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279B1 - 동전 불출(dispensing) 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불출(dispensing)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279B1
KR970005279B1 KR1019920015685A KR920015685A KR970005279B1 KR 970005279 B1 KR970005279 B1 KR 970005279B1 KR 1019920015685 A KR1019920015685 A KR 1019920015685A KR 920015685 A KR920015685 A KR 920015685A KR 970005279 B1 KR970005279 B1 KR 97000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isk
rotating
rotating disk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682A (ko
Inventor
카즈우미 치바
챙윤탁 크레란스
Original Assignee
카즈우미 치바
크레란스 챙 윤 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우미 치바, 크레란스 챙 윤 탁 filed Critical 카즈우미 치바
Publication of KR93000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전 불출(dispensing)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전 불출 장치를 사용한 양호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전 불출 장치의 부분사시도.
제3도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동전 저장 수단인 동전 호퍼의 아래에 부착된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제1회전디스크에 동전이 얹혀진 상태인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제1회전디스크가 제거되고, 고정디스크의 불출 슬롯에 동전이 멈추어져 불출 준비가 된 상태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6도는 제1회전디스크 및 고정디스크가 제거되고, 제2회전디스크가 불출구를 통해 동전을 불출하도록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의 주요부의 부분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제2회전디스크의 부분단면도.
제9도는 밑면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뒤집힌 상태에서의 제1회전디스크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제1회전디스크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X선을 따라 취한 제1회전디스크의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제1회전디스크의 밑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사용된 제1회전디스크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사용된 제1회전디스크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사용된 제1회전디스크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사용된 제1회전디스크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동전 불출 장치에 사용된 제2회전디스크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전 불출 장치 12 : 베이스 플레이트
14 : 하부 공동 16 : 상부 공동
18 : 경사면 20 : 제1회전디스크
22 : 공급부재 24 : 만곡한 측벽
28 : 중앙 공급 구멍 32 : 베어링 회전체
40 : 고정디스크 47 : 동전 불출 슬롯
50 : 제2회전디스크 60 : 동전 배출구
75 : 동전
본 발명은 동전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등에서 거스름돈을 불출하는데 적절히 사용되는 동전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대로 다양한 동전 불출 장치가 사용되어져 왔다. 예를들면, 브레이텐스타인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42,544호에 의하면 슬롯머신과 같은 게임기구내에 제공된 구형의 호퍼(hopper)를 내장한 게임장치용 동전 불출 장치가 공개되었다. 고객이 집어넣은 동전은 호퍼로 떨어져 고객이 슬롯 머신의 우승 배열이 당첨되었을 경우 불출하기 위한 비축 동전이 된다. 상기 호퍼의 후면에 장착된 핀 휠은 비축 동전을 지날때 동전 하나하나가 휠 원주에 집히게 된다. 핀 휠이 회전하여 최고점에 이르게 되었을때, 동전은 나이프 트랙(knife track)에 의해 게임 머신내로 각각 빠져나가서 고객이 집을 수 있도록 동전 접시로 불출된다. 쉬르멘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98,550에 의하면 다수의 동전 수용 구멍을 가진 한쌍의 회전디스크와 겹칩 디스크가 공개되었다. 이들 디스크는 서로 다른 각도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멍이 서로 일치할 때 동전은 한쪽 디스크에서 다른쪽 디스크로 옮겨간다. 디스크의 축들은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부 디스크의 구멍 하나와 하부 디스크의 구멍 하단만이 일치되므로 한번에 동전 하나만 불출하게 된다. 상기 쉬르멘 기구를 이용한 동전 불출 장치는 상기 두개의 겹쳐진 디스크 각각의 지름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 커야 한다.
또다른 선행기술로 다브로스키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881,919호가 공개되었는데, 이 장치는 호퍼의 밑면에 한개의 회전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디스크는 통로와 비슷한 다수의 원주상에 홈구멍을 구비하며, 이것은 호퍼에서 동전을 집어 일정한 각도의 위치에서 디스크로부터 동전을 분리시키므로 그 동전은 동전 접시로 불출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에비의 미합중국 특허 제Re 32,799, 타나카의 제3,680,566호, 에비의 제4,437,478호, 고에퍼너의 제4,441,515호, 존슨의 제4,531,531호, 그린카의 제4,752,274호 칠드스의 제4,557,282호, 리스트버트의 제4,681,128호, 에비의 제4,752,274호, 오카다의 제4,752,625호가 공개되었고, 아사키 세이코 유에스에이 인크. 카타로그(1989. 8. 20호)에 선행기술과 관련 공개된 목록에 실려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 목록들은 광범위한 조사의 결과이지 관련된 선행기술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인과 발명자에게 현재 알려진 선행기술의 공개로써 해석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동전 불출 장치는 호퍼와 같은 동전 저장소에 저장된 동전의 중량을 떠받는 느슨한 코일 불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같은 구조에서는 동전의 중량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동전 불출 장치의 작동을 확신할 수 없었다. 특히 상당히 많은 양의 동전이 저장될 경우, 상기 동전 불출 장치의 작동은 불확실하다.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특원평 91-94695호(동전 불출 장치란 제목으로 스텐리 피. 다브로스키의 공동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제07/645,966호와 일치함)에 상기 동전 저장소에 저장된 동전의 중량을 직접 받는 일 없이 동전을 불출하는 동전 불출 장치가 고안되었다.
