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67B1 - 차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6367B1 KR970006367B1 KR1019890701607A KR890701607A KR970006367B1 KR 970006367 B1 KR970006367 B1 KR 970006367B1 KR 1019890701607 A KR1019890701607 A KR 1019890701607A KR 890701607 A KR890701607 A KR 890701607A KR 970006367 B1 KR970006367 B1 KR 970006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follower
- differential device
- members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12—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14—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cams
- F16H48/147—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cams with driven cam followers or balls engaging two opposite ca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12—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05—Nonplanetary gearing differential type [e.g., gearless different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51—Single driven plural drives
- Y10T74/19056—Parall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51—Single driven plural drives
- Y10T74/1906—Nonparall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51—Single driven plural drives
- Y10T74/19065—Alig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출력캠부재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일부를 절개표시한 제1도 차동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캠면과 이들사이에 배치된 캠종동자를 보인 전개도.
제4도는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차동장치의 캠종동자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보인 캠종동자의 정면도.
제6도는 캠종동자를 보인 제4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용 캠종동자의 다른 형태를 보인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에서 보인 캠종동자의 정면도.
제9도는 제10도의 캠종동자의 단면을 보인 제7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제9도의 종동자를 이용한 구조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동장치를 보인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 보인 차동장치의 일부를 보인 확대 정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성되었으나 제4도-제6도에서 보인 종동자부재를 갖는 차동장치의 상부 반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서 보인 차동장치의 부분정면도.
제14도는 부하가 가하여지는 것을 보인 제4도-제6도에 도시된 형태의 종동자에 대한 개략부분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16도는 일부를 절개표시한 제15도 차동장치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 차동장치의 캠면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캠종동자를 보인 전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차동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 차동장치의 일부를 절개표시한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 차동장치의 캠면과 이들 사이에 캠종동자가 배치된 것을 보인 전개도.
제21도는 상이한 각도로 상호경사진 면을 갖는 각 캠부재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차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차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통상의 차동장치는 선기어와 유성기어의 형태로 되어 있는 일측바퀴가 진흙이나 빙판과 같은 미끄러운 노면에 놓여 있고 타측바퀴가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단단한 노면에 놓여 있을 때에 일측바퀴는 이 바퀴가 차동장치로부터 전달된 모든 유효한 힘을 받게 되므로 간단히 미끄럼회전하게 될 것이다.
미끄럼 방지형 차동장치가 타측바퀴에 대하여 일측바퀴가 미끄럼회전하는 정도를 제한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차동장치는 구조가 보다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차동효과를 완전히 방지하여 각 바퀴의 속도가 각 바퀴에서 최대 유효견인력이 얻어질 수 있도록 같아지게 하는 고정형 차동장치(lockable differential)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자동차 사용자가 차동장치가 고정되고 어느 시간동안 자동차를 정상적으로 마모되고 지나친 전동스트레스를 받게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매우 오래전의 특허로서 오래전부터 여러가지 차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US-A-1,568,358, US-A-2,034,318, US-A-2, 220, 432, GB-A-431,020, GB-A-117,703 및 DE-C-741,812를 참조바란다.
상기 언급된 특허에 있어서, 각 차동기는 입력부재, 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각의 캠부재를 포함하는 두 출력부재와, 출력부재를 구동토록 캠면에 결합하는 면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로 구성되고, 이 캠종동자는 입력부재로부터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구성이 상기 출력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 비역전형으로서 타측출력부재를 구동하기 위하여 일측출력부재의 회전이 캠종동자를 통해 전달될 수 없게 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타측출력부재가 미끄러운 노면에서 미끄럼회전하는 바퀴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구동이 입력부재으로부터 일측출력부재로 전달될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에 제안된 여러 자동장치의 구조는 특히 콤팩트하지 않다.
예를 들어 US-A-2,034,381 및 US-A-2,220,432에 있어서는 캠종동자는 캠면을 형성하는 요구의 절삭이 용이하도록 축방향으로 매우 넓게 되어 있다.
GB-A-117,703호와 DE-C-741,812에 있어서는 캠부재가 각 셋트의 종동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동심원상 캠면을 제공토록되어 있다. 또한 후자의 형태로서 보다 일찍 제안된 것으로는 DE-A-1,817,553과 FR-A-479,242가 있다.
GB-A-431,020에는 하나의 구동입력부재와, 한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는 두개의 출력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부재는 단일의 환상캠면을 가지며 이 캠부재의 캠면이 상대측을 향하여 수렴되는 지그재그 또는 파상형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입력부재로부터 상기 출력부재로 구동을 전달하는 캠결합단부면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가 구성되어 있고 그 구성은 상기 출력캠부재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차동장치에 있어서는 캠종동자가 방사상으로 길게 되어 있으나 다른 부재는 출력의 축방향으로 비교적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재에 의하여 캠종동자를 지지할 방법이 거의 없으며, 특히 이러한 종류의 차동장치에 있어서는 차동장치의 작동중에 이에 가하여지는 부하에 의하여 방사상축선을 중심으로 한 종동자의 경사운동이 억제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의 한 목적은 콤팩트할 뿐만 아니라 캠부재의 지지 상태가 개선된 차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제공되는 차동장치는 구동입력과, 한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캠부재를 포함하는 두 출력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캠부재가 단일 환상의 캠면을 가지며 이 캠부재의 캠면이 상대측을 향하여 수렴하는 지그재그 또는 파상형의 형태로 되어 있고, 입력으로부터 상기 출력측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캠결합단부면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가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상기 출력의 상대 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하도록 되어 있고, 캠종동자는 축선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기다란 종동자를 제공하므로서 이들이 이들의 단부가까이에서 지지되어 방사상축선을 중심으로 한 경사운동에 대하여 보다 양호한 지지력을 보이므로서 장치의 백라쉬경향이 적어진다.
