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767B1 - 광섬유 함유 애자 - Google Patents
광섬유 함유 애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7767B1 KR970007767B1 KR1019880008860A KR880008860A KR970007767B1 KR 970007767 B1 KR970007767 B1 KR 970007767B1 KR 1019880008860 A KR1019880008860 A KR 1019880008860A KR 880008860 A KR880008860 A KR 880008860A KR 970007767 B1 KR970007767 B1 KR 970007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ber
- hole
- insulator
- insulating material
- core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02B6/4417—High voltage aspects, e.g. in cladding
- G02B6/442—Ins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05—Insul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built-in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or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광섬유 함유 애자의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2도는 애자체안의 관통구멍의 경사부의 경사각과 절연재료의 돌출 감소 백분율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9도는 애자의 위치와 페덴셜 기울기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11도는 스페이서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에 대한 중앙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15도는 스페이서의 부분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애자체 2 : 관통구멍
2a, 2b : 경사부 3 : 광섬유
4 : 절연재료 5 : 말단면
6 : 팽창 완충부(expansion buffer section)
7 : 완충부 8 : 금속 플랜지 부재
9 : 스페이서(spacer) 10 : 중앙구멍
13, 14 : O-링
본 발명은, 송전선(power transmission line)으로부터 지면 접촉면까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매장된 광섬유를 함유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60-158,402호에 개시된 것처럼 작은 지름의 관통구멍(through hole)이 애자체의 축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광섬유는 관통구멍을 통과하며, 에폭시수지 같은 절연재료가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광섬유 사이에 채워져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가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채워진 절연재료는 광섬유를 따른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고, 애자의 표면누설 절연거리의 감소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애자가 고온으로 가열되면, 에폭시 수지 같은 절연재료가 자기와 절연재료 사이의 큰 열팽창계수의 차이 때문에 축방향으로 애자체로부터 많이 돌출되며, 이에 따라 광섬유 심선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절연재료와 애자체 사이의 접착이 상실된다. 결과적으로 애자의 침투전압 저항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더욱이, 관통구멍은 길고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으므로, 관통구멍의 중앙에 광섬유 심선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게 되어, 광섬유 심선이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 사이에는 어떤 절연재료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접촉부위에서는 접착이 상실되어 물 또는 습기가 쉽게 들어가 전기 절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처음에 본 발명자들은, 애자체로부터 절연재료의 축방향 돌출을 방지하고, 동시에 절연재료와 애자체 사이에 접착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노력을 했었다. 그러나, 애자체 내부의 압력이 고온에서 너무 높게 되므로, 애자가 절연재료의 열팽창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태양은, 고온에서도 절연재료가 애자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막고, 또한 광섬유 심선의 전송손실 변화와 침투전압 저항의 감소가 없게 하며 열팽차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광섬유 함유 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은,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 사이의 접촉에 의한 절연의 감소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광학섬유 함유 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르면,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실선과, 관통공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와, 그리고 고온에서도 상기 채워진 절연재료가 축방향으로 애자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 방지 수단은, (1) 관통구멍의 내주벽면에 제공되어, 이 관통구멍의 중심부로부터 그의 양단을 향해 확장되는 경사부, (2)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채워지는 비기포성 수지와, 상기 관통공의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채워지는 비기포성 수지와, 상기 관통공의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채워지는 기포성 수지 또는 비기포성 수지와 기포성 수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재료, (3)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서 5∼30도의 각도로 축방향 바깥으로 확장되는 경사부, 또는 (4)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기밀성 절연 봉합부와,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관통공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완충부로 되어있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공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와, 그리고 광섬유 심선을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1) 광섬유 심선이 애자체 중심부에 유지되도록 통과하는 중앙 관통공을 갖는, 절연재료와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의 스페이서, (2)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서 축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경사부에 무기물질로 부착되며, 축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테이퍼형 외주면과 중앙 관통공을 갖는 자기 스페이서, (3) 절연재료와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로 되어 있고,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삽입되며, 또한 광섬유 심선이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유지되면서 무기물질에 의해 애자체에 시일링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광섬유가 통과하는 중앙 관통공을 갖는 중공의 환상 스페이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주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고 여러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고 번호로 표시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부호(1)과 (2)는 자기로 만들어진 애자체와, 애자체(1)의 중앙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나타낸다. 관통구멍(2)의 내주벽에는 경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2a)의 각각은 관통구멍의 중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양 단부 중의 일단부로 축방향 반경외측 방향으로 확대되어진다. 경사부의 경사각은 0.01~0.05 범위안의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ℓ)만큼 서로 떨어진 두 레벨사이에 있는 경사부의 내주면의 직경차를 △D로 가정한다면, 여기에 사용되는 "경사각"은 △D/ℓ의 값을 의미한다. 부호(3)는 테이퍼형 관통구멍(2)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을 나타낸다. 광섬유 심선(3)은 테이퍼형 관통구멍(2)안에 채워진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절연재료(4)로 애자체에 고정되어 있다.
