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898B1 -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898B1
KR100843898B1 KR1020020063148A KR20020063148A KR100843898B1 KR 100843898 B1 KR100843898 B1 KR 100843898B1 KR 1020020063148 A KR1020020063148 A KR 1020020063148A KR 20020063148 A KR20020063148 A KR 20020063148A KR 100843898 B1 KR100843898 B1 KR 10084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fter
hook
hydraulic
crane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864A (ko
Inventor
한관수
오영창
김윤표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8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호이스트 후크(Hoist hook)에 매달리는 코일 리프터를 자동으로 분리및, 연결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코일 리프터를 연결한 경우, 호이스트 후크의 흔들림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조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크를 고정시키는 후크 안착부와, 크레인으로 부터의 전원이 코일 리프터의 전기기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케이블 연결부및, 상기 코일 리프터의 일측에 마련된 유압 모터와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모터의 작동으로 피스톤 로드가 상기 후크를 관통하여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된 구멍으로 삽입됨으로서 후크와 코일 리프터를 유압작용력으로 연결및 분리시키는 유압고정부등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크레인(CLTS Crane), 후크, 코일 리프터, 후크 안착부, 전원 케이블 연결부,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Description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OIL LIFTER WITH A HOOK OF CRANE}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동작 설명도;
제 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방식을 단계적으로 설명한 작동 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상세히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도로서, 유압 고정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도로서, 후크 안착부와 유압 고정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종 단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의 작동설명도로서, 후크 가 코일 리프터에 결합되는 설명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의 작동설명도로서, 로드가 후크와 코일 리프터를 결합시키는 설명도;
제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의 작동설명도로서, 후크가 코일 리프터로 부터 분리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후크 안착부 12..... 연결 프레임
14.... 실린더형 공간 16.... 로드
18.... 복귀형 스프링 20.... 누름판
22a,22b... 유압라인 24a,24b... 수평 실린더 공간
26a,26b... 피스톤 28a,28b... 복귀용 스프링
50.... 전원 케이블 연결부 52.... 고정베이스
54.... 연결모터 56.... 스크류기어
58.... 베어링 블록 60.... 이동블록
62a,62b... 잭 66.... 상승 감지센서
68.... 하강 감지센서 70.... 엘엠 가이드(LM guide)
76.... 스프링 90.... 유압고정부
92.... 유압 실린더 94..... 유압 피스톤 로드
96a... 피스톤 로드 전진 감지센서
96b... 피스톤 로드 후진 감지센서
102... 유압탱크 104.... 유압펌프
106... 유압모터 108.... 유압 주공급라인
110... 자동 방향전환밸브 112.... 유압 헤드측 공급라인
114... 공급라인 116.... 유압 회수라인
120... 유압탱크 200.... 크레인
206.... 호이스트 후크 210.... 코일 리프터
220.... 리프터 적치대 250.... 고정 실린더
252.... 실린더 이동 손잡이
본 발명은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된 제품을 운반하는 크레인(CLTS Crane)의 코일 리프터(Coil lifter)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후크(Hoist hook)에 매달리는 코일 리프터를 자동으로 분리및, 연결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코일 리프터를 연결한 경우, 호이스트 후크의 흔들림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조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200)은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후크(206)에 코일 리프터(210)를 연결하여 제품 운반작업을 수행하다가 크레인(200)을 이용하여 하부 라인 정비 및 부대작업을 지원하고자 하는 경우, 호이스트 후크(206)에 매달 려 있는 코일 리프터(210)를 분리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코일 리프터(210)를 적치대(220)로 이동한 후, 코일 리프터(210)의 작업자(230)의 신호에 따라서 코일 리프터(210)를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크레인(200)의 하부에 있는 코일 리프터 작업자(230)가 호이스트 후크(206)의 측면에 있는 터미널 박스(240)에서 코일 리프터(210)의 케이블 연결 잭(jack)(242)을 분리하고, 호이스트 후크(206)에서 코일 리프터(210)의 고정 실린더(250)를 실린더 이동 손잡이(252)로 잡아 당기면서 후크(206)와 리프터(210)를 분리한 후, 크레인 운전자는 코일 리프터 작업자(230)의 신호에 따라서 호이스트 후크(206)를 권상하여 해당 라인에서 정비 및 조업, 부대작업을 지원한다.
