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919Y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919Y1
KR970006919Y1 KR2019970001875U KR19970001875U KR970006919Y1 KR 970006919 Y1 KR970006919 Y1 KR 970006919Y1 KR 2019970001875 U KR2019970001875 U KR 2019970001875U KR 19970001875 U KR19970001875 U KR 19970001875U KR 970006919 Y1 KR970006919 Y1 KR 970006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se
engaging
engaged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가즈 나까지마
신이찌 니시가와
미찌야 하라다
데쓰오 니시야마
가즈요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92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176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04299317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58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993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234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43599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01149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30020736A external-priority patent/KR940009599A/ko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19Y1/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흡입패널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걸어맞춤부재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나타내는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내는 원격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세로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배출팬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배출팬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출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조화기2 : 열교환기
7 : 송풍기9 : 전장상자
11 : 케이스13 : 전면판
13a : 하나의 패널(흡입패널)13c : 다른 패널(중앙패널)
13d : 내측패널26 : 위치결정 조각
32a,32b : 안내레일38a,38b : 탄성편(제1의 위치결정수단)
39 : 오목부(제2의 위치 결정 수단)40a,40b : 걸어맞춤부재
46 : 걸어맞춤 돌기51 : 장치 케이스
52 : 본체53 : 장치덮개
75 : 방음재76 : 보조히터
78a,78b : 지지부재79a,79b : 차폐판
95 : 안내부재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 특히 케이스의 전면에 중앙패널(panel) 및 흡입패널 등의 복수의 패널을 배치하고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빌딩 등에서는 바닥에 그대로 설치되는 바닥설치형의 패키지형의 공기조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공기조화기가 제안된 공보로서 일본국 실공소 57-9620호 공보가 있다.
이 공보에 제안된 기술은 하측패널(중앙패널 및 흡입패널)을 케이스에 나사로 고정시킨 후 상측패널(분출패널)의 상측을 천정패널에 걸어맞추고 이 상측패널의 하측을 나사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패널의 고정시에 상측패널의 나사구멍과 케이스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패널의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케이스의 전면에 위로부터 순차로 분출패널, 중앙패널 및 흡입패널을 배치하고 있는 공기조화기에 대해서는 우선 최상위에 있는 분출패널을 나사로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다음에 중앙패널의 상부(상부틀)에 분출 패널의 하부(하부틀)에 걸어맞추고, 중앙패널의 하부를 나사로 케이스에 고정시키며, 최후에 최하위에 있는 흡입패널의 하부를 케이스에 걸어맞춘 후 흡입패널의 사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재를 중앙패널의 하부에 설치한 걸어맞춤 조각에 단번에 착탈이 용이하게 부착시켜서 패널의 분리 및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공기조화기의 패널구조에서는 최하위에 위치하는 흡입패널을 중앙패널에 부착시키는 때에 최초에 그 하부(하부틀부)를 케이스에 걸어맞추지만 부착시에 흡입패널 자체에 비틀림이나, 일그러짐이 생겨서 이 흡입패널의 상부(상부틀부)와 중앙패널간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패널의 양측면부에 대해 흡입패널의 양측면부가 어긋나서 중앙패널의 걸어맞춤용 조각과 흡입패널의 걸어맞춤용 돌기의 위치가 용이하게 일치하지 않아 흡입패널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흡입패널을 케이스의 양 측면부나 중아패널에 대해 비틀린채로 부착시키면 케이스 및 중앙패널에 대한 맞춤부에 어긋남이 생겨서 볼품이 나쁘게 된다.
특히, 흡입패널은 전면패널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서있는 상태로 부착작업을 하는 때에 손으로 더듬는 작업이 되기 쉽다.
