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26Y1 -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26Y1
KR970005626Y1 KR2019940031023U KR19940031023U KR970005626Y1 KR 970005626 Y1 KR970005626 Y1 KR 970005626Y1 KR 2019940031023 U KR2019940031023 U KR 2019940031023U KR 19940031023 U KR19940031023 U KR 19940031023U KR 970005626 Y1 KR970005626 Y1 KR 970005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pening
lever
clos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353U (ko
Inventor
송윤섭
Original Assignee
송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섭 filed Critical 송윤섭
Priority to KR2019940031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26Y1/ko
Publication of KR960017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3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장치가 적용된 트럭용 적재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와이어로프와 지지작동봉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와이어로프와 스프링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스프링의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가)(나)(다)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제7도는 종래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
제8도는 종래 상, 하회동개폐문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적재함12 : 개폐문
14 : 요동레버16 : 롤러
17 : 고정안내레버18 : 캠면
18a : 상단 수직부18b : 중단 만곡돌출부
18c : 하단 완경사부20 : 인장스프링
21 : 연결와이어29 : 와이어안내롤러
본 고안은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물로서 개폐등의 취급이 어려운 개폐문을 작은 힘으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의 적재함에는 짐을 싣고 내리는 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뒷문과 함께 양측 상, 하 회동 개폐문을 상, 하로 회동개폐가능학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 하 회동개폐문은 70kg 이상으로 매우 무거우며, 특히 8톤이상의 적재용량을 가지는 대형 트럭의 경우에는 100kg 이상으로 운전자 또는 보조원이 상, 하 회동개폐문을 열고 닫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즉, 상, 하 회동개폐문을 열기 위하여는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상, 하 회돌개폐문의 상단을 끌어당겨 하향 회동시켜야 하는 바 이때 중량물인 상, 하 회동개폐문이 자중에 의하여 급격히 하향 회동되면서 열리게 될 경우 상, 하 회동개폐문이 차체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파손을 초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상, 하 회돌개폐품이 급격히 열리지 않도록 그 중량을 떠받히면서 서서히 열리도록 하여야 하는바, 이때 자칫 작업자가 상, 하 해동개폐문의 중량을 지탱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 하 회동개폐문이 급격히 열리면서 작업자를 때리거나 차체 측면에 충돌하게 되어 차체의 손상은 물론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 하 회동개폐문을 닫을 때는 상, 하 회동개폐문의 전 중량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상, 하 회동개폐문을 열때 보다 더욱 많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손을 놓치게 되면 상술한 차체의 손상을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7도와 같이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 하 회동개폐문의 중량을 지지함으로써 상, 하 회동개폐문이 급격히 열리는 일이 없음과 아울러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안축되어 있다.
이 장치는 적재함(31)에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상, 하회동 개폐되게 지지하는 경첩(32a)에서 제1레버(33)의 힌지연결점에 이르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레버(33)로 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적재함(31)의 저부에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고정레버(34)의 외측단과 상기 제1레버(33)의 하단에 힌지연결된 제2레버(35)로 되는 제3링크와, 상기 고정레버(34)에서 적재함(31)의 경첩(32a)에 이르는 제4링크에 의한 4절링크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레버(34)는 적재함(31)에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4a)와 이 수직부(34a)의 하단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4b)로 구성되며, 이 수직부(34a)에는 대략 "T"자형 보조레버(36)의 수직부(36a)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이 수직부(36a)의 상단에서 내외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6b)의 외측단과 상기 제2레버(35)의 중간부에는 연결레버(37)가 힌지연결되며 수평부(36b)의 내측단에는 상기 고정레버(34)의 수직부(34a)를 관통하는 푸시레버(38)가 힌지연결되고 그 내측단에 고정된 스프링받이편(38a)과 상기 고정레버(34)의 수직부(34a)와 스프링받이편(38a)사이에는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상쇄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39)이 장전된다.
상기 제1레버(33)의 하단과 제2레버(35)는 힌지연결점이 상, 하 회동개폐문(32)이 닫힌 상태에서 이들의 사점(Dead Point)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굴절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상, 하 회동개폐문(32)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1레버(33)와 제2레버(35)가 그 연결점이 이들의 사점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되며, 푸시로드(38)가 압축스프링(39)에 의해 내측방으로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압축스프링(39)이 탄성력은 보조레버(36)를 내측으로 회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레버(36)의 수평부(36b) 외측에 연결레버(37)로 힌지연결된 제2레버(35)가 내측으로 회동시키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은 제1레버(33)와 제2레버(35)의 힌지연결점을 사점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으로 되면서 상, 하 회동개폐문(32)을 밀어닫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을 해제하고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상단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 하 회동개폐문(32)이 열리기 시작하면, 상술한 압축스프링(39)의 탄성력이 상, 하 회동개폐문(32)을 밀어닫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그 힘만큼 힘을 덜 들이고 상, 하 회동개폐문(32)을 열 수 있게 된다.
