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579Y1 - 다목적 줄거리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줄거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579Y1
KR0127579Y1 KR2019950020858U KR19950020858U KR0127579Y1 KR 0127579 Y1 KR0127579 Y1 KR 0127579Y1 KR 2019950020858 U KR2019950020858 U KR 2019950020858U KR 19950020858 U KR19950020858 U KR 19950020858U KR 0127579 Y1 KR0127579 Y1 KR 0127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ft
lifting
guide memb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290U (ko
Inventor
이만우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50020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579Y1/ko
Publication of KR970008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코일을 사용개소로 이송하기 위한 지상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5)의 집게 사이에 함체를 이루는 지지용 판(10)이 설치되면서, 판(10)의 양측부에는 리프트의 집게 사이공간에 밀착설치됨과 동시에 리프트의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된 절결홈을 구비한 측판(11)이 설치되며, 판(10)의 외주에는 양단부에 로우프(3)를 걸기 위한 고리(120)를 구비한 고리부재(12, 12a)가 설치되면서, 측벽에는 레일을 구비한 안내부재(121)가 설치되며, 안내부재(121)에는 상하부센서(123, 123a)를 구비한 센서플레이트(122)가 부착되고, 측판(11)의 외측면과 판(10)의 상면에는 스토퍼바(111)를 삽입하여 리프트의 걸림턱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바홀더(112)가 장착된 본체(1)와; 판(10)의 양측부에 모우터베이스(213)를 통해 모우터(210)가 설치되면서, 모우터(210)축에는 플랜지(212)를 통해 동력전달용 스크류(211)가 설치되며, 스크류(211)에는 안내부재(121)의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바디(202)를 통해 승강부재(20)가 설치되면서, 승강부재(20)의 양단부와 승강바디(202)에는 고리(120)에 걸린 로우프(3)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스토퍼(201)가 설치되고, 승강바디에는 상하부센서(123, 123a)와 접촉하면서 승강부재(20)의 승하강을 제한시키는 센서터치플레이트(205)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송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감소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줄걸이장치
본 고안은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코일을 사용개소로 이송하기 위한 지상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크레인에 후크로 결합된 리프트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코일이외의 다른 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줄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열연공정 또는 냉연공정에서 생산되는 열연코일 또는 냉연코일은 중량물이므로, 지상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이송체를 이용하여 사용개소로 이송하게 된다.
즉, 코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는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크레인의 하부에 걸림고리가 구비된 후크(50)가 설치되며, 이 후크(50)에는 코일을 걸어서 이송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한 리프트(5)가 설치되고, 이 리프트(5)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52a)와 콘센트(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지상크레인에 조립된 리프트(5)는 열연 또는 냉연코일을 이송하는 목적이외의 타목적 예컨대, 열연 또는 냉연코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크랩이나 조업 및 정비자재류 등을 이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크랩이나 조업 및 정비자재류 등을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리프트(5)가 후크결합된 지상크레인을 리프트 보관장소로 이송하여 리프트를 안착시킨 후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후크(50)와 리프트의 연결부위로 올라가서 신호를 하면서 후크(50)의 해체작업을 수행하고, 또다른 용도의 리프트를 설치하여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작업자가 지상크레인의 연결부위가 위치하는 높은 곳으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후크해체 작업 등을 행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연 또는 열연코일을 이송하는 조업 도중에 긴급사항 발생시에 즉시 타용도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상크레인으로 코일을 이송하는 도중 타용도의 물건을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리프트의 해체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줄걸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줄걸이장치의 본체와 이를 작동하기 위한 안전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상크레인과 리프트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줄걸이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중 안전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줄걸이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판
11 : 측판 110, 110a :스토퍼돌기
111 : 스토퍼바 112 : 스토퍼바홀더
12, 12a :고리부재 120 : 고리
121 : 안내부재 122 : 센서플레이트
123, 123a : 상하부센서 2 : 안전시스템
20 : 승강부재 200 : 가이드
201 : 안전스토퍼 202 : 승강바디
203 : 스크류홀 204 : 가이드판
205 : 센서터치플레이트 21 : 동력부
210 : 모우터 211 : 스크류
212, 212a : 플랜지 213 : 모우터베이스
3 : 로우프 212, 212a : 플랜지
213 : 모우터베이스 4 : 물체
5 : 리프트 50 : 후크