관통구멍(2)의 경사부(2a)의 모든 위치에서 경사각을 일정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 100㎜길이의 직선부가 애자체(1)의 관통구멍(2)의 중심부에서 제공이 되고, 경사부는 직선부의 축방향으로 반대측에서 형성이 된다. 실리콘 수지 같은 절연재료(4)와 애자체(1) 사이의 접착을 높이기 위하여, 테이퍼형 관통구멍(2)의 내부표면에 유약(glaze)을 바르지 않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형태의 종래의 광섬유 함유 애자와 마찬가지로, 애자체(1)는 전송선 또는 고전압선을 지지하며, 이렇게 구성된 광섬유 함유 애자는, 전기 충전부에 부착된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한 다음에, 애자체(1)를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을 통해 지면접촉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광섬유 심선(3)이 통과하는 관통구멍에 경사부(2a)가 제공이 되므로, 애자체가 고온으로 가열이 되고, 애자체 안쪽에 채워진 실리콘 수지 같은 절연재료(4)가 애자체(1)보다 더 많이 열적으로 팽창할때도, 절연재료(4)의 축방향 이동은, 각각 관통구멍의 양단까지 형성된 경사부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증가하는 단면적에 의하여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애자체(1)의 양단으로부터 절연재료가 돌출하는 양은, 직선 관통구멍을 가지는 종래의 애자와 비교하면 상당히 감소가 된다. 이 경우에 감소되는 비율은 제2도의 선도에 도시되어 있다. 테이퍼형 통과구멍(2)의 경사각이 0.01 및 0.05일때, 절연재료의 돌출량은 종래 기술의 돌출량의 각각 약 1/10과 약 1/100이다. 이 선도에서, 선형 팽창은 애자체의 끝 표면에서 절연재료가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한 양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열팽창에 의한 광섬유 심선(3)에 작용하는 인장은 본 발명에서는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광섬유 심선의 절단과 전손 손실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애자체(1)과 절연재료(4) 사이의 접착도 상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 애자의 침투전압 저항은 약화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광섬유 심선(3)이 절연재료(4)로 확실하게 보호되기 때문에, 상기 심선은 염, 먼지, 물, 부식성의 외부대기 등에 노출되지 않으며, 심선이 악화될 우려도 없다. 더구나, 애자체(1)의 중심부에 있는 절연재료(4)는 열팽창에 따라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애자가 내부 압력의 비정상적인 증가에 의해 파손될 우려도 없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 심선의 통과를 위하여 애자체 안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벽면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절연재료의 축방향 이동은 현저하게 감소하고, 열응력에 의한 광섬유 심선의 절단, 전송 손실의 변화, 그리고 애자의 침투 전압저항의 감소를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고, 또한 애자 파손의 가능성도 줄어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지녔던 상기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가치를 가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제3도와 제4도를 참고로 이하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애자체로부터 절연재료의 비기포성 절연재료와, 관통구멍의 양 단부를 제외한 중심부에 채워진 기포성 절연재료로 절연재료를 구성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지금 제3도를 참조하면 참고번호 "1, 2, 3"은 제1도에서와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자기로 만들어진 애자체, 이 애자체의 중심부안에 형성된 관통구멍 및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신을 각각 나타낸다.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같은 비기포성 수지는 관통구멍(2)의 양 단부에 채워진다.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있는 비기포성 수지(4a)는, 관통구멍(2) 내측에 기밀성을 유지시켜 외부공기, 물 등이 관통구멍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전기장은 애자의 양 끝 부분에 집중이 되므로,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같은 절연성이 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기포성 수지(4b)는 관통구멍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채워져 있다. 기포성 수지(4b)는 기포성 스티롤(styrol)수지, 기포성 폴리에틸렌(polyethylene)수지, 기포성 실리콘 수지 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포성 수지가 뛰어난 팽창성과 수축성을 가지며, 또한 가압력에 따라 쉽게 팽창 또는 수축할 수가 있으므로, 열팽창을 흡수하여, 비기포성 수지의 축방향 외부 돌출과 이 돌출에 의한 광섬유 심선의 절단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애자체와 수지 사이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통구멍의 내주벽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는 것이 좋다.
