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55Y1 - 결로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결로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55Y1
KR200302255Y1 KR20-2002-0032351U KR20020032351U KR200302255Y1 KR 200302255 Y1 KR200302255 Y1 KR 200302255Y1 KR 20020032351 U KR20020032351 U KR 20020032351U KR 200302255 Y1 KR200302255 Y1 KR 200302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window
condensation
re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
장문석
장철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2-0032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부착되어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 차에 의해 창호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결로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통상의 미닫이 창 또는 단일 창의 주위를 감싸 벽체에 고정되며 상,하, 좌,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5)에 있어서,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2)를 가지는 케이스(1)가 상기 창틀(5)의 상,하,좌,우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51)의 실내 측 표면에 부착 수단(3)을 통해 부착되되, 상기 케이스(1)의 내부는 일측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모터(14)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4)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11)와 공기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 팬(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로 제거 장치{ Apparatus for ant - condensation}
본 고안은 결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에 부착되어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 차에 의해 창호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 또는 제거하는 결로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대부분의 주거용 건물 및 사무실용 건물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벽면에 구비되는 창틀에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문은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서 창의 표면이나 창문틀 또는 창틀 등에 수분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결로 현상이란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가 냉각하여 노점(露點) 이하로 되었을 때 수증기가 액화되어 이슬로 맺히는 현상으로 실내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가 심한 겨울철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창의 표면이나 창문틀 또는 창틀 등의 내구성이 취약해지며, 상기 창문틀이나 창틀이 원목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서로 비틀리거나 썩게 되어 개폐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여 사용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요즘 확장형 발코니가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창호의 결로에 의한응축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팬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창의 표면으로 강제 송풍하여 창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거나, 창의 표면에 맺힌 결로를 제거할 수 있는 결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여름철에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결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창의 모서리 부분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용이하게 방비 및 제거할 수 있는 결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창의 표면에 맺힌 결로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결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거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거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결로 제거장치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a, 6b는 도 1에 도시된 결로 제거장치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7b는 도 2에 도시된 결로 제거장치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1 : 공기 유입구 12 : 공기 배출구 13 : 송풍 팬
14 : 모터 15 : 경사 측벽 16 : 히터
3 : 부착 수단
31 : 가이드 레일 32 : 가이드 33 : 송풍용 가이드
34 : 힌지축 35 : 힌지 브라켓 36 : 록킹부
5 : 창틀
51 : 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통상의 미닫이 창 또는 단일 창의 주위를 감싸 벽체에 고정되며 상,하,좌,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에 있어서,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가 상기 창틀의 상,하,좌,우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의 실내 측 표면에 부착 수단을 통해 부착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는 일측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 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의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실내 측 표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창틀의 상,하,좌,우 프레임의 실내 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 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창의 표면에 강제적으로 송풍하여 창의 표면에 발생한 결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틀을 교체하거나 보수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된 일반적인 창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하도록 창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전면으로 공기가 송풍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송풍용 가이드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겨울철에는 창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하도록 실내 공기를 창의 표면으로 송풍하도록 하고, 여름철에는 상기 송풍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창틀에 부착함으로써, 실내 쪽으로 바람이 송풍되는 선풍기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또 보조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창틀의 상측 스평 프레임이나 하측 수평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측 수평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통상의 미닫이 창 또는 단일 창의 주위를 감싸 벽체에 고정되며 상,하,좌,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5)에 있어서,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2)를 가지는 케이스(1)가 상기 창틀의 상,하, 좌,우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51)의 실내 측 표면에 부착 수단(3)을 통해 부착되되, 상기 케이스(1)의 내부는 일측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11)와 공기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강제 송풍하는 송풍 팬(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로 제거 장치를 창틀의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착 수단(3)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51)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창틀에 부착되는 레일 방식을 이용하였다. 