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194B1 -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194B1
KR101035194B1 KR1020080133464A KR20080133464A KR101035194B1 KR 101035194 B1 KR101035194 B1 KR 101035194B1 KR 1020080133464 A KR1020080133464 A KR 1020080133464A KR 20080133464 A KR20080133464 A KR 20080133464A KR 101035194 B1 KR101035194 B1 KR 10103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lastic tube
glass fiber
fiber reinforced
reinforced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911A (ko
Inventor
이동원
정용수
김정배
이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8013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1Use of solid insulating compounds resistant to the contacting fluid dielectric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e.g. to SF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Abstract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이 개시된다.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은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홈이 형성된 플랜지; 및 플랜지 내주면에 일부가 삽입되며, 접착용 수지에 의해 플랜지 내주면에 접합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COMPOSITE BUSHING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구비되는 컴포지트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charger: GIS)는 송전라인 또는 배전라인 등에 구비되어, 정상적인 상태에 의한 개폐뿐만 아니라, 지락, 단락 등과 같은 이상 상태에서 선로를 개폐하여 전력계통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기이다.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 중에서 내부에 육불화황(SF6) 가스를 충진하여 사용하는 컴포지트 부싱(composite bushing)은 통상 플랜지(flange) 및 상기 플랜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튜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컴포지트 부싱은 장기간 사용하므로 육불화황(SF6) 가스에 대한 기밀성이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 플랜지 및 상기 플라스틱 튜브간 접합성이 떨어지면 상기 가스 기밀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배경기술에 따르면, 상기 컴포지트 부싱의 가스 기밀성 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플랜지 내주면 표면을 거칠게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혹한 온도 변화에 의해 접착면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스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가스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 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은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홈이 형성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 내주면에 일부가 삽입되며, 접착용 수지에 의해 상기 플랜지 내주면에 접합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의 폭 및 깊이는 각각, 예를 들어, 0.5 내지 1.5 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의 간격은, 예를 들어, 2 내지 5 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용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의 내경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 중에서 상기 플랜지 내주면에 미삽입되는 부위의 외경의 차이가 -0.08 내지 0.12 mm일 수 있다. 즉, 일정한 외경을 갖는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가 일정한 내경을 갖는 상기 플랜지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 내경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소 커도 무방하다.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의 외경이 상기 플랜지 내경보다 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열박음(Heat Shrink Fit)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를 상기 플랜지 내주면에 삽입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간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포지트 부싱의 가스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용 수지로서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경우, 가혹한 온도 변화에도 상기 플랜지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간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랜지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의 접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포지트 부싱(100)은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컴포지트 부싱(100)은 플랜지(110)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FRP) 튜브(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포지트 부싱(100)은 고무 갓(shed)(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0)는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10)에는 상기 삽입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를 받쳐주는 받침부(112)가 중공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10)의 내주면은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플랜지(1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14)은 상기 플랜지(110)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를 접합시키는 접착용 수지(140)의 인장강도값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110)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간의 접합면에만 접착성 수지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홈(114)에도 접착용 수지(140)가 충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랜지(110)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간의 접합성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홈(114)의 형상에 의해 특별히 본 발명이 한정되거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홈(114)의 폭(W)은, 예를 들어, 0.5 내지 1.5 mm이고, 상기 홈(114)의 깊이(D1)는, 예를 들어, 0.5 내지 1.5 mm일 수 있다. 상기 홈(114)의 폭(W) 및 깊이(D1)가 각각 0.5 mm 미만이면, 상기 홈(114)에 의한 접합성 증대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 상기 홈(114)에 의한 접합성 증대 효과는 홈(114)의 폭(W) 및 깊이(D1)가 커질수록 증가할 수 있으나, 상기 홈(114)의 폭(W) 및 깊이(D1)가 각각 1.5 mm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홈(114)의 간격(I)은 2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홈(114)의 간격(I)이 상기 범위일 때, 상기 홈(114)에 의한 접합성 증대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다.
상기 홈(114)의 간격(I)은 상기 홈(114)의 폭(W) 및 깊이(D1)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홈(114)의 폭(W) 및 깊이(D1)가 작은 경우, 상기 홈(114)의 간격(I)은 작을 수 있는 반면, 상기 홈(114)의 폭(W) 및 깊이(D1)가 큰 경우, 상기 홈(114)의 간격(I)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경(D3)이 250 mm인 플랜지(110)에 홈(114)의 폭(W) 및 깊이(D1)가 각각 1 mm인 홈(114)을 형성할 경우, 상기 홈(114) 간격(I)의 최소값은 약 3.5 mm일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접합성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는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접착용 수지(140)에 의해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가 상기 플랜지(110)에 삽입되므로,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의 외경(D2)은 상기 플랜지(110)의 내경(D3)보다 작을 필요가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일정한 외경(D2)을 갖는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가 일정한 내경(D3)을 갖는 상기 플랜지(110)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의 외경(D2)은 상기 플랜지(110) 내경(D3)보다 다소 작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소 커도 무방하다.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의 외경(D2)이 상기 플랜지(110)의 내경(D3)보다 다소 클 경우,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를 상기 플랜지(110)에 삽일할 때,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박음(Heat Shrink Fit)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박음 공정은 금속과 같은 부재의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을 이용하여 금속에 어떠한 부품을 접합하는 기술로서, 용접에 의하지 않는 기계적인 접합으로 용접 결함 등이 없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박음 공정 뿐만 아니라 가혹한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플랜지(110) 내경(D3)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 외경(D2)을 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랜지(110)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간의 열팽창 계수 차이를 고려한 것이다. 일 예로, -40 내지 80℃에서 수행되는 냉열시험시, 내경(D3)이 255 mm인 플랜지(110)는 0.15 mm 내외의 팽창을 하며, 이때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는 0.07 mm 내외의 팽창을 할 수 있 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110)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의 팽창에 따른 접착면의 두께를 최소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80℃를 기준으로 할 경우, 접착면의 두께를 0 초과 0.2 mm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랜지(110)의 내경(D3)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 중에서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미삽입되는 부위의 외경(D2)의 차이가 -0.08 내지 0.12 mm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경(D2)은,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가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미삽입되는 부위의 외경(D2)과 동일하다.
상기 플랜지(110)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를 접착시키는 접착용 수지(140)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는 고온경화형 에폭시 수지 및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접착강도 측면을 고려할 경우,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온경화형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 컴포지트 부싱(100)을 -40 내지 80℃에서 냉열시험을 10번 반복하여 수행하면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는 가혹한 온도 변화에도 접착강도 저하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상기 고무 갓(130)은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 중에서 상기 플랜지(110)에 미삽입되는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무 갓(130)은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를 절연 및 보호할 수 있다. 상 기 고무 갓(130)은 실리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컴포지트 부싱(100)의 접합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홈(114)이 형성된 플랜지(110)를 준비한다. 이어, 상기 플랜지(110)의 내주면 및/또는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의 외주면 일부에 접착용 수지(140)를 도포한 후,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를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삽입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열박음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 중에서 상기 플랜지(110)에 미삽입되는 부위를 고무 갓(130)으로 감싼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10)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110)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간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포지트 부싱(100)의 가스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용 수지(140)로서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경우, 가혹한 온도 변화에도 상기 플랜지(110)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120)간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 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랜지 및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의 접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컴포지트 부싱 110: 플랜지
112: 받침부 114: 홈
120: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 130: 고무 갓
140: 접착용 수지