즉, 상, 하 회동개폐문(32)이 10°정도 열릴 때까지는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는 그다지 크지 않으나 그 이상으로 열리기 시작하면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는 점점 커지게 되고 90°열렸을 때 최대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는 제1레버(33)와 제2레버(35)의 힌지연결점이 사접과 일치하거나 지난 상태로 되므로 압축스프링(39)의 탄성력은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자중에 의한 하향모멘트를 경감시키는 작용을 하지 못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 하 회동개폐문(3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시점에서 압축스프링(39)에 의한 경감효과가 저하되기 시작하므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 하 회동개폐문(32)을 닫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서는 4절링크구조외에도 보조레버등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 하 회동개폐문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상쇠시키는 하향 모멘트를 얻기 위한 역학적 설계가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41)의 양측면에 비틀림스프링(43)을 축(44)으로 지지하고 일측 암(43a)은 적재함(41)의 측면에, 타측 암(43b)은 상, 하 회동개폐문(42)의 측면에 각각 탄력지지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비틀림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 하 회동개폐문(43)의 하중에 의한 하향모멘트를 상쇄하는 상향 모멘트를 나타내지만 비틀림스프링(43)의 탄성력을 강하게 하였을 경우에는 상, 하 회동개폐문(42)이 완전히 열리지 않게 되며, 비틀림스프링(43)의 탄성력을 약하게 하였을 경우에는 상, 하 회동개폐문(42)이 완전히 열릴 수는 있으나, 상, 하 회동개폐문(42)을 지탱하는 효과가 미흡하게 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 하 회동개폐문을 여닫을 때 상, 하 회동개폐문이 본체에 충돌하여 파손을 초래하거나 작업자를 때려 부상을 입게 되는 일이 없이 안전학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상, 하 회동개폐문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감쇠시키는 상향모멘트를 얻기 위한 역학적인 설계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재함에 힌지연결되는 상, 하 회동개폐문으로 되는 제1링크와, 이 제1링크를 구성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의 외측면에 힌지연결되는 요동레버로 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하단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고정안내레버로 되는 제3링크에 의하여 2개의 핀 조인트(Pin Joint)와 1개의 슬라이딩 조인트(Sliding Joint)를 가지는 3절링크기구와,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 힌지연결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외측단과 상기 요동레버의 하단부 근처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3절링크기구의 제1링크인 상, 하 회동개폐문을 닫히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함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트럭용 적재함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를 트럭용 적재함에 적용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지지장치가 적용된 적재함을 탑재한 트럭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와이어로프와 지지작동봉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와이어로프와 스프링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스프링의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럭 차체(10)의 상부에 적재함(11)이 탑재되고 이 적재함(11)의 양측에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배면에는 뒷문(13)이 각각 상, 하 회동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 하 회동개폐문(12)은 적재함(11)에 경첩(12a)에 의하여 상하로 회동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본 고안의 지지장치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지지장치는 도시예에서는 1개소에만 설치하였으나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중량을 매우 클경우에는 2개소 이상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는 적재함(11)에 힌지연결되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으로 되는 제1링크와 이 제1링크를 구성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외측면에 힌지연결되는 요동레버(14)로 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적재함(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고정안내레버(17)로 되는 제3링크에 의하여 2개의 핀 조인트(Pin Joint)와 1개의 슬라이딩 조인트(Sliding Joint)를 가지는 3절링크기구와, 이 3절링크기구의 제1링크인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닫히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여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링크는 적재함(11)에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힌지연결하는 경첩(12a)에서 제2링크를 구성하는 요동레버(14)의 힌지연결점까지로 한정되며, 제2링크는 요동레버(14)로 한정되고, 제3링크는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이 슬라이딩 조인트되는 고정안내레버(17)로 한정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제2링크를 구성하는 요동레버(14)를 그 상단에 절곡형성된 힌지부(14a)를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외측면에 고정된 힌지편(15)에 지지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동레버(14)를 상, 하 회동개폐문(12)에 대하여 차체(10)의 좌, 우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에는 고정안내레버(17)에 대한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16)를 굴대설치한다.
상기 고정안내레버(17)의 외측면은 상단의 직선부(18a)와 중단의 만곡돌출부(18b) 및 하단의 완결사부(18c)를 가지는 캠면(18)으로 가공한다.