상기 언급한 공동 계류중인 일본 특원평에 공개된 동전 불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이트와, 중앙공급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중앙 공급 구멍에 정렬된 불출 슬롯(slot)을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디스크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고정디스크와, 상기 불출슬롯과 협동하면서, 표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압출 보올을 포함하며 상기 불출 슬롯과 오프셋되어 상기 고정디스크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동전 호퍼로부터 수용된 동전을 불출하기 위한 불출 장치로서, 동전호퍼로부터 수용된 동전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으로 공급된 후 상기 고정디스크의 불출 슬롯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2회전디스크의 밀침 보올(push ball)의 움직임에 의해 불출 슬롯의 하방향으로 내보내어져 불출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디스크는 공급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부재는 원호형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한쪽 단부는 외접방향으로 제1회전디스크와 접촉한다. 또다른 단부는 중앙 공급 구멍에서 끝난다. 상기 원호형 측벽은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의 전 발명과 동일한 공동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제07/645,966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공동 계류중인 다브로스키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의 발명은 동전의 하중을 덜어주기 위해 동전 불출 장치의 작동, 즉 동전 불출 장치에서 확실히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였지만 아직도 해결할 문제점이 남아있다.
예를들면, 제1회전디스크에 제공된 공급부재의 원호형 측벽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회전디스크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전 호프에 의해 동전이 중앙 공급 구멍으로 안내될 때 정렬된 동전을 따라 힘이 다수의 동전에 가해지면서 간헐적으로 다수의 동전들이 구멍에 막히게 된다. 이 경우에 제1회전디스크의 원활한 회전이 방해받으므로 동전들이 중앙 공급 구멍으로 안내될 수 없게 된다. 제2회전디스크에 장착된 밀침보올은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모우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피하도록 제공된 압출수단이지만 그 밀침 보올의 구조는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을 통과하여 고정디스크와 마주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며 스프링을 아래방향으로 힘을 약화시킴으로써 동전 아래에서 미끄럼운동과 같은 상기 밀 침 보올의 활동으로 인한 불출된 동전의 막힘시 모우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보호하는 점에 있어서 유리하지만, 밀침 보올의 미끄럼 운동으로 불출시키기에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불출된 동전이 막히는 것을 막아주며 동전 불출 장치의 성능이 만족하게끔 유지하기 위해 저장소에 있는 동전 하중의 부하를 받지 않는 동전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불출될 동전이 막힐 때 회전디스크는 구동하는 모우터에 과부하를 피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동전의 불출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한 동전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목적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전교환장치에 있어서 :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동전 저장수단으로부터 동전을 수용하면서 동전 하나씩의 공급을 원칙으로 하는 중앙공급구멍을 구비한 제1회전수단과; 슬롯을 통해 공급된 동전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상기 중앙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된 동전의 불출 통로를 형성하도록 내측 단부에서 상기 중앙 공급 구멍과 함께 길이로 연장된 슬롯을 형성한 고정수단과; 상기 길이로 연장된 슬롯내의 동전을 불출구로 밀어내기 위해, 그리고 연장된 슬롯내의 동전을 하나씩 압출하기 위한 공급력을 가하도록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압출 수단을 수반하는 제2회전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수단들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그리고 제1원주단은 최대 반경을 제2원주단은 최소 반경으로 다른 크기의 반경을 갖추고 상기 제1단부에서 제2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면서 중앙공급 구멍을 향해 아래로 테이퍼각을 이룬 만곡하고 테이퍼진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수단내의 동전을 상기 중앙공급구멍으로 밀어 넣도록 제1회전부재에 설치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동전 불출 장치이다.
구체적인 구조로서, 돌출수단은 동전이 막히지 않게 동전을 교란시키도록 측면의 제1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제1회전수단내의 동전을 수용하도록 그 표면에 제공된다.
대체로, 중앙 공급 구멍은 길이로 연장된 슬롯을 향해 열린 단부쪽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좁아지면서 테이퍼진 내측 원주부로 형성된다. 또한 측면은 제1회전수단의 외측원주부, 즉 제1단부로 중앙공급구멍의 원주를 따라 실제로 연장될 것이다. 또는 상기 측면은 제1회전수단의 외측 원주부, 즉 제1단부 근처의 위치로 중앙공급구멍의 원주를 따라 실제로 연장될 것이다.
상기 언급한 구조에 있어서, 압출수단은 제2회전수단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압출 수단은 제2회전 수단에서 돌출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출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형태로 압출수단은 제2회전수단에서 돌출하여 정확히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바아형 부품을 포함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2회전수단은 압출 수단을 수반하는 제1회전부재와, 그리고 공급되는 구동 토오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호 결합되며, 정상적인 부하일 경우 제1 및 제2회전부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선정된 크기 이상의 부하일 경우는 상기 두 부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과 제2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된 과부하 클러치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의 동전 불출 장치에 있어서 : 동전을 공급하도록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며 그곳에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와;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을 구비하며, 이곳을 통해 동전을 통과시키도록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공급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쪽단부의 수직 연장된 부분에서 끝나는 테이퍼진 표면과 상기 상부면의 일부인 중앙 공급 구멍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의 하단과 반대되는 내측단부와 동전 배출구를 향해 열린 외측 단부를 구성하며 수평으로 연장되는 동전 불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한 고정 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아래에 위치하고 동전에 공급력을 가해 동전 배출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정디스크에 형성된 동전 불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압출부재를 수반하는 제2회전디스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동전 불출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제1회전디스크의 테이퍼진 표면은 수평면에 대해 일정치 않은 테이퍼 각으로 구성되며 한쪽 단부에서 다른쪽 단부로 갈수록 이 테이퍼각은 증가한다. 테이퍼진 표면의 다른쪽 단부는 중앙 공급 구멍의 내측 원주부로 거의 연속적이다. 중앙 공급 구멍은 또한 상단에 최대직경과 하단에 최소직경으로 구성된 테이퍼진 내측 원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구조로서의 동전 불출 장치로는 원주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경사진 면을 가지면서 제1회전디스크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돌출부는 중앙공급구멍의 원주 가장자리 가까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돌출부는 테이퍼진 표면의 한쪽 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그 표면의 경사면으로 향하기 때문에 돌출부의 경사면은 수직 부분의 상단에서 끝난다.