Claims (5)

  1.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홈이 형성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 내주면에 일부가 삽입되며, 접착용 수지에 의해 상기 플랜지 내주면에 접합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홈의 폭은 0.5 mm 내지 1.5 mm 이고, 상기 홈의 깊이가 0.5 mm 내지 1.5 mm 이며, 상기 홈의 간격은 2 mm 내지 5 mm 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 수지가 상온경화형 에폭시 수지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경 및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 중에서 상기 플 랜지 내주면에 미삽입되는 부위의 외경의 차이가 -0.08 내지 0.12 mm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KR1020080133464A 2008-12-24 2008-12-24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KR10103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64A KR101035194B1 (ko) 2008-12-24 2008-12-24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64A KR101035194B1 (ko) 2008-12-24 2008-12-24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11A KR20100074911A (ko) 2010-07-02
KR101035194B1 true KR101035194B1 (ko) 2011-05-17

Family

ID=4263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464A KR101035194B1 (ko) 2008-12-24 2008-12-24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30B1 (ko) 2014-02-06 2016-07-12 대한전선 주식회사 컴포지트 부싱 고무갓 수선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2014A (ja) * 1987-11-17 1989-05-24 Toshiba Corp ブッシング
US6242902B1 (en) * 1999-11-19 2001-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asuring configuration, and use of the measuring configuration
US20070119818A1 (en) 2004-01-30 2007-05-31 Siemens Akiengesellschaft Compressed-gas-insulated switch-disconnector module and bushing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2014A (ja) * 1987-11-17 1989-05-24 Toshiba Corp ブッシング
US6242902B1 (en) * 1999-11-19 2001-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asuring configuration, and use of the measuring configuration
KR20020058025A (ko) * 1999-11-19 2002-07-12 칼 하인쯔 호르닝어 전기적 변수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이용
US20070119818A1 (en) 2004-01-30 2007-05-31 Siemens Akiengesellschaft Compressed-gas-insulated switch-disconnector module and bushing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11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46724A (ja) 光ファイバ複合碍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6792B1 (ko) 초전도 케이블의 저온유지장치
KR101035194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컴포지트 부싱
CN107402427B (zh) 一种封装电缆或光缆端头的密封帽及其制作方法
US3775547A (en) Cast epoxy bushing having a weldable flange
CN1024950C (zh) 内嵌光纤型组合绝缘器
KR100371067B1 (ko) 전기절연체를제조하기위한층상지지체및앵글아이언조립방법
EP3380881A1 (en) Ins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3276522A (ja) 光ファイバ複合碍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15849B1 (ko)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1103030B1 (ko) 이종 재질의 전기 융착식 이음관
JP2019013080A (ja) ケーブル終端接続構造およびケーブル終端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2014212009A (ja) 樹脂モールド真空バルブ
CN109786047B (zh) 空心复合绝缘子及断路器
EP0065227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isolateur de hauban de type composite
CN210167785U (zh) 一种防爆电缆终端接头
KR20110001614U (ko) Lp애자의 심봉과 상부고정구 성형부
RU2731079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стеклопластиков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даптера
US20200149676A1 (en) Ins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27358B1 (ko)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JPH03280312A (ja) 光ファイバ複合碍子
RU2118733C1 (ru)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фитинг
KR101240078B1 (ko) 진공 인터럽터 절연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0335967Y1 (ko) 고분자 애자
RU6595U1 (ru)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ый фитин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