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219B1 - 화상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219B1
KR970005219B1 KR1019910015436A KR910015436A KR970005219B1 KR 970005219 B1 KR970005219 B1 KR 970005219B1 KR 1019910015436 A KR1019910015436 A KR 1019910015436A KR 910015436 A KR910015436 A KR 910015436A KR 970005219 B1 KR970005219 B1 KR 970005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harging
frequency
charging voltage
alternat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28A (ko
Inventor
다까시 나까하라
순이찌 마쓰다
도시오 요시모또
겐지로오 호리
사또시 아끼야마
요시미 구라모찌
야쓰히로 나까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마루시마 기이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마루시마 기이이찌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83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tis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기록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의 블록도.
제2도는 동상 실시예의 대전전압발생부회로도.
제3도는 필터회로정수와 주파수에 의한 교류임피던스 특성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주요부 회로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 블록도.
제6도는 제3실시예의 주요부 회로도.
본 발명은 정전화상을 형성하는 화상기록장치, 특히 접촉대전용 고전압전원회로를 가지는 화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전화상기록장치는 주로 코로나 대전방식이 사용되고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체 드럼에 전하를 공급하고 있었다.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공지의 정전화상기록장치는 코로나 방전전압이 5KV~10KV로 고전압으로 되기 때문에 최근 고압전원이 오존가스없이 1KV 내지 3KV로 비교적 낮은 저전압 정전 프로세스에 의한 접촉대전 방식을 사용한 화상기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종류의 정전화상기록장치는 감광체 드럼의 심금을 기준전위로 하여 대전, 현상, 전사의 각 전위가 각각 정해져 있다.
통상은 고압전원회로의 그랜드(이하 GND라 함) 레벨을 감광체 드럼의 심금전위에 같게 하고, 대전, 현상, 전사의 각 전위를 고압전원회로내에서 이 GND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생성되고 있다.
또 대전기에의 출력전압(이하 대전출력전압이라 함) 바이어스는 감광체에의 대전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때문에 교류바이어스(이하 대전교류전압이라 함)와 직류바이어스(이하 대전직류전압이라 함)를 중첩시킨 중첩 바이어스이며, 특히 교류바이어스는 대전부하 임피던스의 환경변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전류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현상기에의 출력전압(이하 현상출력전압이라 함) 바이어스도 통상은 교류바이어스(이하 현상교류전압이라 함)와 직류바이어스(이하 현상직류전압이라 함)의 중첩 바이어스이다.
통상 감광체 드럼은 회전하여 감광층에 영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심금은 미끄럼 움직임 접점에 의해 고압전원회로의 GND 레벨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에 이물등이 혼재하면 접촉저항이 수 기가 옴(109Ω)에 달하고, 정전화상형성부인 감광체 드럼, 대전기, 현상기, 전사장치의 기준전위가 고압전원회로의 기준전위인 GND 레벨과 달라지게 된다.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고압전원회로에서 본 대전기의 교류임피던스는 수십메가옴이 있고, 흐르는 전류는 수백마이크로암페어로부터 수밀리암페어정도이므로, 상기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의 접촉저항이 수십메가옴 발생하여도 감광체 드럼의 대전성능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현상출력 전압바이어스가 대전출력 전압바이어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그러나 접촉대전방식을 사용한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는 고압전원으로부터 대전기를 본 교류임피던스가 수 메가옴이며, 또한 드럼심금으로부터 대전전압발생회로를 본 현상교류바이어스의 교류임피던스가 수 메가옴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 접촉저항이 수백킬로에서 수 메가옴이 있으면 현상교류바이어스가 대전전압발생회로에 유입되고, 대전전압출력 특히 정전류제어회로에 악영향을 미치며 감광드럼상에 불량화상을 야기시키는 불충분한 대전의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예에서는 대전기에서 본 감광체의 등가 임피던스가 대전교류의 주파수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 또는 구성 부품의 특성등의 변화에 의해 주파수가 증가하면 감광체 드럼의 대전불량이 또 주파수가 내려가면 감광체의 전열파괴등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대전교류전압의 주파수허용폭을 좁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전원회로의 구성 및 구성부품이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화상밀도에 의해 적극적으로 대전교류전압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도 