불출 작동을 확실히 하기 위해 압출부재가 제2부재와 회전하도록 제2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회전디스크는 압출부재를 견고히 고정하면서 수반하는 제1상부 디스크와, 구동 토오크가 전달됨으로써 회전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연결된 제2하부 디스크와, 정상적일 경우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제1상부 디스크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제1상부 디스크에 대해 제2하부 디스크가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도록 분리시키리 위해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기계적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적 클러치는 제1상부와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서 마찰 맞물림이 생기도록 두 디스크 사이에 끼워진 웨이브 와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한 동전 불출 장치에 있어서 : 동전을 공급하도록 개구를 형성하여 그곳에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와;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를 통해 공급된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을 구비하며, 이곳을 통해 동전을 통과시키도록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공급 구멍을 형성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의 하단과 반대되는 내측단부와 동전 배출구를 향해 열린 외측단부를 구성하며 수평으로 연장되는 동전 불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아래에 위치하고 동전에 공급력을 가해 동전 배출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정디스크에 형성된 동전 불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압출부재를 수반하며, 제1상부 디스크에 견고히 고정된 압출부재를 수반하는 제1상부 디스크와, 구동토오크가 전달됨으로써 회전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연결된 제2하부 디스크와, 정상적일 경우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제1상부 디스크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제1상부 디스크에 대해 제2하부 디스크가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도록 분리시키리 위해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기계적 클러치를 구비한 제2회전디스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동전 불출 장치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의 동전 불출 장치에 있어서 : 동전을 공급하도록 개구를 형성하여 그곳에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와;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를 통해 공급된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을 구비하며, 이곳을 통해 동전을 통과시키도록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공급 구멍을 형성하며, 또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쪽단부의 수직 연장된 부분에서 끝나는 테이퍼진 표면과 상기 상부면의 일부인 중앙 공급 구멍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의 하단과 반대되는 내측단부와 동전 배출구를 향해 열린 외측 단부를 구성하며 수평으로 연장되는 동전 불출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한 고정 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아래에 위치하고 동전에 공급력을 가해 동전 배출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정디스크에 형성된 동전 불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압출부재를 수반하며, 제1상부 디스크에 견고히 고정된 압출부재를 수반하는 제1상부 디스크와, 구동토오크가 전달됨으로써 회전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연결된 제2하부 디스크와, 정상적일 경우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제1상부 디스크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제1상부 디스크에 대해 제2하부 디스크가 미끄러지면서 회전하도록 분리시키리 위해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기계적 클러치를 구비한 제2회전디스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동전 불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아래에 주어진 세부 기술과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인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상기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설명과 이해를 위한 것이다.
도면 특히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인 동전 불출 장치(10)은 전방단면(13)을 갖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2)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제1회전디스크(20) 및 고정디스크(40)을 포함하는 동전 불출 장치(10)의 작동요소들을 수용하는 위로 열린 상부 공동(cavity)(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제2회전디스크(50)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공동(16)의 밑부분에 하부공동(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각 귀퉁이에는 동전 호퍼 부착 포터(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전 저장수단인 동전 호퍼(90)(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함)을 그곳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동전 호퍼(90)은 동전 불출 장치(10)의 전체적인 외부 형상에 따라서 적당한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동전 호퍼(90)의 내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부와 직접 통하도록 바닥부가 열려 있다. 그리고 동전 호퍼(90)은 호퍼 부착 포트(11)에 나사 또는 기둥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고착시킬 수 있다. 동전 불출 장치(10)은 동전 호퍼(90))에 저장된 동전(75)를 동전 호퍼(90)의 바닥부로부터 직접 배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동전을 불출하기 위해 출구 슬롯(60)으로서 작용하는 개구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전방 단면(13)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동전 불출 장치(10)에서 나오는 동전을 수용하기 위하여 출구 슬롯(60) 부근에는 동전 트레이(tray : 도시생략)가 배치된다.
제2도는 상기 동전 불출 장치(10)의 양호한 실시예의 작동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다. 제1회전디스크(20), 베어링 회전체(32), 고정디스크(40), 그리고 제2회전디스크(50)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부 공동(16) 및 하부공동(14)에서 서로 적층되어 부착된다.
제1회전디스크(20)은 주로 실린더형의 부재이며, 공급부재(22)를 구비한다. 공급부재(22)는 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원호형 측벽(24)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원호형 측벽의 고률반지름은 한쪽 단부에서 다른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원호형 측벽(24)의 한쪽 단부는 외주벽에 가까운 최대반경 위치에서 끝나고 다른쪽 단부는 중앙 공급 구멍(28)과 일치하는 최소 반경 위치에서 끝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회전디스크(20)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중앙 공급 구멍(28)은 불출될 동전(7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으로 구성된다.
제9도의 밑면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회전디스크(20)은 중앙 공급 구멍(28)의 동전 통로를 형성하는 실린더형 하부 연장부(86)를 구비한다. 연장부(86)은 제1회전디스크(20)의 밑면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베어링 회전체(32)는 제1회전디스크와 고정디스크 사이에 배치된다. 베어링 회전체(32)는 내면에 기어이(29)를 갖춘 기어링(30)과 고정링(33)으로 구성된다. 기어링(30)은 보올 베어링(31)을 사이에 두고 고정링(33)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어링(30)은 고정링(33)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고정디스크(40)은 베어링 회전체(32)를 사이에 두고 제1회전디스크(20) 아래에 배치되며 주로 디스크형 평면 플레이트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디스크(40)은 죔나사(48)나 다른 적당한 부착기구를 위한 다수의 나사구멍(4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공공(16)의 지정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디스크(40)은 제7도에 도시된 기어축(68)에서 위로 연장된 부착 기둥(64)에 끼워질 부착 기둥 수용 구멍(61)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딕스크(40)의 중심부에는 실린더형 연장부(41)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형 연장부(41)은 제1회전디스크(20)의 하부연방부(86)과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어 동전 통로를 형성한다. 불출 슬롯 플레이트(44)가 고정디스크(40)의 하단 중심부에 제공된다. 불출 슬롯 플레이트(44)는 연장부(41)에 의해 형성된 동전 통로의 하단에 있는 불출 슬롯(46)의 구멍으로 연장되며 고정디스크(40)의 외측 원주부에 위치한 불출 슬롯(47)을 형성한다.