따라서, 손으로 더듬는 작업이라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손으로 더듬는 것이라도 패널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부착후의 볼품이 좋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에 천정판이 부착됨과 동시에 하부에 저면판이 부착되는 케이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방구에 위로부터 차례대로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분출되는 분출구를 구비하는 분출패널과, 중앙패널과,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를 구비하고 이면에 필터가 부착되는 흡입패널을 나란히하여 상기 케이스의 전면개방구를 폐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분출패널은 그 하부에 오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나사 조임되며,
상기 중앙패널은 상기 분출패널의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그 상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재와, 그 하부에 설치된 위치결정편과 지지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 나사조임되며,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저면판의 전면부에 설치된 절곡편에 걸어맞추어지는 그 하부에 설치된 혀부재와, 상기 중앙패널의 저지부재에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돌기를 구비하는 그 상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재와, 상기 중앙패널의 위치결정편과 걸어맞춤하여 그 양측부를 상기 중앙패널의 양측부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그 상부에 설치된 오목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오목부에 걸어맞춤하여 그 양측부를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의 측면부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그 양측부에 설치된 위치결정탄성편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혀부재가 상기 저면판의 절곡편에 걸어맞추어진 후 상기 위치결정탄성편이 상기 케이스 측면부의 걸어맞춤용 오목부에 걸어맞춤되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중앙패널의 위치결정편에 걸어맞춤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중앙패널의 저지부재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케이스의 전면개방부에 착탈자유롭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서는 흡입패널은 걸어맞춤돌기에 의해 케이스에 착탈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의 청소시에 용이하게 필터를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그 작업종료후에 흡입패널을 케이스에 부착함에 있어서도 흡입패널의 양측부는 위치결정탄성편에 의해 각각 케이스의 양측부에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패널 자체에 굴곡이나 휘어짐이 생길수가 없다.
또한, 오목부를 중앙패널의 위치결정편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중앙패널의 하부에 대해 그 상부가 안내되기 때문에 중앙패널에 대해 위치의 어긋남이 없이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는 것에서 부착후의 외관의 볼품이 좋게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공기조화기(1)은 주로 판금제의 본체(3)과, 그 본체(3)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5)와, 상기한 열교환기(5)로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기(7)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체(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3)은 1매의 얇은 두께의 판금을 가로단면이 대략 "그" 형상으로 굴곡시킨 케이스(11)을 구비하고, 그 케이스(11)의 해방된 전면의 개방구에 전면패널(13)이 케이스(11)이 위에 천정판(15) 및 아래에 저면판(17)이 부착되어 있다.
천정판(15)에는 그 정면측에 분출패널(13b)를 분출시키기 위한 부착부(15a)가 돌출설치되어있고, 이 부착부(15a)에는 나사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패널(13)은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3)의 위로부터 순차로 분출패널(13b)와 중앙패널(다른패널)(13c)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패널(하나의 패널)(13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패널(13b), 중앙패널(13c), 흡입패널(13a)는 각각 중앙부가 두껍고, 양측이 얇게되도록 정면이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최상위치에 있는 분출패널(13b)의 공기분출구에는 상하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날개(14)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분출패널(13b)의 상부틀(상부)에는 상기한 부착부(15a)의 나사구멍에 대응해서 4개의 나사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어 천정판(15)의 부착부(15a)에 나사조임하도록 되어 있다.
분출패널(13b)의 하부틀(하부)에는 중앙패널(13c)의 걸어맞춤조각(19a)(19b)(19c)와 걸어맞추어지는 오목부(20a)(20b)(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패널(13b)와 케이스(11)의 사이에는 좌우의 분출방향을 안내하는 내측의 안내판(21)이 케이스(11)의 좌우의 측면부(11a)(11b)에 나사조임되어 있다.
중앙패널(13c)는 전체적으로 받힘판으로 되어 있고, 그 우상측에 원격제어장치(50)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1) 측으로 굴곡된 중앙패널(13c)의 상부틀에는 상기한 걸어맞춤조각(19a)(19b)(19c)가 돌출설치되어 있어 분출패널(13b)의 하부틀에 중앙패널(13c)의 상부틀을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중앙패널(13c)의 하부틀에는 그 양측에서 케이스 측면부(11a)(11b)에 고정하는 나사조임부(24a)(24b)가 형성되어 있어 중앙패널(13c)를 측면부(11a)(11b)에 나사조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앙패널(13c)의 하부틀에는 그 대략 중앙에 위치결정편(26)이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흡입패널(13a)의 상부틀과 걸어맞추어지는 고정부재(28a)(28b)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부재(28a)(28b)는 제3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지지조각(30)과 그 지지조각(30) 사이에 배치된 걸어맞춤봉(31)로서 구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흡입패널(13a)의 걸어맞춤돌기(46)이 그 걸어맞춤봉(31)에 걸어 맞추어지게 되어 있다.