또한 단일의 환상캠면을 이용하는 것은 캠면이 제조가 간단치 않은 요구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국특허 22,034,318호와 제2,220,432호를 감안할때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단일의 캠면은 GB-A-117,703, DE-A-1,817,552 및 FR-A-479,242에 기술된 동심원상의 캠면을 갖는 형태에 비추어 제조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각 캠종동자는 캠면에 결합하는 단부면을 갖는 기다란 지지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단부면의 단부에는 비교적 기다란 측면을 갖는다.
이러한 종동자는 캠결합단부면이 연결봉아래로 돌출된 일정간격의 톱니에 형성된 미국특허 제2,034,318호와 제2,220,432호에 기술된 것에 비하여 유리하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연결봉의 축방향으로 톱니에 가하여지는 압축력으로 연결봉에는 바람직하지 않게 주기적인 굽힘스트레스가 가하여질 것이다.
상기 캠종동자는 캠종동자의 측면이 나란히 놓이거나 상기 캠종동자가 근접하여 또는 상호결합하여 놓이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법으로 캠종동자를 배치하므로서 다수의 종동자가 유효공간을 점유할 수 있고, 근접한 캠종동자는 실제로 인접한 측면을 통하여 상대측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수의 캠종동자를 사용하므로서 입력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부하가 캠의 전역에 가하여질 수 있다. 이는 종동자가 충분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GB-A-431,020, 종동자로서 볼이 사용되어 캠면의 접촉면이 작게된 FR-A-479,242, GB-A-694,396 및 GB-A-636,163에 비하여 유리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된 것으로는 인노프레스 리미티드(Innopress Limited)에서 1988년 1월 발간된 유레카(Kureka)의 저서에 소개되어 있는 바, 이는 캠종동자의 형태가 구동부하를 캠의 전역에 분포되게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캠결합 단부면이 단부에 형성된 비교적 짧은 측면 때문에 종동자를 상호 지지할 방법이 거의 없고 작은 마찰영역이 마모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충분한 축방향 미끄럼 운동중에, 그리고 상대회전중에 인접한 캠종동자의 상기 측면의 상당부분이 상호중첩되게 하므로서 해소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 차동장치는 입력, 한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두 출력과, 일측이 상기 일측출력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타측출력에 연결된 두개의 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출력과 동축상인 피상형의 환상캠면을 가지며, 캠결합면을 가지며 출력과 캠결합면 사이에 연장된 측면에 구동이 이루어지도록하는 다수의 캠종동자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캠종동자가 인접 캠종동자의 측면이 근접하여 나란히 배열되며, 그 구성이 상기 출력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여 그 완전한 축방향 미끄럼운동중에 인접한 다수의 캠종동자의 근접한 면의 상당부분이 연속하여 중복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복하여 배열하므로서, 각 종동자는 상기 인접면의 부분에 걸쳐 구동되는 동안에 타측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접면은 실제로 상호결합하고 입력으로부터의 구동은 캠면에 비구동결합된 캠종동자로부터 캠면에 구동결합된 캠종동자로 전달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캠면에 구동결합되지 않은 캠종동자라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입력부재로부터의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캠종동자에 대한 입력을 포함하고, 이러한 수단이 캠종동자의 측면 사이 또는 상기 부재의 캠종동자 사이에 개재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장치는 입력, 한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두 출력과, 두 캠부재로 구성되고, 일측 캠부재는 일측출력에 연결되고 타측캠부재는 타측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출력과 동축상인 파상형 형태의 환상 캠면을 포함하며, 기다란 지지대 형태인 다수의 캠종동자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캠종동자는 입력으로부터 출력측으로 구동을 전하기 위하여 캠면에 결합하는 단부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은 비교적 기다란 측면으로 끝나고, 캠종동자는 캠종동자의 측면에 나란히 놓이거나 상기 부재의 캠면이 근접배치되거나 상호 결합하여 놓이며, 캠종동자의 측면사이에 개재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입력으로부터 캠존동자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이 구성이 상기 출력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다른 관점에서, 이와 같이 중간에 개재되지 않도록 구동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최대수효과의 캠종동자가 유효주연 공간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캠종동자는 360/nf의 각도로 원을 이루어 둘러싸여 있거나 이들 사이에 간극을 남기고 배치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nf는 캠종동자의 수를 나타낸다.
캠면과 캠종동자의 캠결합면을 상대측에 대하여 탄지하기 위한 탄지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탄지수단은 캠종동자를 캠면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탄지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입력, 한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두 출력과, 두 캠부재로 구성되고, 일측캠부재는 상기 일측 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각 캠은 출력에 동축상인 파상형 형태의 환상캠면을 가지며 캠부재의 캠면이 상대측을 향하여 수렴되게 배열되고, 캠종동자를 수렴형 캠형에 대하여 비사상 외측으로 탄지하기 위하여 캠면과 캠결합면을 상대측으로 탄지하기 위한 탄지수단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이 상기 출력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게 되어 있다.
탄성수단은 캠면과 캠종동자부재의 확고한 상호결합이 이루어지고 백라쉬를 줄이도록 차동장치에 예비 부하를 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탄성수단은 상기 일측캠부재를 타측캠부재측으로 탄지되도록 상기 입력의 일부와 상기 일측부재 사이에서 작용한다. 탄성수단은 추력베어링을 통하여 캠부재에 부하를 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 탄성수단은 벨리빌 외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차동장치의 조립중에 캠종동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동입력부재를 향해 캠종동자를 탄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제공되고 구동입력부재를 통하여 입력으로부터 캠종동자측을 구동이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입력, 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두 출력과, 두 캠부재로 구성되고, 칠측 캠부재가 상기 일측 출력에 연결되고 타측 캠부재가 타측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출력과 동축상인 파상형 형태의 환상 캠면을 가지고, 출력측에 구동을 전하는 캠결합면과 입력으로 캠종동자측에 구동을 전하는 구동입력부재를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와, 구동입력부재를 향하여 캠종동자를 탄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상기 출력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지지수단은 이상적으로 원통형의 형태, 즉 출력에 동축상인 스프링의 형태를 취한다. 이 지지수단은 차동장치의 조립중에 캠종동자부재를 수동 입력부재의 고정한다.