그리고, 크레인(200)이 해당 라인의 정비 및 조업 부대작업을 지원완료 후, 호이스트 후크(206)에서 코일 리프터(210)의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00)은 코일 리프터(210)가 적치되어 있는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로 이동하게 되고,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에서 코일 리프터 작업자(230)의 신호에 따라서 호이스트 후크(206)를 권하하여 코일 리프터(210)의 고정 실린더 삽입홀(260)에 일치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호이스트 후크(206)의 흔들림에 의하여 호이스트 후크(206)를 종래의 코일 리프터(210)의 고정 실린더 삽입홀(260)에 정확하게 맞추어 권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호이스트 후크(206)가 고정 실린더 홀(260)에 정확하게 맞추어지면, 코일 리프터 작업자(230)는 먼저 고정 실린더 이동 손잡 이(252)를 손으로 붙잡고 힘으로 밀면서 고정 실린더(250)를 호이스트 후크(206)를 가로질러 호이스트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를 체결한다.
그 다음, 코일 리프터 케이블 연결잭(242)을 손으로 잡고서 호이스트 후크(206) 측면에 있는 터미널 박스(240)에 연결하면 연결 작업공정이 완료되는데 코일 리프터 분리 및 연결 작업이 하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가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코일 리프터(210)를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주행과 횡행동작으로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로 이동한 후 하부 작업자 수신호에 따라서 코일 리프터(210)가 매달려 있는 호이스트 후크(206)를 권하시키게 된다.
이때, 호이스트 후크(206)를 지지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의 흔들림 발생으로 인하여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의 안착중에 하부에 있는 작업자를 타격할수 있으며, 코일 리프터(210)가 적치대(220)에 안착된 후에도 고정 실린더(250)를 고정 실린더 이동 손잡이(252)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거나 밀면서 분리연결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불안전한 자세로 인하여 코일 리프터(210)의 고정 실린더(250) 분리연결이 난이하고, 코일 리프터 케이블 잭(242)의 연결시 호이스트 후크(206) 측면에 있는 터미널 박스(240)까지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에서 손으로 이용하여 연결하기에는 적치대(220) 바닥에서 호이스트 후크(206) 측면에 있는 터미널 박스(terminal box)(240)까지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작업시 불안전한 자세로 인하여 감전사고 및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레인 운전자 단독으로 호이스트 후크를 권하하여 코일 리프터를 연결하는 작업공정을 수행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코일 리프터를 연결한 경우, 호이스트 후크의 흔들림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조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된 제품을 운반하는 크레인(CLTS Crane)의 후크와 코일 리프터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일 리프터의 상단에 마련된 프레임의 하부측에 누름판이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이 장착되는 공간에는 작동유가 충전되어 유로들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위치된 수평 실린더 공간에 연통되어 피스톤들이 전,후진을 이루어 상기 프레임으로 진입된 후크를 고정시키는 후크 안착부;
코일 리프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후크의 측방에서 모터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한 잭을 구비하고, 코일 리프터의 일측에는 상기 잭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잭이 스프링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위치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서 크레인으로 부터의 전원이 코일 리프터의 전기기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케이블 연결부;및
상기 코일 리프터의 일측에 마련된 유압 모터와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모터의 작동으로 피스톤 로드가 상기 후크를 관통하여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된 구멍으로 삽입됨으로서 후크와 코일 리프터를 유압작용력으로 연결및 분리시키는 유압고정부;등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후크와 코일 리프터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1)는 도 4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터의 상단에 후크 안착부(10)를 갖는 바, 상기 후크 안착부(10)는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고정 연결 프레임(12)내로 호이스트 후크(206)가 권하되어 들어올 경우에 발생하는 측면 흔들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정 연결 프레임(12)의 내측 바닥에는 실린더형 공간(14)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14)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16)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16)의 하부에는 실린더 공간(14)의 내측에 복귀형 스프링(18)이 배치되고, 상기 공간(14)에는 작동 유체가 밀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드(16)의 상단에는 후크(206)의 하단이 접촉되는 누름판(20)이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 공간(14)에는 좌우로 제 