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655B1 - 지폐 취입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취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655B1
KR970006655B1 KR1019910012158A KR910012158A KR970006655B1 KR 970006655 B1 KR970006655 B1 KR 970006655B1 KR 1019910012158 A KR1019910012158 A KR 1019910012158A KR 910012158 A KR910012158 A KR 910012158A KR 970006655 B1 KR970006655 B1 KR 97000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banknote
bill
case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40A (ko
Inventor
요시노리 고시다
나오히로 야마다
이사오 미야께
히로유끼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스기 노부미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7431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3171U/ja
Priority claimed from JP82233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380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21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91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129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8308B2/ja
Application filed by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스기 노부미쓰 filed Critical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지폐 취입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문제점 ①을 개선한 본 발명의 지폐 취입 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셧터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문제점 ②을 개선한 본 발명의 지폐 취입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요부 측면도.
제7도는 종래의 문제점 ③을 개선한 본 발명의 지폐 취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실시예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9도는 실시예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0도는 실시예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1도는 셧터의 열림 동작시의 타임 차트.
제12도는 셧터의 닫힘 동작시의 타임 차트.
제13도는 종래의 문제점 ④을 개선한 지폐 취입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14도는 실시예 4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5도는 실시예 4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
제16도는 종래의 지폐 취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제17도는 언더 가이드의 사시도.
제18도는 셧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제19도는 지폐의 오삽입 방지 구조.
제20도는 종래예의 한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21도는 셧터의 록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 현금 자동거래 장치등에 있어서, 지폐를 취입 및 배출하는 지폐 취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고객으로부터 일괄 투입된 지폐를 장치내로 취입, 그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화폐의 종류 및 매수를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 감정을 실시한 후, 장치내의 금고에 수납하고, 또, 고객의 요구에 따라서 지폐를 지불하기도하고, 예금 잔액의 조회를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있어서는, 입금 거래 및 불입 거래시에 고객의 지폐를 일괄 투입시켜서, 장치 내에 취입하는 지폐 취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종래의 지폐 취입 장치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6도는 종래의 지폐 취입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로서, 동도(a)는 지폐가 일괄 투입된 상태를, 동도(b)는 지폐를 피커롤러에 밀어 누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17도는 언더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제16도, 제17도에 있어서, 부호(1)는 고객이 입금 거래등을 실시할때에 일괄 투입하는 지폐(2)를 풀 하는 지폐 풀부이고, 상부가 가이드(1a와 1b)에 의해서 지폐 투입을 위하여 열리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열림에는 후술하는 셧터(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38,39)는 자동 거래 장치의 접객부를 이루는 캐이스체이다.
부호(4)는 이 지폐 풀부(1)내의 지폐(2)를 장치 내에 취입하는 피커 롤러, 부호(5)는 이 피커 롤러(4)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마주 대하여 배치된 빌프레서이며, 지폐 풀부(1)내에 투입된 지폐(2)를 소정의 압력으로 피커 롤러(4)측에 밀어 누르는 것이고, 선단에 걸림부(6)를 형성한 브라켓트(7)를 통해서 스프링(8)에 의해서 소정의 인장력으로 피커 롤러(4)측에 힘이 주어져 있다. 그리고, 이 빌프레서(5)는 암(9), 링크(10)을 통해서 모터(11)에 걸어맞춤되어 있고, 이 모터(11)의 회전에 의하여 빌프레서(5)를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림에 있어서 좌우로, 즉 피커 롤러(4)에 대해서 접근하거나, 떨어지거나 하여 이동 가능하고, 또 모터(11)의 정지에 의하여, 정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고, 동도(a)의 개방 위치와 (b)의 폐쇄 위치의 2개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12)는 상기 피커 롤러(4)의 경사 아래쪽으로 배치된 피드 롤러, 부호(13)은 이 피드 롤러(12)와 마주대하여 압접되어 있는 리버스 롤러이고, 이 2개의 롤러에 의하여 상기 지폐 풀부(1)에 투입된 지폐(2)를 장치 내로 취입할때, 복수매 중첩된 상태(중송)로 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송 방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14)는 상기 중송 방지 기구에 의하여 지폐 풀부(1)에서 1매씩 분리 이송된 지폐(2)를 장치 내에 반송하는 반송로이다.
부호(15)는 지폐 풀부(1)의 바닥부에 설치된 언더 가이드이며, 고객이 잘못하여 지폐 풀부(1)내에 투입한 10원짜리 동전등의 화폐나 이물(16)을, 하부에 배치한 받는 접시(17)내에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지폐 풀부(1)에 투입된 지폐(2)를 중송 방지 기구로 인도하고 그 선단부가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혀 구부러져 있다.
부호(19)는 상기 지폐 풀부(1)의 가이드(1a)하부에 배치된 센터 가이드이며 상부의 지점(2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으로 설치되어 있고, 피커 롤러(4)와 간섭하지 않도록 도피공이 형성되어 있고 노받이(row-lock)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터 가이드(19)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트(7)의 걸림부(6)와 걸림되어 있는 스터드(21)이 설치되고, 이 스터드(21)에는 스프링(22)가 걸려있고, 센터 가이드(19)를 항상 피커 롤러(4)측으로 힘을 주고 있다.
따라서, 센터 가이드(19)는 제16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빌프레서(5)의 개방상태에서는, 스터드(21)가 브라켓트(7)의 걸림부(6)을 걸림하여, 스프링(22)의 장력에 대항하여 빌프레서(5)측으로 끌어당겨 센터 가이드(19)의 하부가 빌프레서(5)측으로 돌출하고 있음으로서 화폐나 이물(16)이 중송 방지 기구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부호(23)는 센터 가이드(19)의 회전 운동을 소정의 위치로 규제하는 스토퍼이며, 제16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빌프레서(5)의 누름상태, 즉 지폐(2)의 분리 이송 상태가 된때에 스터드(21)에 대한 브라켓트(7)의 걸림부(6)의 걸림이 느슨해져서 센터 가이드(19)가 스프링(22)의 장력에 의하여 피커 롤러(4)측으로 끌리면, 그 하단이 스토퍼(23)에 맞닿아서 센터 가이드(19)가 빌프레서(5)와 대략 평행이 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24a,24b)는 상기 링크(10)의 상단의 위치, 즉 빌프레서(5)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빌프레서(5)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를 검출한다.
부호(25a,25b와 26a,26b)는 지폐 풀부(1)내의 잔류 지폐(2)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 부호(27a,27b)는 반송로(14)을 통과한 지폐 매수 및 지폐 간격을 감시하는 센서이다.
부호(28a,28b)는 고객에 의하여 일괄 투입된 지폐(2)의 불균일을 검출하기 위하여 지폐 풀부(1)의 상단부에 설치된 센서이고, 이 센서(28a,28b)에 지폐 있음이 검출되면, 셧터(3)의 닫힘 동작시에 지폐(2)가 셧터(3)에 물려 들어갈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나 CRT 화면등의 표시 수단에 의하여 고객에게 알려서, 지폐의 재투입을 재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30)은 지폐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폐 풀부(1)의 상부에 설치한 가이드(1a)에 형성된 오목상의 걸림 맞춤부, 부호(29)는 열림상태가 된때에 이 걸어 맞춤부(30)와 마주대하도록 셧터(3)의 하면측으로 형성된 돌기부이고, 상기 걸어 맞춤부(30)와 돌기부(29)는 노받이 형상이 오삽입 방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19도는 이 오삽입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부(29)은 셧터(3)가 열림 상태가 된때에, 가이드(1a)의 셧터(3)와 마주대하는 상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30)에 들어가서 걸어 맞춤하고, 셧터(3)와 가이드(1a)와의 간격은 수평인 일직선은 아니고, 복수의 단차를 만로상태가 된다.