구동입력부재가 제공되는 경우 이는 캠종동자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게 배치되는 개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입력, 한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두개의 출력과, 두 캠부재로 구성되고, 일측캠부재는 상기 일측출력에 연결되고 타측캠부재는 타측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출력과 동축축상인 파상형의 환상캠면을 가지고, 출력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캠결합면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와, 입력으로부터 캠종동자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입력부재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입력부재는 캠종동자가 배치되는 개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동 연결된 제1 및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그 구성은 상기 출력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입력부재는 구동입력부재가 캠종동자를 삽입하기 위한 축방향 슬로트가 형성된 단일부재로 구성된 유레카(Eureka)의 저서 내용에서 보인 것보다 생산이 용이하다. 이에 기술된 캠종동자는 캠결합단부면이 형성된 기다란 동체로 구성되므로 이 동체는 반대방향으로부터 슬로트에 삽입되는 두 반부분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두 부분의 구동입력부재를 이용하므로서 유사한 종동자가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입력부재의 조립중에 개방부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입력부재의 제1부분은 다수의 방사상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캠종동자가 배치된다. 제2부분은 제1부분과 동축상인 슬리이브로 구성되고 방사상 돌출부가 이 슬리이브에 구동결합된다.
방사상 돌출부는 슬리이브에 형성된 요구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일측 캠부재의 캠면은 타측캠부재의 캠면을 향하여 수렴하고 캠종동자의 캠결합면이 이에 보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캠면은 타측 캠면의 상호경사진 면의 수와 상이한 다수의 상호경사면을 가지고, 캠면의 수력감도가 상이하여 출력측으로 공급되는 토오크가 출력 사이의 양측 상대 회전방향에 대하여 요구된 비율로 출력사이에 분배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7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입력,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두 출력과, 두 캠부재로 구성되고, 일측 캠부재는 상기 일측출력에 연결되고 타측캠부재는 상기 타측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출력과 동축상인 파상형 형태의 환상캠면을 가지고 출력측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캠결합면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캠부재의 캠면은 타측캠부재의 캠면을 향하여 수렴하고 캠종동자의 캠결합면은 이에 보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캠면은 타측캠면은 상호경사면의 수와 상이한 다수의 상호 경사면을 가지고, 캠면의 수렴각도가 상이하여 출력측에 공급되는 토오크가 출력사이의 양측 상대회전방향에 대하여 요구된 비율로 출력사이에 분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이것이 적당한 수렴각도를 선택하므로서 비율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유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비율은 양측 상대 회전방향에 대하여 실제로 일정하게 되거나 일측방향에 대한 비율이 타측방향의 비율과는 상이하게 될 수 있다.
각 캠부재의 캠면은 완전한 환상의 캠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동일한 트랙으로 구성되므로서 구동중에 캠종동자에 의하여 이에 가하여진 축방향 부하가 캠면에 대칭이 되게 가하여져 캠부재의 축방향 부하가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8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동장치는 입력, 한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두 출력과, 두 캠부재로 구성되고, 일측캠부재는 상기 일측출력에 연결되고 타측캠부재는 타측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출력과 동축상인 파상형 형태의 환상캠면을 가지고, 출력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캠결합면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가 구성되어 있으며, 각 캠부재의 캠면은 완전한 환상의 캠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동일한 트랙으로 구성되어 구동중에 캠종동자에 의하여 이에 가하여지는 축방향부하가 캠면에 대칭이 되게 가하여져 캠부재의 축방향부하가 균형을 이루고, 그 구성이 상기 출력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캠의 비대칭형 부하가 캠부재의 베어링에 이상부하를 가할 것이며 상기 두문단에 기술된 차동장치가 이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측 캠의 각 트랙은 n쌍의 캠면을 가지며 타측캠면의 각 트랙은 더 많은 쌍의 캠면을 가진 것이다. 예를 들면 한 캠의 각 트랙이 n쌍의 캠면을 갖는 경우 타측캠면의 각 트랙은 n+1쌍의 캠면을 갖는다. 각 캠면의 총 쌍수는 짝수인 것이 좋다.
구동입력부재가 제공되는 경우 이는 캠종동자의 주연방향으로 예를 들어 슬리이브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입력부재와 캠종동자부재는 돌출부-소켓트수단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이들 돌출부와 소켓트는 방사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소켓트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요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돌출부는 요구내에 배치되며 어느 정도 기다란 구동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캠부재의 캠면이 상대측을 향하여 수렴하는 경우 종동자부재의 캠결합면은 이에 대하여 보상적인 형태가 되므로서 종동자부재를 통한 상기 출력부재의 구동중에 구동입력부재를 향하여 종동자부재를 방사상 외측으로 탄지하는 힘이 생성된다.
상기 종동자를 방사상방향으로 탄지하는 힘은 파상형의 캠면에서 반작용력과 조합하여 예를 들어 구동입력부재의 보상적인 모서리부분에 대해 캠종동자의 모서리부분을 탄지하므로서 캠종동자의 경사운동을 방지하는 합성외향력이 얻어진다.
각 캠의 파상형 면은 상호 경사진 다수의 나선형면, 예를 들어 지그재그형의 면으로 구성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지그재그 면은 다수의 상호경사진면의 쌍으로 구성되고 각쌍의 일측면은 각 쌍의 타측면과 상이하게 경사져 있다.
캠종동자의 캠결합면은 각 단부에서 각 캠면과 결합하는 두개의 경사진 나선면으로 구성된다.