1유압라인(22a)과 제 2유압라인(22b)들이 형성되며, 상기 유압라인(22a)(22b)들은 프레임(12)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프레임(12)의 양측 내부에 마련된 좌우측 수평 실린더 공간(24a)(24b)에 각각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실린더 공간(24a)(24b)에는 각각 피스톤(26a)(26b)들이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유압이 해제될 경우에 자동으로 그 위치가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복귀용 스프링(28a)(28b)들이 걸려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1)는 도 6및 도 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06)의 일측방에 전원 케이블 연결부(50)를 장착하고 있는 바, 상기 전원 케이블 연결부(50)는 후크프레임(12)의 측방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전원장치 고정베이스(52)를 기준으로 상부측에 연결모터(54)가 배치되고, 그 하부측으로는 연결모터(54)의 축에 스크류기어(56)가 하향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기어(56)들은 베어링 블록(5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기어(56)에는 이동블록(60)의 상단이 나사결합되고 있으며, 상기 이동블록(60)의 하단은 상기 고정베이스(5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터미널 박스(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62a)을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블록(58)중 상부의 것에는 이동블록(60)의 상승 감지센서(66)가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 블록(58) 하부측의 것에는 이동블록(60)의 하강 감지센서(68)가 장착되어 이동블록(60)이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그 상한및 하한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베이스(52)의 중앙에는 상하로 엘엠 가이드(LM guide)(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엘엠 가이드(70)에는 이동블록(60)의 일측면이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스크류 기어(56)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블록(60)이 엘엠가이드(7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박스(240)에서 전원케이블(7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블록(60)의 상부 케이블 연결잭(62a)은 코일 리프터(210)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하부 케이블 연결잭(62b)에 결합되어지는 바,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잭(6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코일 리프터(210)의 일측으로는 하부 케이블 지지 블록(74)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블록(74)의 상부측으로 스프링(76)이 직립되어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잭(62b)을 받쳐 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블 연결잭(62b)은 케이블(78)을 통하여 코일 리프터(210)와 이에 장착되는 전원기기들에 전원공급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1)는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를 고정하도록 코일 리프터(210)의 상단에 유압고정부(90)를 갖는 바, 상기 유압고정부(90)는 도 7및 도 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92)의 내주면에 유압 피스톤 로드(94)가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 실린더(92)의 전방 내벽측에는 피스톤 로드 전진 감지센서(96a)가 있으며, 유압 실린더(92)의 후방 내벽측에는 피스톤 로드 후진 감지센서(96b)가 배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92)의 하부에는 유압 실린더(92)를 지지하고 있는 유압 실린더 받침대(100)가 코일 리프터(210)의 프레임(12) 측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 받침대(100)의 하부에는 유압탱크(102)에 유압펌프(104)와 유압모터(106)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펌프(104)에서 연결되어 있는 유압 주공급라인(108)이 자동 방향전환밸브(110)으로 연결되고 자동 방향전환밸브(110)에서 다시 유압 실린더(92)의 헤드측으로 연결되는 유압 헤드측 공급라인(112)과 자동 방향전환 밸브(110)에서 유압 실린더(92)의 테일측으로 연결되는 공급라인(114)을 따라서 연결된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92)의 헤드측에서 유압 드레인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16a)과 유압 회수라인이(116)이 유압탱크(102)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테일측에서 유압 드레인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18a)와 유압 회수라인(118)이 유압탱크(102)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유압 피스톤 로드(94)는 전,후진되는 경우, 후크(206)를 걸어주기 위하여 프레임(12)의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프레임에는 각각 구멍(1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1)는 제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터(210)를 후크(206)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크레인(200)은 코일 리프터(210)가 적치되어 있는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로 이동한 후, 호이스트 후크(206)를 코일 리프터(210)측으로 권하한다.