이에 의하여 고객이 지폐를 투입할때, 잘못하여 셧터(3)와 가이드(1a)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려고 하고 있다.
제18도는 셧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로서, 동도(a)는 셧터 닫힘 상태, 동도(b)는 셧터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셧터(3)는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셧터 암(3a)의 하단의 지점(31)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지점(31)의 상부에 형성된 포스트(32)에 의하여 링크(33)를 통해서 모터(34)와 걸어 맞춤되어 있다. 부호(35)는 이 셧터 암(3a)에 걸려있는 스프링이며, 지점(31)을 중심으로 하여 셧터(3)를 닫힘방향으로 힘을 주고 있다.
이때문에, 모터(34)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33)가 윗쪽으로 회전 운동하여 포스터(32)와의 걸어 맞춤이 벗어지고, 이에 의하여 스프링(35)의 장력에 의하여 셧터(3)는 닫히고, 또 반대로 모터(34)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33)가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하여 포스트(32)와 걸어 맞춤하고, 스프링(5)의 장력에 대항해서 이것을 강압하게 되어 셧터(3)는 열린다. 이와같이 셧터(3)는 모터(34)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되고, 이 모터(34)가 정지하게 되면, 개폐 동작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고, 본 장치에 있어서는 동도(a)와 같이 고객이 지폐를 투입할때의 셧터 열림 상태와, 동도(b)에 나타네는 투입후의 셧터 닫힘 상태의 2개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6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셧터(3)가 열린때에, 셧터(3)의 하면의 돌기부(29)가 가이드(1a)의 걸어 맞춤부(30)내에 들어가서 걸어 맞춤함으로써 셧터(3)와 가이드(1a)와의 사이에 지폐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 셧터(3)의 록 구조를 제2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셧터(3)에는 솔레노이드(46)과 링크(47)를 통해서 셧터 록(4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셧터 록(48)은 지점(4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일단이 셧터(3)의 후단과 걸어 맞춤함으로서 셧터(3)가 외부에서의 작용으로는 용이하게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50)은 이 셧터 록(48)에 걸려 있는 스프링이며, 셧터 록(38)을 그림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방향, 즉 셧터(3)와 걸어 맞춤하는 방향으로 힘이 주어져 있다.
이에 따라, 이 솔레노이드(46)가 통전되어 스프링(5)의 장력에 대항해서 셧터 록(48)을 그림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셧터 록(48)과 셧터(3)와의 걸어 맞춤이 벗겨지고, 셧터(3)는 자유로이 회전운동 즉, 개폐 동작을 할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셧터 록(48)은 솔레노이드(46)의 작용에 의하여 셧터(3)의 개폐 동작을 가능케 하도록 되어 있고, 본 장치에 있어서는 제21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객이 외부에서의 작용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열수 없는 록 상태와, 동도(b)에 나타내는 지폐 투입을 위한 셧터를 개방한 록 해제 상태의 2개의 위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호(51)는 셧터 록(48)의 위치를 검출하여, 셧터(3)가 록 상태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부호(52)는 셧터(3)의 암의 위치를 검출하여 셧터(3)의 위치, 즉 셧터(3)가 열림 상태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셧터(3)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열림 동작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46)을 ON하여 셧터 록(48)은 스프링(50)의 장력에 대항하여 회전운동시키는 셧터(3)의 후단과의 걸어 맞춤을 벗어지게 함으로서 셧터(3)의 록을 해제한다. 이후, 제18도를 나타내는 모터(34)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링크(3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셧터(3)를 열림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21도에 나타내는 센서(52)가 셧터 암(3a)을 검출함으로서 셧터(3)의 위치를 검출하고, 센서(52)가 ON하면, 즉 셧터(3)가 열림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되면, 모터(34)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셧터(3)를 열림 상태로 정지시켜 솔레노이드(46)를 OFF한다. 한편, 셧터 닫힘 동작에 있어서는, 지폐 풀부(1)에 지폐의 투입등이 검출되고 셧터 닫힘이 지시되면, 모터(34)를 그림중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링크(3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서 강압하고 있던 포스트(32)에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셧터(3)는 스프링(35)의 장력에 의하면 지점(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여 닫힌다.
이때, 솔레노이드(46)는 이미 OFF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스프링(50)에 의하여, 그림중 시계 방향, 즉 셧터(3)가 완전히 닫힘 상태가 된때에, 그 후단측에 걸어 맞춤하도록 힘이 주어져 있으므로, 셧터(3)의 선단이 케이스체(38)에 충돌되어 완전히 닫히면, 상술한 바와 같이 셧터 록(48)이 회전운동하여 걸어 맞춤하고, 셧터(3)는 록되고 셧터 닫힘 동작은 완료한다.
센서(51)는 셧터 록(38)이 셧터(3)와 걸어 맞춤으로써 검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구성에 의한 지폐 취입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16도(a)는 고객이 지폐을 일괄 투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고객에 의한 지폐 투입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술한 셧터 개폐 동작에 의하여 셧터(3)이 개방하면, 고객은 지폐 풀부(1)에 지폐(2)를 일괄 투입한다. 셧터(3)는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하면의 돌기부(29)가 가이드(1a)의 걸어 맞춤부(30)에 들어가서 걸어 맞춤한다.
이때문에, 고객의 투입하는 지폐(2)는, 셧터(3)와 가이드(1a)와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고 일괄하여 지폐 풀부(1)에 투입된다.
이때, 빌프레서(5)는 열려 있고, 이에 의하여 센터 가이드(19)는 스터드(21)와 브라켓트(7)의 걸림부(6)의 걸림에 의하여 빌프레서(5)측에 돌출된 상태에 지지되고, 중송 방지 기구의 입구를 막도록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지폐 투입시에 잘못하여 화폐나 이물(16)이 지폐 풀부(1)내에 들어가 버린 경우에, 이 센서 가이드(19)에 의하여 화폐 및 이물(16)은 중송 방지 기구 및 반송로(14)에 들어가는 것을 제어하고, 언더 가이드(15)의 구멍(18)에서 하부의 받는 접시(17)로 낙하한다.
지폐 풀부(1)내에 지폐(2)의 투입이 센서(25a,25b 및 26a,26b)에 의하여 검출되고, 또한 센서(28a,28b)에 의하여 지폐 풀부(1)에서 빠져나오는 지폐는 없고 정상으로 투입되어 있음이 검출되면, 셧터(3)는 제19도(a)에 나타내는 동작에 의하여 닫힌다.