즉 상기 프레임(51)의 실내 측 표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31)과, 상기 케이스(1)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32)로 이루어져 프레임(51)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창틀(5)에 체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로 제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을 이용하여 창틀에 회전되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 수단(3)은 상기 창틀(5)의 상,하,좌,우 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축(34)과, 상기 힌지축(34)에 연결되어 케이스(1)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35), 및 상기 상,하,좌,우 프레임의 표면과 케이스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결로 제거 위치를 유지하는 록킹부(36)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힌지축(34)이 고정된 프레임(51)의 상부에 걸림 턱을 가지는 걸림 돌기(361)와, 상기 케이스(1)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361)에 대응하는 고정 턱을 가지는 고정 돌기(362)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361)와 고정 돌기(362)와의 결합을 통해 창틀(5)에 상기 결로 제거 장치의 케이스(1)가 부착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공기가 송풍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삽입되는 송풍용 가이드(33)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상기 송풍용 가이드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공기 배출구가 실내 측으로 향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실내 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선풍기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일측으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송풍 팬(13)을 구동시키는 모터 스위치(141)가 구비되고,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 및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구(12) 및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 팬(1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이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후술하는 히터를 조작하는 히터 스위치(161)가 상기 모터 스위치(141)의 일측으로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전면에 형성된 상기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송풍하는 상기 송풍 팬(13)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 송풍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들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 팬(13)은 상기 공기 배출구(12) 및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된 케이스(1)의 내부 공간에는 송풍 팬의 양측이 고정되며 상기 모터(14)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공기 배출구(12)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수직으로 송풍되는공기를 창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풍향 그릴(1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향 그릴(12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창의 표면 쪽으로 경사지는 풍향 그릴을 통해 송풍 팬에 의해 수직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를 창의 표면으로 송풍되도록 해 줌으로써, 창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용이하게 방지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11)에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 그릴(111)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로 제거 장치는 상기 안내 그릴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공기를 유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상기 케이스(1) 내부에 경사 측벽(15)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풍향 그릴(121)과 송풍 팬(13)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수직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창의 상부 또는 하부 모서리부로 안내하는 경사 측벽(15)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측벽(15)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경사 측벽의 경사각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경사 측벽에 의해 굴절되어 송풍됨으로 결로 제거 장치가 부착된 위치의 양측 모서리부에도 공기가 송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 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경사 측벽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창호의 상부 또는 하부 모서리부로 송풍되며 이곳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용이하게 방지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 측벽(15)은 상기 풍향 그릴(121)과 송풍 팬(13)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풍향 그릴(121)에 함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상기 케이스(1) 내부에 히터(16)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풍향 그릴(121)과 송풍 팬(13)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6)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16)는 통상의 열선을 이용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히터에 의해 따뜻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 송풍시킴으로써, 창의 표면에 맺힌 결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의 상측 또는 하측 수평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창틀의 하측 프레임에 부착되어 작동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6a는 창의 표면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경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실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경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철에 창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결로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창틀(5) 프레임의 실내 측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1)에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된 가이드(32)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32)를 가이드 레일(31)에 체결한 후, 모터(미도시)를 구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기 송풍 팬(13)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송풍 팬(13)은 케이스(1)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 그릴(111)을 가지는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창으로 강제 송풍하게 된다. 창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풍향 그릴(121) 및 경사 측벽(15)에 의해 굴절되어 창의 표면 및 창의 양쪽 테두리, 즉 모서리로 송풍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된 히터(16)를 구동하게 되면 히터(16)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상기 경사 측벽(15) 및 풍향 그릴(121)에 굴절되어 창의 표면 및 양쪽 모서리부로 송풍되어 창의 표면에 맺힌 결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철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1)에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된 송풍용 가이드(33)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체결한다. 