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17Y1 -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 Google Patents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17Y1
KR970005817Y1 KR2019940036805U KR19940036805U KR970005817Y1 KR 970005817 Y1 KR970005817 Y1 KR 970005817Y1 KR 2019940036805 U KR2019940036805 U KR 2019940036805U KR 19940036805 U KR19940036805 U KR 19940036805U KR 970005817 Y1 KR970005817 Y1 KR 970005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oupling
knot forming
forming mechanism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746U (ko
Inventor
고성보
Original Assignee
고성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성보 filed Critical 고성보
Priority to KR2019940036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817Y1/ko
Publication of KR960019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3도의 (a)와 (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4도는 (a)내지 (b)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여러형태로 사용되는 다양한 예시도로서.
(a)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넥타이와 같은 색상과 무늬를 사용한 정면도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넥타이와 다른 색상과 무늬를 사용한 정면도이고,
(c)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에 귀금속을 부착하여 사용한 정면도이며,
(d)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순수 금속으로 제작하여 사용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뚜껑체12 : 요홈부
12a : 결합요홈14, 24 : 결합부
20 : 결합몸체22 : 볼록부
22a : 결합돌기30 : 연결부
40 :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50 : 넥타이
60 : 덮개70 : 귀금속
본 고안은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 착용시 넥타이 매듭에 해당하는 부분을 인위적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중앙에 넥타이 고정을 위하여 형성된 요홈부와 측면을 기준으로 매듭체결을 위한 결합요홈이 형성된 결합부로 구성된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와 마주보는 형상인 결합체와, 상기 뚜껑체와 결합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함으로써, 넥타이 길이맞추기가 용이하고 착용동작이 간단하여 착용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색상과 무늬가 서로 다른 넥타이 매듭 덮개를 사용하는 경우 악세사리 기능까지 부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의 착용방법은, 먼저 넥타이를 와이셔츠 컬러에 걸쳐 체형에 맞도록 넥타이를 조절하고, 넥타이의 폭이 작은면을 기준으로 넥타이의 폭의 넓은 면을 돌려 감아 넥타이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넥타이 매듭의 형상을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기존 넥타이의 착용방법은 그 길이가 부적당한 경우에는 상기 넥타이 착용방법을 반복해야 하고, 반복되는 넥타이 착용으로 넥타이가 손상 및 변형되어 넥타이 수명이 단축되며, 넥타이 착용시간이 길고, 의복에 맞는 넥타이를 구비하기 위해 여러개의 넥타이를 필요로 하게 될 뿐만아니라 넥타이와 매듭이 같은 색상과 무늬로 되어 있어 단조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에 넥타이 자체를 돌려감아 매듭을 형성하여 착용하던 것을 뚜껑체와 결합몸체와 연결부로 이루어진 새로운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넥타이의 신속한 착용과 다양한 패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안출한 넥타이의 매듭 형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뚜껑체(10)와 결합홈체(20) 및 이들 (10), (2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30)로 이루어져 있되,상기 뚜껑체(10)는 외면이 곡면형상을 이루고 내면 중앙에 요홈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테두리부의 돌출된 결합부(14)일면에는 다수의 결합 요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몸체(20)는 외면이 평면을 이루고 내면 중앙에는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테두리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된 결합부(24)에는 결합돌기(2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뚜껑체(10) 결합몸체(20) 사이에 넥타이(50)를 두어 체결 및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이 가지는 기능을 첨부도면 제1도 및 제도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뚜껑체(10)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요홈부(12)와 상기 결합몸체(20)의 내면에 형성된 철형상의 볼록부(22)는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사용할 때에는 결합몸체(20)의 볼록부(22)는 상단면에 넥타이(50)를 두겹으로 겹쳐 배열한 후 그 위에 뚜껑체(10)의 요홈부(12)가 위치하도록 하여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넥타이(50)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뚜껑체(10) 및 결합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각 결합부(14), (24)에는 각각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요홈(12a) 및 결합돌기(22b)가 형성되어 있어서,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체결함에 있어서 잠금부의 기능을 하고 각 결합부(14), (24) 일측이 일정 경사면을 이루어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해제할 때에는 이들 두 결합부로 이루어진 손가락 안내부에 손을 넣고 양측 결합부를 밀어 주면 쉽게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결합부(14), (24)가 맞닿는 부위는 상기 뚜껑체(10)와 결합몸체(20)가 맞닿는 일측 테두리부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개구되는 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의 외관을 형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는 그 표면에 넥타이(50)와 색상 및 무늬가 다른 덮개(60)를 씌워 패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덮개(60)는 사용하고자 하는 넥타이(50)의 색상과 무늬를 같거나 다르게 제작하여,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넥타이 (50)에 체결한 후, 덮개(60)의 상하에 형성되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줄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됨)를 통해 넥타이(50)을 집어 넣어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을 덮어 씌워 사용하는 기능을 한다.