제4도는 이와 같은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비록, 비기포성수지(4a)가 관통구멍(2)의 양 단부에 채워져 있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제4도의 실시예간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관통구멍(2)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비기포성 수지(4a)와 기포성 수지(4b)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즉, 기포성 수지(4b)와 애자체(1) 또는 광섬유 심선 사이의 불량한 접착을 피하기 위하여, 비기포성 수지(4a)는, 관통구멍의 내주벽면의 접촉부 및 광섬유 심선과의 접촉부에만 사용하고, 관통구멍의 나머지 부분에는 기포성 수지(4b)로 채워진다.
제1도와 관련한 실시예와 같이, 애자체(1)는 전송선 또는 고전압선을 지지하며, 이렇게 구성된 광섬유 함유 애자는, 전기충전부에 부착된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한 다음에, 애자체(1)를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을 통해 지면접촉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비기포성 수지(4a)가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채워지고, 나머지 부분에는 기포성 수지(4b)만 채워지거나 또는 비기포성 수지(4a)와 기포성 수지(4b)가 같이 채워지기 때문에, 전체 애자가 고온에서 가열이 되고 비기포성 수지(4a)가 열적으로 팽창할 때도 뛰어난 팽창성과 수축성을 갖는 기포성 수지(4b)가 증대된 내부 압력에 의해 수축하여 열팽창을 흡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체(1)의 양 단부에 있는 비기포성 수지(4a)는 축방향 바깥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또한 광섬유 심선(3)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인장에 기인한 광섬유 심선(3)의 절단 또는 전송 손실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관통구멍(2)의 양 단부에 채워진 비기포성 수지(4a)와 절연체(1) 사이의 접착이 손실되지 않으므로, 전체 애자의 침투 전압 저항은 약화되지 않으며, 또한 광섬유 심선(3)이 염, 먼지, 물, 부식성 대기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도 없다. 더구나, 관통구멍(2)의 내부 압력의 증가는 기포성 수지(4b)의 셀(cell)안에 있는 가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절연체(1)는 파손되지 않는다. 더욱이, 채워질 비기포성 수지(4a)의 양을 채워질 기포성 수지의 양만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내부 압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 알 수 있듯이, 관통구멍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기포성 수지를 채움으로서, 비기포성 수지의 열팽창이 흡수되고, 광섬유 심선의 절단, 전송 손실의 변화, 애자의 침투 전압 저항의 감소 및 광섬유 심선의 오염을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고, 그리고 애자의 파손도 막을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구성의 애자는, 종래 기술이 지니는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가치를 가진다.
다음,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들 실시예에서, 경사부는 애자체의 축선에 대하여 5~30°의 각도로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은 절연재료와 함께 관통구멍안에 시일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5도에서, 자기 애자체인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중심부에는 직선 실린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관통구멍(2)의 축방향 양 단부는 경사부(2b)로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부(2b)는 관통구멍(2)의 축선에 대하여 5~3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고, 말단면(5)를 향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크게 확장되어 있다. 참조번호 "3"은 관통구멍(2)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을 나타내고, 이 광섬유 심선은 실리콘 고무같은 절연재료(4)로 관통구멍(2)의 내주벽면에 기밀성 있게 고정되어 있다.
제6도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인데, 다른 점은, 팽창 흡수부(4c)는 애자체(1)의 말단면(5)의 축방향 외측에 있는 절연재료를 원추형으로 부풀림으로써 형성된다는 것이다. 팽창흡수부(4c)의 바닥은, 경사부(2b)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는 제6도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 보여주는 도면인데, 다른점은, 팽창 완충부(6)는, 알루미나 분말, 규토질의 모래, 또는 유리솜 등과 같은 무기재료를 관통구멍(2)의 중심부 안에 충전함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애자체(1)은 전송선 또는 고전압선을 지지하며, 이렇게 구성된 광섬유 함유 애자는, 전기충전부에 부착된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한 다음에, 애자체(1)를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을 통해 지면접촉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확대되는 경사부(2b)가 관통구멍(2)의 축선에 대하여 5~30°의 각도로 관통구멍(2)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애자체(1)가 고온으로 가열이 되고 또한 관통구멍(2)안쪽의 절연재료(4)가 열적으로 팽창할 때도, 열팽창은 경사부(2b)에 의해 횡방향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애자체로부터 절연재료가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양은 매우 작다. 이러한 이유로, 애자체(1)의 말단면으로부터 절연재료(4)의 축방향 돌출에 의한 광섬유 심선(3)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재료(4)와 관통구멍(2)의 내주벽면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애자의 절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경사부의 최적형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지름 50㎜와 길이200㎜의 둥근 막대형상을 갖는 각각의 애자체 안에 내측지름 5㎜의 관통구멍을 만들고, 그리고 경사부의 경사각을 1~60°의 범위로 변화시켰다. 유기 절연재료를 관통구멍안에 채운후, 이렇게 해서 얻은 애자에 가열시험을 행하였다.