또한, 상기 센서(28a,28b)에 의하여 불일치된 지폐가 있음이 검출되면, 셧터(3)와 가이드(1b)와의 끼워져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표시수단에 의하여 고객에게 재투입을 재촉한다. 고객에 의하여 재투입이 되고, 센서(28a,28b)에 의한 불일치 지폐가 검출되지 않으면, 지폐의 투입은 정상이라고 판단되고, 셧터(3)은 닫힘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하여,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셧터(3)의 닫힘 동작이 실시되고,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셧터(3)의 닫힘이 확인되면, 지폐 풀부(1)내에 투입된 지폐(2)을 취입하도록 모터(11)가 회전되고, 링크(10), 암(9)을 통해서 빌프레서(5)가 피커 롤러(4)측에 눌려진다. 동시에 센터 가이드(19)가 스프링(22)의 장력에 의하여 피커 롤러(4)측에 가까이 당겨지고, 그 하단이 스토퍼(23)에 맞닿으면 센터 가이드(19)는 빌프레서(5)와 평행이 되고, 이 상태는 빌프래서(5)와 걸어 맞춤되어 있는 링크(10)의 선단이 센서(24a)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 상태에서 지폐(2)는 피커 롤러(4)에 의하여 분리 이송되어, 다시 피드 롤러(12)와 리버스 롤러(13)에 의한 중송 방지 기구에 의하여 1매씩 분리 이송되고, 반송로(14)에 보내져 장치내에 취입된다. 이때, 센서(27a,27b)에 의하여 지폐의 매수 및 지폐 간격이 감시된다.
지폐 풀부(1)내에 지폐(2)가 모두 분리 이송되어 센서(25a,25b와 26a,26b)에 의하여 잔류없음에 검지되면 지폐(2)의 이송은 종료한다.
이리하여, 지폐(2)의 이송이 종료되면, 모터(11)가 회전하여 빌프레서(5)를 열고, 센서(24b)가 링크(10)의 선단을 검출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거래를 위해 대기 상태가 되어, 지폐의 취입이 종료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폐 취입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① 즉 제20도는 종래예의 한 문제점을 나타낸 것으로써, 셧터(3)와 가이드(1a)를 돌기부(29)와 걸어 맞춤부(30)에 의하여 노받이 형상으로 한것 만으로는 셧터와 가이드 사이의 지폐의 오삽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었다.
제20도는 종래예의 한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지폐의 상태 및 고객의 지폐 투입 상태 등에 의하여, 이 그림에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셧터 개방상태에 있어서 셧터와 가이드 사이에 지폐가 오삽입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이 본래 삽입되지 말아야 할 곳에 잘못되어 지폐가 삽입되면, 주변 기구부의 동작 불량을 초래하고 기능 장해 및 머신 다운을 유발한다든가, 또 장치내의, 예를들면 계수부등에 지폐가 들어갔을 경우에는, 고객이 투입한 지폐와 장치가 관리하는 지폐 사이에 차이가 생겨서, 현금 관리상의 고장이 생길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객에 의한 지폐 투입시에 셧터와 가이드의 간극에 잘못되어 지폐가 삽입되지 않도록하여, 지폐의 오삽입에 의한 기능 장해 및 머신 다운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현금 관리상의 고장이 생기는 일이 없는 신뢰성있는 지폐 취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기 위한 지폐 풀부와, 이 지폐 풀부의 열림을 형성하는 가이드와, 이 가이드를 따라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지폐 풀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셧터와, 이 셧터를 개폐동작하는 구동 기구와, 셧터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와,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장치내로 분리 이송하는 분리 이송 기구를 구비한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셧터의 하면측에 돌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돌기부와 노받이 형상을 하는 걸어 맞춤부를 가이드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에, 지폐 투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으로 잘라진 부분을 만들고, 지폐가 오삽입된 경우에 이 지폐의 선단이 충돌하는 충돌면을 설치한 것이다.
돌기부는 안으로 잘라서 부분에 의하여 복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정면의 충돌면과 동일한 충돌면이 깊숙한 곳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형상을 갖는 돌기부와 걸어 맞춤부 사이에 진입된 지폐는, 최초의 돌기부를 진입하여 옴으로서 휘어져 있고, 따라서 그 선단은 솟아 오르고, 돌기부의 안으로 잘라진 부분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서, 그 선단은 두번째의 충돌면에 충돌하고, 그 진입은 지지된다. 그 결과, 지폐 오삽입을 방지한다. ② 종래예의 다른 문제점으로는, 제16(b)도의 상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셧터(3)와 케이스체(39)의 사이에는, 셧터(3)를 부드럽게 개폐하기 위한 틈새가 필요하고, 이때문에 셧터(3)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셧터(3)와 케이스체(39)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객이 장치의 취급을 잘못하여, 개폐(41)를 이 간극에 투입하면 장치내에 장치의 관리외의 지폐가 들어가 버리고, 현금 정사시에 차이가 생겨, 현금 사고를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이 간극으로 고의로 이물이 삽입될 가능성도 있고, 삽입된 이물 또는 잘못 투입된 지폐가, 지폐 취입 장치 뿐만아니라 후단의 다른 장치내의 기구에 간섭하여, 장치의 기구부의 동작 불량을 야기하고, 나아가서는 장치의 다운을 유발하여, 신뢰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셧터가 닫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와의 사이에 지폐나 이물의 투입을 막는 셧터를 갖는 지폐 취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 거래 장치의 접객부를 이루는 케이스체에, 열림되어 설치된 현금투입과, 이 현금 투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폐 투입하는 지폐 풀부와, 지폐 풀부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화폐나 이물을 낙하시키는 구멍을 갖는 언더 가이드와 상기 현금 투입구에 대해서 지폐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닫힘 상태에서는, 지폐 풀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지폐 풀부와 외부를 차단함과 동시에,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케이스체의 내측에 수납되는 지폐 풀부 위를 개방하는 셧터로 이루어지는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셧터가 수납되는 케이스체의 단부 내측을 돌출시켜서 단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셧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케이스체의 내측에서 마주대하는 돌기를 상기 셧터에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거래가 개시되면 셧터가 열리고, 고객은 지폐 풀부와 지폐를 투입한다.
지폐가 지폐 풀부에 투입되면, 셧터가 닫히고, 지폐는 후단이 장치에 반송되어 소정의 거리가 된다.
여기에서, 셧터와 케이스체 사이에서, 셧터를 부드럽게 개폐하기 위한 틈새가 설치되고, 셧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케이스체와 셧터 사이에 틈이 생기지만, 셧터에 설치된 돌기와 케이스체의 단부 내측에 돌출한 단차부가 마주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셧터와 케이스체의 틈으로부터 지폐나 이물이, 장치 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고 장치의 관리외의 지폐가 들어감으로서 생기는 현금 사고가 발생하는 일는 없다.