상기 캠면(18)의 상단 수직부(18a)는 실질적으로 롤러(16)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나 중단의 만곡돌출부(18b)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이며, 중단의 만곡돌출부(18b)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에 굴대설치된 롤러(16)가 캠면(18)의 상단 수직부(18a)와 중단의 만곡돌출부(18b)의 경계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고, 만곡돌출부(18b)의 정상부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최대로 되는 동안에 상기 롤러(16)가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단의 완결사부(18c)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최대인 상태에서 점차 감소될 때 이 하향모멘트를 감쇠시키는 데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캠면(18) 곡선은 실체 상, 하 회동개폐문(12)과 요동레버(14) 및 고정안내레버(17)의 상태 치수 및 탄성부여수단의 탄성계수등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대략 도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상기 만곡돌출부(18b)가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완전히 열었을 때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외측면(열었을 때는 내측면이 된다)과의 충돌등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고정안내레버(17)가 적재함(1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요동레버(14)의 하단에 절곡부(14b)를 내특으로 절곡형성하고 이 절곡부(14b)에 상기 롤러(16)를 굴대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여수단은 적재함(11)의 저면에 고정돌출된 고정편(19)에 내측단이 힌지연결되는 인장스프링(20)과, 내측단이 인장스프링(20)의 외측단에 힌지연결됨과 아울러 외측단이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부 근처에 힌지연결되는 연결와이어(21)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와이어(21)를 요동레버(14)에 힌지연결함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레버(14)에 내측으로 고리(22)를 고정설치하고 연결와이어(21)의 외측단을 고리(22)에 끼워 걸고 반전시켜 고리부(21a)를 형성한 다음 이 고리부(21a)를 "U"자형 볼트(23)와 이 볼트(23)의 양단이 관통되는 압착편(24)과 볼트(23)의 양단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25)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힌지작용을 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인장스프링(20)과 연결와이어(21)를 힌지연결함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20)의 외측단에 고리부(20a)를 형성하고, 이 고리부(20a)에 연결와이어(21)의 내측단을 끼워 걸고 반전시켜 고리부(21b)를 형성한 다음 이 고리부(21b)를 "U"자형 볼트(26)와 이 볼트(26)의 양단이 관통되는 압착편(27)과 볼트(26)의 양단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28)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힌지작용을 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인장스프링(20)과 고정편(19)을 힌지연결함에 있어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편(19)에 관통공(19a)을 천공하고, 이 관통공(19a)에 인장스프링(20)의 내측단을 끼워 걸고 반전시켜 고리부(20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힌지작용을 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결와이어(21)의 내, 외측단의 고리부(21a, 21b)와 인장스프링(20)의 내, 외측단에 형성되는 고리부(20a, 20b)는 용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요동레버(14)와 연결와이어(21) 및 인장스프링(20)의 힌지연결은 반드시 도시예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간에 힌지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연결와이어(21)의 왕복주행을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롤로(29)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와이어(21)의 왕복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안내롤러(29)는 도시예와 같이 고정안내레버(17)의 일측에 굴대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인장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요동레버(14) 및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상향 모멘트가 최대화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트럭용 적재함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5도(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레버(14)는 대략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하단 부근에 연결된 탄성부여수단의 인장력에 의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그 하단에 굴대설치된 롤러(16)는 고정안내레버(17)의 캠면(18)의 상단 수직부(18a)와 중단 만곡돌출부(18b)의 경계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중량에 의하여 요동레버(14)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지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을 해제하고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상단을 잡아 당기면 상, 하 회동개폐문(12)가 열리기 시작하는 바, 이 때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10°미만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그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작기 때문에 요동레버(14)를 내측으로 당기고 있는 탄성부여수단의 탄성력 만으로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다.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열림에 따라 요동레버(14)의 하단에 굴대설치된 롤러(16)가 수직부(18a)와 만곡돌출부(18b)의 경계부에서 만곡돌출부(18b)의 정상 부측으로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10°이상 열리게 되어 그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커지기 시작하는 바, 이 때 요동레버(14)의 하단에 굴대설치된 롤러(16)는 캠면(18)의 만곡돌출부(18b)의 상반부에 위치하여 요동레버(14)가 만곡돌출부(18b)에 의해 떠받혀지는 상태로 되므로 요동레버(14)에는 떠받히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 떠받히는 힘이 인장스프링(20)에 의하여 요동레버(14)에 작용하는 상향 모멘트와 함께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작은 힘으로도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서서히 열수 있게 된다.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90°를 넘어 열리게 되면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최대로 되는 바, 이 때에도 요동레버(14)의 하단에 설치된 롤러(16)가 만곡돌출부(18b)의 정상보다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어 요동레버(14)에는 떠받히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 떠받히는 힘은 탄성부여수단의 인장스프링(20)의 탄성력과 함께 상, 하 회동개폐문(12)에 상향 모멘트를 부여하게 되므로 이 상향 모멘트에 의하여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상쇄되어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적은 힘으로도 서서히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90°를 넘어 열리게 되면 요동레버(14)의 하단에 설치된 롤러(16)는 만곡돌출부(18b)를 지나 하단의 완결사부(18c)에 접촉하게 되어 요동레버(14)에는 떠받히는 힘이 감소되지만, 이 때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는 점차 저하되는 상태이므로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충분히 감쇠시킬 수 있어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급격히 열리는 일이 없게 된다.