제1회전디스크(20), 베어링 회전체(32) 그리고 상기 고정디스크(40)의 조립에 있어서, 먼저 고정디스크(20)을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부 공동(16)내의 선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베어링 회전체(32)의 고정링(33)을 고정디스크(40)에 고착시킨다. 그리고 베어링 회전체(32)내의 기어링(30)은 회전디스크(20)에 고착시킨다.
제2회전디스크(50)은 제1고정디스크(40) 아래에 위치하며 차후 설명될 디스크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하부 공동(14)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2회전디스크(50)은 주로 상부 플레이트(51)과 하부 플레이트(54)를 포함하는 실린더형 부재이다. 다시말하면 제1 및 제2장착용 부재(35) 및 (36)은 상기 언급한 하부 공동(14)내의 제2회전디스크(50)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디스크축(53)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회전디스크(50)의 상부면에는, 최소한 한개 이상의 압출수단(52)가 돌출부 형태로 외측 원주부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압출수단(52)은 동전 불출 슬롯을 통해 동전을 불출하도록 동전 불출 슬롯(47)과 함께 동작한다. 또한 압출 수단(52)는 동전 불출 슬롯(47)로 동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압출 수단(52)가 접근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곳에 정렬된 동전(75)를 밀어내기 위해 제2회전디스크(50)에 대해 고정된다(제2도 및 제8도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상부 공동(16)의 바닥에 위치한 동전 액츄에이터 기구(70)을 포함한다. 동전 액츄에이터기구(70)은 상부 공동(16)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한 동전 액츄에이터 아암(71)을 구비하며 이 아암은 그 자유단에 장착된 피벗(도시생략)과 로울러(72)를 축으로 피벗운동을 할 수 있다. 로울러(72)는 상부 공동(16)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호형 슬롯(74)를 통해 연장된다.
동전 액츄에이터 아암(71)은 동전 불출 운동과 동시에 로울러를 원호형 슬롯(74)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로울러(72)와 함께 구동되게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동전 액츄에이터 아암(71)은 잔돈(75) 하나가 매번 동전 출구 슬롯(60)을 통해 불출할 때 산 사이클의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동전 액츄에이터 기구(70)는 불출되는 동전(75)의 수를 카운트하는데 사용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전 트레이(도시생략)가 상기 동전 출구 슬롯(60) 근처에 배치된다. 동전 출구 슬롯(60)을 통해 불출되는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동전 트레이의 용량은 그곳의 수용 내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전 불출 장치(10)는 불출되는 동돈(75)를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90)를 이루는 동전 불출 장치의 하우징 바닥에 배치된다. 도시된 동전 불출 장치(10)는 거의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동전 불출 장치(10)는 동전 출구 슬롯(60)이 형성되어 있는 정방 단면을 반대쪽 단면보다 더 낮게 경사지게 동전 불출 장치의 하우징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전 불출 장치의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해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디스크(20)(5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가 제1 및 제2회전디스크(20)(50)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2) 아래에 장착된 모우터(도시생략)를 포함한다. 모우터 축(9)은 기어 이를 갖춘 팁 단부(tip end)로 구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의 내부로 연장된다. 작은 직경의 전달기어(92a)는 기어축(92)로 지지된다. 작은 직경의 전달기어(92a)는 축을 통해 전달되는 모우터의 출력 토오크에 의해 회전구동될 모우터 축(9)의 기어이(91)과 맞물린다. 큰 직경의 기어 위에 위치한 작은 직경의 전달기어(92)의 상부는 모우터의 구동토오크를 제2회전디스크에 전달하기 위해 제2회전디스크의 외곽 원주부에 형성된 기어이(57)과 맞물리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기어축(68)은 이 축을 통해 구동토오크가 전달될 큰 직경의 전달기어(93)과 맞물리게 되는 전달 기어(66)을 갖추고 있다. 상기 언급했듯이, 부착 기둥(64)는 기어축(68)과 일직선 상의 놓인 전달기어(66)으로부터 위로 향해 연장되어 있다. 부착 기둥(64)는 부착 기둥(64)와 구동기어(62) 사이의 상대적 각 변위 발생을 막으면서 구동기어(62)에 수용되기 위해 다각형 단면의 팁 단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언급했듯이 부착 기둥(64)는 상부 공동(16)의 바닥면의 구멍(61)을 통해 연장된다. 구동기어(62)는 베어링 회전체(320의 기어링(30)의 내부 기어이(290과 맞물리게 된다.
동전(75)를 불출하기 위해 모우터가 구동되면, 모우터축(9)도 작은 직경 및큰 직경의 전달기어(92)(93)을 구동시키게 된다. 작은 직경의 전달기어(92)의 회전함에 따라, 제2회전디스크(50)은 압출수단(52)의 작동에 의해 동전 출구 슬롯(60)을 향해 정렬된 동전(75)를 밀쳐내도록 회전 구동된다. 동시에 지름 전달기어(93)은 부착 기둥(64) 및 구동기어(62)와 함께 전달기어(66)을 구동하게 된다. 구동기어(62)의 회전으로 인하여, 베어링 회전체(32)의 기어링(300은 제1회전디스크(2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언급한 구조에 있어서, 동전 호퍼(90)에 저장된 동전(75)들의 중량이 제1회전디스크(20)에 걸리기 때문에, 제2회전디스크(50),불출슬롯(47) 및 동전출구 슬롯(60)은 동전 호퍼(90)내의 동전 중량에서부터 벗어나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2회전디스크(50), 불출슬롯(47) 및 동전 슬롯(60)은 저장된 동전(75)의 하중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제2회전디스크(50)과 상기 언급한 연관된 요소들을 동전 호퍼(90)내에 저장된 동전(75)의 하중으로 인한 마모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언급한 구조는 공동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645,966과 유사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공동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은 제1회전디스크(20)의 공급 부재(22)의 구조와 그리고 제2회전디스크(50)의 압출 수단(52)의 구조이다.