흡입패널(13a)는 그 개방구에 안내날개(16)이 다수형성되어 여기에서 실내공기를 공기조화기(1) 내로 흡입하도록 되어 있고, 제2도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이면에는 한쌍의 안내레일(32a)(32b)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안내레일(32a)(32b)와 패널간에는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안내레일(32a)(32b)에는 그 하측에 각각 케이스(11)의 측면부(11a)(11b)에 걸어맞추어져서 위치결정하는 제1위치 결정수단으로서의 위치결정탄성편(38a)(38b)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패널(13a)의 양측부를 케이스(11)를 측면부(11a)(11b)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오목부(11e)(11f)(제1걸어맞춤수단)(제1도 참조)에 끼워 맞추어서 케이스(11)의 측면부(11a)(11b)에 대해 위치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패널(13a)의 하부틀에는 혀부재(36)이 형성되어 있어 그 혀부재(36)은 본체(3)의 저면판(17)에 형성된 굴곡편(17a)의 내측에 걸어맞추어 지도록 되어 있다.
흡입패널(13)의 상부틀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한 위치결정편(26)에 걸어 맞추어지는 제2위치 결정수단으로서의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9)의 오목한 공간의 폭은 그 선단측을 위치결정편(26)보다도 넓게 형성해서 차츰 오목하게 밑으로 향해 좁게하여, 위치결정편(26)과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흡입패널(13a)의 상부틀에는 그양측에 중앙패널(13c)의 고정부재(28a)(28b)에 이탈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재(40a)(40b)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부재(40a)(40b)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각 축(4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된 본체(42)의 선단부(43)이 스프링(44)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고, 타단부(45)를 스프링(44)의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누르면 걸어맞춤돌기(46)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재(40a)(40b)의 타단부(45)는 흡입패널(13a)의 표면에 있어서, 최상단의 안내날개(16)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면패널(13)의 정면으로부터 손가락으로 눌러서 흡입패널(13a)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앙패널(13c)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제어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원격제어장치(50)는 제5도 및 제6도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같이 장치케이스(51) 내에 회로기판(인쇄회로기판)을 갖는 본체(52)을 수납시키고 있고, 이 장치케이스(51)의 일측면에는 장치덮개(53)이 힌지(54)에 의해 회전히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54)는 장치케이스(51)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워맞춤용 오목부(55)에 장치덮개(53)의 끼워맞춤용돌기(56)을 끼워맞추어서 구성하고 있다.
장치케이스(51)의 한쪽에 설치된 보조부재(51a)에는 장치케이스(51)을 중앙패널(13c)에 나사조임하기 위한 나사구멍(57a)(5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50)의 본체(52)는 장치케이스에 수납된 때 그 측면이 보조부재(51a)에 맞닿도록 보조부재(51a)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패널(13c)의 개방구(58)에는 보조부재(51a)에 대응해서 장치케이스(51)을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부(58a)가 형성되어 있어 장치케이스(51)은 그 걸어맞춤부(58a)에 나사조임되어 있다.
장치덮개(53)은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개방구(53c)가 형성된 개폐덮개(53a)와 이 개폐뚜껑(53a)의 외부틀(53b)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틀(53b)에는 걸어맞춤돌기(59)가 형성되어 있어 장치케이스(51)에 설치된 래치(60)에 걸어맞추어지게 되어 있다.