즉 상기 송풍용 가이드(33)를 상기 가이드 레일(31)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32)는 케이스(1)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 유입구(11)는 케이스(1)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12)는 실내 측, 즉 케이스(1)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송풍 팬(13)은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 그릴을 가지는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공기는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실내 측으로 강제 송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창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제거 및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송풍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실내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선풍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4)을 통해 결로 제거 장치를 창틀(5)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7a,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철에 창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결로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창틀(5) 프레임의 실내 측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 돌기(361)에 케이스의 고정 돌기(362)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케이스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2)가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공기 유입구(11)가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가 구동하게 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철에는 창틀(5)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구동하게 되면 케이스의 저면, 즉 실내 바닥을 향해 있는 공기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실내 측으로 향해 있는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게 되어 선풍기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로 제거 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 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창의 표면에 강제적으로 송풍하여 창의 표면에 발생한 결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틀을 교체하거나 보수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된 일반적인 창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하도록 창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용 가이드가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겨울철에는 창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하도록 실내 공기를 창의 표면으로 송풍하도록 하고, 여름철에는 상기 송풍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창틀에 부착함으로써, 실내 쪽으로 바람이 송풍되는 선풍기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 배출구에 구비된 풍향 그릴과 경사 측벽을 통해 송풍 팬에 의해 수직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창의 표면 및 창의 양측 모서리부로 송풍되도록 해 줌으로써, 창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용이하게 방지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에 의해 따뜻한 공기를 공기 배출구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 송풍시킴으로써, 창의 표면에 맺힌 결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통상의 미닫이 창 또는 단일 창의 주위를 감싸 벽체에 고정되며 상,하,좌,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5)에 있어서,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2)를 가지는 케이스(1)가 상기 창틀(5)의 상,하,좌,우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51)의 실내 측 표면에 부착 수단(3)을 통해 부착되되,
    상기 케이스(1)의 내부는 일측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속도가 제어되는 모터(14)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4)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11)와 공기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창의 표면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 팬(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3)은 :
    상기 프레임(51)의 실내 측 표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31)과,
    상기 케이스(1)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결로 제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거 장치는 :
    전면으로 공기가 송풍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삽입되는 송풍용 가이드(33)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3)은 :
    상기 창틀(5)의 상,하,좌,우 프레임(51)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축(34)과,
    상기 힌지축(34)에 연결되어 케이스(1)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35), 및 상기 상,하,좌,우 프레임(51)중 하나의 표면과 케이스(1)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결로 제거 위치를 유지하는 록킹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36)는 :
    상기 힌지축(34)이 고정된 프레임(51)의 상부에 걸림 턱을 가지는 걸림 돌기(361)와,
    상기 케이스(1)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361)에 대응하는 고정 턱을 가지는 고정 돌기(3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6. 제 1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12)에는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수직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창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풍향 그릴(12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에는 :
    상기 풍향 그릴(121)과 송풍 팬(13)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기 배출구(12)를 통해 수직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창호의 상부 또는 하부 모서리부로 안내하는 경사 측벽(15)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에는 :
    상기 풍향 그릴(121)과 송풍 팬(13)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6)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9. 제 1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11)에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 그릴(11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제거 장치.
KR20-2002-0032351U 2002-10-30 2002-10-30 결로 제거 장치 KR200302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51U KR200302255Y1 (ko) 2002-10-30 2002-10-30 결로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51U KR200302255Y1 (ko) 2002-10-30 2002-10-30 결로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55Y1 true KR200302255Y1 (ko) 2003-02-05

Family

ID=4939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51U KR200302255Y1 (ko) 2002-10-30 2002-10-30 결로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05A (ko) * 2016-11-07 2018-05-16 주식회사 선우시스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CN112431528A (zh) * 2020-11-23 2021-03-02 俞培达 一种基于电磁加热的防雾玻璃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05A (ko) * 2016-11-07 2018-05-16 주식회사 선우시스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KR101879837B1 (ko) * 2016-11-07 2018-07-18 주식회사 선우시스 결로방지 환기창 시스템
CN112431528A (zh) * 2020-11-23 2021-03-02 俞培达 一种基于电磁加热的防雾玻璃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KR200302255Y1 (ko) 결로 제거 장치
KR100861954B1 (ko) 공기조화기
JPH0737072Y2 (ja) 空気調和機の排気兼用排水装置
KR100432222B1 (ko) 공기조화기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JP4510667B2 (ja) 通風路構造
JP3197596B2 (ja) 空気調和機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JP4341681B2 (ja) 換気装置
JP2002071178A (ja) サーキュレーター
KR200700782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154186Y1 (ko) 공기조화기
KR100936224B1 (ko) 환기시스템의 댐퍼장치
KR200198166Y1 (ko) 공기조화기의수납상자내장구조
KR100964365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21118A (ko) 상치형 공기조화기의 공기정화모드 운전방법
KR10062644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242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구조
JP2002089879A (ja) 浴室空調装置
JPH0749315Y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70016235A (ko) 환기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KR20050001506A (ko) 환기시스템의 모터조립체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