandbahnen des Untertagebetriebes
JPS61139527A (ja) 移動式剛体電車線装置
US268761A (en) Railway-switch
DE3508298C1 (de)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Maschinen
SU1726304A1 (ru) Транспортна система
FI58372C (fi) Spaorvaexel
GB2516707A (en) Railway points operating apparatus
DE1965767C (de) Schleppwagenfbrderan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