고려되므로, 상기 문제의 대책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한 화상형성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1형태로서는 예컨대 감광체 드럼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의 접촉저항 등에 기인하는 다른 교류전압의 대전전압발생부에의 유입에 의해 발생되는 대전불량 등의 악영향을 방지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화상기록장치의 1형태는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중첩시켜 감광체 드럼에 맞닿게한 대전기에 인가하는 대전전압을 생성시키는 대전전압발생부 및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전압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의 교류전압과 직류전압을 중첩시켜, 상기 감광체 드럼에 인가하는 교류전압을 생성시키는 인가수단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대전전압발생부는 출력하는 대전전류 주의 교류전류치를 소정치로 유지하는 전류제어회로 및 상기 대전전류 중의 교류전류와 인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교류전류를 분별하는 주파수 분별회로를 구비하고, 다른 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에 유입하여 발생되는 정전류제어회로의 오동작을 상기 주파수 분별회로에 의해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감광체 드럼에 맞닿은 대전기에는 대전전압발생부에서 생성된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중첩시킨 대전전압이 인가되나, 그 때 정류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대전전압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대전전류 중의 교류전류치를 정전류제어회로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작용에 의하여 감광체 드럼에의 대전성능을 항상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대전교류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감광체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 다른 형태의 화상기록장치는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중칩시켜 감광체 드럼에 맞닿게 한 대전기에 인가하는 대전전압을 생성하는 대전전압발생부를 가지는 화상기록장치의 고압전원회로로서 상기 대전전압발생부는 출력하는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제어회로를 가지며, 대전전압중의 교류전압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치를 변화시켜서 정전류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감광체 드럼에 맞닿는 대전기에는 대전전압발생부에서 생성된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중첩시킨 대전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대전전압중의 교류전압주파수가 변화했을 때에는 대전전압발생부는 출력하는 대전전류의 교류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그 교류전류치를 변화시키고, 또한 정전류제어회로에 의해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의 교류임피던스가 변화하거나, 환경이나 부품의 특성변화 등에 의해 대전전류 중의 교류전류의 주파수가 변화하여도 상기의 제어작용에 의해 감광체 드럼에 적절한 대전교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형태는 대전이외의 다른 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에 유입된 경우에는 대전전압발생부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대전주파수가 변화된 경우에도 정전류회로를 안정시켜 동작시키고, 또한 대전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화상기록장치의 고압전원회로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기록장치의 고전압전원회로(1)는 대전전압발생부(2), 현상전압발생부(3) 및 전사전압발생부(4)를 포함한다.
이 기록장치는 또한 대전전압발생부(2)로부터의 출력전압(이하 대전출력전압이라 함)이 인가되는 대전기인 대전로울러(5)를 포함하며 대전로울러(5)는 감광체드럼(8)에 맞닿고 있다.
현상기(6)는 감광체드럼(8)에 근접하여 제공되며 레이저 현상장치(6)는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10)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현상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U.S.P. 4,395,476에 기재된 것과 같은 교류바이어스에 의한 교번전계가 활용되는 현상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감광체드럼(8)의 토너상을 용지등의 전사매체(11)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로울러(7)가 제공된다. 전사전압발생부(4)로부터 출력되는 토너극성하고는 역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 접촉저항(9)이 제1도에 되시되며 그것은 감광체 드럼 심금과 고압전원회로 GND 레벨간에 존재한다. 대전전압발생부(2)는 증폭회로(13) 및 출력임피던스회로(14)를 거쳐 대전로울러(5)에 대전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교류발진회로(12)와 필터회로를 포함하며 대전로울러(5)로부터 감광체드럼(8)의 심금을 거쳐 고압전원회로 GND에 흐르는 교류전유를 검지하고, 정전류제어회로(16)에의 입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분별회로(15)를 포함한다.