또, 지폐나 이물이 장치내에 들어가서, 기구부에 간섭하여 장해를 야기하는 일이 없어지고, 장해의 발생에 의한 장치 다운의 횟수를 감소시키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③ 종래 장치에 따른 또다른 문제점으로서, 셧터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기구와 셧터의 록을 실시하기 위한 록기구의 두종류의 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코스트의 고가를 초래함과 동시에, 2개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셧터의 열림 동작을 실시할때에는, 우선 최초에 셧터의 록을 해제하고, 이후에 셧터의 열림 동작을 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의 기구는 각각 다른 구동원(모터)를 가지며, 각각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셧터의 록 해제 동작에 대해서는, 각 기구의 안정 시간, 각 기구 동작의 불균일을 고려하여, 소정의 안정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셧터의 개폐 동작 시간은 길어지고, 이 셧터 개페 기구를 탑재한 본체 장치는,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게되고, 나아가서는 장치 가동률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드럼의 구동, 유지력으로 스텝핑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전 및 전기적 장해에 의하여 스텝핑 모터의 유지력이 없어지면, 드럼의 회전이 자유로워지고, 셧터가 열림 상태인때 고객이 손을 드럼에 끼워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셧터를 개폐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구를 사용함으로서 생기는 코스트의 고가 및 실제 장착 스페이스의 확보에 의한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셧터 개폐 시간을 짧게하여 장치의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소형으로 가동율이 높은 지폐 취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드럼에 손을 끼이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지폐 취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이 지폐의 수수를 실시하는 지폐 풀부와 지폐를 장치내에 1매씩 분리 이송하는 분리 기구로 이루어지는 회전이 자유로운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와, 양단의 암부에 설치된 지점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셧터와, 상기 셧터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지폐 풀부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셧터 개폐 동작 기구를 구비한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부의 한쪽에 설치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걸어 맞춤하여 상기 셧터의 폐지(閉止) 상태를 유지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 및 상기 돌기부와 걸어 맞춤하여 상기 셧터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원호상 오목부를 갖는 셧터 록 기구와, 상기 셧터 록 기구와 상기 셧터 개폐 동작 기구를 연동하여 구동하는 하나의 구동원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셧터 록 기구에, 상기 셧터가 개방 상태인때에 상기 드럼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폐지 상태에 있는 셧터를 개방하는 경우는, 구동원인 모터를 회전시켜서, 셧터 록 기구와 동시에 셧터 개폐 동작 기구를 구동한다. 셧터 록 기구의 구동에 의하여, 셧터를 폐지 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걸어 맞춤 오목부와 암부에 설치한 돌기부와의 걸어 맞춤이 벗어지고, 셧터의 열림 동작이 개시된다.
셧터가 소정의 개방 위치까지 도달하면, 구동 원인 모터의 회전의 정지하고, 셧터의 개방 동작은 완료한다.
이때, 셧터 록 기구의 원호상 오목부와 암부의 돌기부가 걸어 맞춤하여, 셧터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셧터 록 기구의 규제부에 의하여 드럼부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 구동원인 모터를 상술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셧터를 개방 상태로 부터 폐지 상태를 이행할 수 있다. ④ 종래예의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와 같은 지폐 풀부의 상단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고객에 의하여 투입된 지폐가 지폐 풀부 내에 정상으로 수납되도록 갖추어져 있지 않고, 셧터 닫힘 동작시에 몰려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는 이것을 검출하고, 매체 풀부 내에 완전히 매체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셧터 닫힘 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이로서는 충분하지 않아서 지폐가 물려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제22도는 종래예에 따른 상기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그림이고, 매체 풀부에 있어서의 매체 검출용 각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체 풀부(1)의 가장 하부에 배치된 센서(26a,26b)는 중앙에 1개소, 또는 매체로서의 지폐(2)가 정상으로 수납된때에 이 지폐(2)의 상단 부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 센서(25a,25b)는 좌우에 2개소, 그리고 지폐(2)의 불균일, 즉 셧터 닫힘 동작시에 있어서 물려 들어갈 우려가 있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28a,28b)는 역시, 지폐의 나비에 대응시켜서 좌우에 2개소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 동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가 통상의 투입 상태, 즉 세로 가로를 갖춘 상태에서 다소 불균일한 경우에는, 센서(28a) 혹은 (28b)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지만,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가 일어서서 센서(28a,28b) 사이에 들어가 버리는 따위의 경우 및 반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투입된 가능성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검출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불균일 매체 검출용의 센서(28a,28b)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대응함이 고려되지만, 이것은 각 센서 사이에 지폐가 숨지못하게, 피치를 끼워서 다수의 센서를 실제 장착해야 하며, 코스트의 고가를 초래함과 동시에 다수의 센서의 실제 장착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생기고, 따라서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상술과 같이 매체가 불균일함에 불구하고, 센서와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검출되지 않고 셧터가 닫혀지고, 셧터에 매체가 몰려 들어간 경우에는, 매체를 장치내에 취입할 때의 분리 이송이 불안정하게 되고, 매체의스큐, 카손등이 생겨서, 그 결과 기능장해 및 머신 다운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고, 또 고객에 대해서 불안감을 갖게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매체의 불균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검출할 수 없이 셧터를 닫아 버리는 일이 생기는 매체의 물어 넣기를 없게하여, 매체 이송시에 있어서의 스큐나 파손등을 방지하고, 안정된 분리 이송을 가능케하는 동시에, 기능 장해 및 머신 다운을 야기하는 일이 없고, 또 코스트의 고가 및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안정된 매체 이송을 가능케 한 매체 취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체 풀부에 제대로 수납되지 않고, 불균일하게 된 매체를 셧터에 의하여 물어 넣은 경우에, 셧터의 닫힘을 완료시키지 않은 것을 검출하고, 고객에 대해서 재투입을 촉구하도록 한 것이다.
즉, 매체를 투입하는 매체 풀부와, 이 매체 풀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셧터와, 이 셧터를 개폐 동작하는 구동 기구와, 셧터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케이스체와, 셧터를 록하는 록 기구와, 이 셧터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와, 고객이 투입한 매체를 장치내로 이송하는 분리 이송 기구를 갖춘 매체 취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셧터의 선단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이 셧터 맞닿은 면에 상기 돌기부가 들어가서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 구멍을 설치하고, 셧터와 케이스체를 노받이 형상으로 하고, 셧터 닫힘시에 이 셧터와 케이스체 사이에 매체를 물어 넣는 경우에 이것을 검출하려로 한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고객에 의하여 투입된 매체에 불균일이 있고, 이것이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고 셧터 닫힘 동작이 실시되어, 불균일한 매체를 셧터와 케이스체 사이에 끼워 넣으면, 셧터 선단변의 돌기부가 케이스체의 셧터 맞닿은 면의 걸어 맞춤 구멍내에 들어갈 수 없다.
이 때문에, 셧터 닫힘이 완료될 수 없고, 셧터 록에 의한 록도 불완전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셧터가 록되지 않은 상태를 검출하고, 셧터의 닫힘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것, 즉 매체가 몰려 들어가 버린것을 검출한다.
[실시예 1]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문제점 ①을 개선한 본 발명의 지폐 취입 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오삽입 방지 기구를 나타내는 제1도의 셧터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셧터(3)와 가이드(1a)에 설치된 돌기부(29)와 걸어 맞춤부(30)이 노받이 형상을 하는 오삽입 방지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조는 종래예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2도에 따라서 셧터(3)의 하면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도에 있어서, 부호(36)는 셧터(3)가 개방상태에 있을때, 지폐 풀부(1)의 열림을 구성하는 가이드(1a)의 상단면 중앙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30)와 마주대하는 셧터(3)의 하면측상에 형성된 돌기부이고, 이 돌기부(36)는 대략 그 중앙에 예각 θ으로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이 형성되고, 이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에 의하여 셧터 개폐 방향에 대해서 전후로 2단 구조가 되어 있다. 이것은, 삽입하려고 하는 지폐에 대해서 이것을 방어하기 위하여, 2개의 충돌면, 즉, 제1충돌면(36a)와 제2충돌면(36b)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을 경계로 한 돌기부(36)의 전후의 높이 관계는, 그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의 높이를 H1로 하고, 후방의 높이를 H2로 한 경우, H1H2, 즉 후방의 돌기부(36)의 높이 H2는 전방의 돌기부(36)의 높이 H1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높은 구조로하고 있고, 이에 의하여 오삽입 방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2개의 충돌면(36a,36b)에 의하여, 셧터(3)와 가이드(1a) 사이에 오삽입에 의하여 진입되어온 지폐(2)를 충돌시켜서 2회 방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돌기부(36)는 상기 걸어 맞춤부(30)와는, 종래와 동일하게 노받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2도에 제1도 및 제3도를 부가하여 설명한다.