각 캠종동자는 방사상 내측의 제1부분과 구동부하가 전달되는 방사상 외측의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면이 상기 제1 및 제2부분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종동자와 캠사이의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하여 마모특성이 개선된다. 방사상 외측의 제2부분은 경사지는 것이 좋고 입력부재의 경사진 축방향 요구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방사상 내측의 제1부분이 경사져 있어 인접한 종동자의 제1부분이 상호 결합하거나 근접하여 놓인다.
상기 입력으로부터의 구동은 일정한 간격을 둔 입력부분사이로 연장된 분리형 볼트에 의하여 캠종동자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입력부재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구동입력부재가 스크류나선이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나선에 의하여 입력의 한 부분에 나선결합된다. 후자의 경우 슬리이브는 입력의 상기 제1부분으로 부터 간격을 둔 입력의 다른 부분으로 예를 들어 용접고정이나 볼트체결로 구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입력조립체는 견고하게 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16도에서, 차동장치는 공지된 방법으로 피니언(도시되지 않았음)으로 부터 구동을 받는 크라운 베벨기어(12)의 형태인 구동입력(10)으로 구성된다.
기어(12)는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둔 볼트(15)에 의하여 상호연결된 구동입력부재(13)(14)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두 출력캠부재(16)(17)는 입력부재(13)(14)의 통공(18)에 착설되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하여 연장된 출력측(도시하지 않았음)에 스플라인 연결된다. 출력부재(16)(17)는 입력부재(13)(14)에 대해 축선(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출력부재(16)(17)는 각각 플랜지(19)(20)를 가지며 이에 각각 파상면형태의 캠(2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9)(20)는 출력부재(16)(17)의 일부를 구성한다. 출력부재(16)(17)는 크라운 베벨기어(12)가 고정된 입력부재(13)(14)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8)내에 연장된 출력측(도시하지 않았음)에 스플라인 연결된다. 캠(22)은 제3도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7쌍의 상호 경사진 나선면(24)(25)으로 된 지그재그형 환상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캠(23)은 제3도에서 상세히 본 발명인 바와 같이 8쌍의 상호 경사진 나선면(26)(27)으로 된 지그재그형 환상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피상면형태의 캠(22)(23)은 축선(A)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P)로 경사져 있어 각 캠면이 상대측에 대하여 수렴한다.
캠(22)(23) 사이에는 15개의 캠종동자(28)가 배치된다. 이들 캠종동자(28)는 캠(22)(23) 사이에서 입력부재(13)(14)에 스플라인 연결되어 있다. 각 캠종동자는 기다란 지지대 형태이고 비교적 기다란 측면(34)(35)에서 끝나는 두 셋트의 상호경사진 단부면(29)(30)(32)(33)으로 구성된다. 단부면(29)(30) 사이의 경사 각도(Q)는 캠면(24)(25)사이의 경사각도와 일치하고 단부면(32)(33) 사이의 경사각도(S)는 캠면사이의 경사각도와 일치한다.
또한 단부면(29)(30)과 단부면(32)(33)은 제1도와 제4도로부터 보인 바와 같이 각도(P)로 경사져 있다.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는 캠종동자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종동자가 함께 조립될 수 있도록 원호형태로 만곡되어 있다. 각 캠종동자는 360/nf의 각도로 원호를 이루며, 여기에서 nf는 캠종동자의 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이러한 원호각도가 종동자사이에 간극(28')(제4도)를 남기도록 작게 될 수 있다.
각 캠종동자는 상호 경사진 측면(37)(38)을 갖는 기다란 구동돌기(36)(상기 언급된 돌출부를 구성한다)를 포함한다(제14도). 구동돌기(36)는 원통형 구동입력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보상적 형태의 요구(39)에 간극(36a)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원통형 구동입력부재(40)는 이를 통하여 볼트(15)가 관통하여 이 원통형 구동입력부재(40)를 입력부재(13)(14)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간극(36a)은 각 종동자(28)의 원호형 외주면(28a)이 구동입력부재(40)의 내주면(40a)에 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요구(39)는 적어도 이들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캠종동자(28)를 지지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GB-A-4311020보다 유리하게 이들의 전길이를 지지한다.
제2도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캠종동자의 조립은 인접한 종동자(34)(35)의 측면이 서로 접하거나 근접하여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캠종동자를 위하여 주연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종동자는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속하여 치밀하게 배열된 환상어레이를 형성한다.
캠종동자(28)의 조립을 돕기 위하여, 원형의 가벼운 스프링(28b)이 사용되고, 이는 종동자를 구동입력부재(40)를 통하여 가하여지고 차동장치를 갖는 차량이 직선도로에서 운행될 때에, 캠종동자는 동일한 속도로 출력부재(16)(17)를 회전시키도록 캠(22)(23)에 부하를 가한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X방향으로 구동부하가 가하여지면 가장 좌측에 있는 캠종동자는 그 단부면(30)(32)이 경사면(24)(26)에 구동결합하고 다른 종동자는 캠(22)(23)과 구동결합한다. 그러나 중간의 캠종동자는 이들의 면이 캠면과 비구동결합한다.
종동자(28)에 의한 구동력이 경사면(24)(26)에 가하여질 때에 제1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반작용력(F)이 발생한다. 캠종동자의 단부면이 각도(P)로 경사져 있으므로 힘(F)이 가하여지면 외항력(G)이 생성되고 이로서 합성력(R)이 생성되어 구동돌기(36)와 종동자(28)의 인접한 외주연부(40a) 사이에 모서리(CI)를 형성하는 교차선(L)을 통하여 또는 이에 인접점하여 변부(E)의 방사상 외측부를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캠종동자에 가하여지는 부하는 이 캠종동자를 구동입력부재(40)의 모서리(C2)에 대하여 견고하게 끼도록 하므로서 변부(E)를 중심으로 한 종동자의 경사운동을 방지한다.