위 표에서, "○"과 "×"는 각각 "문제없음"과 "애자체의 말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절연재료"를 의미한다.
결과는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부(2b)의 경사각(θ)가 5°보다 작을때는, 경사부(2b)에 의한 열팽창의 측방 흡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정도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만약 경사각 θ가 30°이상이며, 경사부(2b)의 내측공간이 축소되어 팽창-흡수 효과가 충분하지 않게 되며, 절연재료(4)가 경사부(2b)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벗겨질 수가 있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처럼, 팽창 흡수부(7)은, 관통구멍(2)안쪽의 절연재료(4)의 열적 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바깥족으로 부풀어져 있다. 이렇게 해서, 제5도의 경우보다 심선의 절단은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제7도의 실시예에서 팽창 완충부(6)는 관통구멍(2)의 중심부분에 무기재료를 충전하여 형성이 되므로, 절연재료의 열팽창은 이 부분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쪽으로 완화될 수가 있다. 그래서, 더욱 뛰어난 심선 절단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절연재료가 열팽창을 받아도 애자체의 말단면으로부터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을 못하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한 광섬유 심선의 절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고,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절연재료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가 된다. 이렇게 해서, 전체 애자의 침투 전압저항의 약화를 막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지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가치를 갖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제8도 및 제9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제8도에서 보면, 플랜지형 접합 금속부재(8)가, 축방향으로 뚫어진 관통구멍(2)을 가지는 애자체(1)의 양 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봉합(sealing)부 (4a)는, 관통구멍(2)의 내부에 있는 광섬유(3)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연재료를 채워 형성된다. 완충부(7)는 봉합부(4a, 4a)들 사이에서 관통구멍(2)의 중앙부에 형성이 된다. 완충부(7)는 애자체(1)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봉합부(4a)를 구성하는 절연재료로서, 실리콘 고무가 이 실시예에서 사용이 되었다. 그러나, 봉합 유리(sealing glass)같은 무기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봉합부(4a)는 접합 금속부재(8)의 끝(8a)을 지나서 축방향 안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것은 제9도의 퍼덴셜 기울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장이 접합 금속부재(8)의 끝(8a)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접합 금속부재(8)의 끝 가까이에 중공 스페이서를 만드는 것은 좋지 않은데,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경우 애자의 절연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한편, 완충부(7)는 애자체의 내측 표면에 접착되지 않는다. 그래서, 빈 공간이 완충부(7)의 내부에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분말의 입상 또는 섬유상의 탄성 절연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나 분말, 규토질 모래 또는 유리섬유 같은 무기분말, 무기섬유질 또는 입상물질을 완충부에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애자체(1)는 전송선 또는 고전압선을 지지하며, 이렇게 구성된 광섬유 함유 애자는, 전기충전부에 부착된 전압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광신호로 전환한 다음에, 애자체(1)를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을 통해 지면접촉부에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에서는, 관통구멍(2)의 양 단부만이 기밀성있게 시일링되고 시일링 접착이 되지 않는 완충부(7)는 관통공(2)의 중앙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애자체(1)가 고온으로 가열이 되고 절연재료가 관통구멍(2)안에서 열팽창하더라도, 시일링 재료는 애자체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봉합부(4a)의 길이와 전체 팽창량이 각각 짧고 작으며, 또한 절연재료가 완충부(7)쪽으로 팽창하기 때문이다. 특히, 탄성절연재료가 완충부(7)의 안쪽에 충전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에서처럼, 절연재료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팽창하는 것이 줄어들며, 더욱 뛰어난 심선절단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애자체(1)의 말단면으로부터 절연재료(4)의 축방향 바깥쪽 돌출에 의한 광섬유 심선(3)의 절단은 방지할 수 있으며, 봉합부(4a)와 관통구멍(2)의 내주벽면 사이의 접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체 애자의 침투 전압저항은 약화되지 않는다. 더구나, 염, 먼지, 물, 부식성 대기 등에 의해 광섬유 심선(3)이 오염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재료는 열팽창을 받더라도 애자체의 말단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그래서 광섬유 심선의 절단 및 절연 특성의 검소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전압저항의 약화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지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가치를 갖는다.
