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62B1 - 차량용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762B1
KR930006762B1 KR1019880009338A KR880009338A KR930006762B1 KR 930006762 B1 KR930006762 B1 KR 930006762B1 KR 1019880009338 A KR1019880009338 A KR 1019880009338A KR 880009338 A KR880009338 A KR 880009338A KR 930006762 B1 KR930006762 B1 KR 93000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opening
vehic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782A (ko
Inventor
야스오 고도아끼
가즈히로 에마루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1870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2101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6324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68916U/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도어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동 도어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 아암부재의 로울러와 도어의 레일부재와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도어장치를 장비한 차량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배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도어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X-X선 확대상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도어장치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확대도.
제10도는 종래의 차량의 배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개의 적재실을 가진 자동차 11 : 적재실
12 : 개구 13 : 도어
14 : 제2아암부재 15 : 제1아암부재
17 : 댐퍼부재 21a,21b : 로우러
22 : 레일부재 33 : 측벽
37a,50a : 상부쪽링크 38 : 가스스프링
39a : 하부쪽링크 40a : 가스스프링
42 : 비틀림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재실(1)의 양쪽에 형성된 개구를, 루우프의 일부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윙(2)을 가진, 소위 밴형(Van type)의 차량(3)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실개소 60-176919호 공보참조).
그런데 한 개의 적재실을 가진 자동차에 있어서, 차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전후방향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가 착설된 것은 이미 실용화 되어 있으나, 하물의 출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도어의 상부를 루우프에 힌지고정해서 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도록 하였을 경우, 도어를 열때에 도어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이 크므로, 차량옆쪽에 전주등의 장해물이 있으면 도어를 열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가진 차량에 있어서, 도어를 열때에 도어의 개폐동작을 일정한 궤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도어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을 적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차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의 측부와 차체개구와의 사이에, 상ㆍ하 2본의 아암부재가 착설되고, 하부쪽의 제1아암부재는 양단부가 도어의 측부와 차체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회전자재케 연결되고, 상부쪽의 제2아암부재는 일단부가 차체개구의 가장자리부에 회동자재케 연결되고, 타단부에 착설된 슬라이더부가 도어의 측부에 착설된 레일부에 감합되며, 이 슬라이더부와 레일부에 의해서 도어가 차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에 도어가, 차체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상하방향의 요동에 의해서 개폐하도록 상부쪽 링크와 이 상부쪽 링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쪽 링크를 게재해서 연결되고, 상기 상부쪽링크와 상기도어의 연결은, 이 상부쪽 링크에 대해서 도어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의 도어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쪽 링크를 상기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개폐기구를 구성한 것을 제2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쪽의 제1아암부재와 상부쪽의 제2아암부재에 의해서, 차체측벽에 형성된 개구의 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자재케 지지되고, 제2아암부재에는 도어에 착설된 레일부에 감합하는 슬라이더부를 착설한 것이다.
따라서 도어를 열때에, 도어는 제2아암부재에 의해서 상부쪽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제2아암부재의 슬라이더부와 도어의 레일부에 의해서 차폭방향의 안쪽으로도 이동하므로,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이 적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 에 도시한 바와같이, 1개의 적재실을 가진 자동차(10)의 적재실(11)의 측벽에는 개구(12)가 형성되고, 이 개구(12)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1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13)의 앞쪽측부(13a) 및 뒤쪽측부(13b)와 차체개구(12)의 앞쪽 가장자리부(12a) 및 뒤쪽 가장자리부(12a)와의 사이에는, 상하 2본의 아압부재(14)(15)가 각각 착설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쪽의 제1아암부재(15)(15)은 일단부(15a)(15a)가. 차체개구(12)의 상부근처의 앞쪽 가장자리부(12a) 및 뒤쪽 가장자리부(12b)에 각각 상하회동자재케 착설되고, 타단부(15b)(15b)가 도어(13)의 하부 근처의 앞쪽측부(13a) 및 뒤쪽측부(13b)에 각각 상하 회동자재케 착설되어 있다.
각 제1아암부재(15)(15)에는, 이 제1아암부재(15)(15)를 상부로 부세하기 위하여 댐퍼부재(17)의 일단부(17a)(17a)가 차체개구(12)의 하부근처의 앞쪽 가장자리부(12a) 및 뒤쪽 가장자리부(12b)에 각각 상하회동 자재케 착설되고, 또 댐퍼부재(17)의 타단부(17b)(17b)는 각각 상하 회동자재케 착설되어 있다.
상기 각 제1아암부재(15)(15)의 타단부(15b)(15b)는, 연결부재(19)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19)는 도어(13)를 열때에 이 도어(13)의 앞쪽과 뒤쪽이 기울어진 상태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도어(13)내를 관통해서 착설되어 있다. (19a)는 도어(13)내에 착설되어서 연결부재(19)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이다.