고객으로부터의 지폐 투입을 기다리기 위하여 셧터(3)가 개폐 기구에 의하여 개방되면,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투입 상태가 된다.
이때, 셧터(3)의 돌기부(36)와, 가이드(1a)의 걸어 맞춤부(30)와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36)가 걸어 맞춤부(30)내에 들어가서 걸어 맞춤하고, 노받이 구조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고객으로부터 지폐가 일괄하여 지폐 풀부(1)에 투입된다.
이때, 잘못되어 지폐(2)의 일부가 셧터(3)와 가이드(1a)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려고하면, 이 셧터(3)와 가이드(1a) 사이의 간극은, 돌기부(36)와 걸어 맞춤부(30)에 의하여 직선상이 아니기 때문에, 지폐(2)는 돌기부(36)의 전면측의 제1의 충돌면(36a)에 충돌하여, 삽입은 방어된다.
그러나, 이 제1의 충돌면(36a)에는 저지되지 않고, 노받이 상태가 되어 있는 전방의 돌기부(36)와 걸어 맞춤부(30)와의 간격을 통과하여 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오삽입 방지 구조내로 진입되어온 지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측의 돌기부(36)와 걸어 맞춤부(30)의 형상에 의하여 휘어진 원형상을 하고 있고, 지폐(2)의 전단은 셧터(3) 하면측으로 부상하도록 된다.
부상된 지폐(2)의 전단, 돌기부(36)의 예각 θ을 이루는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으로 들어가고, 다시 삽입되면 제2의 충돌면(36b)에 충돌하고, 그 이상의 진입은 방어된다.
이에 의하여, 지폐의 오삽입은, 이 제2의 충돌면(36)에 의하여 확실하게 방어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지폐(2)를 뽑아내서 바르게 지폐 풀부(1)내로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가 정상으로 투입되면, 셧터 개폐 기구에 의하여 셧터(3)으 닫힘 동작을 하고 지폐의 취입을 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기 위한 지폐 풀부와 이 지폐 풀부의 열림을 형성하는 가이드와, 이 가이드를 따라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지폐 풀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셧터와, 이 셧터를 개폐 동작하는 구동 기구와, 셧터의 개폐를 검지하는 검시 센서와,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장치 내에 분리 이송하는 분리 이송 기구와를 구비한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셧터의 하면측에 돌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돌기부와 노받이 형상을 이루는 걸어 맞춤부를 가이드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에, 지폐 투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으로 잘라진 부분을 만들어, 지폐가 오삽입된 경우에 이 지폐의 선단이 충돌하는 충돌면을 설치하였으므로, 고객이 지폐 풀부에 지폐를 투입할때, 지폐가 잘못되어 상기 셧터와 가이드와의 간극으로 들어가려고 해도, 지폐는 돌기부의 복수개의 충돌면에 충돌하여, 돌기부 이하에의 삽입은 저지된다.
이 때문에, 지폐가 잘못되어 장치 내부의 본래 삽입되지 말아야 할 곳에 삽입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오삽입으로 생기는 기능 장해 및 머신 다운이 방지되며, 또한 장치내의 지폐의 계수 결과에 차이가 생기지 않게 되고, 현금 관리상의 난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 신뢰성이 있는 지폐 취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측면도, 제5도는 요부 측면도이고, 셧터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종래의 것과 대략 동일함으로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호(42)는 케이스체(39)의 단부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 단차부이다.
부호(43)은, 현금 투입구(40)에 대해서 가능하는 설치한 원호상의 셧터이고, 현금 투입구(40)를 개방할때는 상기 셧터(43)는 케이스체(39)의 내측에 수납된다.
부호(44)은, 셧터(43)의 케이스체(39)측의 단부를 ⊃자형으로 접어구부려 형성된 돌기이고, 셧터(43)의 닫힘 상태에서는, 케이스체(39)의 단차부(42)에 마주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셧터(43)의 개폐 기구 및 록 기구에 관해서는, 종래예에서 설명한 제18도, 제21도의 기구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지폐가 지폐 풀부(1)에 투입되고, 센서(25a,25b)와 센서(26a,26b)에 의하여 지폐가 투입된 것이 검지되고, 다시 센서(28a,28b)가 OFF이면, 제18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34)가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링크(33)가 가동하고, 스프링(35)의 탄력으로 셧터(43)가 닫히고, 셧터(43)가 닫히면 외력을 가하여도 열리지 않게된다. 여기에서, 셧터(43)가 완전히 닫히면, 돌기(44)가 케이스체(39)의 단차부(42)에 마주대한다.
이에따라, 셧터(43)와 케이스체(39)의 간극으로부터, 잘못하여 지폐(41)를 투입하려고 해도, 지폐(41)는 돌기(44)에 충돌하고, 그 이상은 투입할 수 없고, 장치내에 들어갈 수는 없다.
또 고의로 이물을 투입하려고 해도, 돌기(44)에 충돌함으로서, 장치내에 들어갈 수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셧터(43)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고의,오조작에 관계없이 지폐나 이물을 셧터(43)과 케이스체(39)의 간극으로 투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기(44)의 형상을 제5도(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를 ⊃자형으로 접어 구부린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5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를 L자형의 돌기(45)로 해도 좋다. 이때, L자형의 돌기(45)의 셧터(43)에 대한 경사 θ는, θ<90°가 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θ<90°로 하는 이유는, θ90°인 경우,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또는 지폐와 같이 접어 구부리기가 자유로운 이물이 셧터(43)와 케이스체(39)의 간극에서 투입되면, 돌기(45)에 충돌된 후, 다시 밀어 넣어짐으로서, 접어 구부려서 돌기(45)를 뛰어넘어, 장치 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는, 셧터(43) 이외의 구성은 종래와 같으며, 셧터(43)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력으로 열리지 않도록 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셧터(43)를 열고 이물등을 지폐 취입 장치에 투입할 수는 없다. 또, 거래시에서 셧터(43)의 개방되어 있을때는, 이물등이 투입되면 지폐 풀부(1)에서 베출되도록 되어 있고, 지폐 취입 장치에서, 다시 후단의 기구부까지 들어갈 수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거래 장치의 접객부를 이루는 케이스체에, 열림되어 설치된 현금투입구와, 이 현금투입구의 내측에 설치되고, 지폐를 투입하는 지폐 풀부와, 지폐 풀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화폐나 이물을 낙하시키는 구멍을 갖는 언더 가이드와, 상기 현금 투입구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지폐 풀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지폐 풀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동시에, 열린 상태에 있어서는 케이스체의 내측에 수납되어 지폐 풀부 위를 열림하는 셧터로 이루는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셧터가 수납되는 케이스체의 단부 내측을 돌출시켜서 단차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셧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케이스체의 내측으로부터 마주대하는 돌기를 셧터에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셧터와 케이스체의 간극으로부터 지폐나 이물이, 장치내에 들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장치에 관리외의 지폐가 들어감으로써 차이가 생기는 등의 현금 사고는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지폐나 이물이 장치내에 들어가서, 기구부에 간섭하여 장해를 유발하는 일이 없고, 장해가 발생함으로 인한 장치 다운 횟수를 감소시키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종래의 문제점 ③을 개선한 본 발명의 지폐 취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7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부호(3)은 셧터, 부호(3a)는 이 셧터(3)의 양단에 설치된 셧터 암, 부호(31)은 이 셧터 암(3a)의 하단에 설치한 지점이며, 이 지점(31)을 중심으로 하여 셧터(3)는, 각각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5a,5b)에 베어링(61a,61b)을 통해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부호(32)는 지점(31)의 윗쪽에 설치된 포스트이고, 링크(62)의 자유단축과 선단과 걸어 맞춤되어 있다. 부호(35)는 셧터 암(3a)에 걸려있는 스프링이며, 지점(31)을 중심으로 하여 셧터(3)를 닫힘 방향으로 힘을 주고 있다. 부호(63)는 지점(31)과 포스트(32)사이에 설치된 스터드이고, 후술하는 록 브라켓트의 셧터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춤되어 있다.