다음,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실시예를 제10도와 제11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스페이서가 관통구멍의 내주벽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서 관통구멍 내부에 제공이 되고, 그 광섬유 심선은 스페이서의 중앙구멍을 통과한다는 것이다.
특히 제10도와 제11도를 구체적으로 참고하면, 적절한 갯수의 스페이서(9)가 관통구멍(2)안에 삽입되어 있어, 광섬유(3)가 이들 스페이서(9)에 의하여 관통구멍(2)의 중앙부에 유지된다. 즉, 광섬유(3)들이 스페이서(9)안에 형성된 각각의 중앙구멍(10)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관통구멍(2)의 중앙부에 유지되어 있다. 이것은 제11도에 확대된 크기로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9)에는, 광섬유(3)가 통과하는 중앙구멍(1)과, 그리고 이 중앙구멍(10)주위에 형성되어 시일링 재료가 채워지는 구멍(11)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두개의 광섬유(9)가 통과하는 두개의 중앙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물론 만약 하나의 광섬유(3)를 애자체로 고정하고자 한다면, 하나의 중앙구멍(10)만 스페이서(9)에 만들어야 한다. 스페이서와 시일링재료 사이의 완전한 결합을 위하여, 스페이서(9)는 시일링재료(4)와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스페이서(9)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스페이서(9)가 관통구멍(2)의 중앙부안에 광섬유(3)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상기 스페이서는 어떠한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스페이서(9)들 사이에 약 50㎜~300㎜의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만약 스페이서의 간격이 50㎜보다 작으면, 애자의 제조 공정수가 늘어나게 되며, 반면에 간격이 300㎜를 초과하면, 광섬유 심선(3)이 느슨해져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앙부에 확실히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구성의 애자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광섬유 심선(3)을 스페이서(9)의 중앙구멍(10)안으로 끼워넣고, 스페이서(9)와 광섬유 심신(3)을 애자체(1)의 관통구멍(2)안에 삽입하며, 다음에 액상 시일링 재료(4)를 애자체(1)의 말단면으로부터 관통구멍(2)의 안쪽에 주입하고, 그리고 관통구멍(2)내부의 시일링재료(4)를 경화시킨다. 시일링재료(4)가 주입되기 전에 광섬유 심선(3)의 스페이서(9)에 의하여 관통구멍(2)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시일링재료(4)는 광섬유 심선(3)의 모든 둘레에 균일하게 채워진다. 그러므로, 광섬유 심선(3)은 어떠한 빈공간도 남김이 없이 시일링 재료(4)에 의해 애자체(1)의 관통구멍(2)내부에 완전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함유 애자가 광신호를 고전압송전선으로부터 지면접촉면까지에 따른 광섬유 함유 애자가 광신호를 고전압 송전선으로부터 지면접속면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때, 물, 습기 등의 침입에 의하여 애자의 절연성이 저해되지 않으며, 또한 절연파괴 같은 문제들도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들)을 간단히 구성으로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앙부에 정화에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섬유(들)의 편심이탈에 의한 절연성의 감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구성의 광섬유 함유 애자는,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기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실시예를 제12도와 제13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확대되는 경사부가 애자체와 절두 원추형 자기 스페이서안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이 스페이서는 그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고 광섬유를 가지며, 무기질 접착제에 의해 경사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광섬유 심선이 관통구멍의 중앙부에 유지된다.
