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473Y1 -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473Y1
KR970005473Y1 KR2019930026553U KR930026553U KR970005473Y1 KR 970005473 Y1 KR970005473 Y1 KR 970005473Y1 KR 2019930026553 U KR2019930026553 U KR 2019930026553U KR 930026553 U KR930026553 U KR 930026553U KR 970005473 Y1 KR970005473 Y1 KR 970005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film
shaft
surpas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617U (ko
Inventor
정동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광기공
정동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광기공, 정동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광기공
Priority to KR2019930026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473Y1/ko
Publication of KR950018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1Core or mandrel supply
    • B65H2301/41812Core or mandrel supply by conveyor belt or chain running in closed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전체 장치도
제2도는 본고안의 요부 작동상태도
제3도는 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요부도
제4도는 에어공급 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도
제5도는 권회부에 보빈을 작동편으로 단속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정면도
제6도는 권회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2 : 터치로울러
100 : 권회부110 : 절단수단
120 : 이송수단140 : 공급부
본 고안은 압출기로부터 튜브형으로 성형되는 비닐지의 양단을 트여지게하여 판상의 시트를 양측에서 각각 보빈(일명 지관이라 칭함)에 필름이 감겨지는 것과, 새로운 보빈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고안된 써패스 와인더(SURFACE WINDER)의 보빈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써패스 와인더는, 압출기로부터 평편하게 성형되는 비닐지를 보빈에 감겨지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 종래의 써패스 와인더는 회전회되는 보빈에 비교적 얇은 비닐지(이하 필름이라 칭함)를 소정의 길이만큼 일정하게 롤 상태로 감겨지게 하는 데, 비교적 장구한 길이를 원하는 크기로 감겨지게 한 다음에는 그 해당 위치에서 필름을 절단하고 완성된 롤 필름은 작업위치에서 분리시키고, 새로운 보빈을 작업대의 위치로 장작하여 필름을 감겨지게 하는 동작 및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 졌다.
따라서, 써패스 와인더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에서부터 다시 보빈을 연결시켜주는 작업까지 모두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교체작업시 계속 취출 되는 압출기로 부터의 비닐은 지면에 닿을정도까지 늘어지거나, 아니면 작동주인 기계요소에 끼어지는 사태가 발생되어 많은 량의 파지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기계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으며, 더러는 급하게 서두르는 교체 작업중에 작업자의 신체에 부상을 입히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바, 본원 고안인이 국내 실용신안으로 선 출원하여 제72601호로등록(공고번호 93-477)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감겨지고 절단 및 보본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 제안되어 널리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의 장착 및 완성된 제품의 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써패스 와인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 등록된 고안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도 보다 동작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써패스 와인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써패스 로울러(14)의 외측으로 샤프트(12)에 끼워진 보빈(12a)을 써포트(4)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구도모터(M)의 회동으로 필름이 권회토록 하는 권회부(100)와; 상기 권회부(100)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필름(F) 권회가 완료되는 지시에 의해 칼날이 동작되어 컷팅토록 하는 절단수단(110)과; 상기 권회부(100)의 필름(F)의 권회가 이루어진 보빈(12a)이 끼워진 샤프트(12) 양단이 지지하는 홀더(121)를 이송용 실린더(122)에 의해 보관위치로 이송토록 하는 상기 이송수단(120)과; 상기 권회부(100)의 일측 상단에 위치되어 새로운 보빈(12a)에 끼워진 샤프트(12)를 걸려지게 하여, 필요시기에 이 보빈(12a)이 써패스 로울러(14)에 접하도록 완제품과 교체토록 새로운 보반(12a)을 공급시키는 공급부(140)로 주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권회부(100)는 도시하지 않은 압출기로부터 튜브형의 비닐지(P)가 고급되어 보빈(12a)에 감겨지도록 구동시키는 구조부이다.
상기 권회부(100)는 수개의 가이드 로울러(1b)들을 통과한 상태에서 써패스 로울러(14)에 밀착되는 터치로울러(2)의 사이를 통과하며 필름(F)이 밀착된 상태에서 통과된 후 보빈(12a)에 감겨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사이를 통과하는 필름은 절단작동 후 공급측의 필름이 뒤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터치로울러(2)는 그 상부가 몸체(1)에 힌지핀(3)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핀(3)과 터치로울러(2)를 연결하는 레버(5)의 중간을 밀착용 실린더(6)에 의해 전, 후진되도록 하므로써, 필요시기에만 필름(F)을 써패스 로울러(14)에 밀착토록 한다.