정전류제어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레벨신호에 의해 증폭율 제어회로(17)를 제어하고, 이 증폭율 제어회로(17)의 출력에 의해 증폭회로(13)를 제어함으로써, 대전교류전압의 진폭을 제어한다.
대전직류전압발생회로(18)는 대전출력전압을 얻기 위하여 대전교류전압상에 중첩되는 대전직류전압을 전송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현상전압발생부(3)는 대전드럼(8)과 현상기(6) 사이에 교번 전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교류발진회로(19)를 포함하며, 교류발진회로(10)는 증폭회로(20)를 거쳐서 직류전압발생회로(22)로부터의 출력을 중첩시키며 직류전압발생회로(22)는 직류현상 바이어스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출력임피던스회로(21)를 통하여 현상기(6)에 직류 및 교류바이어스 중첩된 현상출력전압을 인가한다.
제2도는 대전전압발생부(2)를 기능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제1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로 도시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등가임피던스(23)가 화상현상부에 현상전압발생부(3)의 출력끝으로부터 정전화상형성부로부터 도시된다.
또한 등가임피던스(Zp)는 동일하게 대전전압발생부(2)의 출력끝으로부터 정전화상형성부로부터 도시된다.
증폭회로(13)로부터의 교류전압을 기초로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스(T1)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풀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저항(R1), 콘덴서(C2)는 트랜스(T1)에 의해 전압증폭된 대전교류전압의 부하임피던스로 고전압전원회로(1)에 외부 부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회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저항(R2,R3), 콘덴서(C3)에 의해 출력임피던스회로(14)를 구성한다. 저항(R4), 콘덴서(C4,C5), 다이오드(D2,D3)에 의해 배전압 정류회로를 구성하고, 저항(R5)의 양끝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비교기(COP1)의 부입력 단자에 입력한다.
비교기(COP1)는 기준전압(Vref)과 상기 배전압 정류회로의 출력을 비교하고, 다이오드(D1)의 음극전압을 제어하고 있고, 비교기(COP1)와 다이오드(D1)로 정전류제어회로(16)를 구성하고 있다.
증폭율 제어회로(17)는 다이오드(D1)의 양극전압레벨에 의해 교류전압의 증폭율을 제어한다. 주파수 분별회로(15)의 저항(R5), 콘덴서(C6)로 필터회로를 구성한다. 콘덴서(C7)는 대전전압발생부(2)로부터의 대전출력의 직류전압분을 절단한다.
트랜스(T1)로부터 저항(R2,R3), 콘덴서(C3)를 통하여 대전전압발생부(2)의 출력전압을 부하(Zp)에 인가한다.
대전교류전류는 부하(Zp)로부터 고압전원회로 FND를 거쳐, 저항(R5), 콘덴서(C6)의 필터회로 및 콘덴서(C7)를 통과하여 트랜스(T1)에 되돌아온다.
그런경우 저항(R5)의 양 끝에 생긴 교류전압에 의거하여 상기와 같이 정전류제어가 행해진다.
현상전압발생부(3)로부터 출력된 교류전류는 현상부하(Zp)에 인가된다. 그리고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 접촉저항(9)이 0Ω일 때는 현상교류전류는 고압전원회로 GND를 통하여 현상전압발생부회로에 되돌아온다.
그러나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에 접촉저항이 발생하면, 접촉저항(9)과 접점(E)으로부터 대전부를 본 임피던스의 비율에 의해 현상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2)의 회로에 유입된다.
대전전압발생부(2)의 회로에 유입된 현상교류전류는 저항(R5)의 양 끝에 교류전압을 발생시켜, 정전류제어회로(16)를 오동작시킨다.
따라서 현상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2)의 회로에 유입되었다고 해도, 저항(R5)의 양 끝에 상기 오동작이 생길만큼의 교류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저항(R5), 콘덴서(C6)의 필터회로정수를 선정함으로써 대전교류의 정전류제어회로(16)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예컨대 대전교류전압주파수가 150㎐, 현상교류전압주파수가 1800㎐의 경우의 저항(R5), 콘덴서(C6)의 교류임피던스의 절대치(│Z│)를 설명하기 위한 교류임피던스 특성도이다.