차동효과는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동부재(40)가 고정되고 각각 J 및 K 방향으로 캠(22)(23)에 대하여 반대회전운동을 가한다고 볼때에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캠면(26)의 운동으로 이에 연관된 종동자는 캠(22)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운동케된다. 만약 양 캠(22)(23)과 구동입렵부재(40)가 모두 화살표(J)방향으로 부가적인 회전운동이 주어진다면 캠(22)은 구동입력부재(40)보다 바르게 회전하고 캠(23)은 느리게 회전할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캠(22)(23)과 구동입력부재(40) 사이의 속도차이는 캠에 형성된 캠면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종동자와 캠사이의 상당한 마찰이 있으므로 토오크는 타측캠이 통상의 차동장치보다 크게 유리하게 미끄러운 노면에서 미끄럼회전하는 바퀴가 타측바퀴보다 빠르게 회전하므로서 입력 토오크가 가하여져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캠종동자에 의해 가하여진 부하에 의해 관련된 캠을 통해 상기 바퀴에 가하여지는 순 토오크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타측 캠에 가하여지는 순 토오크가 증가할 것이며 이들 순 토오크사의 비율은 각도(Q)(S)의 값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각도가 크면 클수록 종동자에 의하여 캠면에 가하여진 축방향부하에 의해 캠면에서의 마찰이 커질 것이다. 통상 각도(Q)(S)는 캠이 캠종동자를 축방향으로 구동시킬 것이다. 단순한 캠종동자의 축방향운동으로는 캠을 구동시킬 수 없게 선택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각도(Q)(S)는 역전 가능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인접한 캠종동자는 이들의 측면(34)(35)이 근접하거나 결합토록 배열될 수 있다. 측면이 결합되는 경우에 캠면에 비구동결합된 어떤 종동자(28)에 가하여진 구동력은 이에 가하여진 구동부하를 결합면을 통해 다음의 구동종동자에 전달토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결합면을 이용하므로서 캠에 대한 캠종동자의 경사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결합은 이들의 전길이에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다만 단부부분이 결합되는 유레카의 차동장치보다 유리하다.
캠종동자에 의하여 캠에 가하여진 축방향추력은 추력니들베어링(8)을 통하여 입력부재(13)(14)에 전달된다. 캠의 상대적인 축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쐐기(9)가 사용된다. 벨리빌 와샤(Belleville Washer)(9a)(제1도에서는 평면형으로 압축된 것을 보임)가 종동자(28)를 캠(22)(23)에 견고히 결합되게 배설되어 있다. 캠에 대하여 종동자를 가압하므로서 경사각도(P)에 의하여 종동자(28)에는 방사상 외향력(Z)이 생성되고 부가적으로 백라쉬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쐐기(9), 벨리빌 와샤(9a) 및 니들베어링(8)는 종동자를 캠에 결합도록 가압하기 위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다른 차동장치의 실시형태에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10도-제13도의 실시형태에서, 이 실시형태의 구성이 이전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표시되었다.
제10도에서, 제1도와 제7도의 실시형태에 있는 볼트(15)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구동입력부재(40)는 슬리이브(53)를 포함하고 이 슬리이브(53)에 의하여 입력부재(13)(14)가 축방향으로 함께 고정된다. 슬리이브(53)는 일측단부가 입력부재(13)에 볼트를 체결된 플랜지(54)를 가지며, 슬리이브의 대향단부에는 입력부재(13)의 원통형 연장부(55)에 나선결합 되는 스크류(53a)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이브(53)의 좌측단부에는 입력부재(13)에 정확히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확개공(53b)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제9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은 캠종동자(228)가 제10도의 구성에도 이용된다. 캠종동자(228)는 평면형태가 캠종동자(28)와 동일하고 캠면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호경사진 단부면(29)(30)(32)(33)을 갖는다. 그러나, 제8도와 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종동자의 방사상 내측 반부분(228a)은 제5도에서와 같이 경사진 측면(34)(35)를 가지며, 구동돌기(61)(이는 방사상 외측 반부분 228b을 형성한다)는 슬리이브(53)의 요구(64)에 배치되는 두 경사진 상측면(62)(63)을 갖는다. 각 종동자에는 이 종동자의 질량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공간(228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동돌기(61)의 측부와 요구(64) 사이의 작은 간극(64a)은 종동자가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돌기의 방사상 외측면(61a)이 요구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각 종동자는 360/nf의 각도로 원호를 이루며, 여기에서 nf는 캠종동자의 수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접한 캠종동자 사이에 작은 간극(64')이 존재할 것이다.
캠종동자(228)를 이용한 차동장치의 작동중에 생성된 합성력(R)은 종동자의 경사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요구(64)의 한 방사상 내측 모서리(64b)의 방사상외면을 지닌다. 캠종동자(228)는 방사상으로 보다 깊은 단부면(29)(30)(32)(33)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캠면(면 24가 보임)이 제1도보다 깊어 캠종동자로부터의 구동부하가 전체 캠의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캠과 종동자 사이의 마모를 줄이므로 유리하다.
또한 슬리이브(53)의 내주연에는 제12도와 제1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4도-제6도에서 보인 캠종동자(28)의 구동돌기(36)가 삽입되는 제2도의 요구(39)와 동일한 요구(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차동장치의 작동은 제1도-제9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15도-제17도에서, 제13도의 부분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으며 다만 그 차잇점만을 설명할 것이다.
슬리이브(53)는 축방향 요구(72)가 형성된 구동입력부재(70)의 외측부분을 구성한다. 이 요구(72)에는 교대로 구동부재의 내측부분(74)을 구성하는 스파이더의 각부(脚部)(73)의 방사상 외측단부가 삽입된다. 구동부재의 내외측부분(74)(53) 사이에는 개방부(75)가 형성되고 이에 15개의 캠종동자(328)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 개방부(75)를 점유하는 캠종동자는 개방부의 형태를 잘 보이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였다.