본체(52)에는 표시부의 유리(61)에 스위치(62)가 배치된 상부덮개(62a)와 하부덮개(62b)를 갖고, 상부덮개(62a)와 하부덮개(62b)의 사이에 상기한 회로기판(도시생략)이 수납되어 있으며, 하부덮개(62b)는 나사에 의해 장치케이스(51)에 고정되고, 상부덮개(62a)는 하부덮개(62b)의 내측에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원격제어장치(50)을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그 파손이나 고장의 경우등에는 중앙패널(13c)를 전면패널(13)으로부터 떼어내어 원격제어장치(50)만을 수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원격제어장치(50)의 수리시에 중앙패널(13c)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특히, 힌지(54)의 수리시에는 원격제어장치(50)을 전면패널(13)으로부터 분리해 내서 작업원의 손이 미치는 범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같은 모양으로 원격제어장치(50)의 장치덮개(53) 등 다른 부분의 수리도 전면패널(13)과 별개로 행할 수가 있다.
또, 원격제어장치(50)의 본체(52)를 수리하는 경우에는 장치덮개(53)을 개방한 후 상부덮개(62a)와 하부덮개(62b)와의 끼워맞춤을 풀어서 상부덮개(62a)를 분리하여 제어기판을 노출시켜서 행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열교환기(5)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열교환기(5)는 냉매가 도입되어서, 본체(3) 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며, 상기한 본체(3)과 내측패널(13d)(제1도 참조)에 의해 규정되는 공기통로(27)에 비스듬한 형상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어 송풍되어 오는 공기와의 마찰음의 정화가 도모된다.
또,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의 안쪽으로의 길이(W)에 의해 경사각도가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열교환기(5)의 경사각도는 큰 쪽이 바람소리가 적게되기 때문에 안쪽으로의 길이(W)가 길수록 바람소리는 적어진다.
이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장상자(9)의 분만큼 본체의 안쪽으로의 길이(W)가 종래보다 넓어져서 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바람의 바람소리(마찰음)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열교환기(5)는 소위 히트펌프식 냉동주기(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기로서, 그 회로내에는 냉매를 급격히 감압하기 위한 전동식 팽창밸브(72)나 회로내의 냉매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73a)(73b)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에서는 전동식팽창밸브(72)나 스트레이너(73a)(73b) 등은 측면판(74b)측으로 모아서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전동식팽창밸브(72)나 스트레이너(73a)(73b)에서는 일반적으로 냉매가 흐르는 때에 이 냉매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합성수지 제의 방음재(통상 「퍼티」라 불리고 있다)(75)가 고착되어 있다.
방음재(75)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 전동식 팽창밸브(72)나 스트레이너(73a)(73b)를 싸고 있다.
이 방음재(75)의 용해온도는 80℃~110℃ 정도이기 때문에 통상의 완기(5)만에 의한 난방에서는 열교환기(5)의 열(60℃ 정도)로 용해되어서 파손되는 일은 없다.
또 열교환기(5)에는 표면에 난방시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가열을 보조하는 보조히터(76)이 부착되어 있다.
보조히터(76)은 전열대를 사행시켜서 된 히터본체(77)을 구비하고, 그 히터본체(77)의 양측은 한쌍의 지지부재(78a)(78b)에 지지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78a)(78b)가 각각 열교환기(5)의 측면판(74a)(74b)에 부착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78a)(78b)는 단면이 대략 "L"형상이 되도록 판금을 굴곡시켜서 형성되어 있고, 차폐판으로서 "L"형의 수직면부(또는 차폐판)(79a)(79b)가 히터본체(77)을 지지하여 그 수평면부(80a)(80b)를 측면판(74a)(74b)에 탑재시키고 있다.
지지부재(78a)(78b) 중 합성수지제의 방음제(75)가 고착되어 있는 측의 지지부재(78b)에는 히터본체(77)로부터 방음재(75)에 직접 방사되는 열을 차폐하는 차폐판(79b)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차폐판(79b)는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78b)의 수직면부(79b)를 겸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78b)의 수평면부(80b)를 열교환기(5)와 방음재(75)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130℃ 정도로 가열되는 보조히터(76)뿐만 아니라 60℃ 정도로 가열되는 열교환기(5)로부터 직접 복사되는 열도 차폐하도록 되어 있다.
방음재(75)는 본래 열교환기(5)의 열에 의해 용해되는 일은 없으나, 이와같이 열교환기(5)로부터 직접 방사되는 열을 차폐하므로서 이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양쪽의 지지부재(78a)(78b)의 수직면부의 각각을 판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히터본체(77)의 차폐판(79a)(79b)를 형성해서 히터본체(77)의 양측에 차폐판을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만 차폐판을 갖는 구성이라도 된다.