제1회전디스크(20)의 공급부재(22)의 만곡한 측벽(24)은 평면에 대해 기울어져 경사진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만곡한 측벽(24)의 경사각은 반지름이 줄어들수록 시계방향으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만곡한 측벽(24)의 외단(27)과 내단(25) 사이의 반경은 시계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그 크기가 감소한다. 만곡한 측벽(24)가 끝나는 위치의 외곽모서리(58)은 제1회전디스크(20)의 주위 측벽(21)과 거의 근접한 곳에 위치한다.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압출수단(52)는 불출 슬롯(47)과 협동하도록 제공된다. 앞서 언급한 대로 압출수단(52)는 제2회전디스크(50)에 고착되어 제2회전디스크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수단(52)은 제2회전디스크(50)의 상부면에서 돌출한 고정핀(52a)일 수도 있다. 제2회전디스크(50)의 상부 플레이트(51)과 하부 플레이트(54) 사이에는 웨이브 와셔(56)이 끼워진다. 따라서 제2회전디스크(50)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51)(54)는 그 사이에 끼워진 웨이브 와셔(56)에 의해 서로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상부 플레이트(51)은 이곳의 밑면에서 축방향 아래로 연장된 중앙 원형 연장부(53)을 구비한다. 이 원형 연장부(53)은 제1 및 제2부착부재(35)(36)과 맞물리게 된다. 스냅링(snap ring)(55)은 원형 연장부(53)의 외측 원주에 맞물려서 상부 플레이트(51)에 대해 하부 플레이트(54)가 축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51)과 하부 플레이트(54)를 맞물림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또한 제1회전디스크(20)의 상부 표면에는, 평면부의 양단에 평면부(17)과 경사진부(18)로 이루어진 원호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17)의 한쪽 단부에 있는 경사진부(18)의 한쪽은 공급부재(22)의 만곡한 측벽(24)이 끝나는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회전디스크(20)의 중앙 공급 구멍(28)은 경사진 측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공급 구멍(28)의 직경은 상부 가장자리(37)에서 하부 가장자리(38)로 갈수록 감소한다. 중앙 공급 구멍(28)의 하부 가장자리(38)의 직경은 불출될 각각의 동전(75)의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거의 일치하게 선택된다.
앞서 언급한 동전 불출 장치(10)의 작동은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한대로, 동전 호퍼(90)으로부터 다수의 동전(75)가 하중에 의해 제1회전디스크(20)의 공급부재(22)에 공급된다. 상기 제1회전디스크(20)은 반시계 방향(제4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된다. 제1회전디스크(20)의 회전으로 인해, 공급부재(22)는 제1회전디스크(20)에 놓인 동정(75)들을 교반시켜 중앙 공급 구멍(28)로 몰아넣게 된다. 이와 같은 몰아넣는 작업은 앞서 기술한 나선 모양으로 연장된 만곡한 측벽(24)에 의해 실행된다. 공급부재(22)의 만곡한 측벽(24)은 증가되는 경사각과 감소되는 반경크기로 중앙 공급 구멍(28)을 향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회전디스크(20)으로 낙하된 모든 동전(75)는 중앙 공급 구멍(28)로 확실히 안내될 수 있다.
제5도를 설명하기 이전에, 제5도에 쉽게 이해되도록 제1회전디스크(20)과 베어링 회전체(32)가 제거된 상태인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동전(75)가 제1회전디스크(20)의 중앙 공급 구멍(28)을 거쳐 낙하할 때, 각각의 동전은 불출 슬롯 플레이트(44)에 형성된 불출 슬롯(46)으로 들어간다. 각 동전(75)의 하면은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그 일부가 상부 공동(16)의 윗면에 놓이고, 다른 일부는 제2회전디스크(50)의 윗면에 놓인다.
불출 슬롯(46)은 내측단에는 원호 형상을 갖추며 불출된 동전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불출 슬롯(46)의 구조는 불출된 동전(75)를 일렬로 정렬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불출 슬롯(46)은 불출 슬롯(47)을 지나 동전 출구 슬롯(60)에 대하여 열려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제5도에 도시된 불출 슬롯(46)에 동전(75)을 일렬로 정렬시키기에 적합한 배열이다.