곡선 I는 R5=23.7㏀, C6=1000pF, 곡선 II는 R5=27.4㏀, C6=22000pF, 곡선 III는 R5=34.8㏀, C6=33000pF의 경우의 주파수(f)에 대한 교류임피던스(│Z│)를 나타낸다.
곡선 I의 경우, 주파수 150㎐와 주파수 1800㎐의 교류임피던스(│Z0│와 │Z1│)는 거의 같고, 현상교류가 대전전압발생부(2)에 유입된 경우, R5의 양 끝에 교류전압이 발생하여 정전류제어회로(16)가 오동작을 일으킨다.
곡선 II 및 곡선 III은 150㎐ 교류임피던스 (│Z0│)에 비하여, 1800㎐의 교류임피던스(│Z2│,│Z3│)가 극단적으로 작기 때문에 현상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2)의 회로에 유입되었다해도, 정전류제어회로(16)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대전전류의 교류주파수와 현상전류의 교류주파수의 차가 클수록 저항(R5)과 콘덴서(C6)로 구성되는 주파수 분별회로(15)의 상기 효과가 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즉 현상기(6)로부터 현상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2)에 GND를 거쳐 유입하여도, 저항(R5) 및 콘덴서(C6)로 형성되는 필터회로구성의 주파수 분별회로는 대전교류전류와 현상교류전류를 분별하여 대전교류전류에 의해 정전류제어회로를 작동시키고, 유입된 현상교류전류에 의한 악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또 대전출력부의 임피던스변화에 의해 대전출력의 주파숩젼화가 발생하여 대전성능에 문제가 야기되는 것도 본 실시예는 해결하고 있다.
이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부하 임피던스(Zp)는 등가적으로 대전로울러(5)의 저항(Rp1)과 감광체 드럼(8)의 임피던스(Rp2,Cp)로 표시할 수 있다. 대전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감광체 드럼표면에 진폭이 변하지 않는 교류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환경의 변동등에 의해 대전로울러(5)의 저항(Rr1)이 변화하기 때문에 진폭이 변하지 않는 교류전압을 감광체 드럼에 인가하기 위해서는 대전교류의 전류치를 정전류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 감광체 드럼(8)의 임피던스(Zp)가 저항(Rp2)와 콘덴서(Cp)와의 병렬접속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교류의 주파수가 변화하면 임피던스(Zp)도 변화하고, 대전교류의 정전류제어를 행하였다해도, 감광체 드럼표면에 인가되는 대전교류전압의 진폭이 변화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주파수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감광체 드럼표면에 인가되는 대전교류전압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대전교류의 정전류제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R5)의 양끝의 교류전압을 배전압정류하여 COP1의 정입력단의 전압(Vref)과 비교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정전류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고주파 노이즈성분을 저항(R5)의 양 끝에 발생시키지 않도록 콘덴서(C6)를 병렬에 접속시켜 필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3도는 저항(R5), 콘덴서(C6)의 교류임피던스 특성도이다.
곡선 I는 R5=23.7㏀, C6=1000pF, 곡선 II는 R5=27.4㏀, C6=22000pF, 곡선 III는 R5=34.8㏀, C6=33000pF의 경우의 주파수(f)에 대한 교류임피던스(│Z│)를 나타낸다.
대전교류전압의 공칭 주파수가 150㎐일때, 고주파 노이즈 성분을 컷하기 위해서와 정전류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곡선 I의 특성을 지닌 필터회로를 채용하는 선행기술이 있다.
예로써 대전부하 임피던스(Zp)로, Rp1=0.5㏁, Rp2=100㏁, Cp=300pf로 한다. 150㎐, 진폭 500㎂의 정현파를 대전부하에 인가한 경우, Rp2, Cp의 병렬임피던스의 절대치가 3.53㏁임으로써, 감광체 드럼표면에 인가되는 대전교류전압진폭은 1765V로 된다.