지금 제12도를 참고하면, 애자체(1)의 중앙축선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2)의 양단부에는 경사부(2c)가 바깥으로 확대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참고 번호 "9a"는, 절두원추형의 외측 형상을 갖는 자기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스페이서(9a)는, 저용융점을 갖는 밥봉소 기재 유리와 같은 무기재료에 의해 경사부(2c)에 기밀성 있게 부착된다. 스페이서(9a)는, 광섬유(3)가 통과하는 통과구멍(10a)을 중앙부에서 가진다. 광섬유는, 관통구멍(2)의 양단에 있는 자기 스페이서(9a, 9a)에 의해 관통구멍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유지된다. 자기 스페이서의 외측 형상을 절두 원추형으로 만든 이유는, 정렬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애자가 장기간 사용될 때도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무기 접착층(12)의 두께가 가능한 한 얇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제12도의 실시예에서, 광섬유(3)는 유리 또는 석영으로 된 보호튜브(3a)에 의해 보호되고, 그리고 자기 스페이스(9a)에 의하여 상기 보호튜브(3a)와 함께 유지된다. 그래서, 광섬유(3)가 애자체의 단부에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보호튜브(3a)와 광섬유(3)는 저용융점을 갖는 납붕소 기재 유리와 같은 무기재료에 의해 시일링기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통구멍(2)의 중심에 유지되어 있는 광섬유(3)와 애자체(1)의 관통구멍(2)의 내부벽 사이에는 필러(filler : 4d)가 채워지는데, 이 필러는 세라믹 분말 또는 무기질 섬유와 같은 절연성 완충제 및 실리카 같은 흡습재로 되어 있다. 필러(4d)는 광섬유의 기계적 진동을 방지해 주며, 시일링이 불량해져 물이 관통구멍(2)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절연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3)에는 어떠한 보호 튜브(3a)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며, 광섬유(3)은 무기접착층(12b)과 함께 자기스페이서(9a)에 직접 시일링가능하게 결합이 되어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광섬유를 여러개 사용할 때는, 광섬유 개수만큼의 삽입구멍들이 자기 스페이서(9a)에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섬유 함유 애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지는데, 즉 먼저 광섬유(3)를 자기 스페이서(9a)의 중심구멍(10)에 끼우고 이 광섬유와 함께 상기 스페이서(9a)를 무기시일재로 애자체(1)의 경사부(2b)에 시일링가능하게 접착시킨다. 광섬유(3)가 자기 스페이서(9a, 9a)에 의하여 애자체(1)의 관통구멍(2)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광섬유(3)의 편심이탈에 기인한 절연성의 저하와 같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없게 된다. 더욱이, 자기 스페이서(9a)가 관통구멍(2)의 양 단부에서 경사부에 꼭맞게 끼워져서, 무기질 봉합재에 의해 시일링가능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실리콘 수지와 접착되는 시일을 사용하는 종래의 애자와 비교해서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얻게 된다. 게다가, 광섬유와 관통구멍(2)의 내주벽 사이에 필러(4)가 채워지므로, 광섬유가 기계적으로 진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링이 불량해지더라도 절연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 안에서 광섬유가 편심됨으로써 생기는 문제들이 방지되며, 장기간 사용해도 종래의 애자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함유 애자는, 신호를 고전압 송전선으로부터 지면접촉면까지 전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지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가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제14도~제17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들 실시예중 하나의 특징은, 절연재료와 실질적으로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중공환상스페이서가 애자체안에 형성된 관통구멍안에 삽입되고, 그리고 광섬유가 상기 스페이서의 중앙구멍을 통과하여, 봉합제와 함께 그 안에 시일링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그리고, 나머지 실시예들은, 다수의 애자기 직렬로 연결되어 광섬유가 이들을 통과하는 경우에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여러개의 광섬유 함유 애자를 직렬로 함께 연결을 할때, 서로 이어진 애자의 끝표면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허공개 제60-262,104호에 개시된 것처럼, NGK애자주식회사(NGK Insulatoprs, Ltd)는, 휘어질 수 있는 연결금속부재를 두 애자 사이의 연결부에 부착함으로써 광섬유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애자 조립체의 전체 길이가 연결 금속부재의 길이만큼 더 길어진다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자의 끝표면을 서로 직접 접촉시키면서 두개의 애자를 직접 연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관통구멍 내부의 봉합제가 애자의 연결된 끝표면에서 밖으로 새어나와서, 고온에서 봉합재의 열팽창에 의하여 애자가 파손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나머지 실시예들의 특징은, 봉합제와 실제적으로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중공환상스페이서가 애자체의 관통구멍 둘레에서 연결끝표면에 배치되고, 광섬유가 스페이서의 중심구멍을 통과하여, 봉합제와 함께 시일링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금, 제14도를 참조하면, 적절한 개수의 스페이서(9b)들이 애자체(1)의 중심부안에 형성된 관통구멍(2)안에 삽입되어 있다. 확대된 제1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9b)는 중공환상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의 외부지름은 관통구멍(2)의 내부지름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스페이서(9b)의 빈내부 공간은 건조한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절연성이 좋은 SF6가스를 시일링가능하게 주입하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스페이서(9b)는 봉합제(4)와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 예컨데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진다. 광섬유(3)가 스페이서(9b)의 중심구멍(10b)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봉합제가 관통구멍 전체에 채워진 상태로 광섬유(3)가 관통구멍(2)안에 시일링가능하게 고정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중공환상스페이서(9b)가 사용될 때, 광섬유(3)가 관통구멍(2)의 내주벽면과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고 쉽게 막을 수 있다. 