따라서, 호이스트 후크(206)가 상기 코일 리프터(210)의 상단측 프레임(12)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누름판(20)을 누르게 되면, 로드(16)가 공간(14)내의 유체을 하부로 밀어내면서 유압을 발생시켜 유로(22a)(22b)를 통하여 수평 실린더 공간(24a)(24b)내의 피스톤(26a)(26b)를 전진시켜 호이스트 후크(206)의 측면을 양측에서 눌러 잡아주면서 호이스트 후크(206)의 흔들림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후크(206)가 프레임(12)의 내측에 위치되면, 크레인 운전자는 상기 전원 케이블 연결부(50)의 연결모터(54)를 동작시켜서 스크류 기어(56)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면, 스크류 기어(56)가 회전하면서 이동블록(60)을 엘엠 가이드(LM guide)(70)를 따라서 하강시키면서 상부 케이블 연결잭(62a)을 하부 케이블 연결잭(62b)으로 연결하여 코일 리프터(2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이동블록(60)은 하강하면서 이동 블록 하강 감지센서(68)에 의하여 이동블록(60) 하강 완료시점을 감지하고, 연결모터(54)의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코일 리프터(210)에 전원이 공급하게 되면, 작업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유압고정부(90)의 유압모터(106)를 동작시켜서 유압펌프(104)를 동작시키고, 유압탱크 (102)의 작동유가 유압 주공급라인(108)을 거쳐 자동 방향전환밸브(110)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92)의 유압 피스톤 로드(94)를 전진시켜 프레임(12)의 구멍(12a)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호이스트 후크(206)에 코일 리프터(21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유압 피스톤 로드(94)가 전진이 완료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 전진 감지센서(96a)가 자동 방향전환밸브(110)가 중립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유압모터(106)의 회전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는 후크(206)가 코일 리프터(210)에 연결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호이스트 후크(206)를 권상 하여 제품을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1)는 후크(206)를 코일 리프터(210)로 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00)을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로 이동시킨 후, 호이스트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를 권하하여 코일 리프터 적치대(22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크레인 작업자는 유압고정부(90)의 자동 방향전환 밸브(110)의 작동방향을 후진으로 전환하고 유압모터(106)를 회전시켜 유압펌프(104)의 동작으로 유압탱크 (102)에 있는 유압오일을 유압 실린더(92)의 헤드측으로 유압라인(112)를 통하여 공급하면 유압 피스톤 로드(94)가 후진하게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18a)가 열리면서 유압오일은 라인(118)을 통해 유압탱크(102)로 회수되고, 유압 피스톤 로드 (94)가 후진되어 피스톤 로드 후진감지센서(96b)와 접촉하게 되어 유압 피스톤 로드(94)의 후진이 완료됨을 감지한다.
그 후, 크레인 작업자는 전원케이블 연결부(50)의 연결모터(54)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서 스크류 기어(56)의 역회전으로 이동 블록(60)이 엘엠 가이드(LM guide)(70)를 따라서 상승하여 상부케이블 연결잭(62a)과 하부케이블 연결잭(62b)을 분리하면서 코일 리프터 전원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모터(54)의 작동은 이동블록(60)이 감지센서(66)에 의하여 상승완료를 감지한 후, 연결모터(54)의 동작을 정지하게 한다.
따라서, 크레인 작업자는 호이스트 후크(206)를 권상하여 해당라인의 정비 및 조업, 부대작업을 지원하면 되고, 코일 리프터(210)의 후크 안착부(10)에서는 호이스트 후크(206)가 권상되면서 누름판(20)이 복귀용 스프링(18)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고, 유압오일은 로드(16)의 상승으로 인하여 발생된 흡인력에 의해서 다시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수평 실린더 공간(24a)(24b)내에서 피스톤(26a)(26b)을 후진시켜 호이스트 후크(206)의 양측면으로 부터 분리되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후크와 코일 리프터의 분리및 연결 작업시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크레인 운전자는 크레인 운전실에서 하부 작업자의 수신호 없이도 코일 리프터 적치대 위치로 이동하여 후크(206)를 코일 리프터(210)에 안착 시킬수 있다.
둘째, 크레인 운전자는 하부 작업자가 수행하던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의 분리 및 연결 작업을 하부 작업자의 도움없이 직접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세째, 코일 리프터 연결 작업이 크레인 운전자 단독으로 이루어 짐으로서 코일 리프터 분리 및 연결 작업중 발생할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Claims (5)

  1.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된 제품을 운반하는 크레인(CLTS Crane)(200)의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일 리프터(210)의 상단에 마련된 프레임(12)의 하부측에 누름판(20)이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20)이 장착되는 공간에는 작동유가 충전되어 유로(22a)(22b)들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12)의 양측면에 위치된 수평 실린더 공간(24a)(24b)에 연통되어 피스톤(26a)(26b)들이 전,후진을 이루어 상기 프레임(12)으로 진입된 후크(206)를 고정시키는 후크 안착부(10);
    코일 리프터(2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후크(206)의 측방에서 모터(54)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한 잭(62a)을 구비하고, 코일 리프터(210)의 일측에는 상기 잭(62a)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잭(62b)이 스프링(76)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위치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서 크레인(200)으로 부터의 전원이 코일 리프터(210)의 전기기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케이블 연결부(50);및