주파수변동이 ±20%인 경우, 상기 조건으로 120㎐의 경우, Rp2, Cp의 병렬임피던스의 절대치가 4.42㏁으로,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진폭은 2210V, 동일하게 180㎐의 경우는 Rp2, Cp의 병렬임피던스가 2.95㏁로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진폭이 1475V로 된다.
대전성능의 최적으로 되는 대전교류전압진폭이 1765V라고 하면, 주파수가 20% 증가한 180㎐의 경우에는 대전불량 현상이 일어나고, 주파수가 20% 감소된 120㎐의 경우에는 이상 방전이 일어나, 감광체 드럼의 감광절연층을 파괴할 염려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책으로서 대전교류주파수가 올라가면 정전류치를 올리고, 대전교류주파수가 내려가면 정전류치를 내리는 것과 같은 특성을 지닌 필터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주파수 분별회로(15)에 의해, 주파수변동이 생겼을 경우에도 항상 양호한 대전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필터회로(15)의 특성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3도의 곡선 II, 곡선 III은 상기한 특성을 발휘하는 필터회로의 교류임피던스 주파수 특성곡선이다.
곡선 I의 150㎐시의 대전교류전류진폭제어치를 500㎂로 하면, 곡선 II에서 주파수가 120㎐의 경우, 교류임피던스가 증가하고 대전교류전류진폭제어치가 476㎂로 되고,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진폭이 2103V로 된다.
동일하게 주파수가 180㎐의 경우, 교류임피던스가 감소하고, 대전교류전류진폭제어치가 524㎂로 되어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진폭이 1546V로 된다.
곡선 III에서 주파수가 120㎐의 경우, 대전교류전류진폭제어치가 451㎂로 되며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진폭이 1993V로 된다.
동일하게 주파수가 180Hz의 경우, 대전교류전류진폭제어치가 559㎂로 되어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진폭이 1649V로 된다.
이상의 예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대전주파수의 변동에 따라 대전교류전류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체 드럼표면의 대전교류전압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하며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주파수 분별회로(25)는 현상주파수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필터회로를 포함한다. 현상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2)의 회로에 유입된 경우, 주파수 분별회로(25)를 통하여 현상교류전류만을 고압전원회로 GND에 빠지게 함으로써, 대전직류전압발생회로(18)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대전주파수성분만에 의한 정전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 회로도이다.
제4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제1실시예에 교류발진회로(12)의 출력에 의해 정전류제어회로(16)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전압변환회로(69)를 설치한 것에 있고, 주파수-전압변환회로(69)는 교류발진회로(12)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을 정전류제어회로(16)의 비교기(COP1)의 정입력단자에 출력한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지면, COP1의 정입력단자로 높아지며, 대전교류전류도 증가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교류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교류전류치를 변화시키므로 대전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화상밀도전환이 가능한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대전교류전압의 주파수를 화상밀도에 따라 변화시켜서 정전류제어함으로써, 대전얼룩에 의한 모와레화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 제3실시예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체 드럼에 맞닿는 대전기에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중첩시킨 대전전압이 인가되고, 감광체 드럼에 맞닿는 현상기에는 대전전압의 교류전압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의 교류전압과 직류전압을 중첩시킨 현상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의 미끄럼 움직임 접점부의 접촉저항 때문에 현상전류중의 교류전류가 현상기로부터 대전전압발생부에 유입하여도, 대전전압발생부에 구비한 주파수분별회로가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와 현상전압발생부로부터 출력된 현상전류중의 교류전류를 분별하여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에 의해 정전류제어회로를 작동시키므로 정전류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에 의해 정전류제어회로를 작동시키므로 정전류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치를 정전류제어회로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항상 양호한 대전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의 고압전원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제3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체 드럼에 맞닿은 대전기에 대전전압발생부에서 생성된 직류전압과 교류전압을 중첩시킨 대전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대전전압발생부는 대전전압중의 교류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교류전류치를 변화시키고, 그리고 정전류제어회로에 의해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제어를 행하므로, 정전화상형성부의 교류임피던스가 변화하거나, 환경이나 부품특성의 변화에 의해 대전전압중의 교류전압주파수가 변화했을때도 감광체 드럼에는 적절한 대전교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대전불량에 의한 이상화상이 나타나는 일이 없다.