상기 써패스 로울러(14)는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 및 벨트를 포함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도면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필름(F)이 접한 상태에서 미끄러짐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나, 피혁제로 감싸지게 형성되며, 보빈(12a)의 외주면으로 감겨지는 필름(F)이 보빈(12a)에 밀착된 상태에서 권회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보빈(12a)은 그 중앙이 속이빈 중공형(中空形)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주로 종이재로 외주면에는 접착테이프가 일부 감겨져 필름(F)의 처음부분이 이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외주면으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보빈(12a)의 중앙은 그 중앙에는 내경으로 끼워지며 그 길이 보다 다소 긴 샤프트(12)에 끼워진 상태로 필름권회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완성된 물품을 유통시킬 때에는 이 샤프트(12)를 보빈(12a)으로부터 분해한 상태에서 이송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토록 하는 것이고, 이 샤프트(12)는 보빈(12a)에 필름(F)을 감겨지는데만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F)의 폭과 대략 동일한 보빈(12a)이 샤프트(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써포트(4)의 상부에 엊혀지게 설치하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써패스 로울러(14)와 보빈(12a)이 밀접하여 그 사이를 통과하는 필름(F)이 보빈(12a)에 감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권회작업에 의해 소정의 입력된 제어장치(도시없음)에 의해 그 권회길이가 도달되었을 때는 감지하여 필름(F)절단을 위한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절단수단(110)은 권회부(100)에서 감겨지는 필름(F)이 이미 셋팅된 소정길이로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제어장치에서 신호를 출력시켜 필름(F)을 절단토록 하는 것이다.
이 절단수단(110)의 동작은 우선, 필름(F)이 원하는 길이로 권회된 여부를 감지한 제어회로에 의해 전환신호가 써패스 로울러(14)에 접촉시키고 있던 터치로울러(2)를 후퇴 되도록 밀착용 실린더(7)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터치로울러(2)는 힌지핀(3)을 축으로 후퇴되며, 전, 후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밀착용 실린더(6)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된 리미트스위치(7)(7')들 중에 후퇴용 리미트스위치(7')가 후퇴동작을 확인하여 제어회로로 보내게 한다.
이 후퇴동작을 감지한 신호는 구동모터(M)에 보내어져, 체인이나 밸트에 의해 떨어진 위치에서도 동력전달이 가능한 써포트(4)를 회전시켜 제2도와 같은 위치로 이동될 때 몸체(1)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도시없음)를 접점하여 구동모터(M)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에어공급용 실린더(130)가 전진되며 써포트(4)에 칼날이송용 실린더(1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뚫어진 에어인입구(4')에 주입관(131)을 밀착시킨 후 에어를 칼날이송용 실린더(111)로 공급토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공급용 실린더(130)와 칼날이송용 실린더(122)를 분리하여 각각 순차적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써포트(4)가 필름(F) 절단과정과, 필름권회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 이송될 때 소정의 위치로 회동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회동이 반복되는 써포트(4)의 위치로 에어공급관을 직접 연결하기 난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름(F) 절단이 필요로 한 시기에만 써포트(4)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공급용 실린더(130)가 전진되며 써포트(4)에 파여진 에어인입구(4')로 에어를 공급토록 하고 이 에어인입구(4')가 파여진 에어인입구(4')로 에어를 공급토록 하고, 이 에어인입구(4')가 칼날이송용 실린더(122)의 에어입구로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칼날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써포트(4)가 다시 회동될 때에는 에어공급용 실린더(130)가 후퇴되며 그 연결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가 누출되는 등의 경우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공급용 실린더(130)는 전진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중앙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것이며, 그 단부에는 써포트(4)에 밀착된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주입관(131)은 패킹부재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칼날 이송용 실린더(122)는 에어의 유입으로 인해 피스톤이 전진될때 이 피스톤에서 필름(F) 방향을 향해 고정 설치된 칼날(도시없음)이 이동되며 필름(F)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부(140)에서 새로운 보빈(12a)을 구동하기 위하여 공급실린더(114)가 전진되어 샤프트(12)를 받치고 있던 후크(142)가 써패스로울러(14)의 하강되도록하여 작업자 없이도 자동으로 보빈(12a)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새로운 보빈(12a)의 공급이 이루어졌을 때 칼날에 의한 필름(F) 컷팅작업을 완료하게 됨과 아울러 계속 공급되는 필름(F)의 선단은 새로운 보빈(12a)의 외주면으로 감겨지기 시작하게 된다.
