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44Y1 -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44Y1
KR970004744Y1 KR2019940028712U KR19940028712U KR970004744Y1 KR 970004744 Y1 KR970004744 Y1 KR 970004744Y1 KR 2019940028712 U KR2019940028712 U KR 2019940028712U KR 19940028712 U KR19940028712 U KR 19940028712U KR 970004744 Y1 KR970004744 Y1 KR 970004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ackup roll
support
motor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494U (ko
Inventor
배명호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8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44Y1/ko
Publication of KR960013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본 고안은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업롤과 백업롤 쵸크를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백업롤만을 별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는 백업롤 쵸크와 백업롤을 정비시 또는 압연기에 삽입하기 위하여 이송할 시에 이용된다.
즉, 상기한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연기에 장착되어 금속을 압하하여 주는 백업롤(21)과 이 백업롤(21)을 회전지지하는 백업롤 쵸크(20)를 함께 승강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백업롤(21)의 하중을 지지하여 주는 주지지대(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이송스크류(8)가 모우터(12)에 의해서 회동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스크류(8)의 양단에는 보호용 주축지지박스(7)가 외측면에 감싸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축지지박스(7)의 양측선단부의 하부에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횡지지대(2)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횡지지대(2)의 하부면에는 상기 이송장치의 몸체를 지지하여 주는 쵸크 아암(3)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쵸크 아암(3)의 하부에는 백업롤(21)을 감싸주는 쵸크핀(4)을 매개로 하여 백업롤 쵸크(20)가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어, 이 백업롤 쵸크(20)의 내주면에 상기 백업롤(20)이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지지대(1)의 상면 중앙에는 크레인의 후크(14)를 걸 수 있도록 된 걸이핀(13)과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축(15)이 각각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백업롤 쵸크(20)나 백업롤(21)을 정비시 또는 압연기에 삽입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경우에, 먼저 크레인의 후크(14)를 장치의 걸이핀(13)에 걸어서 상기 백업롤 쵸크(201) 및 백업롤(21)을 정위치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주지지대(1)의 몸체 이동용 모우터(12)와 횡지지대의 몸체 이동용 모우터(6)를 구동하여 주축지지박스(7)의 간격과 쵸크아암(3)간의 간격을 조정하며, 상기 백업롤 쵸크(20)에 쵸크 아암(3)의 쵸크핀(4)을 거취시킨 후 원하는 위치로 장치를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이송장치는 백업롤(21)과 백업롤 쵸크(20)가 결합된 상태의 것만을 운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크레인의 부하 발생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동율이 떨어지고, 백업롤만 운반하려고 할 경우에는 기기를 내려놓고 별도의 크레인 줄걸이 작업으로 해야 함으로 인력손실과 또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백업롤과 백업롤 쵸크가 결합된 것뿐만 아니라 백업롤만 별도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이송스크류가 제1모우터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 수 있도록 된 걸이핀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면에 감싸진 주축지지박스를 통해 보호되는 주주지대; 상기 주주지대의 양하부에 상기 주축지지박스를 매개로 하여 폭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선단면에 조질압연용 백업롤을 이동시켜 주도록 된 이송축을 구동시키는 제2모우터가 각각 구비된 횡지지대 및 상기 횡지지대의 모서리 하부면에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다수개 장착되며, 몸체에 관통삽입된 쵸크핀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백업롤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종지지대로 이루어진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지지대의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홈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홈에는 내측상부를 따라 다수개의 기어이빨이 형성된 랙과 내측하부를 따라 상기 백업롤을 물어잡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파지부가 각각 일체로 구비된 롤아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랙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이빨이 형성된 회전체가 치차결합되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체인을 매개로 하여 제3모우터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서 백업롤만을 이송시킬 수 있음으로 해서 이송장치를 이송시키는 크레인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백업롤만을 이송할 시 수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 시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불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주지지대 102 : 횡지지대
102a : 슬라이딩홈 103 : 종지지대
104 : 쵸크핀 106 : 제2모우터
107 : 주축지지박스 108 : 이송스크류
112 : 제1모우터 113 : 걸이핀
114 : 후크 120 : 백업롤 쵸크
121 : 백업롤 130 : 롤 아암
131 : 파지부 132 : 랙
140 : 제3모우터 141 : 회전체
142 : 체인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 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이송스크류(108)가 제1모우터(1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114)를 걸 수 있도록 된 걸이핀(11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08)의 외주면에 감싸진 주축지지박스(107)를 통해 보호되는 주지지대(101) ; 상기 주지지대(101)의 양하부에 상기 주축지지박스(107)를 매개로 하여 폭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선단면에 조질압연용 백업롤(121)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종지지대(103)로 이루어진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지지재(102)의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홈(102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홈(102a)에는 내측상부를 따라 다수개의 기어이빨이 형성된 랙(132)과 내측하부를 따라 상기 백업롤(121)을 물어잡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파지부(131)가 각각 일체로 구비된 롤아암(130)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랙(132)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이빨이 형성된 회전체(141)가 치차결합되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체인(142)을 매개로 하여 제3모우터(140)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지지대(101)에는 이송스크류(108)가 제1모우터(112)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이송스크류(108)의 양단에는 주축지지박스(107)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상기 이송스크류(108)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호 폭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몸체 중앙에는 걸이핀(113)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축지지박스(107)의 하부에는 횡지지대(102)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횡지지대(102)에는 상기 백업롤(12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백업롤 쵸크(120)를 지지하여 주는 종지지대(103)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종지지대(103)의 몸체 하부에는 쵸크핀(104)이 관통삽입되어 있다.