열교환기(5)로부터는 냉매관(23)(25)가 송풍기(7)의 흡입구(82) 부근까지 뻗어나와 있다.
이들 냉매관(23)(25)의 단말부에는 실외장치(도시생략)의 냉매관에 접속하는 결합관(83)이 나사조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장상자(9)를 전면패널측에 배치하는 구성(후술함)으로 하고 있고, 전장상자(9)의 분만큼 본체의 안쪽으로의 길이(폭)(W)가 종래보다 넓기 때문에 결합판(83)에 의한 접속작업용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 냉매관(23)(25)는 각각 송풍기(7)의 흡입구(82)측으로 뻗어나와 있고, 또 송풍기(7)에 압축 접촉시켜서 배치되어 있어 냉매가 흐를 때 발생하는 냉매관(23)(25)의 진동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송풍기(7)은 소위 원심송풍기로서, 전면측에 흡입구(82)가 형성된 한쪽편 흡입의 팬케이스(85)와, 그 팬케이스(85) 내에 배치된 날개차(86)과 그 날개차(86)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87)로 구성되어 흡입구(82)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토출구(88)을 거쳐서 열교환기(5)로 향해서 송풍하도록 되어 있다.
전장상자(9)는 공기조화기(1) 내의 구동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장상자(9)의 하우징내에는 제어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상자(9)는 송풍기(7)의 흡입구(82)의 위쪽, 구체적으로는 송풍기(7)의 토출구 부근으로서, 전면패널(13)측에 설치되어 있고, 송풍기(7)의 팬케이스(85)와 전면패널(1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송풍기(7)의 흡입구(82)의 위쪽의 위치에 전장상자(9)를 배치하므로서, 전장상자(9)의 점검시 등에 작업원이 허리 굽힘 또는 앉은 상태에서 전장상자(9)가 눈높이 정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등의 점검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열교환기(5)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팬(70)은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본체(91)과 단열재(92)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91)은 열교환기(5)의 하단부를 수납하도록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벽 원주면에 단열재(9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배출팬(7)의 바닥에는 배출구(93)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배출호스(94)가 접속되어서 배출팬(70) 내의 물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배출팬(70)의 전면패널측에 있어서의 벽(91a)의 상단부에는 내측패널(13d)의 하단부가 맞닿아서 걸어맞추어져 있고, 내측패널(13d)의 이면측[공기통로(27)]의 물방울은 배출팬(70)의 내측으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전면패널측의 벽(91a)에는 단열재(92)를 거쳐서 안내판(안내부재)(95)가 부착되어 있어 내측패널(13d)의 표면측에 결로된 물방울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안내판(95)는 배출팬(70)의 길이방향에 따라 뻗어나와 있고,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95a)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있고, 벽(91a)의 단열재(92)의 표면과 공동으로 홈을 구성하여 적하되는 결로수를 받아서 안내하는 것이다.
그러한 안내판(95)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단부(95a)가 길이방향에 따라 경사져 있어 물방울을 본체(3)의 한쪽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부(95b)의 폭(A)에 의해 타단부(95c)의 폭(B)를 적제하고, 즉 A>B의 치수로서 그 상단부(95a)를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상단부(95a)로 받아진 결로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한 전장상자의 옆으로 흐른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판(95)를 첨부하는 것만으로 내측패널의 외면에 부착된 결로수가 그 아래쪽으로 배치된 전장상자(9)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안내판(95)는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절단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안내부재로서 별도부재를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삭감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공기조화기(1)은 송풍기(7)이 구동되면 흡입패널(13a)를 통해서 송풍기의 흡입구(82)로부터 공기가 흡인되고, 토출구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송풍된다.
송풍기(7)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열교환기(5)를 통과해서 분출패널(13b)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송풍된다(제1도, 제4도 참조).
공기조화기(1)의 조립시나 유지보수 종료후에 케이스(11)에 전면패널(13)을 부착시키는 때에는(제1도 참조) 우선 안내판(21)을 케이스(11)의 측면부(11a)(11b)에 나사 조임한 후 분출패널(13b)의 상부틀을 천정판(15)의 부착부(15a)에 나사조임해서 고정시킨다.