또, 필름(F) 절단을 위해 전진되었던 칼날이송용 실린더(111)는 끝단의 위치에 도달할 때 복귀감지용 리미트스위치(도시없음)를 접점하여 후퇴가 이루어지고, 완전한 복귀위치에서 컷팅이 완료된 것을 이송수단(120)의 이송용 실린더(122)로 보내게 된다.
상기 감지용 리미트스위치는 각각 칼날이송용 실린더(12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칼날과 함께 전, 후진되는 피스톤의 위치를 단속하여 제어회로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은(120) 필름(F)이 보빈(12a)에 감겨진 후 적재 위치나 다음 공정을 위해 구동되는 콘베이어가 설치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구조수단이다.
이 이송수단(120)은 상기 써포트(4)의 회전으로 상부가 트여진 홀더(121)에 샤프트(12)를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이송용 실린더(122)가 전진되며 적재 위치로 샤프트(12) 및 이에 끼워진 보빈(12a)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홀더(121)의 위치로 샤프트(12)를 회전 이동시키는 동작 과정과 써패스 로울러(14)의 상단에서 보빈(12a)에 필름(F)을 감겨지도록 하는 과정중에 샤프트(12)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편(17a)이 샤프트의 위치를 단속하게 되므로, 이 작동편(17a)의 하단으로 스프링(16)에 탄력 설치된 베어링(17)이 캠판(16)에 의해 써포트(4)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보빈(12a)에 필름을 감는 과정이나, 칼날에 의해 필름(F)을 절단하는 과정 및 홀더(121)의 위치로 샤프트(12)를 결합토록 회전할 때는 이 작동편(17a)이 상승된 상태를 갖도록 하여 작동중 본의 아니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홀더(121)의 위치로 낙하토록 할 때는 캠판(16)의 낮은 위치로 베어링(17)이 위치되며 작동편(17a)을 당기는 결과로 샤프트(12)의 단속을 해제하여 상부가 트여진 홀더(121)에 샤프트(12)끼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로빈(12a)이 공급되며 필름(F)을 권회토록 써포트(4)가 복원될 때는 다시 캠판(16)의 형상에 의해 그 접촉면이 상승되는 결과로 작동편(17a)이 상승도어 샤프트(12)의 위치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홀더(121)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이더(123)의 안내로 이송용 실린더(122)가 동작될 때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가이더(1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124)과 롤(125)을 축으로 일단이 회동가능토록 힌지 결합된다.
이 롤(125)은 끝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만곡지게 몸체(1)에 형성된지 가이드 레일(126)에 끼워진 이동되는데,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용 실린더(122)에 의해 보빈(12a)을 홀더(121)에 끼운 상태로 가이드 레일(126)의 만곡진 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롤(126)의 만곡진 곡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롤(125)이 하부를 향해 점차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121)가 롤(125)을 축으로 대략 직각되게 회전하여 샤프트(12)를 놓여지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이송용 실린더(122)의 복귀에 의해 지지판(124)의 후퇴될 때는 상기 홀더(121)의 트인부가 상부를 향한 위치로 복원되며 처음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송수단(120)에 의해 이미 권회가 완료된 롤 필름(R)은 적재 및 도시하지 않은 콘베어의 위치로 이송되는 것이며, 이 이송용 실린더(122)의 후단에 위치된 감지스위치(sw2)가 이송완료 시기를 검지한 후 그 신호를 구동모터(M)로 보내어 써포트(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 써포트의 상부측에서 공급부(140)에 의해 새로운 공급되어진 샤프트(12) 및 보빈(12a)이 작동편(17a)에 의하여 위치 단속된 상태에서 홀더(121)의 위치로 이송된 후 계속되는 필름(F)의 권취동작을 완료 길이까지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140)는 연속되는 과정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빈(12a)이 끼워진 샤프트(12)를 다단 준비시킨 상태에서 필요시기에 공급토록 하는 것으로, 제2도에서는 일 실시예로 공급실린더(141)의 끝단으로 하나의 후크(142)가 걸려져 필요 시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40)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개의 후크(142)들이 그 상부측 기대에 설치된 모터(M')가 구동될 때에 체인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며 새로운 보빈(12a)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수의 보빈(12a)을 장착할 수가 있어, 이 보빈(12a)이 소요되는 작업시간 만큼 전혀 작업자의 취급이 필요 없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필름의 권회동작은 물론, 컷팅되고 새로운 보빈이 설치됨과 아울러 완성된 제품을 이송하는 동작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신속한 작업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작업자의 숫자를 거의 줄일 수 있어 인력 감소에 의한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하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써패스 