제6도는 쉽게 이해되도록 고정디스크(50)을 제거한 상태에서 동전 불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동전(75)은 불출 슬롯(46)(가상선으로 표시됨)의 위치에서 정렬되어 있다. 제2회전디스크(50)은 고정디스크(40)에 대하여 벗어난 위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하부 공동(14)에 배치되어 있다. 제2회전디스크(50)이 디스크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2회전디스크(50)의 외주가 동전(75)열의 아래에서 반시계 방향(제6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회전디스크(50)의 외주 가까운 곳의 표면에 부착된 고정 압출핀(52a)은 불출 슬롯(46)의 내측좌단에 놓인 동전(75)과 접촉한다. 제2회전디스크(5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압출핀(52a)는 일렬의 최내측 동전(75)을 동전 출구 슬롯(60)으로 밀어내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운동에 의해, 동전출구 슬롯(60)에 가장 가까이에 놓인 최외측 동전(75)은 상기 출구 슬롯으로밀려 동전 트레이로 불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불출된 동전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제2회전디스크(50)이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압출핀(52a)는 불출 슬롯(46)에 일렬진 동전들중 최내측 동전(75)과 교대로 첩촉하게 된다. 압출핀(52a)는 모우터의 구동 토오크에 의해 제2회전디스크(20)과 함께 회전 구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불(46) 또는 동전 출구 슬롯(60)에서 동전이 막혀 동전(75)을 전진시키기 위해 과다한 구동력이 요구되며, 그리고 제2회전디스크(20)에 가해지는 구동토오크가 선정된 크기 이상일 경우, 제2회전디스크(50)에 가해진 지나친 토오크로 인한 웨이브 와셔(56)의 회복력의 작용으로 상부 플레이트(51)과 하부 플레이트(54)가 서로 미끄러지게 한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54)의 원주부에 형성된 기어이(57)와 적은 지름의 전달기어(92)로 구성되어 기어군을 통해 모우터의 구동 토오크를 받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54)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1)과 분리된다. 그러므로, 상부 플레이트(51)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하부 플레이트(54)는 구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시한 구조에서는, 제1회전디스크(20)과 제2회전디스크(50)이 정상적인 상태로 동시에 회전할 때만이 동전(75)가 불출될 수 있다.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평면부(17)가 경사부(18)로 형성된 상기 원호형 돌출부(19)는 제1회전디스크(20)이 회전하는 동안, 동전 호퍼의 바닥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원주면에서의 동전 막힘 때문에 제1회전디스크(20)가 작동 못할 수 있는 동전과, 최대 반경을 이루고 있는 만곡한 측벽(24)의 단부 가까이에 쌓여 있는 동전(75)는 원호형 돌출부(19)의 경사부(18)을 따라 미끄러져서 막힘이 일어날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적절히 분산된다.
추가적으로, 중앙 공급 구멍(28)의 경사진 원주벽은 구멍으로 낙하되는 동전을 수평으로 배치시키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중앙 공급 구멍(28)의 경사진 원부벽의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동전(75)는 중앙 공급 구멍(28)으로 낙하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이같은 경우, 수직으로 쌓인 동전은 불출 슬롯(46)으로 나가지 않고, 중앙 공급 구멍(28)에 머물게 되므로 동전을 중앙 공급 구멍을 통해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반면 경사진 원주벽인 경우, 중앙 공급 구멍으로 낙하하는 동전(75)은 낙하된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수평으로 놓이게 되면서 원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 공급 구멍(28)의 경사진 원주면은 불출 슬롯(46)으로의 연속적인 동전 공급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다음에는 제1 및 제2회전디스크(20)(50)의 변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대략 같은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낼 것이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간략성을 위해 생략됨에 주목해야 한다.
제13도는 동전 불출 장치(10)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회전디스크(20)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변형은 공급부재(22)의 만곡한 측벽(24)의 면적을 더 크게 한 것이 특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한 측벽(24)의 끝나는 한단부에서의 최대 반지름은 제1회전디스크(20)의 최측 원주부(21)의 바깥 가장자리(58)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동전(75)를 동전 공급 구멍(28)으로 더욱 확실히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동전 공급 구멍(28)의 직경을 확대한 상기 도시된 구조에서는 더욱 큰 직경의 동전을 불출시킬 수 있다.
제14도와 제15도 및 제16도는 원호형 돌출부(190가 벼형된 제1회전디스크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4도와 제16도의 변형예에서의 돌출부(19)에느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경사부(18)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제15도의 변형은 경사부(18)의 확대된 원주 길이와 평면부(17)의 축소된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들과 같은 원호형 돌출부(19)의 변형된 구조는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호형 돌출부(19)에 의해 동전이 서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과 거의 동등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7도는 제2회전디스크(6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시된 변형의 특징은 압출수단(52) 형상의 변형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대로 선행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실린더형 압출수단의 고정핀(52a) 대신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띠(52a)로 구성된다. 그리고 돌출띠(52a)는 반경방향의 일직선에 대해 약간 곡선을 띤 형상을 하고 있다. 돌출띠(52a)를 곡선지게 형성함으로써 불출 슬롯(46)에 정렬된 동전들 중의 최내측 동전에 가해진 압출력은 동전의 공급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한 구조들에 있어서, 공급부재(22)의 만곡한 측벽(24)은 중앙 공급 구멍(28)로 기울어져 있고 그리고 측벽(24)의 폭은 경사각의 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제1회전디스크(20)에 놓인 동전(75)을 제1회전디스크의 매회 회전마다 동전들이 막히지 않도록 일정하게 교란시킬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원호형 돌출부(19)의 역할은 제1회전디스크의 상부면 위에서 동전을 교란시켜서 동전의 막힘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제1회전디스크(20)의 부드러운 회전이 보장된다.
더군다나, 중앙 공급 구멍(28)에는 경사진 내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출 슬롯(46)으로 낙하된 동전은 확실히 수평으로 놓이게 되며 그리고 동전 불출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는 중앙 공급 구멍(28)내에 동전이 수직으로 머물게 되는 것을 확실히 막아준다.
또한, 제13도의 변형예서 기술했듯이 공급부재(22)의 만곡한 측벽(24)의 최대 반경을 변화시킨 동전 불출 장치(10)의 실시예도 다양한 크기의 동전을 취급할 수 있다.
그리소 상기 언급한 구조에 의하면, 최내측의 동전(75)를 동전 출구 슬롯(60)으로 밀어내는 압출수단(52)이 제2회전디스크(50)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불출 슬롯(46)내의 동전군은 틀림없이 동전 출구 슬롯(60)으로 공급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압출수단(52)을 수용하는 상부 플레이트(51)이 탄력적인 커플링체 즉, 웨이브 와셔(56)로 하부 플레이트(54)와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51)(54)는 탄력적인 커플링체의 탄력을 상대적으로 초과하는 구동토오크가 가해질 경우 결속이 풀리게 된다. 이로 인해 모우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막을 수가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이 실제로 기술된 구조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여러가지의 개선, 변화 및 첨부와 생략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소에세 명확한 것이다. 따라서 아래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원리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어떤 변화도 가능하며, 상술한 설명을 내용으로 해석되기를 의도한다.