또한, 이 연결부재(19)는 도어(13)의 강성이 높을 경우에는 특히 필요하지 않다.
한편, 상부쪽의 각 제2아암부재(14a)(14a)가 차체개구(12)이 상부근처의 앞쪽 가장자리부(12a) 및 뒤쪽 가장자리부(12b)에 각각 상하동 자재케 착설되어 있다.
이 각 제2아암부재(14)(14)의 타단부(14b)(14b)는, 도어(13)의 앞쪽측부(13a) 및 뒤쪽측부(13b)를 따라서 하부쪽으로 신장하고, 이 각 타단부(14b)(14b)에는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13)의 차폭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로울러(슬라이더부)(21a)와 전후방향으로의 위치를 결정하는 로울러(슬라이더부)(21b)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2개소에 부착되어 있어, 도어 상하방향의 덜커덩거림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어(13)의 앞쪽측부(13a) 및 뒤쪽측부(13b)에는, 이 앞쪽측부(13a) 및 뒤쪽측부(13b)를 따라서 하부로 신장하고, 상기 각 로울러(21a)(21b)가 각각 슬라이드자재케 감합하는 레일부(22a)(22b)가 형성된 레일부재(2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면, 지금 도어(13)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도어(13)를 열려고, 도어(13)의 하부를 상부쪽으로 들어올리면, 도어(13)는, 제1, 제2아암부재(15), (14)에 의해서 상부쪽으로 요동됨과 동시에, 제2아암부재(14)의 로울러(21a)(21b)에 의해서 레일부재(22)가 안내되어서, 레일부재(22)와 함께 도어(13)가 차폭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의하면 상부를 루우프에 힌지부(30')(제1도 참조)로 인지고정한 종래의 도어(13')와 같은 높이(H)까지 열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도어(13)는 차폭방향의 안쪽으로의 이동량(W)만큼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종래의 도어(13')로는 차체개구와 도어와의 사이를 댐퍼부재로 직접 연결하므로, 댐퍼부재의 스트로우크가 길어, 길다란 치수의 댐퍼부재가 필요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차체개구(12)와 제1아암부재(15)와의 사이를 댐퍼부재(17)로 연결하므로, 댐퍼부재(17)의 스트로우크가 짧아져서, 칫수가 짧고 소형인 댐펴부재를 사용할 수 있어, 도어를 열었을 경우에 차체밖으로 돌출하는 양을 매우 짧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부쪽 아암의 사이드 도어에 대한 연결점을 1개로 하고, 사이드도어를 열기 위하여 들어올리는 힘을 하부쪽링크와 사이드도어와의 연결점을 지점으로 해서 상기 연결점에 작용시키거나, 혹은 사이드도어의 하중을 이 연결점에 작용시켜도, 상부쪽 링크에 작용하는 부세력이 그 들어올리는 힘에 대항하게 되어, 하부쪽 링크는 그 연결점의 슬라이드에 의거해서 하부로 요동하지는 않는다. 이때문에, 상부쪽 링크와 하부쪽 링크와는 소정의 상승위치까지 일정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사이드도어의 개폐동작을 일정한 궤적에 의거해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이드도어의 개폐동작을 일정한 궤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부쪽 링크의 사이드도어에 대한 연결점이 한개로 충분하게 되며, 그 연결점이 형성되는 상부쪽 링크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사이드 도어가 열릴때에 차체밖으로 돌출하는 상부쪽링크의 길이를 짧게 해서 콤팩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1개의 적재실을 가진 자동차(10)의 차체에 있어서는 적재실(11)은 좌우의 양측벽(33)과 이 양측벽(33)을 벌리는 루우프(34)에 의하여 구획되어 이루어져 있고, 이 양측벽(33)중 한쪽의 측벽에만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1개의 적재실을 가진 자동차(10)에 있어서는 개구(12)의 앞쪽 가장자리부(제4도중,왼쪽)와 뒤쪽 가장자리부(제4도중,오른쪽)의 구성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명의 편의상 개구(12)의 앞쪽 가장자리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측벽(33)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쪽 링크(37a)와 하부쪽 링크(39a)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쪽 링크(37a)는 힌지(46a)에 지지되어 있다. 측벽(33) 외면에는, 상기 개구(12)의 상부근처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오목부(4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48a)에는 힌지(46a)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되어 있다. 상부쪽 링크(37a)는 핀(35a)과 링크부(30a)와 연장부(31a)로 이루어져 있다. 핀(35a)은 차체전후방향(제4도중,좌우방향)으로 뻗도록 배설되어 있고, 이 핀(35a)은 상기 오목부(48a)의 측벽을 서로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이 핀(35a)의 일단부쪽은 이 오목부(48a)내로 향하고, 이 핀(35a)의 타단부쪽은 차체내로 향하고 있으며, 이 핀(35a)의 일단부쪽은 상기 힌지(46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제7도 참조).