다음에 중앙패널(13c)의 상부틀에 있는 걸어맞춤조각(19a)(19b)(19c)를 분출패널(13b)의 하부틀에 형성된 오목부(20a)(20b)(20c)의 각각에 걸어맞추고, 다음에 하부틀의 나사조임부(24a)(24b)를 나사에 의해 측면부(11a)(11b)에 고정시킨다.
최후의 흡입패널(13a)를 부착시키지만, 그 흡입패널(13a)의 부착은 우선 하부틀에 형성된 혀부재(36)(제2도 참조)를 저면판(17)의 굴곡편(17a)의 내측에 걸어서, 그대로 상부틀측을 중앙패널(13c)의 하부틀에 밀어부치도록 해서 걸어맞춤부재(40a)(40b)를 중앙패널의 걸어맞춤봉(31)에 걸어맞춘다(제3도 참조).
이때 흡입패널(13a)의 양측부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탄성편(제1의 위치결정수단)(38a)(38b)에 의해 각각 케이스(11)의 측면부(11a)(11b)로 안내되기 때문에 그 패널자체에 일그러짐이나, 뒤틀림이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제2의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오목부(39)(제1도 참조)를 위치결정편(26)에 걸어맞추므로서, 중앙패널(13c)에 대한 상부틀의 위치가 안내되기 때문에 중앙패널(13c)에 대한 흡입패널(13a)의 위치의 어긋남이 없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28a)(28b)에 대해 걸어맞춤부재(40)의 위치를 항상 바른위치로 맞출수가 있다.
더구나, 흡입패널(13a)의 부착을 손으로 더듬어 행하는 경우라도 위치의 어긋남이 없기 때문에 부착후의 볼품도 좋아진다.
또한, 각 걸어맞춤부재(40a)(40b)에서는 타단부(45)를 스프링(44)의 가하는 힘에 대항하여 손가락으로 눌러서 걸어맞춤돌기(46)을 끌어올려놓고, 흡입패널(13a)가 끼워넣어진때에 손가락을 떼어서 걸어맞춤돌기(46)을 걸어맞춤봉(31)에 걸어맞춘다.
한편, 흡입패널(13a)를 분리하는 때에는 걸어맞춤부재(40)의 타단부(45)를 가압하여 걸어맞춤돌기(46)의 돌기를 걸어맞춤봉(31)로부터 벗겨내서 상부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후 정면측으로 넘어뜨려서, 위치결정탄성편(38a)(38b)의 걸어맞춤을 걸어맞춤용 오목부(11e)(11f)로부터 벗겨내고, 그후 하부의 혀부재(36)을 케이스로부터 벗겨낸다.
또, 중앙패널(13c) 및 분출패널(134b)의 분리는 상기한 부착동작과 역으로 행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걸어맞춤부재(40a)(40b) 대신에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 걸어맞춤부재(40a)(40b)를 걸어맞추는 고정부재(28a)(28b)도 필요하지 않게 되어 패널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또, 여기서 제2의 위치결정수단은 흡입패널(13a)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한부를 형성하여 중앙패널(13c)측에 이것과 걸어맞추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패널(13a)는 걸어맞춤돌기(46)에 의해 케이스(11)에 착탈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34)의 청소시에 용이하게 필터(34)를 분리할 수가 있다.
또, 그 작업종료후에 흡입패널(13a)를 케이스(11)에 부착함에 있어서도 흡입패널(13a)의 양측부는 위치결정탄성편(38a)(38b)에 의해 각각 케이스(11)의 양측부(11a)(11b)에 우치결정되기 때문에 패널(13a) 자체에 굴곡이나 휘어짐이 생길수가 없다.
또한, 오목부(39)를 중앙패널(13c)의 위치결정편(26)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중앙패널(13c)의 하부에 대해 그 상부가 안내되기 때문에 중앙패널(13c)에 대해 위치의 어긋남이 없이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는 것에서 부착후의 외관의 볼품이 좋다.