링크(62)는, 그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64)에 의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앙 부분에 설치된 긴 구멍(62a)에, 기어(65)의 스터드(66)가 걸어 맞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65)가 그림중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터드(66)가 링크(62)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그 선단이 포스트(32)와 걸어 맞춤하면, 스프링(35)의 장력에 대항해서 포스트(32)에 힘을 주어 셧터(3)를 연다. 또한 기어(65)를 (B)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65)의 스터드(66)는 긴 구멍(62a)을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62)는 윗쪽으로 회전 운동하여 포스트(32)에 떨어지고, 셧터(3)는 스프링(35)의 장력에 의하여 닫힌다. 이와 같이 셧터(3)는 기어(65)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기어(65)에는 스터드(66)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배치된 스터드(67)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68)는 기어(65)와 맞물림되어 있는 기어, 모터(69)는 기어(68)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이며, 기어(65)에 모터(68)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 모터(69)의 회전력에 의하여, 셧터(3)의 개폐 동작이 실시된다.
부호(70)는 록 브라켓트이며, 그림중 좌단 상부의 지점(71)에 의하여, 사이드 프레임(5a)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타단측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72)를 가지며, 셧터(13)의 폐쇄시에는 이 걸어 맞춤 오목부(72)와 셧터 암(3a)의 스터드(63)가 걸어 맞춤함으로서, 셧터(3)을 록한다.
부호(73)의 록 브라켓트(70)에 걸려진 스프링이고, 지점(71)을 중심으로 하여 록 브라켓트(70)을 항상 아래쪽으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주고 있다.
또, 이 록 브라켓트(70)는 대략 그 중앙 상단부에 걸어 맞춤부(74)를 가지고 있다. 이 걸어 맞춤부(74)는, 셧터(3)의 열림 동작시에 기어(65)의 회전에 수반되는 스터드(67)와 걸어 맞춤하여, 지점(71)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73)의 장력에 대항헤서 록 브라켓트(70)을 윗쪽으로 회전운동한다.
부호(75)는 이 록 브라켓트(70)의 대략 하단에 원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원호상 오목부이며, 셧터(3)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셧터 암(3a)의 스터드(63)과 걸어 맞춤하여, 스프링(73)의 장력에 대해서 록 브라켓트(70)의 위치를 유지한다.
부호(76)은 플랜지(82)에 설치된 포스트(80)과 걸어 맞춤하여 드럼(83)의 화살표(J)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이다. 또 포스트(81)은 플랜지(82)에 맞닿아서 드럼(83)의 화살표(I)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규제한다. 플랜지(82)에는 기어부(84)가 도시하지 않은 스텝핑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호(90)는 셧터 암(3a)을 검출함으로서 셧터(3)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부호(91)는 록 브라켓트(70)의 자유단축을 검출함으로서 셧터(3)가 록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셧터 개폐 동작을, 제7도 내지 제10도에, 제11도 및 제12도를 부가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셧터의 열림 동작시의 타임 차트, 제12도는 셧터의 닫힘 동작의 타임 차트이다.
우선, 셧터(3)의 닫힘시에 링크(62), 록 브라켓트(70) 및 기어(65)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링크(62)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포스트(32)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고 떨어지며, 또 록 브라켓트(70)는 중앙부의 걸어 맞춤부(74)가 기어(65)의 스터드(67)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다. 다시 록 브라켓트(70)의 그림중 우단부의 걸어 맞춤 오목부(72)는 셧터 암(3a)의 스터드(63)과 확실히 걸어 맞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셧터(3)를 록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셧터(3)의 닫힘시에는, 록 브라켓트(70)의 규제부(76)와 플랜지(82)의 포스트(80)가 걸어 맞춤되어 있지 않고, 드럼(83)이 회전할때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고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셧터(3)의 닫힘 상태에서 셧터(3)를 개방하는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드럼(83)의 포지션을 고객이 지폐의 수수를 실시하는 주고 받음 포지션으로 해둔다. 그래서, 모터(69)를 제7도에 나타내는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서, 기어(65)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65)의 회전에 의하여 스터드(66)을 통해 링크(62)를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E) 방향, 즉 지점(64)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링크(62)는, 제9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셧터 암(3a)의 포스트(32)에 맞닿는다.
또한 모터(69)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62)는 포스트(32)를 강압한다. 이에 따라 셧터(3)는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셧터 암(3a)를 센서(90)로 검출하는 위치(이하, 셧터 개방 완료위치라 칭함)까지 이동한다.
셧터(3)의 열림 동작은, 셧터 개방 완료 위치를 검출하고, 모터(69)를 정지시킴으로서 종료한다.
또한, 셧터(3)의 열림 동작 사이에, 록 브라켓트(70)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하여 셧터(3)의 록을 해제한다.
제8도에 나타내는 셧터(3)의 닫힘 상태에서 제9도에 나타내는 링크(62)가 포스트(32)와 맞닿는 동안에, 기어(65)가 A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록 브라켓트(70)의 걸어 맞춤부(74)에, 기어(65)의 스터드(67)가 맞닿아서 걸어 맞춤하고, 또 모터(69)의 회전에 의하여 이 걸어 맞춤부(74)를 윗쪽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록 브라켓트(70)는 지점(71)을 중심으로 하여 그림중 화살표(F) 방향, 즉 윗쪽으로 회전한다. 이 윗쪽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셧터(3)의 닫힘시에는 걸어 맞춤하고 있던 셧터 암(3a)의 스터드(63)와 걸어 맞춤 오목부(72)와의 걸어 맞춤이 벗어져서, 셧터(3)는 록 해제 상태가 되고, 열림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62)가 포스트(32)와 맞닿을 때에는, 스터드(63)와 걸어 맞춤 오목부(72)와의 걸어 맞춤은 완전히 벗어져 있고, 따라서, 제11도의 타임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62)의 작용으로 셧터(3)가 열림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에서는, 셧터(3)의 록은 벗어져 있고, 셧터(3)의 열림 동작은 확실하게 행하여 진다.