    상기 코일 리프터(210)의 일측에 마련된 유압 모터(106)와 유압 실린더(92)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모터(106)의 작동으로 피스톤 로드(94)가 상기 후크(206)를 관통하여 프레임(12)의 양측에 마련된 구멍(12a)으로 삽입됨으로서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를 유압작용력으로 연결및 분리시키는 유압고정부(90);등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후크(206)와 코일 리프터(210)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리프터(210)로 부터 후크(206)가 분리되면, 상기 누름판(20)은 복귀형 스프링(18)을 통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 공간(24a)(24b)의 피스톤(26a)(26b)들은 복귀용 스프링(28a)(28b)들을 통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 연결부(50)의 연결모터(54)는 그 축에 스크류기어(56)가 하향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기어(56)들은 베어링 블록(5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크류기어(56)에는 이동블록(60)의 상단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60)의 하단은 상기 고정베이스(5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터미널 박스(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62a)을 장착하며, 상기 이동블록(60)은 고정베이스(52)의 엘엠 가이드(LM guide)(70)에 일측면이 상하로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접촉되어 스크류 기어(56)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블록(60)의 잭(62a)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고정부(90)는 유압 실린더(92)의 내주면에 유압 피스톤 로드(94)가 연결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92)의 전방 내벽측에는 피스톤 로드 전진 감지센서(96a)가 있으며, 유압 실린더(92)의 후방 내벽측에는 피스톤 로드 후진 감지센서(96b)가 배치되어 상기 로드(94)의 전,후진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 연결부(50)는 스크류기어(56)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블록(58)중 상부의 것에는 이동블록(60)의 상승 감지센서(66)가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 블록(58) 하부측의 것에는 이동블록(60)의 하강 감지센서(68)가 장착되어 이동블록(60)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한및 하한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KR1020020063148A 2002-10-16 2002-10-16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KR10084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148A KR100843898B1 (ko) 2002-10-16 2002-10-16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148A KR100843898B1 (ko) 2002-10-16 2002-10-16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864A KR20040033864A (ko) 2004-04-28
KR100843898B1 true KR100843898B1 (ko) 2008-07-03

Family

ID=3733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148A KR100843898B1 (ko) 2002-10-16 2002-10-16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72500A1 (en) 2009-12-23 2011-07-28 Nsl Engineering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the coupling of a head frame
CN107720538B (zh) * 2017-11-07 2023-11-28 中冶赛迪装备有限公司 智能立体仓库吊具锁紧装置
CN116380675B (zh) * 2023-04-20 2024-01-05 临沂千源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包装袋生产用抗拉扯强度测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579Y1 (ko) * 1995-08-14 1998-11-02 김종진 다목적 줄거리장치
KR19990024640U (ko) * 1997-12-13 1999-07-05 이구택 크레인 리프터의 행거핀 자동탈착장치
KR200171720Y1 (ko) * 1999-08-26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 리프터
KR20020019273A (ko) * 2000-09-05 2002-03-12 차 동 해 크레인 무인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579Y1 (ko) * 1995-08-14 1998-11-02 김종진 다목적 줄거리장치
KR19990024640U (ko) * 1997-12-13 1999-07-05 이구택 크레인 리프터의 행거핀 자동탈착장치
KR200171720Y1 (ko) * 1999-08-26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 리프터
KR20020019273A (ko) * 2000-09-05 2002-03-12 차 동 해 크레인 무인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864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11441U (zh) 顶挂式报废轿车翻转机
CN107531465A (zh) 履带起重机的车身配重支撑装置
US3127956A (en) Lift truck
KR100843898B1 (ko) 크레인의 코일 리프터 연결장치
CN210286550U (zh) 一种自动化机械设备起吊装置
US548608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vehicle frame
CA2480060A1 (en) Hoist
CN217996684U (zh) 一种安全举升架
CN214162945U (zh) 一种电力输电线路检修用工具箱
CN213894822U (zh) 一种感应式施工升降机空间障碍物拦截装置
CN212559345U (zh) 一种高温合金浇铸工艺用多功能电动提升装置
CN100590414C (zh) 叉车护顶架强度试验试块控制装置
CN209986465U (zh) 一种用于重型箱体翻转的变位机
CN210340124U (zh) 一种方便夹持的纸卷吊运设备
CN209637319U (zh) 垂直升降式立体停车库
KR100851876B1 (ko) 레이들의 탑렌스 투입장치
CN217264716U (zh) 一种盾构机主驱减速箱翻身工装
CN209969995U (zh) 一种辅助设备
CN219194382U (zh) 一种汽车升降装置
US2833518A (en) Portable drilling machines
CN215828236U (zh) 一种用于龙门升高的便携式吊装工具
CN218224792U (zh) 铝导杆铣削装置
CN213923813U (zh) 一种夹紧工装和夹紧设备
CN115083227B (zh) 一种实验用正面吊机械实训台
CN220596803U (zh) 一种塔吊用安全吊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