로울러(14)의 외측으로 샤프트(12)에 끼워진 보빈(12a)을 써패스(4)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지지시켜 구동시켜 구동모터(M)의 회동으로 필름이 권회토록 하는 권회부(100)와; 상기 권회부(100)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로 필름(F) 권회가 완료되는 지시에 의해 칼날이 동작되어 컷팅토록 하는 절단수단(110)과; 상기 권회부(100)의 필름(F)의 권회가 이루어진 보빈(12a)이 끼워진 샤프트(12)를 보관위치로 이송토록 하는 상기 이송수단(120)과; 상기 권회부(100)의 일측 상단에 위치되어 새로운 보빈(12a)에 끼워진 샤프트(12)를 걸려지게 하여, 필요 시기에 완제품과 교체토록 새로운 보빈(12a)을 공급시키는 공급부(140)로 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110)은 터치로울러(2)를 써패스 로울러(14)로부터 분리되도록 밀착용 실린더(6)가 후퇴되며 구동모터(M)를 동작시켜 써포트(4)를 회전토록 하고, 에어공급용 실린더(130)가 에어인입구(4')에 주입판((131)을 밀착시킨 후 에어를 칼날이송용 실린더(122)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전진되는 피스톤에 부착된 칼날이 필름(F)을 적절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20)은 상기 써포트(4)의 회전으로 상부가 트여진 홀더(121)에 샤프트(12)를 끼워지도록 하고, 이송용 실린더(122)가 전진되며 적재 위치로 샤프트(12) 및 이에 끼워진 보빈(12a)을 이동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40)는 공급실린더(141)의 전진으로 샤프트(12)를 받치고 있는 후크(142)를 전진하여 새로운 보빈(12a)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40)는 후크(142)들이 그 상부측 기대에 설치된 모터(M')가 구동될 때에 체인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며 새로운 보빈(12a)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4)에는 샤프트(12)의 위치를 단속하는 작동편(17a)의 하단으로 스프링(16)에 탄력 설치된 베어링(17)을 설치하고, 소정의 형상을 갖는 캠판(16)에 의해 상기 작동편(17a)이 승강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KR2019930026553U 1993-12-06 1993-12-06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KR970005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53U KR970005473Y1 (ko) 1993-12-06 1993-12-06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53U KR970005473Y1 (ko) 1993-12-06 1993-12-06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17U KR950018617U (ko) 1995-07-22
KR970005473Y1 true KR970005473Y1 (ko) 1997-06-05

Family

ID=1936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553U KR970005473Y1 (ko) 1993-12-06 1993-12-06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4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78B1 (ko) * 2007-06-21 2008-03-18 매일기계 주식회사 보빈와인더용 보빈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17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7853A (en) Film winding machine
JP4225485B2 (ja) フィルムロールを製造する装置
US4277032A (en) Automatic apparatus for continuously forming cloth rolls
CA2101803A1 (en) Air horn for web winding machine
KR102228558B1 (ko) 고무 시트 부재의 공급장치 및 방법
JPH0867378A (ja) 帯材のための切断兼搬送ローラ
EP1306332A2 (en) Automatic rewinder particularly for flexible film of plastic material and relative method for producing rolls
ITBO930376A1 (it) Dispositivo di prelievo e trasferimento di bobine da un magazzino ad una unita' di svolgitura.
KR970005473Y1 (ko)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CN110861952A (zh) 一种用于打包带收卷的全自动收卷机
JPH06219423A (ja) 帯状包装材供給用個別装置を持つシステム
KR100997649B1 (ko) 로딩장치 및 지관 자동 공급장치
JPS63106264A (ja) 細幅帯状体の供給装置
KR200354235Y1 (ko) 비닐원단 자동 권취장치
CN205772231U (zh) 一种分切机
ES8106263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para inspeccionar bandas de material
CN210260472U (zh) 一种自动上料的收卷机
CN208358910U (zh) 一种气泡膜裁剪装置
JPH06263295A (ja) 管状体の自動供給及び排出方法
JPH05139625A (ja) 帯状物の巻取機における巻取枠開閉および巻取物排出装置
KR930000477Y1 (ko) 써패스 와인더의 보빈 교환장치
KR20050037637A (ko) 비닐원단 자동 권취 장치
CN208120351U (zh) 一种自动卸卷装置
JPH05139583A (ja) 帯状物の巻取機における帯状物の切断巻付け装置
KR19990070826A (ko) 레이블 권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