각 캠종동자(328)는 두 헤드(77)(78)를 갖는 기다란 지지대 형태의 동체(76)로 구성된다. 헤드(77)는 캠(22)의 경사면(24)(25)과 결합되도록 유사하게 상호경사진 단부면(79)(80)을 가지며 헤드(78)는 캠(23)의 유사한 경사면(26)(27)과 결합가능한 상호경사진 단부면(82)(83)을 갖는다. 헤드(77)는 측면(84)(85)를 가지며 헤드(78)는 측면(86)(87)을 갖는다. 인접한 헤드의 측면이 상호 근접하게 놓이고 사용중에 캠면에 비구동전달 결합 상태로 결합된 캠종동자는 캠면에 구동결합된 인접한 캠종동자에 구동부하를 전달한다. 캠종동자(328)의 방사상 외측부분(71)은 각부(73)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요구(72)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비록 캠(22)(23)이 상대측에 수렴하도록 축선(A)에 경사진 상태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들은 상대측을 향하여 수렴토록 구성될 수 있다.
제18도-제20도에서, 이전의 도면에 일치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18도에서, 크라운 베벨기어(12)가 입력부재(13)에 볼트로 체결되고 입력부(13)는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둔 볼트(15a)로 원통형 구동입력부재(40)에 고정된다. 볼트는 제1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입력부재(40)의 좌측단부로부터 연장된 스크루나선형의 축공(40a)에 체결된다. 입력부재(40)의 우측단부에는 확개공(40b)이 형성되어 입력부재(14)의 원통형부분(14a)이 삽입되어 용착된다.
제18도에서, 캠(22)(23)의 파상면의 축선(A)에 대한 경사각도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캠(22)의 파상면이 각도(V)로 경사지고, 캠(23)의 파상면이 각도(W)로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캠종동자(48)는 유사하게 경사진 나선형 단부면(29)(30)(32)(33)을 갖는다. 또한 단부면(29)(30)은 캠(22)의 나선면(26)(27)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고, 단부면(32)(33)은 캠(23)의 나선면(26)(27)과 동일한 각도로 상호 경사져 있다. 캠종동자는 측면(34)(35)을 갖는다. 인접한 캠종동자의 측면은 완전한 축방향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면하여 있으며 비록 이들이 완전한 축방향 이동토록 상호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1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열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캠종동자(제1도-제6도 및 제11도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동입력부재 40의 요구 98에 배치된 돌출부 97를 통하여 구동되는 캠종동자)는 상호 최대로 지지되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캠면에 비구동결합된 캠종동자가 인접한 캠종동자가 캠종동자에 구동부하를 전달할 것이다. 캠(22)은 10개의 상호 경사진 면(24)(25)을 가지며 캠(23)은 8개의 상호 경사진 면(26)(27)을 갖는다. 각종동자는 360/nf의 각도 또는 이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원호를 이루며, 여기서 nf는 캠종동자의 수를 나타낸다.
경사면(24)(25) 사이의 경사각도가 경사면(26)(27) 사이의 경사각도가 상이하므로 캠(22)(23)에 스플라인 연결된 출력축사이의 토오크 분할은 캠이 일측방향으로 상대측에 대하여 회전할 때와 이들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할때에 서로 다른 것이다.
각도(V)와 각도(W)를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양 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동일한 비율이 되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각 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비율이 되도록 축에 전달되는 토오크의 비율이 선택될 수 있다. 주어진 각도(V)(W)와 캠면사이의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일측방향의 토오크비율과 타측방향의 토오크비율사이에 주어진 관계가 이루어졌을 때에, 상이한 재질의 선택으로 야기되는 캠면과 캠종동자 사이의 마찰계수의 변화는 이러한 관계를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방향으로 4 : 1의 토오크비율이 선택된 재질에 의하여 이루어진 경우 다른 재질의 선택으로 양방향의 토오크비율은 3 : 1이 될 것이므로 결국 토오크 비율 사이의 관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리고 동일한 목적으로 쐐기(9), 벨리빌 와샤(9a) 및 니들베어링(8)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경우 벨리빌 와샤는 입력부재(13)에 근접배치된다.
제20도에서, 총 n쌍의 경사면(26)(27)을 구성토록 두개의 동일한 트랙이 캠(23)에 형성되어 있고, 각 트랙은 캠면의 길이에 대하여 정확히 반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캠의 트랙은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개념적으로 연속된다. 캠(22)에는 총(n+1)쌍의 경사면(24)(25)을 구성토록 두개의 동일한 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캠(23)의 각 트랙은 4쌍의 면(26)(27)을 가지며 캠(22)의 각 트랙은 5쌍의 면(24)(25)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18개의 캠종동자(428)가 제공된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캠종동자를 이용한 차동장치에 있어서, 캠사이의 차동회전을 축선(A)방향으로 캠에 비대칭의 축방향 부하를 가하게 될 것이며, 차례로 축(5)(6)에 대하여 통공(18)의 베어링(18a)에 특정의 부하를 가할 것이다. 그러나 캠면과 캠종동자를 제2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반복패턴으로 배열하므로서 축방향부하가 캠에 대칭적으로 가하여질 것이다(이 경우에 언제나 직경방향 대향된 위치에 놓인다). 3개 이상의 반복패턴이 대칭의 축방향 부하를 가하도록 유사한 방법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이한 경사각도(W)(V)와 캠면 및 캠종동자의 반복패턴이 제1도-제7도에서 설명된 차동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21도에 두캠(22)(23)은 축선(A)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경사진 이들의 상호경사진 면(24)(25)(26)(27)과 함께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캠(22)에서 경사면(24)은 각도(J)로 경사져 있는 반면에 면(25)은 작은 각도(K)로 경사져 있다.
한편, 캠(23)에서, 경사면(26)은 각도(M)으로 경사져 있고 면(27)은 보다 큰 각도(N)으로 경사져 있다.