51 : 걸림턱 52 : 콘센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줄걸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중에 안전장치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줄걸이 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크레인의 하부에 후크(50)가 설치되며, 이 후크(50)에는 코일을 걸어 이송하기 위한 걸림턱(51)이 구비된 리프트(5)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코일 이송장치에 있어서, 리프트(5)의 집게 사이에 함체를 이루는 지지용 판(10)이 설치되면서, 이 판(10)의 양측부에는 리프트의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된 홈이 형성된 측판(11)이 설치되며, 판(10)의 상부면에는 양단부에 로우프(3)를 걸기 위한 고리(120)가 구비된 다수개의 고리부재(12, 12a)가 설치되면서, 측벽에는 레일이 구비된 안내부재(121)가 설치되며, 안내부재(121)에는 상하부센서(123, 123a)가 구비된 센서플레이트(122)가 부착되고, 측판(11)의 외측면과 판(10)의 상면에는 스토퍼바(111)를 삽입하여 리프트의 걸림턱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바홀더(112)가 장착된 본체(1)와; 판(10)의 양측부에 모우터베이스(213)를 통해 모우터(210)가 설치되면서 이 모우터(210)의 축에는 플랜지(212a, 212)를 통해 동력전달용 스크류(211)가 설치되며, 스크류(211)에는 안내부재(121)의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된 승강바디(202)를 통해 승강부재(20)가 설치되면서, 이 승강부재(20)의 양단부와 승강바디(202)에는 고리(120)에 걸린 로우프(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스토퍼(201)가 설치되고, 승강바디(202)에는 상하부센서(123, 123a)와 접촉하면서 승강부재의 승하강을 제한하도록 된 센서터치플레이트(205)가 설치된 안전시스템(2)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본체(1)는 리프트(5)의 집게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지지부재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일정크기의 함체를 이루는 판(10)과, 이 판(10)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면서 리프트(5)의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된 절결홈이 구비된 측판(11)과, 이 판(10)의 외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중량물이 걸리도록 된 다수개의 고리부재(12, 12a)로 구성된다.
또한, 측판(11)의 외측면에는 리프트(5)의 집게와 측판(11)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토퍼돌기(110, 110a)가 장착되면서, 절결홈의 양측 또는 판(10)의 상면에는 스토퍼바(111)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토퍼바홀더(112)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측판(11)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된 스토퍼바홀더(112)에 스토퍼바(11)를 삽입하게 되면, 리프트(5)의 걸림턱과 측판(11)의 절결홈이 걸리게 됨과 동시에 리프트(5)의 집게와 스토퍼돌기(110, 110a)가 상호 걸리게 되므로, 본 고안의 줄걸이 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리부재(12, 12a)는 양단부에 고리(120)가 형성되면서, 중앙부에는 판(10)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하기 위한 'ㄷ'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11)의 양측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레일을 형성하는 안내부재(121)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승강부재(20)는 안내부재(121)를 따라 승하강하면서 고리(120)에 걸려 있는 로우프(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부재로서, 이 승강부재(20)의 양단부에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안전스토퍼(201)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원통형상의 승강바디(2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측판(11)에는 승강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바디(202)에는 상하부센서(123, 123a)와의 접촉신호를 감지하도록된 센서터치플레이트(20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10)의 양측부에는 모우터(210)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모우터베이스(2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우터(210)의 회전축에 구비된 플랜지(212a)에는 동력전달용 스크류(21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류(211)는 승강바디(202)에 관통형성된 스크류홀(203)에 삽입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부재로서, 상단부에는 모우터(210)의 회전축과 보울팅시키기 위한 플랜지(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바디(202)의 양측부에는 안내부재(121)의 안내레일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가이드판(204)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판(204)의 측부에는 상하부센서(123, 123a)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센서플레이트(122)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하부센서(123, 123a)는 모우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센서터치플레이트(205)와의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승강부재(20)의 승하강을 조절하게 된다. 즉, 센서터치플레이트(205)는 센서(123, 123a)와 접촉되면서 승강부재(20)의 승강행정을 최대치와 최소치로 조정한다.
그리고, 가이드(200)에는 고리부재(12)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승강부재(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도록 된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모우터(210)는 리프트(5)의 콘센트(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에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연코일 또는 열연코일을 제외한 물체(4)를 이송하려는 경우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크레인에 후크결합된 리프트(5)의 걸림턱에 다목적 줄걸이 장치의 측판(11)에 형성한 'ㄷ'자의 절결홈을 끼운 후에 리프트(5)를 약간 들어 올린다.
이때, 리프트(5)의 걸림턱이 측판(11)의 절결홈에 끼워지면서 상호 고정되는 것이다.
이어서, 스토퍼바홀더(112)에 스토퍼바(111)를 끼워 리프트(5)와 줄걸이장치를 고정시킨 후에, 운반하고자 하는 물체(4)가 연결된 로우프(3)를 고리(120) 중 어느하나에 건다.
그리고, 운전자는 모우터(210)를 작동하여 승강부재(20)를 하강시켜 안전스토퍼(201)가 고리(120)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만일, 센서플레이트(122)가 하부센서(123a)에 접촉되는 경우 안전스토퍼(201)가 정지하게 된다.