상, 하 회동개폐문(1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외측면(열린 상태에서는 내측면으로 됨)이 차체(10)의 측면에 설치된 완충고무(도시되지 않음)에 접촉하게 되므로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없으며, 상기 고정안내레버(17)도 상, 하 회동개폐문(12)와 충돌되는 등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느 부위에서도 충돌이 일어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열리게 된다.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닫는 과정에서는 상술한 열림과정과 역순 및 역방향의 작용으로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감쇠시키게 되어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안전하게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가 트럭 적재함의 상, 하 회동개폐문을 여닫을 때 상, 하 회동개폐문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가 감쇄되어 상, 하 회동개폐문이 급격히 열리는 일이 없이 서서히 열리게 되어 상, 하 회동개폐문이 차체와 충돌하면서 차체나 상, 하 회동개폐문을 파손시키거나 상, 하 회동개폐문이 작업자를 때려 부상을 입히는 일이 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요동레버와 고정안내레버 및 탄성부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며, 상, 하 회동개폐문의 자중에 의한 하향 모멘트를 감쇠시킬 수 있는 상향 모멘트를 얻기 위한 역학적인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시예와 같은 트럭 적재함이 옆문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재함의 뒷문은 물론 무겁고 상, 하 회동개폐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적재함(11)에 힌지연결되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으로 되는 제1링크와 이 제1링크를 구성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12)의 외측면에 힌지연결되는 요동레버(14)로 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적재함(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고정안내레버(17)로 되는 제3링크에 의하여 2개의 핀 조인트와 1개의 슬라이딩 조인트를 가지는 3절링크기구와, 상기 적재함(11)의 저면에 힌지연결되는 인장스프링(20)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외측단과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부 근처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3절 링크기구의 제1링크인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닫히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적재함(11)에 상, 하 회동개폐문(12)을 힌지연결하는 경첩(12a)에서 제2링크를 구성하는 요동레버(14)의 힌지연결점까지로 한정되며, 제2링크는 요동레버(14)로 한정되고 제3링크는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이 슬라이딩 조인트 캠면(18)을 가지는 고정안내레버(17)로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레버(14)의 하단에는 고정안내레버(17)에 대한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16)가 굴대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안내레버(17)의 캠면(18)은 상단의 직선부(18a)와 중단의 만곡돌출부(18b) 및 하단의 완경사부(18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와이어(21)의 왕복주행을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롤러(29)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KR2019940031023U 1994-11-23 1994-11-23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KR970005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023U KR970005626Y1 (ko) 1994-11-23 1994-11-23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023U KR970005626Y1 (ko) 1994-11-23 1994-11-23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53U KR960017353U (ko) 1996-06-17
KR970005626Y1 true KR970005626Y1 (ko) 1997-06-09

Family

ID=1939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023U KR970005626Y1 (ko) 1994-11-23 1994-11-23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6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65B1 (ko) * 2004-08-12 2006-07-05 한국산업안전공단 용기의 헤드커버 개폐하중 경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65B1 (ko) * 2004-08-12 2006-07-05 한국산업안전공단 용기의 헤드커버 개폐하중 경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53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613B1 (en) Truck rear door opening mechanism
CA1070564A (en) Locking mechanism for hopper car door
KR970005626Y1 (ko) 상, 하 회동개폐문 지지장치
JP2842513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100980615B1 (ko) 버스의 플랩도어 열림 고정구조
JPH09323546A (ja) バン型トラック
US4346929A (en) Truck with loading platform and body
US8240735B2 (en) Tailgate damping/detent system
JPH11117599A (ja) 昇降折戸装置
US4287833A (en) Auto carrier railway car
CA2320649C (en) Truck rear door opening mechanism
CN217051214U (zh) 一种升降机翻门安全锁
CN220100959U (zh) 便于锁门及锁止强度高的辐照箱
JPS604825Y2 (ja) ダンプ車輛における後部煽戸自動開閉装置
KR0136429B1 (ko) 자동차 후드 개폐장치
JP4130708B2 (ja) バン型トラック
JPH04123928A (ja) 煽屋根の開閉装置
JP2586675Y2 (ja) 手動式吊戸棚
SU1144934A1 (ru) Закрытие судового грузового помещени
KR200168761Y1 (ko) 자동차용 힌지어셈블리 처짐방지용 락킹장치
KR101336519B1 (ko) 건설장비 운전석의 전면 슬라이딩 창 개폐보조장치
KR930006762B1 (ko) 차량용 도어장치
GB2112850A (en) Fastening for roller shutters
KR200361259Y1 (ko) 천장용 도어 개폐장치
JPS63666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