먼저, 넥타를(50)를 와이셔츠 컬러에 걸쳐 체형에 맞도록 넥타이(50)길이를 조절하여 두겹으로 겹쳐 배열한 후,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의 결합부(14), (24)의 경사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손가락 안내부를 좌, 우로 벌리고, 상기 길이가 조절된 넥타이(50)를 결합몸체(20)의 내면에 부착된 볼록부(22)에 올려놓고, 그 위에 뚜껑체(10)의 내면에 부착된 요홈부(12)가 위치하도록 하여 연결부(30) 반대측면을 동시에 눌러 넥타이 매듭 형서기구(40)의 체결을 끝낸다. 이때, 사용하고자 하는 넥타이(50)의 색상과 무늬가 같거나 다른 덮개(6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는, 먼저 덮개(60)가 덮혀있는 경우에는 덮개(60)를 제거하고, 각 결합부(14), (24)의 경사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손가락 안내부의 양측면을 동시에 밀어내면 쉽게 해체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에 덮개(60)가 씌워져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경우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넥나이(50)와 색상과 무늬가 동일한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사용하되,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의 형상을 변형을 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하면 색상과 무늬가 같은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와 넥타이(50)는 서로 동질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악세사리 기능이 부여되었다.
[실시예 2]
넥타이(50)와 색상 무늬가 서로 다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사용하였다. 이 경우는,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와 넥타이의 색상과 무늬의 제조에 의한 조화미를 추구하였다.
[실시예 3]
넥타이(50)의 색상과 무늬에 어울리는 귀금속(70)을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에 별도로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넥타이(50)의 색상과 무늬가 같거나 다른 넥타이 형성기구(40)와 귀금속(70)류와의 조화감과 고급스런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 경우는 금속 특유의 색상과 넥타이(50)의 색상과 무늬의 어울림으로 악세사리 기능을 부여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 1~4에 따라 여러형태로 이용된 본 고안의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에 대한 사용형태는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기존 넥타이에 적용하므로써, 넥타이 매듭을 반복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넥타이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연장을 할 수 있고,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의 재질을 넥타이와 동일한 색상과 무늬, 이질적인 색상과 무늬로 사용하거나, 귀금속 부착 또는 금속으로서의 제작등을 통해 단순한 의상기능에 악세사리 기능을 추가로 부여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의 사용으로 넥타이의 착용시간단축과, 착용모양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뚜껑체(10)와 결합몸체(20) 및 이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3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뚜껑체(10)는 외면이 곡면형상을 이루고 내면 중앙에 요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테두리부의 돌출된 결합부(14) 일면에는 다수의 결합요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몸체(20)는 외면이 평면을 이루고 내면 중앙에는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테두리부위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결합부(24)에는 결합돌기(2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뚜껑체(10)와 결합몸체(20) 사이에 넥타이(50)를 두어 체결 및 탈거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10)와 결합홈체(2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4), (24)에는 각각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돌기(12a)와 결합요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40)에는 추가로 상하에 고정수단을 갖는 덮개(60)가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KR2019940036805U 1994-12-28 1994-12-28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KR970005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805U KR970005817Y1 (ko) 1994-12-28 1994-12-28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805U KR970005817Y1 (ko) 1994-12-28 1994-12-28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746U KR960019746U (ko) 1996-07-18
KR970005817Y1 true KR970005817Y1 (ko) 1997-06-16

Family

ID=194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805U KR970005817Y1 (ko) 1994-12-28 1994-12-28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8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746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654729A5 (it) Copribottone, particolarmente per bottoni di polsini di camicia.
KR970005817Y1 (ko) 넥타이 매듭 형성기구
JP2002317311A (ja) パニエ
JP2000178806A (ja) スカート
KR200186244Y1 (ko) 컴퓨터자수 처리된 직포를 구비한 장식용 악세사리
KR930008250Y1 (ko) 넥타이 착탈구
JP3079878U (ja) 着脱式ブーツ装飾品
KR102051951B1 (ko) 악세서리 부착형 넥타이
JP2560948Y2 (ja) スキー手袋の構造
JPH0432978Y2 (ko)
RU2004166C1 (ru) Галстук
JP3097927U (ja) 日焼け防止用ショール
EP1029466A1 (en) Fastenings
JP3015790B1 (ja) パニエ
JPH0715719U (ja) 時計付き衣服
JPH0725041Y2 (ja) ボタン飾り用の台座
JP3067337U (ja) ボタン飾り
JP3006073U (ja) バングル時計の構造
JPH0520379Y2 (ko)
KR200324318Y1 (ko) 허리 벨트용 버클
KR200289455Y1 (ko) 칼라 커프스 오염방지용 밴드
KR200228379Y1 (ko) 손목시계용시계줄
JPH0536471Y2 (ko)
JP2550073Y2 (ja) 腕時計用バンドの構造。
KR200217598Y1 (ko) 헤어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