Claims (1)

  1. 상부에 천정판(15)가 부착됨과 동시에 하부에 저면판(17)이 부착되는 케이스(11)에 열교환기(5) 및 송풍기(7)이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11)의 전면개방구에 위로부터 차례대로 상기 열교환기(5)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분출되는 분출구를 구비하는 분출패널(13b)와, 중앙패널(13c)와,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이면에 필터(34)가 부착되는 흡입패널(13a)를 나란히하여 상기 케이스(11)의 전면개방구를 폐쇄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분출패널(13b)는 그 하부에 오목부(20a,20b,20c)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11)에 나사조임되며,
    상기 중앙패널(13c)는 상기 분출패널(13b)의 오목부(20a,20b,20c)에 걸어맞추어지는 그 상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재(19a,19b,19c)와, 그 하부에 설치된 위치결정편(26)과 지지부재(28a,28b)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11)에 나사조임되며,
    상기 흡입패널(13a)는 상기 저면판(17)의 전면부에 설치된 절곡편(17a)에 걸어맞추어지는 그 하부에 설치된 혀부재(36)과, 상기 중앙패널(13c)의 지지부재(28a,28b)에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되어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돌기(46)를 구비하는 그 상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재(40a,40b)와, 상기 중앙패널(13c)의 위치결정편(26)과 걸어맞춤하여 그 양측부를 상기 중앙패널(13c)의 양측부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그 상부에 설치된 오목부(39)와, 상기 케이스(11)의 개방구의 측면부(11a,11b)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오목부(11e,11f)에 걸어맞춤하여 그 양측부를 상기 케이스(11)의 개방구의 측면부(11a,11b)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그 양측부에 설치된 위치결정탄성편(38a,38b)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혀부재(36)이 상기 저면판(17)의 절곡편(17a)에 걸어맞추어진 후 상기 위치결정탄성편(38a,88b)가 상기 케이스 측면부(11a,11b)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1e,11f)에 걸어맞춤되며, 상기 오목부(39)가 상기 중앙패널(13c)의 위치결정편(26)에 걸어맞춤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46)이 상기 중앙패널(13c)의 저지부재(28a,28b)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케이스(11)의 전면개방구에 착탈자유롭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70001875U 1992-10-06 1997-02-10 공기조화기 KR9700069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92173 1992-10-06
JP4292173A JPH06117660A (ja) 1992-10-06 1992-10-06 空気調和機
JP04299317A JP3075867B2 (ja) 1992-10-12 1992-10-12 空気調和機
JP92-299317 1992-10-12
JP92-299318 1992-10-12
JP4299318A JPH06123439A (ja) 1992-10-12 1992-10-12 空気調和機
JP92-359976 1992-12-28
JP4359976A JPH06201149A (ja) 1992-12-28 1992-12-28 空気調和機
KR1019930020736A KR940009599A (ko) 1992-10-06 1993-10-05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736U Division KR950010807U (ko) 1993-10-11 1993-10-11 빌로오드천이 봉착된 오리털 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919Y1 true KR970006919Y1 (ko) 1997-07-09

Family

ID=2753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875U KR970006919Y1 (ko) 1992-10-06 1997-02-1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9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696B2 (en) Device equipped with cooling mechanism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20090090130A (ko) 공기조화기
KR970006919Y1 (ko) 공기조화기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280375B1 (ko) 공기조화기
JP4510667B2 (ja) 通風路構造
KR101280374B1 (ko) 공기조화기
KR100441103B1 (ko) 공기조화기의 연결배관 설치구조
KR100479077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폐구조
KR200225294Y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238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실내기의 조립 방법
JPH06123438A (ja) 空気調和機
JPH10227475A (ja) 空気調和機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0120747Y1 (ko) 공기조화기의 설치부 개폐장치
US20230243551A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0302255Y1 (ko) 결로 제거 장치
KR200173447Y1 (ko) 벽걸이형공기조화기용실내기의스페이서고정장치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0437050B1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개폐 구조
KR1010904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93597B1 (ko) 다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흡입부 구조
JPH10205809A (ja) 空気調和機
KR200170281Y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