물론, 상기 횡지지대(102)는 상기 주축지지박스(107)에 연결설치되어, 폭 조절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모우터(106)에 의해서 길이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백업롤(121)만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였는바, 이 이송수단은 횡지지대에 관통형성된 슬라이딩홈(102a)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백업롤(121)을 물어잡을 수 있도록 된 파지부(131)와 다수개의 기어이빨이 형성된 랙(132)이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롤 아암(130)의 승하강동작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롤아암의 내측면 상부에 랙(132)을 형성하여, 상기 횡지지대(102) 상에 랙(132)과 맞물리는 회전체(141)와 이를 구동시키는 제3모우터(140)를 체인(142)으로 연결설치하므로써, 상기 제3모우터(140)의 구동으로 롤아암(130)이 승하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롤아암(130)간의 길이는 상기 제2모우터(106)에 의한 횡지지대(102)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백업롤 쵸크(120)와 백업롤(121)을 정비하는 경우 또는 압연기에 삽입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경우에는, 먼저 크레인의 후크(114)를 압연롤 이송장치의 걸이핀(113)에 걸어서 상기 백업롤(121)과 백업롤 쵸크(12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모우터(112, 106)를 구동하여, 상기 주축지지박스(107)의 간격 및 종지지대(103)간의 간격을 조종하며, 상기 백업롤 쵸크(120)에 종지지대(103)의 쵸크핀(104)를 거취시킨 후 원하는 위치로 이송장치를 이송시키며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백업롤(121)만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크레인의 후크(114)를 장치의 걸이핀(113)에 걸어서 상기 백업롤(121) 및 백업롤 쵸크(120)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2모우터(112, 106)를 구동하여 주축지지박스(107)의 간격 및 종지지대(103)간의 간격을 상기 백업롤(121)의 양단부에 대응하도록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3모우터(140)를 구동하여 롤아암(130)을 하강시키고 즉,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3모우터(140)를 구동하여 상기 롤아암(130)의 파지부(131)의 오목한 홈으로 백업롤(121)의 몸체를 물어잡은 후에 이송시키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에 의하면, 상기 백업롤과 백업롤 쵸크를 결합된 상태로 동시에 이송하거나 백업롤만을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상기 크레인의 부하발생을 줄일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인력손실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이송스크류(108)가 제1모우터(1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크레인의 후크(114)를 걸 수 있도록 된 걸이핀(11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08)의 외주면에 감싸진 주축지지박스(107)를 통해 보호되는 주지지대(101) ; 상기 주지지대(101)의 하부면에 주축지지박스(107)를 매개로하여 폭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선단면에 조질압연용 백업롤(121)을 이동시켜 주도록된 이송축을 구동시키는 제2모우터(106)가 각각 구비된 횡지지대(102) 및 ; 상기 횡지지대(102)의 모서리 하부면에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하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삽입된 쵸크핀(104)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백업롤(121)을 안착시키는 다수개의 종지지대(103)로 이루어진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지지대(102)의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홈(102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홈(102a)에는 내측하부를 따라 상기 백업롤(121)을 물어잡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파지부(131)와 내측상부를 따라 다수개의 기어이빨이 형성된 랙(132)이 각각 일체로 구비된 롤아암(13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 있으며, 상기 랙(132)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기어이빨이 형성된 회전체(141)가 치차결합되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체인(142)을 매개로 하여 제3모우터(140)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KR2019940028712U 1994-10-31 1994-10-31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KR970004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12U KR970004744Y1 (ko) 1994-10-31 1994-10-31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12U KR970004744Y1 (ko) 1994-10-31 1994-10-31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494U KR960013494U (ko) 1996-05-17
KR970004744Y1 true KR970004744Y1 (ko) 1997-05-19

Family

ID=1939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712U KR970004744Y1 (ko) 1994-10-31 1994-10-31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494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180A (en) Reel suppor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djustment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KR970004744Y1 (ko) 압연용 백업롤 이송장치
JP2002173289A (ja) 圧延ロールの吊り上げ装置
JP3398864B2 (ja) 物体を直立させる装置
KR100998678B1 (ko) 잉곳 이송장치
KR10091303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코일 리프터
CN220348379U (zh) 一种卷筒摆放支撑通用工装
KR200163068Y1 (ko) 코일이송용 리프터 카
CN219750801U (zh) 一种钢管自动上、送料系统
CN214934785U (zh) 一种建筑电气线缆输送装置
CN217619322U (zh) 一种便于检修的自动棒料剪机用传输装置
CN220467369U (zh) 一种高安全性新型钢丝绳轴固定机构
CN216036826U (zh) 一种汽车钢板模辅助接料组件
CN211813052U (zh) 一种防止卷纸破损的起吊装置
CN213856798U (zh) 一种用于电力施工中的电缆输送机
JPS6325057Y2 (ko)
JPS5838245B2 (ja) 折版の成形移送装置
JPS6348625Y2 (ko)
CN115780573B (zh) 一种铁板压平装置
KR0127579Y1 (ko) 다목적 줄거리장치
JPS6111130B2 (ko)
KR200308353Y1 (ko) 스크래치방지장치를구비한코일카
KR100234155B1 (ko) 가공소재 로딩장치
JP3304890B2 (ja) 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