캠종동자의 단부면(도시하지 않았음)은 이들이 결합하는 캠면에 보상적인 형태가 될 것이며, 제21도의 캠이 제1도-제20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어떠한 차동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21도의 구성은 이용하므로서, 이러한 차동장치가 구비된 차량이 차동장치를 통하여 일측방향으로 구동될 때와 전동이 엔진을 구동시키려는 오우버런 상태에 있을때에 상이한 토오크 비율이 이루어질 것이다. 제1조건에서 바퀴는 경사면(24)(28)을 통하여 구동되고 오우버런 상태에서는 경사면(25)(27)을 통하여 구동된다.
제2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캠을 제공하므로서 캠사이의 상이한 토오크 분할 특성이 후진방향으로의 구동시보다 전진방향의 구동시에 얻어질 수 있다.
Claims (26)
- 축선(A)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한 두 출력캠부재(16,17)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부재는 상호 경사진 경사면(24,25,26,27)의 쌍으로 구성된 파상면형태의 단일화상캠면(22,23)을 가지며, 상기 일측 캠부재(16)는 타측 캠부재(17)과는 상이한 수(13)의 상기 경사면쌍을 가지고, 캠부재의 캠면은 재두원추형이고 상대측을 향하여 수렴하여, 상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출력캠부재의 캠면에 결합되는 캠결합단부면(29,30,32,33,77,78,79,80)을 갖는 다수의 캠종동자(28,228,428)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캠부재의 상대회전으로 캠종동자가 축방향으로 활동하며, 종동자(28,228,328,428)에 결합하는 입력부재(40,71)가 구성되어 있고 종동자는 입력부재(40,71)에 위하여 활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입력부재가 종동자를 출력캠부재에 대하여 주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 차동장치에 있어서, 입력부재(40,71)가 종동자를 캠출력부재(16,17)에 대하여 주연방향으로 이동토록 각 캠종동자(28,228,428)의 방사상 외측부(36,61,97)와 결합하고 캠종동자(28,228,328)는 인접한 캠종동자의 측면(34 또는 35)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놓인 상태에서 각 캠종동자의 측면(34,35)과 나란히 배치되며, 종동자(28,228,428)를 통한 출력캠부재(16,17)의 구동중에 구동입력부재(40,71)를 향하여 외측으로 종동부재를 활동시키는 힘(G)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캠부재(16,17)의 상기 상대회전중에 인접 캠종동자(28,228,428)의 상기 측면(34,35)의 일부가 완전한 축방향 미끄럼운동시에 연속하여 상호 중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면(34)(35)이 상호 결합되고 입력부재(40)로부터의 구동이 캠면(1,2)에 비구동결합된 캠종동자로부터 캠면(22,23)에 구동결합된 캠종동자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캠면(22,23)과 캠종동자(28,228,428)의 캠결합면(29,30,32,33,77,78,79,80)을 상대측에 대하여 탄지하는 탄성수단(9a)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탄성수단(9a)이 캠면(22,23)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캠종동자(28,228,428)를 탄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캠부재를 타측 캠부재측으로 탄지하기 위하여 탄성수단(9a)이 입력부재(14)와 상기 일측 캠부재(20) 사이에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6항에 있어서, 탄성수단(9a)이 추력베어링(8)을 통하여 캠부재(17)에 부하를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4항 내지 7항 어느한 항에 있어서, 탄성수단이 벨리빌 와샤(9a)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캠종동자(28)를 구동입력부재(40)측으로 탄지하기 위하여 지지수단(28b)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스프링(28b)이 캠부재(16,17)에 동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입력부재(70)가 캠종동자(328)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방부(75)를 형성하도록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2부분(53,7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제1부분(74)이 다수의 방사상 돌출부(73)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캠종동자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이 제1부분에 동축상인 슬리이브(53)로 구성되고, 방사상 돌출부(73)가 슬리이브에 구동가능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3항에 있어서, 방사상 돌출부(73)가 슬리이브에 형성된 요구(72)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캠면(22,23)의 수렴각도(W,V)가 상이하여 캠부재(16,17)에 가하여진 토오크가 요구된 비율로, 즉 캠부재(16,17) 사이의 상대회전의 양방향의 비율로 캠부재사이에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일측 캠부재(22)가 타측 캠부재(23)보다 두쌍이상의 경사면을 가지고 각 캠(22,23)이 완전한 환상의 캠(22,25)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두개의 동일한 트랙으로 구성되어 구동중에 캠종동자(428)에 위하여 이에 가하여지는 축방향 부하가 캠면(22,23)에 대칭으로 가하여져 캠부재에 축방향부하가 균형있게 가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일측캠면(22)의 각 트랙이 n쌍의 경사진 캠면(24,25)을 가지고 타측 캠면(23)의 각 트랙이 더 많은 수의 경사진 캠면(26,27)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입력부재(40,70)와 캠종동자부재(28,228,428)가 돌출부(26,61,97)가 소켓트 또는 요구수단(39,64,98)을 통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8항에 있어서, 돌출부(36,61,97)나 소켓트 또는 요구수단(36,64,98)이 방사상 방향으로 경사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파상형의 환상 캠면(22,23)이 다수의 나선형 지그재그면(24,25,26,2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20항에 있어서, 지그재그면이 다수의 상호 경사진 쌍의 면(24,25,26,27)으로 구성되고 각 쌍의 일측면(24)이 각 쌍의 타측면과 상이하게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캠종동자(28,228,428)의 캠결합면(29,30,32,33)이 각 캠면(24,25,26,27)과 결합토록 각 단부의 두 경사진 나선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각 캠종동자(228)가 방사상 내측 제1부재(228a)와 구동부하가 전달되는 방사상 외측 제2부재(228b)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면(29,30,32,33)이 상기 제1 및 제2부분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23항에 있어서, 방사상 외측으로 제2부분(228b)가 경사져 있고 입력부재(40)의 경사진 축방향 요구(64)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입력부재(40)가 스크류나선(53a)이 형성된 부재(53)로 구성되고 스크류나선(53a)에 의하여 두개의 간격을 둔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분(13,14)에 나선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입력부재(40)가 스크류나선(53a)이 형성된 부재(53)로 구성되고 스크류나선(53a)에 의하여 두개의 간격을 둔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분(13,14)에 나선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8801401A GB2214578A (en) | 1988-01-22 | 1988-01-22 | A differential mechanism |
GB8801401 | 1988-01-22 | ||
GB8804373A GB2215414A (en) | 1988-02-25 | 1988-02-25 | A differential mechanism |