Claims (22)

  1.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동전 저장 수단에서부터 상기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 공급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동전을 하나씩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상기 중앙 공급 구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회전수단과; 슬롯을 통해 공급되는 동전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중앙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전의 불출 통로를 형성하면서 내측 단부에 상기 중앙 공급 구멍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롯을 구비한 고정수단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내의 동전을 배출구로 밀어내기 위해, 그리고 상기 연장된 슬롯내의 동전을 하나씩 입출하기 위해 공급력을 가하도록 상기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압출 수단을 수반하는 제2회전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수단들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제1원주단은 최대 반경을 제1원주단은 최소반경으로 다른 반경을 갖추고 상기 제1단부에서 상기 제2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면서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을 향해 아래로 테이퍼각을 이루고 있는 만곡하고 테이퍼진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수단내의 동전을 상기 중앙 공급 구멍으로 밀어 넣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설치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 수단이 동전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동전을 교한시키도록 상기 측벽의 제1단부 가까이에 위치하고, 동전을 수용하는 상기 제1회전수단의 표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롯에 열린 단추까지 좁아지면서 경사진 내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의 원주부에서 상기 제1회전수단의 외주부 즉, 상기 제1단부로 실제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의 원주부에서 상기 제1회전수단의 외주부 즉, 상기 제1단부의 근처에 위치한 곳으로 실제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수단은 상기 제1회전수단에 대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수단은 상기 제2회전수단에서 돌출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8. 제6하에 있어서, 상기 압출 수단은 상기 제2회전수단에서 돌출하고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바아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수단은 상기 압출 수단을 수반한 제1회전부재와, 공급되는 구동 토오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산호 결합하며, 정상적인 부하일 경우 제1 및 제2회전부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선정된 크기 이상의 부하일 경우는 상기 두 부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회전 부재와 제2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된 과부하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0. 동전을 공급하도록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며 그곳에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와;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동전 호퍼의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을 구비하며,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곳을 통해 동전이 통과하도록 중앙 공급 구멍을 형성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쪽 단부의 수직 연장된 부분에서 끝나는 테이퍼진 표면과 상기 상부면의 일부인 중앙 공급 구멍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의 하단과 반대되는 내측 단부와 동전 배출구를 향해 열린 외측 단부를 구성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에 형성된 상기 동전 불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압출 부재를 수반하는 제2회전디스크; 및 상기 제1회전디스크 및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테이퍼진 표면은 수평면에 대해 테이퍼 각이 변하며 상기 테이퍼 각은 상기 한쪽 단부에서 다른쪽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표면의 상기 다른쪽 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의 내주부내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은 상단에서 최대 직경으로 하단에서는 최소직경으로 구성된 테이퍼진 내주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앙 공급 구멍의 원주 가장자리 가까이에 방사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테이퍼진 표면의 상기 한쪽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을 상기 테이퍼진 표면의 상기 한쪽 단부로 향하게 하며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이 상기 수직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재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고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디스크는 이곳에 고착된 상기 압출부재를 수반하는 제1상부 디스크와, 상기 구동수단과 결합되어 전달되는 구동토오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하부 디스크와, 정상적인 부하일 경우 상기 제1상부 및 제2하부 디스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과부하일 경우는 상기 두 디스크를 분리시켜 상기 제2하부 디스크가 상기 제1상부 디스크에 미끄러지도록 상기 제1상부 디스크와 상기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설치된 기계적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클러치는 상기 제1상부 디스크와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마찰 맞물림을 유발시키는 웨이브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21. 동전을 공급하도록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며 그곳에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와;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동전 호퍼의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을 구비하며,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곳을 통해 동전이 통과하도록 중앙 공급 구멍을 형성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쪽 단부의 수직 연장된 부분에서 끝나는 테이퍼진 표면과 상기 상부면의 일부인 중앙 공급 구멍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의 하단과 반대되는 내측 단부와 동전 배출구를 향해 열린 외측 단부를 구성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아래에 위치하고 동전에 공급력을 가해 상기 동전 배출구로 동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정디스크에 형성된 상기 동전 불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 이성의 압출 부재를 수반하며, 상기 상기 압출부재를 수반하는 제1상부 디스크와, 상기 구동수단과 결합되어 전달되는 구동토오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하부 디스크와, 정상적인 부하일 경우 상기 제1상부 및 제2하부 디스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과부하일 경우는 상기 두 디스크를 분리시켜 상기 제2하부 디스크가 상기 제1상부 디스크에 미끄러지도록 상기 제1상부 디스크와 상기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설치된 기계적 클러치를 포함하는 제2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22. 동전을 공급하도록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며 그곳에 동전을 저장하기 위한 동전 호퍼와; 상기 동전 호퍼의 하부 개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동전 호퍼의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다수의 동전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면을 구비하며,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곳을 통해 동전이 통과하도록 중앙 공급 구멍을 형성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쪽 단부의 수직 연장된 부분에서 끝나는 테이퍼진 표면과 상기 상부면의 일부인 중앙 공급 구멍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회전디스크의 중앙 공급 구멍의 하단과 반대되는 내측 단부와 동전 배출구를 향해 열린 외측 단부를 구성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아래에 위치하고 동전에 공급력을 가해 상기 동전 배출구로 동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정디스크에 형성된 상기 동전 불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최소한 하나 이성의 압출 부재를 수반하며, 상기 상기 압출부재를 수반하는 제1상부 디스크와, 상기 구동수단과 결합되어 전달되는 구동토오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하부 디스크와, 정상적인 부하일 경우 상기 제1상부 및 제2하부 디스크를 공동으로 회전시키고 과부하일 경우는 상기 두 디스크를 분리시켜 상기 제2하부 디스크가 상기 제1상부 디스크에 미끄러지도록 상기 제1상부 디스크와 상기 제2하부 디스크 사이에 설치된 기계적 클러치를 포함하는 제2회전디스크와;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불출 장치.