더구나, 봉합제(4)가 스페이서(9b)의 중심구멍(10b)을 지나 관통구멍의 안쪽 전체에 채워지고,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스페이서(9b)와 함께 일체로 경화되기 때문에, 관통구멍(2)의 내부의 절연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스페이서가 그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구멍(2)의 내주벽면에 밀접하게 부착되므로, 스페이서는 편심되지 않으며, 조립시에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봉합제(4)가 애자체로부터 벗겨지더라도, 상기 스페이서는 패킹으로서의 기능을 하여 물이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봉합제가 사용동안 열적으로 팽창할 때도, 중공환상스페이서(9b)는 그 본래의 탄성으로 열팽창을 흡수하게 된다. 그래서, 애자체(1)가 열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6도와 제17도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애자체(1, 1)가 그들 끝표면이 금속 플랜지 부재(8, 8)에 의해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15도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중공환상스페이서(9b)가 관통구멍 둘레에서 연결끝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7도는 제16도의 연결부를 확대한 것이다. 제1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퍼형 확대부(15)가 관통구멍(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이 되어 있고, 스페이서(9c)는 확대부(15)의 내부표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다. 광섬유(3)는 스페이서(9c)의 중심구멍(10c)를 통과한다. 제14, 15도의 실시예의 경우처럼, 스페이서(9c)의 재료는 봉합제(4)의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로 할 수 있다. 참조번호 "13"과 "14"는, 애자체(1)의 연결끝표면 사이와 플랜지(8) 사이에 배치되는 O링을 각각 나타낸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중공환상스페이서(9c)가 애자체(1, 1)의 연결 끝표면 사이에 배치될 때는, 광섬유(3)는 스페이서(9c)에 의하여 정확하게 위치되고 보호된다. 그러므로, 종래에 사용된 연결금속 접합부재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애자 조립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고, 무게의 감소와 굽힙 강도의 증가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광섬유(3)는 스페이서의 중심구멍(10c)을 통과하고, 다수의 애자체(1, 1)가 스페이서(9c)를 통하여 함께 결합된 후에 채워진 봉합제(4)와 함께 시일링가능하게 일체로 되기 때문에, 시일링가능한 접착작업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스페이서(9b)는 탄성이 풍부하므로, 봉합제(4)가 애자체의 말단 표면 사이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으로서 작용한다. 그래서, 새어나오는 봉합제(4)의 열팽창에 의해 애자체(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열팽창에 의한 열응력도 스페이서의 탄성으로 흡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O링(13)과 (14)가 연결표면 사이에 배치되면, 외부로부터 물이 연결끝표면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봉합제와 실질적으로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중공환상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애자체 또는 일렬로 연결된 복수의 애자체의 경우에 광섬유를 관통구멍 또는 관통구멍들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광섬유는 용이하게 시일링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고, 그리고 애자기 열팽창에 의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애자가 일렬로 함께 연결되는 경우에도, 금속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애자조립체의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전체 애자조립체의 굽힘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지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광섬유 함유 애자로서 극히 큰 실용적인 가치를 갖는 것이다.
Claims (17)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함유 애자는, 상기 채워진 절연재료가 축방향으로 애자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고온에서도 방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돌출 방지수단은,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부로부터 그의 양 단을 향해 0.01~0.05의 테이퍼각으로 확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함유 애자는, 상기 채워진 절연재료가 애자체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고온에서도 방지하기 위해 절연재료로 된 돌출방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절연재료는,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채워지는 비기포성 수지와, 상기 관통구멍의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채워지는 기포성 수지 또는 비기포성 수지와 기포성 수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성 수지는, 기포성 스티롤 수지, 기포성 폴리에틸렌 수지 및 기포성 실리콘 수지중에서 하나 선택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기포성 수지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함유 애자는 상기 채워진 절연재료가 축방향으로 애자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고온에서도 방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돌출방지 수단은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로 되어 있고, 이 경사부는 5~30도의 각도로 바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5항에 있어서,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양 말단면에서 절연재료가 축방향 바깥쪽으로 부풀려서 팽창 흡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5항에 있어서, 관통구멍의 중앙부에 무기물질을 채움으로써 열팽창 완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함유 애자는 상기 채워진 절연재료가 축방향으로 애자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고온에서도 방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돌출 방지 수단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재료는,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기밀성 절연 봉합부와,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관통공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가 빈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가 