GB8804373 | 1988-02-25 | ||
PCT/GB1989/000053 WO1989006761A1 (en) | 1988-01-22 | 1989-01-19 | A differential mechanis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700794A KR900700794A (ko) | 1990-08-17 |
KR970006367B1 true KR970006367B1 (ko) | 1997-04-25 |
Family
ID=2629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701607A KR970006367B1 (ko) | 1988-01-22 | 1989-01-19 | 차동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062320A (ko) |
EP (1) | EP0326289B1 (ko) |
JP (1) | JP2865343B2 (ko) |
KR (1) | KR970006367B1 (ko) |
AU (1) | AU3216389A (ko) |
DE (1) | DE68901465D1 (ko) |
GB (1) | GB2232214B (ko) |
WO (1) | WO198900676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266126A (en) * | 1992-04-15 | 1993-10-20 | Automotive Products Plc | Camming differential mechanism has frictional engagement between cam output member and input |
GB2278408B (en) * | 1992-11-07 | 1995-12-20 | Automotive Products Plc | A Differential mechanism |
GB9223406D0 (en) * | 1992-11-07 | 1992-12-23 | Automotive Products Plc | A differential mechanism |
GB9309412D0 (en) * | 1993-05-07 | 1993-06-23 | Automotive Products Plc | Central differential lockup |
GB9312856D0 (en) * | 1993-06-22 | 1993-08-04 | Automotive Products Plc | A differential mechanism |
JP3014641B2 (ja) * | 1996-04-17 | 2000-02-28 | 建治 三村 | 差動装置 |
JP4454726B2 (ja) * | 1999-09-02 | 2010-04-2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差動制限装置を搭載した鞍乗型車両 |
JP4356850B2 (ja) * | 1999-09-02 | 2009-11-0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差動装置 |
US6688194B2 (en) | 2001-10-04 | 2004-02-10 | Tractech Inc. | Locking differential including improved clutch member and adapter sleeve |
US7662060B2 (en) * | 2006-06-07 | 2010-02-1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Resiliently loaded side gears in a differential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83283A (en) * | 1918-02-18 | 1918-10-29 | Harry M Patch | Differential power-transmission device. |
GB431020A (en) * | 1933-11-09 | 1935-06-28 | Gottfried Weidmann | Improved differential mechanism |
US2220432A (en) * | 1940-01-12 | 1940-11-05 | Wales Harry Norman | Differential driving mechanism |
DE741812C (de) * | 1942-07-31 | 1944-10-11 | Johann Josef Beucher | Ausgleichsgetriebe, besonders fuer Kraftfahrzeuge |
US2850919A (en) * | 1956-12-24 | 1958-09-09 | Wildhaber Ernest | Differential |
US3130604A (en) * | 1963-03-18 | 1964-04-28 | Vernie L Johnson | Differential drive |
EP0284329B1 (en) * | 1987-03-19 | 1991-09-25 | Axial Wave Drive Bv | Improvements in differential mechanisms |
-
1989
- 1989-01-19 KR KR1019890701607A patent/KR9700063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01-19 JP JP1501734A patent/JP286534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1-19 EP EP89300504A patent/EP032628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01-19 AU AU32163/89A patent/AU3216389A/en not_active Abandoned
- 1989-01-19 WO PCT/GB1989/000053 patent/WO198900676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1989-01-19 US US07/543,747 patent/US506232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01-19 DE DE8989300504T patent/DE68901465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
- 1990-06-12 GB GB9013079A patent/GB2232214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232214B (en) | 1992-05-20 |
KR900700794A (ko) | 1990-08-17 |
WO1989006761A1 (en) | 1989-07-27 |
EP0326289A1 (en) | 1989-08-02 |
AU3216389A (en) | 1989-08-11 |
EP0326289B1 (en) | 1992-05-13 |
DE68901465D1 (de) | 1992-06-17 |
US5062320A (en) | 1991-11-05 |
JP2865343B2 (ja) | 1999-03-08 |
JPH03502356A (ja) | 1991-05-30 |
GB2232214A (en) | 1990-12-05 |
GB9013079D0 (en) | 1990-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06367B1 (ko) | 차동장치 | |
US5540630A (en) | Twist planet drive | |
EA005883B1 (ru) |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бесступенчатая механическая передача | |
MXPA03009830A (es) | Transmision continuamente variable. | |
US4012923A (en) | Vibration damping coupling | |
KR100236884B1 (ko) | 자동고정형 차동장치 | |
US6575856B2 (en) | Variable drive transmission | |
JP2666227B2 (ja) | 遊星歯車に対する外側への分離力を有する差動歯車装置 | |
US6189397B1 (en) | Multi-speed automotive transmission using paired helical gearing | |
US6582338B1 (en) | Differential unit with worm gearsets | |
CA1282265C (en) | Frictionles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KR970006373B1 (ko) | 자동장치 | |
DE19949770C2 (de) | Stufenlos verstellbares Toroidgetriebe | |
US3442158A (en) | Stepless variable transmission | |
US4158316A (en) | Chain-drive transmission | |
US4559841A (en) | Gear train having an internal gear mechanism | |
JPH10503264A (ja) | 可変変速機 | |
KR100341924B1 (ko) | 차동장치 | |
GB2215414A (en) | A differential mechanism | |
CA2406867C (en) | Differential gear | |
GB2214578A (en) | A differential mechanism | |
RU2756392C1 (ru) | Вариатор | |
AU4217285A (en) | Nutating traction drive transmission | |
JPS60155047A (ja) | 無段変速機構 | |
JPH031647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