물론, 고리(120)에 걸린 로우프(3)는 리프트(5)를 이동시키는 도중 안전스토퍼(201)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송작업이 완료된 후 로우프(3)를 고리(120)로부터 해체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안전스토퍼(201)를 상향시킨 후에 로우프(3)를 이탈시키고, 리프트(5)를 벌려 본 장치를 분리한 후에 종래와 같이 코일 이송작업을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줄걸이 장치에 의하면, 지상크레인에 구비된 후크와 코일이송용 리프트 또는 전원공급용 콘센트를 해체하는 작업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보관대 상부에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해체작업을 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리에 로우프를 걸은후에 안전스토퍼와 고정시키게 되므로, 고리로 부터 중량체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고리가 구비되므로, 한꺼번에 다수개의 물건을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상크레인의 하부에 후크(50)가 설치되면서, 후크(50)의 걸림고리에는 각종 코일을 물어잡기 위한 걸림턱(51)을 구비한 리프트(5)가 설치된 구조로 된 코일 이송장치에 있어서, 리프트(5)의 집게 사이공간에 개재되는 판(10)의 양측면에 걸림턱(51)이 끼워지도록 된 절결홈이 구비된 측판(11)이 장착되면서, 판(10)의 외주면에는 이송물체(4)가 묶인 로우프(3)를 걸기 위한 고리(120)가 구비된 고리부재(12, 12a)가 장착되며, 판(10)의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된 안내부재(121)가 장착되면서, 안내부재(121)의 하부에는 모우터(210)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상하부센서(123, 123a)가 구비된 센서플레이트(122)가 장착되고, 측판(11)의 외측면과 판(10)의 상면에는 절결홈에 끼워진 리프트(5)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바(111)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스토퍼바홀더(112)가 장착된 본체(1)와; 안내부재(121)의 상측에 고정설치된 모우터(210)의 회전축에는 플랜지(212)를 통해 동력전달용 스크류(211)가 장착되며, 스크류(211)의 나선홈에는 안내부재(121)의 레일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승강바디(202)를 통해 승강부재(20)가 장착되고, 승강부재(20)의 단부와 승강바디(202)에는 고리(120)에 걸린 로우프(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스토퍼(201)가 장착되며, 승강바디(202)에는 상하부센서와 접촉되면서 승강부재(20)의 승하강을 제한하도록 된 센서터치플레이트(205)가 장착된 안전시스템(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줄걸이 장치.
KR2019950020858U 1995-08-14 1995-08-14 다목적 줄거리장치 KR0127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858U KR0127579Y1 (ko) 1995-08-14 1995-08-14 다목적 줄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858U KR0127579Y1 (ko) 1995-08-14 1995-08-14 다목적 줄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290U KR970008290U (ko) 1997-03-27
KR0127579Y1 true KR0127579Y1 (ko) 1998-11-02

Family

ID=1942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858U KR0127579Y1 (ko) 1995-08-14 1995-08-14 다목적 줄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898B1 (ko) * 2002-10-16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902B1 (ko) 2017-03-27 2019-01-22 주식회사 포스코 견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898B1 (ko) * 2002-10-16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290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9365A (en) Rack and pinion load manipulator
JP2007217175A (ja) 長尺材搬送用吊り具装置
US6286695B1 (en) Engine lifting and positioning assembly
AU607289B2 (en) Lifting device
KR0127579Y1 (ko) 다목적 줄거리장치
EP0661232B1 (en) A lifting device
CN113942927A (zh) 一种吊装装置
EP1133818B1 (en) A suspension device having a cable carriage integral therewith
CN210910052U (zh) 铝棒转运机械手
CN117023370B (zh) 一种提升机卷筒吊装翻边方法
CN213771100U (zh) 一种使用便捷的安全性高的塔式起重机
CN214935762U (zh) 高压柜运输和装配装置
KR960006559Y1 (ko) 스크랩박스 이송을 위한 크레인훅 연결장치
CN216337912U (zh) 离子渗氮炉盖安全定位导向装置
CN209940271U (zh) 化工工业用起吊辅助用稳定装置
CN209906191U (zh) 一种可旋转炭块吊具
CN217894859U (zh) 集装箱顶板吊装装置和集装箱生产线
CN213415957U (zh) 一种摩擦式提升机钢丝绳更换工具
JPS6141741Y2 (ko)
KR100385712B1 (ko) 전기로 루프 운반장치
JPH0445967Y2 (ko)
JP3341871B2 (ja) クロップバケット吊具外れ止め機構及びその方法
JP4068447B2 (ja) 長尺材用吊具
KR100804936B1 (ko) 직류 전기로 센터피스 교환장치
JPS60153389A (ja) パイプ用吊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