탄성 절연재료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함유 애자는, 광섬유 심선을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고정수단을 절연재료와 실질적으로 같은 재료의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이 스페이서는, 광섬유 심선이 애자체 중심부에 유지되도록 통과하는 중앙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광섬유 심선이 통과하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둘레에서 침투구멍을 가지며, 이 침투구멍은 절연재료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함유 애자는, 광섬유 심선을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고정수단은,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양 단부에서 축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경사부와, 그리고 축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테이퍼형 외주면과 중앙 관통공을 가지며 또한 무기물질에 의해 상기 각 경사부에 부착되는 자기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광섬유 심선은 상기 자기 스페이서의 중앙 관통공을 통과하여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심선이, 자기 스페이서의 각 중앙 관통공에 부착된 보호튜브로 둘러싸여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심선과 자기 스페이서가 무기물질로 시일링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갖는 애자체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진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광섬유 함유 애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절연재료와 실질적으로 같은 탄성재료로 된 중공의 환상스페이서로 되어 있고, 이 스페이서는 애자체의 관통구멍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삽입되며, 광섬유 심선이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무기물질로 애자체에 시일링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광섬유 심선이 통과하는 중앙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 중심부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애자체와, 애자체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광섬유 심선과,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내주벽면과 광섬유 심선 사이에 채워지는 절연재료, 그리고 절연재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탄성재료로 만들어지고 중앙 관통공을 갖는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인접한 애자체의 말단면은 상기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며, 그리고 광섬유 심선은, 스페이서의 중앙 구멍을 통과하여 절연재료로 애자체에 시일링가능하게 부착되어, 애자체의 관통구멍의 중심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함유 애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7-125541 | 1987-08-18 | ||
JP125,541/87 | 1987-08-18 | ||
JP1987125540U JPH0546181Y2 (ko) | 1987-08-18 | 1987-08-18 | |
JP87-125540 | 1987-08-18 | ||
JP12554187U JPH0436504Y2 (ko) | 1987-08-18 | 1987-08-18 | |
JP125,540/87 | 1987-08-18 | ||
JP186,766/87 | 1987-12-08 | ||
JP1987186767U JP2525143Y2 (ja) | 1987-12-08 | 1987-12-08 | 光ファイバ内蔵碍子 |
JP1987186766U JP2525142Y2 (ja) | 1987-12-08 | 1987-12-08 | 光ファイバ内蔵碍子 |
JP87-186766 | 1987-12-08 | ||
JP87-186767 | 1987-12-08 | ||
JP186,767/87 | 1987-12-08 | ||
JP36,143/88 | 1988-02-18 | ||
JP88-36143 | 1988-02-18 | ||
JP63036143A JPH07114085B2 (ja) | 1988-02-18 | 1988-02-18 | 光ファイバ内蔵碍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4351A KR890004351A (ko) | 1989-04-21 |
KR970007767B1 true KR970007767B1 (ko) | 1997-05-16 |
Family
ID=2752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8860A KR970007767B1 (ko) | 1987-08-18 | 1988-07-15 | 광섬유 함유 애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7767B1 (ko) |
-
1988
- 1988-07-15 KR KR1019880008860A patent/KR9700077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4351A (ko) | 1989-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10836A (en) | Optical fiber-containing insulators | |
US4714316A (en) | Optical fiber unit having protective assembly | |
EP0598800B1 (en) | Package and packaging of fibre optic components | |
KR900007003A (ko) | 광 화이버 내장형 복합애자 및 그 제조방법 | |
KR960015429B1 (ko) | 광섬유 복합 애자와 그 제조공정 | |
JPS6123379A (ja) | 光電子装置 | |
KR970007767B1 (ko) | 광섬유 함유 애자 | |
EP0449591B1 (en) | Composite insulators with built-in optical fibre | |
US4707069A (en) | Optical fiber coupler packaging arrang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 same | |
EP0106116A2 (en) | Arrangement for protecting an optical fiber coupl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H0792335A (ja) | 光ファイバの気密封止部構造 | |
CA1320856C (en) | Optical fiber-containing insulators | |
JP2525143Y2 (ja) | 光ファイバ内蔵碍子 | |
KR101035194B1 (ko) |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 |
JPH0546181Y2 (ko) | ||
KR100493144B1 (ko) | 산소센서및그제조방법 | |
JPH07114085B2 (ja) | 光ファイバ内蔵碍子 | |
JPS6246841B2 (ko) | ||
JPH0626015Y2 (ja) | 電気導体貫通装置 | |
JPH01233333A (ja) | 温度センサ | |
JPH0436504Y2 (ko) | ||
JPH05313024A (ja) | 光ファイバ内蔵碍管 | |
RU6595U1 (ru) |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фитинг | |
JPS6132807A (ja) | 光フアイバ心線固定具及びその製造方法 | |
JPS6022620Y2 (ja) | 気体レ−ザ−管のシ−ル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