KR1019920015685A 1991-10-14 1992-08-31 동전 불출(dispensing) 장치 KR970005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3561A JPH06119521A (ja) 1991-10-14 1991-10-14 コイン払出装置
JP91-293561 1991-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682A KR930008682A (ko) 1993-05-21
KR970005279B1 true KR970005279B1 (ko) 1997-04-15

Family

ID=1779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685A KR970005279B1 (ko) 1991-10-14 1992-08-31 동전 불출(dispensing)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16517A (ko)
JP (1) JPH06119521A (ko)
KR (1) KR970005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6251B2 (en) * 1992-09-04 2004-05-18 Coinstar, Inc.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7028827B1 (en) 1992-09-04 2006-04-18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GB9613702D0 (en) 1996-06-29 1996-08-28 Coin Controls Coin dispensing apparatus
DE69800732T2 (de) * 1997-09-12 2001-09-13 Asahi Seiko Co Ltd Vorrichtung zur Ausgabe von scheibenförmigen Gegenständen
US6168513B1 (en) * 1999-03-05 2001-01-02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gaming device coin payout
KR100341275B1 (ko) * 1999-08-02 2002-06-21 이대식 엉킴 방지 분배기
KR100600420B1 (ko) * 1999-08-06 2006-07-13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장치
GB2356481A (en) 1999-11-19 2001-05-23 Coin Controls Coin payout device
US6695832B2 (en) * 2000-06-01 2004-02-24 Twincath, Llc Multilumen catheter and methods for making the catheter
JP2002133485A (ja) * 2000-10-20 2002-05-10 Asahi Seiko Kk 小形コインホッパ
US6602125B2 (en) * 2001-05-04 2003-08-05 Coinstar, Inc. Automatic coin input tray for a self-service coin-counting machine
US8033375B2 (en) 2002-02-15 2011-10-11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EP2521106A1 (en) 2002-02-15 2012-11-07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7865432B2 (en) 2002-02-15 2011-01-04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7381126B2 (en) * 2003-11-03 2008-06-03 Coin Acceptors, Inc. Coin payout device
US9934640B2 (en) * 2004-09-15 2018-04-03 Cummins-Allison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urposing currency
US7658668B2 (en) * 2005-09-17 2010-02-09 Scan Coin Ab Coin handling equipment
ES2377930T3 (es) * 2005-09-17 2012-04-03 Scan Coin Ab Equipo de gestión de monedas
US20070187485A1 (en) * 2006-02-10 2007-08-16 Aas Per C Cash handling
US7992748B2 (en) * 2006-11-17 2011-08-09 North Safety Products, Inc. Earplug dispenser
US8056760B2 (en) * 2007-01-22 2011-11-15 Parata Systems, Llc Cap dispensing device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JP5540190B2 (ja) 2010-04-30 2014-07-02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
US9064268B2 (en) 2010-11-01 2015-06-23 Outerwall Inc. Gift card exchange kiosk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US8874467B2 (en) 2011-11-23 2014-10-28 Outerwall Inc Mobile commerce platfor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consumer coins, cash, and/or other forms of value for use with same
US9129294B2 (en) 2012-02-06 2015-09-08 Outerwall Inc. Coin counting machines having coupon capabilities, loyalty program capabilities, advertising capabilities, and the like
US9036890B2 (en) 2012-06-05 2015-05-19 Outerwall Inc. Optical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5884117B2 (ja) 2013-07-21 2016-03-15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払出装置
US9443367B2 (en) 2014-01-17 2016-09-13 Outerwall Inc. Digital image coin discrimination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9235945B2 (en) 2014-02-10 2016-01-12 Outerwall Inc. Coin input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9580230B2 (en) 2014-10-01 2017-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nti-jam dispenser
US10346819B2 (en) 2015-11-19 2019-07-09 Coinstar Asset Holdings, Llc Mobile device applications, other applications and associated kiosk-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in saving
JP6088677B1 (ja) * 2016-02-05 2017-03-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決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91A (en) * 1980-07-08 1982-02-02 Asahi Seiko Co Ltd Coin payout device
US5098339A (en) * 1991-01-23 1992-03-24 7's Unlimited, Inc. Coin fee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16517A (en) 1994-05-31
JPH06119521A (ja) 1994-04-28
KR930008682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279B1 (ko) 동전 불출(dispensing) 장치
US5098339A (en) Coin feeding device
EP0204405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EP0461889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20110266300A1 (en) Vending Apparatus
US6161721A (en) Medicament dispensing cell with dual platens
US6637619B2 (en) Machine for reliably vending products one at a time
US6139419A (en) High capacity dispenser for ejecting coins and tokens
US6579166B2 (en) Coin hopper with peripheral coin transport device
AU733019B2 (en) High capacity dispenser for coins and tokens
JP2573634Y2 (ja) 硬貨送出装置
US20020090906A1 (en) Coin hopper with coin anti-jamming components
JP2744940B2 (ja) 球体払出し装置
US6041963A (en) Ampule collector
JPH0816886A (ja) 硬貨送出装置
US5066262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6848988B2 (en) Small coin hopper
EP1739633B1 (en) Coin hopper
JP3014246B2 (ja) コイン払出し装置
US6554118B2 (en) Coin supplying apparatus of a coin separator
AU748127B2 (en) Large-volume-type apparatus for ejecting circular plate bodies
EP1255231A1 (en) Coin stores and coin dispensers
JPH0778278A (ja) 硬貨投出装置
JPS635095Y2 (ko)
JPS5968087A (ja) ホツパ−型コイン類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