또 대전교류주파수의 정밀도를 종래 보다도 거칠게 할 수 있고, 온도 특성등이 양호한 고가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상밀도에 의해 대전교류전압의 주파수를 변화시켜서 적절한 화상을 효과적으로 기록하는 화상기록장치에도, 가장 적절한 화상기록장치의 고압전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현상용의 교류전류가 대전전압발생부에 유입된 경우에도 대전전압발생부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대전주파수가 변화한 경우에도 정전류회로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그위에 대전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클레임에 표시하는 범위내에서 각종 응용,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감광드럼상에 다른 교류성분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현상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현상기에 한하지 않고 전사를 행하는 전사대전기에의 인가전압, 전사전에 설치되는 전사를 용이하게 하는 프리전사대전기(pre-transfer charger)에의 인가전압 전사지의 감광체로부터의 분리를 행하는 분리대전기에의 인가전압, 감광체상의 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블레이드에의 인가전압, 클리닝전에 클리닝하기 쉽게 하는 클리닝 프리대전기에의 인가전압, 클리닝후의 감광체를 균일전위로 하는 제전 대전기에의 인가전압의 어느것에 대해서도 교류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는 컷 한쪽이 보다 정확한 정전류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13)

  1. 화상형성장치상에 잠상이 형성되는 기록체와, 교류성분을 포함하는 대전전압을 상기 기록체에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기록체와 맞닿고 상기 대전전압이 공급되는 대전전압발생부와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성분과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성분을 상기 기록체에 인가하는 인가수단과, 상기 대전전압발생부의 출력교류전류치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교류전류치를 소정치로 하는 전류치제어회로와, 상기 인가수단에 의한 교류성분이 상기 대전전압발생부에 유입되어 발생하는 상기 전류치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오동작방지회로를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방지회로와 상기 인가수단에 의한 교류성분의 주파수를 컷하는 필터회로를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수단은 상기 기록체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이며, 상기 현상기에는 직류바이어스와 교류바이어스를 중첩시킨 전계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압발생부는 대전로울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로는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치를 가변하게 할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화상형성장치에 잠상이 형성되는 기록체와, 교류성분을 포함하는 대전전압을 상기 기록체에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기록체와 맞닿고, 상기 대전전압이 공급되는 대전전압발생부와, 상기 대전전압발생부의 교류전류치를 소정치로 하는 전류치제어회로와, 상기 대전전압중의 교류전압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대전전류중의 교류전류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전류치제어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전압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상기 교류전류치를 가변하게 할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 필터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교류전압주파수의 변화를 전압에 변환시켜 상기 전류치제어회로를 제어하는 주파수전압변환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성분이란,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성분을 상기 기록체에 인가하는 인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필터회로는 상기 인가수단에 의한 교류성분이 상기 전류치제어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화상형성장치에 잠상이 형성되는 기록체와, 교류성분을 포함하는 대전전압을 상기 기록체에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기록체와 맞닿고, 상기 대전전압이 공급되는 대전전압발생부와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성분과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교류성분을 상기 기록체에 인가하는 인가수단과, 상기 대전전압발생부의 출력전류치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교류전류치를 소정치로 하는 전류치제어회로와, 상기 인가수단에 의한 교류성분의 상기 대전전압발생부에의 유입에 의한 상기 전류치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상기 대전전압의 교류성분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상기 출력교류전류치를 변화시키는 제어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가수단의 교류성분을 컷하고, 상기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상기 교류전류치를 가변하게 할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 필터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수단은 상기 기록체상의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이며, 상기 현상기에는 직류바이어스와 교류바이어스를 중첩시킨 전계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압발생부는 대전로울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10015436A 1990-09-14 1991-09-04 화상기록장치 KR970005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256590 1990-09-14
JP24256490 1990-09-14
JP2-242565 1990-09-14
JP2-242564 1990-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28A KR920007428A (ko) 1992-04-28
KR970005219B1 true KR970005219B1 (ko) 1997-04-14

Family

ID=2653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436A KR970005219B1 (ko) 1990-09-14 1991-09-04 화상기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29818A (ko)