이렇게 하여, 입력(3)의 열림 동작이 진행함에 따라서, 기어(65)의 회전으로 록 브라켓트(70)을 윗쪽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있는 스터드(67)가 걸어 맞춤부(74)와 걸어 맞춤이 벗어진다. 이에 따라, 록 브라켓트(70)는 스프링(73)의 장력으로 제9도중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려고 하지만, 이 걸어 맞춤 오목부(72)와 걸어 맞춤하여 셧터(3)를 닫힘 상태로 록하고 있던 스터드(63)와, 록 브라켓트(70)의 하부의 원호상 오목부(75)가 걸어 맞춤하고, 록 브라켓트(70)의 회전 운동을 멈춘다. 또한, 원호상 오목부(75)는 걸어 맞춤하는 스터드(63)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있고, 셧터(3)의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하여, 제10도에 나타내는 실시예 개방위치까지, 셧터(3)가 도달한 것이 센서(90)에 의하여 검출되면, 기어(65)를 회전시키는 모터(69)를 정지하고, 셧터(3)의 열림 동작을 완료한다.
또, 셧터(3)의 열림 동작에 수반하여 록 브라켓트(70)가 지점(7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록 브라켓트(70)의 규제부(76)와 플랜지(82)의 포스트(80)가 걸어 맞춤을 시작하고, 제 10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완전히 걸어 맞춤한다. 따라서, 셧터(3)가 열림상태인때, 드럼(83)의 화살표(J)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드럼(83)의 화살표(I)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는, 프레임(5a)의 포스트(81)와 플랜지(82)가 맞닿음으로서 규제받게 된다.
다음에, 셧터(3)의 닫힘 동작을 설명한다.
셧터(3)를 닫힘동작하기 위해서는, 제10도의 상태에 있어서, 기어(65)를 상기 열림 동작과는 반대로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링크(62)를 그림중 화살표(H)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이에 따라, 링크(62)의 선단의 포스트(32)를 강압하고 있는 힘이 서서히 해제 된다. 셧터(3)는 스프링(35)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주어지고 있으므로, 링크(62)로부터의 압압력이 해제됨에 따라서, 스프링(35)에 당겨져서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1도의 타임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힘 동작을 개시한다.
셧터(3)의 선단이 케이스체(38)에 맞닿고, 제8도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셧터(3)가 닫히면, 상술한 셧터 열림동작과는 반대로 링크(62)의 선단은 포스트(32)에서 떨어진다.
이 셧터(3)의 닫힘 동작에 수반하여 셧터 암(3a)의 스터드(63)는, 록 브라켓트(70)의 원호상 오목부(75)에서 벗어진다. 이 때문에 록 브라켓트(70)는 스프링(73)의 장력에 의하여 제9도중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셧터(3)가 케이스체(38)에 맞닿는 제8도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이동하면, 걸어 맞춤 오목부(72)에 스터드(63)가 걸어 맞춤하고, 셧터 록이 실시된다.
이 상태가 록 브라켓트(70)의 우단, 즉 자유단을 센서(91)에 의하여 검지함으로서, 셧터 록이 확인된다. 이에 따라 기어(65)를 회전시키는 모터(69)를 정지하고, 셧터(3)의 닫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지폐 취입 장치를 예를 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록 기구를 요하는 셧터의 개폐 기구에 널리 일반적으로 응용함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셧터의 암부에 설치된 돌기부와 걸어 맞춤하여 셧터의 닫힘 및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셧터 록 기구를 설치하고, 이 셧터 록 기구와 셧터 개폐 동작 기구를 하나의 구동원으로 연동시키도록 했다.
이때문에, 셧터를 개폐하는 경우, 구동원인 하나의 모터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서, 셧터 록 기구와 개폐 동작 기구가 동시에 그리고 연속되어 구동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셧터의 개폐 동작과 셧터의 록 해제가 연동되어 실시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셧터의 개폐 동작용 및 록용의 복수의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 실제 장착 스페이스도 불필요하므로, 저코스트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셧터의 개방 상태인때, 셧터 록 기구에 설치된 규제부에 의하여 드럼부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였으므로, 고객이 손을 드럼부에 끼이에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지폐 취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취입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14도는 지폐의 불균일을 검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되는 셧터(3)와, 이 셧터(3)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케이스체(38)를 제외하고, 다른 구조는 종래예와 거의 동일하다. 종래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롤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13도에 의하여 셧터(3)와, 이 셧터(3)가 닫힘된때는 이 셧터(3)의 선단변과 충돌한, 셧터(3)의 회전운동 위치를 규제하는 케이스체(38)를 설명한다.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셧터(3)의 선단변에는 셧터(3)의 회전 운동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복수의 돌기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셧터(3)와 대응하는 케이스체(38)에는, 상기 돌기부(92)와 대응하여 걸어 맞춤하는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93)이, 돌기부(92)와 동수로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셧터(3)와 케이스체(38)는 노받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돌기부(92) 및 걸어 맞춤구멍(93)은, 하나면 좋고, 또 3개 이상이라도 지장은 없다. 즉, 지폐의 긴쪽 방향의 나비에 대해서, 대략 틈이 없이 배치되어 있으면,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13도 및 제14도와 함께 제15도의 본 실시예의 플로 차트를 부가하여 설명한다.
고객이 매체로서의 지폐(2)를, 일괄하여 지폐 플부(1)에 투입하고(S1), 센서(25a,25b 및 26a,26b)에 의하여 지폐가 있음이 검출되고(S2), 또한 센서(28a,28b)에 의하여 불균일한 지폐없음이 검출되면(S3), S1의 지폐 투입은 정상적 투입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의하여, 셧터(3)를 닫아야 할 모터(34)의 회전을 개시하여(S4), 셧터(3)를 닫는다(S5).
그리고 , 이 셧터(3)의 선단의 돌기부(92)가, 대향하는 케이스체(38)의 걸어 맞춤 구멍(93)내에 들어가서 노받이 상태가 되면, 셧터 록(48)의 후단이 센서(51)에서 검출되고, 셧터(3)의 닫힘 완료가 확인된다(S6). 이러하여, 셧터(3)의 닫힘이 완료되면, 투입된 지폐의 분리 이송 동작으로 전진한다.
또, 이 S6에 있어서, 제3도에 나타내는 상태 즉, 불일치한 지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S3에 있어서 센서(28a,28b)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셧터(3)의 닫힘 동작이 되고, 셧터(3)의 닫힘 동작과 함께 불균일한 지폐가 케이스체(38)측으로 운반되고, 셧터(3)와 케이스체(38)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셧터(3)의 돌기부(92)와 케이스체(38)의 걸어 맞춤구멍(93)와의 걸어 맞춤을 저해하고, 셧터(3)의 닫힘이 완전히 실시되지 않아서, 셧터(3)의 닫힘이 검출되지 않으면, 셧터(3)의 리트라이(retry) 동작을 실시하도록, S7로 전진한다.
또한, 이 셧터 닫힘의 완전한 상태의 검출은, S5의 셧터 닫힘 동작 개시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셧터(3)의 닫힘 완료가 검출되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상기, 리이트라이 동작은 셧터(3)을 일단 열림 동작후(S7), 다시 닫힘 동작하는(S8)것이며, 다시 리트라이 후(S9), 셧터(3)의 닫힘이 완료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고(S10), 여기에서, 셧터(3)의 닫힘 완료가 검출될 수 없으면, 셧터(3)를 열고(S11),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및 CRT 등에 의하여 고객에 표시하여 재투입을 촉구한다(S12).