링크부(30a)는, 그 일단부가 상기 핀(35a)의 일단부와 직교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이 링크부(30a)의 타단부쪽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벽(33)을따라 뻗도록 한 형상으로써 핀(35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연장부(31a)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일단부가 상기 핀(35a)의 타단부에 직교하도록 해서 고정되어 있고, 연장부(31a)의 타단부쪽은 그대로 차체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7도에서 (41a)는 덮개이다.
상기 하부쪽링zm(39a)는 그 일단부가 상기 개구(12)의 상부 근처의 가장자리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하부쪽링크(39a)와 상기 측벽(33)과의 사이에는 가스스프링(40a)이 개재되어 있다. 가스스프링(40a)의 일단부쪽은 상기 개구(12)의 하부근처의 앞쪽 가장자리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가스스프링(40a)의 타단부쪽은 하부쪽링크(39a)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30a)의 타단부쪽과 하부쪽링크(39a)의 타단부쪽에는, 이 양자(30a)(39a)를 대체로 평행하게 해서 도어(13)가 지지되어 있다. 도어(13)에는 앞쪽 가장자리부(도면에서 좌측) 내면에서 레일부재(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레일부재(22)는 도어(13)의 상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부가장자리를 향해서 뻗어 있다. 이 레일부재(2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일부(22a)(22b)를 가지고 있고, 레일부(22a)에는 도어(13)의 차폭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로울러(21b)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울러(a)와 로울러(b)는 상기 링크부(30a)의 타단부쪽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와같은 로울러(21a)(21b)는 그들을 일조로 해서 링크부(30a)의 타단부쪽에 1개소만 착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어(13)에는 링크부(30a)의 타단부쪽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쪽 링크(39a)의 타단부는 도어(13)의 하부근처의 앞쪽측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하부쪽 링크(30a)와 협동해서 일정한 궤적으로 도어(13)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서 이 도어(13)는 상기 개구(12)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링크부(30a)와 하부쪽 링크(39a)가 하부로 요동해서 도어(13)가 개구를 닫았을 때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이 도어(13)는 측벽(33)쪽에 대해서 록크되게 되며, 록크를 해제하지 않으면 외력이 도어(13)에 작용하여도 도어(13)는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링크부(30a)와 하부쪽 링크(39a)가 상부로 요동하였을 때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 상부까지 들어올리도록 도어 있다.
상기 상부쪽 링크(37a)의 연장부(31a)와 차체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세수단으로서이 가스스프링(38)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제6도에 있어서는 간략하게 도시한다). 이 가스스프링(38)은 연장부(31a)를 개재해서 링크부(30a)를 제6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있고, 도어(13)가 닫혀있을 때에도 [도어(13)는 측벽(33)쪽에 대해서 록크상태에 있다], 그 피스톤로드(38-1)는 단축된 상태에 있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13)가 차체상부에서 루우프(34)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하게 되었을 때, 피스톤로드(38-1)는 가장 신장(full stroke)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개폐기구에 있어서는 도어(13)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올리면, 가스스프링(38)(40a)이 신장하며, 링크부(30a)와 하부쪽 링크(39a)가 상부로 향해서 요동하게 되어, 도어(13)는 링크부(30a)와 하부쪽 링크(39a)에 의해서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링크부(30a)의 타단부쪽에 있어서의 로울러(21a)(21b)에, 도어(13)을 들어올릴 때에 있어서의 들어올리는 힘이, 하부쪽 링크(39a)와 도어(13)와의 연결점을 지점으로 해서 작용함과 동시에, 도어(13)의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링크부(30a)는 가스스프링(38)에 의해서, 제6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고 있어, 링크부(30a)와 하부쪽 링크(39a)는 대체로 평행하게 유지되고, 그 일정한 관계에 의해서 도어(13)는 제6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 제6도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할 때의 전후의 시점에서 하부쪽 링크(39a)의 요동력이 도어(13)를 차폭방향 안쪽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되며, 그것에 의하여도 도어(13)의 차폭방향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링크부(30a)의 타단부쪽으로 로울러부(21a)(21b)를 1개소에만 착설하도록 해도 도어(13)를 일정한 궤적으로 개폐동작시킬 수 있게 되며, 링크부(30a)는 로울러부(21a)(21b)의 부착개소가 됨에 따라, 도어(13)의 열림시에 차체밖으로 돌출하는 길이를 짧게 할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어(13)의 개폐동작을 일정한 궤적으로 유지하면서 외관상으로도 바람직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8도, 제9도는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1및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쪽 