EP (1) EP0475423B1 (ko)
KR (1) KR970005219B1 (ko)
DE (1) DE691073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150B2 (ja) * 1988-04-20 1994-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SG78355A1 (en) * 1990-10-26 2001-02-20 Canon Kk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image forming metho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pparatus unit and facsimile apparatus
US5567997A (en) * 1992-07-28 1996-10-22 Canon Kabushiki Kaisha Three-value pow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5365316A (en) * 1992-08-20 1994-11-1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ts high voltage power source device
JP2985594B2 (ja) * 1992-12-03 1999-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JP3214120B2 (ja) * 1992-12-24 2001-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508788A (en) * 1993-09-22 1996-04-1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act charger wtih superposed AC/DC bias
JPH10239954A (ja) * 1997-02-21 1998-09-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80050143A1 (en) * 2006-08-23 2008-02-28 Raymond Jay Barry Shared High Voltage Power Supply for Photoconductor Charging in an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2009103830A (ja) * 2007-10-22 2009-05-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6177278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7058439A (ja) * 2015-09-15 2017-03-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097296A (ja) * 2016-12-16 2018-06-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4925A (en) * 1968-12-03 1971-09-14 Zerox Corp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applied to a surface
US3908164A (en) * 1974-10-03 1975-09-23 Xerox Corp Corona current measurement and control arrangement
US4239373A (en) * 1978-11-01 1980-12-16 Xerox Corporation Full wave rectification apparatus for operation of DC corotrons
DE2849222A1 (de) * 1978-11-13 1980-05-22 Hoechst Ag Verfahren zum elektrostatischen aufladen einer dielektrischen schicht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5866958A (ja) * 1981-10-18 1983-04-2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複写装置
US4435677A (en) * 1981-11-27 1984-03-06 Xerox Corporation Rms voltage controller
US4783716A (en) * 1986-01-30 1988-11-08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
DE3851968T2 (de) * 1987-02-26 1995-03-30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JPH07113802B2 (ja) * 1987-06-30 1995-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93150B2 (ja) * 1988-04-20 1994-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5423A2 (en) 1992-03-18
KR920007428A (ko) 1992-04-28
EP0475423A3 (en) 1993-01-20
DE69107377D1 (de) 1995-03-23
US5229818A (en) 1993-07-20
EP0475423B1 (en) 1995-02-15
DE69107377T2 (de)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219B1 (ko) 화상기록장치
US5079669A (en) Electrophotograph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5323115A (en) Electrostatic voltmeter producing a low voltage output
JPS6253779B2 (ko)
US4042874A (en) High-voltage a.c. power supply with automatically variable d.c. bias current
JP2013255332A (ja) バイアス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34260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material separating means
JP3096156B2 (ja) 高圧電源装置及び高圧電源装置を用いた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
JPH0348509B2 (ko)
US20070013409A1 (en) Digitally controlled high-voltag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for
US67318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high-voltage power supply
JP3396017B2 (ja) 圧電トランス直流電源
US6529388B2 (en) High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toner system printing device
JPH0519595A (ja) 画像形成装置
JPH0984335A (ja) 高圧電源装置
JP4766476B2 (ja) 高圧電源装置
JPH1028328A (ja) 高電圧発生装置
JPH0673045B2 (ja) コロナ放電装置
JPS6159460A (ja) 帯電用高圧電源
US10031436B2 (en) High voltage gener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37258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10519Y2 (ko)
JPH07104737B2 (ja) 直流バイアス交流電源回路
JP4013453B2 (ja) 転写用高圧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転写装置、並びに当該転写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S60221776A (ja) 放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