이 표시에 의하여 고객이 재투입을 하면(S13), S2로 되돌아 가고, 지폐 풀부(1)내의 지폐 유무의 검출에서 반복한다.
또한, 상기 S3에 있어서, 센서(28a,28b)에 의하여 불균일한 지폐 있음이라고 검출된 경우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나 CRT 등에 의하여 고객에게 투입이 정상이 아니라는 취지의 표시를 하여 재투입을 촉구한다(S14). 이 표시에 의하여 고객이 재투입을 실시하면(S15), 센서(28a,28b)에서 불균일 지폐의 유무의 검출이 실시되고(S16), 불균일 지폐 있음이면, 없어질때까지 재투입을 촉구하고, 불균일 지폐 없음이 검출되면 S2로 되돌아 가고, 지폐 풀부(1)내의 지폐 유무의 검출에서 반복한다.
이와 같이, 고객에 의하여 투입된 지폐가, 정상으로 투입되어 있지 않고, 지폐 풀부(1)내에 수납하지 않아서 불균일한 경우에는, 이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28a,28b)의 검출 결과에 의하지 않고, 셧터(3)는 완전히 닫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셧터(3)의 불완전한 닫힘 상태에 의하여, 불균일 지폐 있음을 검출하고, 정상의 투입을 고객에게 촉구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를 매체로한 은행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거래 장치에 구비된 지폐 취입 장치를 예로 설명했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지폐 외에도 증서등을 발행하는 증서 발행기나, 또 승차 및 숙박 등에 관한 예약등을 취급하는 표 발매기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를 투입하는 지폐 풀부와, 이 지폐 풀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셧터와, 이 셧터를 개폐 동작하는 구동 기구와, 셧터 닫힘시에 그 선단변과 맞닿아서 회전 운동 위치를 규제하는 케이스체와, 셧터를 록하는 록 기구와, 셧터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와,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장치내에 이송하는 이송 기구를 갖춘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셧터의 선단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체의 셧터 맞닿은면에 상기 돌기부가 들어가서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구멍을 설치하고, 셧터와 케이스체를 노받이 형상으로 하고, 셧터 닫힘시에 고객이 투입한 불균일한 지폐를 셧터와 케이스체 사이에 물어 넣은 경우에 이것을 검출하기로 하였다.
이 때문에, 고객에 의하여 투입된 지폐가 불균일함에도 불구하고, 셧터가 닫히고, 지폐가 셧터와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버리면, 이 지폐에 의하여 저해되어 셧터의 돌기부와 케이스체의 걸어 맞춤 구멍은 걸어 맞춤될 수 없고, 셧터는 완전히 닫힘되지 않고, 불완전 닫힘 상태로서 검출된다. 이에 따라, 고객에 대해서 지폐의 재투입이 촉구되고, 셧터가 완전히 닫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지폐 풀부 내의 이송 동작이 개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지폐가 물려 들어간 채로 이송되는 일이 없어짐으로로, 지폐의 스큐 및 파손의 걱정은 없고, 안정된 분리 이송을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불균일 지폐를 검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센서를 설치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코스트 고가 및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은 없고, 저코스트이고 소형 및 신뢰성 있는 지폐 반송이 뛰어난 지폐 취입 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널리 일반적으로 응용가능하며,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형과 개조가 가능한다.

Claims (6)

  1. 자동 거래 장치의 접객부를 이루는 케이스체, 지폐를 투입하는 지폐 풀부, 상기 투입된 지폐를 분리 이송하는 분리 이송 기구, 상기 지폐 풀부의 열림을 형성하는 가이드, 상기 지폐 풀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셧터, 상기 셧터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지폐 풀부의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셧터 개폐 동작 기구, 상기 셧터를 록하는 셧터 록 기구를 포함하는 지폐 취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셧터의 하면측에는 돌기부(29)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와 노받이 형상으로 이루는 걸어 맞춤부(30)를 상기 가이드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돌기부에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을 설치하고, 오삽입된 지폐의 선단이 충돌하는 충돌면(36a,36b)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으로 잘라진 부분(37)은 지폐 투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부(29)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단부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단차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셧터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케이스체의 내측과 마주대하는 돌기(44,45)를 상기 셧터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셧터를 록 기구는 셧터 암의 한쪽에 설치한 스터드(63), 상기 스터드와 걸어 맞춤하여 상기 셧터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72) 및 상기 스터드와 걸어 맞춤하여 상기 셧터의 열림상태를 유지하는 원호상 오목부(75)를 가지며, 상기 셧터 록 기구와 상기 셧터 개폐 동작 기구를 연동하여 구동하는 하나의 구동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입 장치.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셧터 록 기구는 상기 셧터가 열림 상태인 때에, 드럼부(83)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7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입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셧터의 선단변에 적어도 1이상의 돌기부(92)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체의 셧터 맞닿은 면에 상기 돌기부가 들어가서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구멍(93)을 설치하고 셧터와 케이스체를 노받이 형상으로 하여, 셧터 열림 동작시에 투입된 지폐가 상시 셧터와 상기 케이스체 사이에 물려 들어간 경우에 이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입 장치.
KR1019910012158A 1990-07-16 1991-07-16 지폐 취입 장치 KR970006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74316U JPH0433171U (ko) 1990-07-16 1990-07-16
JP2-74316 1990-07-16
JP2-82233 1990-08-03
JP8223390U JP2503805Y2 (ja) 1990-08-03 1990-08-03 紙幣取り込み装置
JP2-221017 1990-08-24
JP2221017A JP2619126B2 (ja) 1990-08-24 1990-08-24 媒体取り込み装置
JP2-312928 1990-11-20
JP2312928A JP2588308B2 (ja) 1990-07-26 1990-11-20 紙幣取り込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40A KR920005040A (ko) 1992-03-28
KR970006655B1 true KR970006655B1 (ko) 1997-04-29

Family

ID=2746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158A KR970006655B1 (ko) 1990-07-16 1991-07-16 지폐 취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1404A (zh) * 2011-05-09 2011-11-23 张家港耐尔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仿麻棉纱线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1404A (zh) * 2011-05-09 2011-11-23 张家港耐尔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仿麻棉纱线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40A (ko) 199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9953B2 (ja) 引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US20120261874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KR20060135503A (ko) 지폐 입출금기
JP636919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13171402A (ja) 媒体取引装置
US4423826A (en) Note supply container with reject receiver for bank note dispenser
JP5780925B2 (ja) 運賃箱
JPH0561679B2 (ko)
JP2619126B2 (ja) 媒体取り込み装置
KR970006655B1 (ko) 지폐 취입 장치
KR100607592B1 (ko) 자동서비스기기의 지폐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지폐적재장치
CN210836310U (zh) 一种钞箱和现金循环处理设备
WO2016009761A1 (ja) 現金処理装置
JP3889826B2 (ja) 紙幣鑑別装置
JPH0342517Y2 (ko)
JP2503805Y2 (ja) 紙幣取り込み装置
KR2010005820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60333B2 (ja) 金銭収受装置
JP2588308B2 (ja) 紙幣取り込み装置
JP2019016047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8279065A (ja) 紙葉類識別収納装置
JP3575330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S61141091A (ja)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2006209717A (ja) 紙幣処理装置
JP2680339B2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