링크(50a)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장부(31a)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 상부쪽 링크(50a)는 지지단부에서 핀(35a)을 개재해서 차체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상부쪽 링크(50a)와 차체와의 사이에는 비틀림스프링(42)이 개재되어 착설되고, 이 스프링(42)에 의하여 상부쪽 링크(50a)는 상부로의 요동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또, 상부쪽 링크(50a)의 지지단부의 단면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사면(53)이 형성되어 있어, 그 경사면(53)이 스토퍼(54)에 당접해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각도 이상, 상부로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레일부재(22)에는 도어(13)의 상부 가장자리부쪽에 레일스토퍼(55)가 형성되어 있어, 로울러(21a)(21b)가 레일부재(22)에 있어서의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부쪽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어(13)가 열릴 때에는 상부쪽 링크(50a)의 경사면(53)이 스토퍼(54)에 당접하는 제8도, 제9도에 도시한 위치가 될때까지, 상부쪽 링크(50a)는 비틀림 스프링(42)의 부세력을 받아서 상부쪽으로 요동하게 되며 이때, 로울러(21a)(21b)가 레일스토퍼(55)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도어(13)는 가스스프링(40a)에 의한 하부쪽링크(39a)의 요동뿐만 아니라 상부쪽 링크(50a)의 요동에 의해서도 끌어 올려지게 된다. 상부쪽 링크(50a)의 경사면(53)이 스토퍼(54)에 당접한 후에는, 가스스프링(40a)의 부세력에 의거하여 하부쪽 링크(39a)의 상부로의 요동에 의거해서 도어(13)는, 상부쪽 링크(50a)의 타단부쪽에 대해서 슬라이드하면서 차폭방향 안쪽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적용효과를 발생할 뿐만 아닐, 상부쪽 링크(50a) 및 이 상부쪽 링크(50a)를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더욱 콤팩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42) 대신에 코일스프링, 비틀림바아, 리이브스프링, 가스스프링등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제3실시예에 의하면,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도어의 개폐동작을 일정한 궤적을 따라서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어를 열때에, 상부쪽 링크가 차체밖으로 돌출하는 길이를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측벽에 형성된 개구(12)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도어(13)에 있어서, 도어(13)의 측부(13a)(13b)와 차체개구(12)의 가장자리부(12a)(12b)와의 사이에 상하 2본의 아암부재(14)(15)가 착설되고, 하부쪽의 제1아암부재(15)는, 양단부가 도어(13)의 측부(13a)(13b)와 차체개구(12)에 각각 회동자재케 연결되고, 상부쪽의 제2아암부재(14)는 일단부가 차체개구(12)의 가장자리부(12a)(12b)에 회동자재케 연결되고, 타단부에 착설된 슬라이더부(21)가 도어(13)의 측부(13a)(13b)에 착설된 레일부(22)에 감합되며, 이 슬라이더부(21)와 레일부(22)에 의해서 도어(13)가 차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장치.
KR1019880009338A 1987-07-29 1988-07-25 차량용 도어장치 KR930006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18703 1987-07-29
JP?62-118703 1987-07-29
JP1987118703U JPS6421017U (ko) 1987-07-29 1987-07-29
JP163246 1987-10-26
JP1987163246U JPH0168916U (ko) 1987-10-26 1987-10-26
JP62-163246 198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82A KR890001782A (ko) 1989-03-28
KR930006762B1 true KR930006762B1 (ko) 1993-07-23

Family

ID=2645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338A KR930006762B1 (ko) 1987-07-29 1988-07-25 차량용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7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82A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5674A (en) Sliding vehicle door
US5195796A (en) Deck lid hinge assembly
KR930006762B1 (ko) 차량용 도어장치
GB2290060A (en) Two part vehicle tailgate - window springs open when unlocked
US7008514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4265183A (en) Upper closure for an end door of a rail car
JPS6125571B2 (ko)
GB2174137A (en) Door
JPS6152010B2 (ko)
JPS581432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HU183204B (en) Tilting cover for vehicles
KR100394951B1 (ko)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KR100362714B1 (ko) 차량 트렁크리드의 힌지조립체
JPS621800Y2 (ko)
JPS6130906Y2 (ko)
SU1654034A1 (ru)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127783Y2 (ko)
JP2591888Y2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扉の開閉装置
JPH0421702Y2 (ko)
KR10053013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 장치
JPH0414626Y2 (ko)
JPH0622583Y2 (ja) 車両用スライドル−フのデフレクタ装置
JP2695595B2 (ja) プラグドア装置
KR19980058611A (ko) 백도어
JP2000038295A (ja) 産業車両のバッテリ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