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530Y1 -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530Y1
KR970004530Y1 KR2019930014927U KR930014927U KR970004530Y1 KR 970004530 Y1 KR970004530 Y1 KR 970004530Y1 KR 2019930014927 U KR2019930014927 U KR 2019930014927U KR 930014927 U KR930014927 U KR 930014927U KR 970004530 Y1 KR970004530 Y1 KR 970004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wall
formwork
pos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538U (ko
Inventor
임재형
고훈범
음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건설
박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건설, 박정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건설
Priority to KR2019930014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530Y1/ko
Publication of KR950006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상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이 또다른 구성상태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실시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페널 2 : 이동간
3 : 포스트바 4 : 벽체
11 : 고무페널 12 : 고정홀
22 : 나선흡 23 : 손잡이 삽입구
24 : 회전손잡이 31 : 고정구
32 : 너트 공 33 : 스토퍼
34 : 조절공 41 : 결착고리
42 : 내진바
본 고안은 아파트나 단독주택 건축시 조립식 벽체 접합부에 채우어지는 모울타르가 누출되지 않고 깨끗이 채워지도록 접합부의 외부에 간편히 부착시킬 수 있는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주택건축시 주로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공법은 기둥과 보의 중앙에 적정의 철근을 심고 그 외부에 일정한 형태의 목재 거푸집을 세우고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체워넣는 방법이다.
이러한 공법은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설계상 요구되는 강도나 형상을 현장맞춤으로 충분히 맞출수 있으나,
콘크리트 양생에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고층건물의 건축시 아래층에 타설한 콘크리트 양생후에야 그 위층을 올릴 수 있으므로 장기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주택보급율이 낮아서 단기간에 대규모의 주택을 건설하여야 하는 조건하에서는 상기의 공법은 맞지 않으며, 벽체등을 미리 양생시켜 이들로 조립하여 건축을 하는 조립식 공법에 선화되게 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각광받는 건축기법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조립식 공법이란 철근 콘크리트로 미리 양생시켜 일정규격을 가지는 벽체를 설계사양에 적합하게 짜맞추며 건축을 하는 기법으로, 이때 벽체간에는 간섭등에 의하여 정확한 구획한 확정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체의 정합부간에 일정간격이 떠러지도록 벽체 규격을 정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조립식 벽체를 사용하여 조립을 하여도 벽체간에 약간의 간격이 발생되는데 이부분에는 모울타르 (또는 시맨트)를 주입, 응고시키므로서 마감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마감작업을 위해 종래에는 목재의 거푸집을 간격부분의 양측에 대고 모울타르를 주입시켰는데, 이때에는 목재거푸집의 부정밀성에 의해 간격부분이 벽측에 정확히 밀착이되지 않고 많은 틈이 생기는네 이 틈사이로 모울타르가 새어나오므로 정확한 마감처리가 되지 않고 2차적인 뒷솔질이 필요하게 되며, 특히 거푸집을 정위치에 밀착, 유지 시키기 위에서는 여러가지 보조재료(족장목등)를 사용하여 떠받치게 되므로 이들에 의해 통로차단 및 작업공간의 제약을 일으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적절히 해결하면서도 거푸집 설치가 간편하고 재활용이 용이한 구조화된 거푸집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고, 제 4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동패널(Pannel)(1)은 나무 또는 금속제의 직육면체로 내면에는 고무패널(11)이 액상고무의 스프레이(Spray)방식 또는 고무판이 접착방식으로 밀착되어 있다.
이동패널(1)의 중심으로 수개소에는 고정홀(12)에 삽입고정되어 있는데, 도면에서는 1개소에만 고정홀(12)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의 고정홀(12)의 갯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홀(12)안으로 이동간(2)의 원기둥형 선단부가 삽입되고 이동간(2)이 몸체는 나선이 형성되어 포스트바(3)의 축중앙부 수개소에 너트구조로 삽설된 너트공(32)에 나사결합되고 이동간(2)의 후단돌출부에는 회전손잡이(24)가 삽입되는 손잡이 삽입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기둥인 포스트바(3)의 상하에는 포스트바 고정구(31)가 삽입되는데, 고정구(31)는 천정과 바닥사이에 포스터바(3)가 지지 설치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데, 예를들면 포스트바(3)내에 볼트가 내장된 구조나 첨단이 뾰족하고 하부에 스프링이 내장된 구조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기는 고성구(31)를 첨단이 원뿔형인 원기둥형으로 하고 포스트바(3)에 삽입되는 부위는 볼트구조로 하며 돌출부상의 원기둥형 몸체에 양구(spaner)끼울자리를 마련하는 구조이며, 또다른 구조로는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1)를 첨단이 반구형인 원기둥형으로 하고 고정구(31)와 천정 또는 바닥사이에 외면에 패드가 부착되고 중심부위에는 고정구의 반구형첨단부가 안착되도록 반구형의 요부를 가지는 쇄기형의 스토퍼(33)를 삽입하고 상부의 고정구(32)는 포스트바(3)와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의 고정구(32)는 원기둥형 몸체에 나선이 장설되고 일정위치에는 조절공(34)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일부는 포스트바(3)에 나사삽입되어 상할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제 5 도는 벽체가 직각으로 마감처리될 수 있도록 한 본고안의 또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또다른 구성은 일자형 벽체 거푸집과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나 벽체에 접합되는 이동페널(1)의 형상이 삼각기둥 또는 앵글형상으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이다.
조립식 벽체(4)의 측면에는 결착고리(41)가 부착되어 있어서 중심의 내진바(42)에 삽입, 고정되는데, 이상태에서 제 1 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거푸집을 설치한다.
설치하는 방법은 벽체(4)의 연결부 내, 외면에 이동페널(1)을 붙여서 세우고, 상기 이동페널(1)의 후방 일정거리에 포스트바(3)를 세운후 포스트바(3)의 상하단에 있는 고정구(31)를 이용하여 포스트바(31)가 천정과 바닥사이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구(31)가 첨단이 원뿔형인 경우에는 고정구(31) 원기둥부의 양구자리에 양구를 끼우고 돌리면 고정구(31)가 전진하는데 고정구(31)의 첨부가 천장과 바닥에 일정깊이 박히면서 포스트바(3)를 천정과 바닥사이에 고정시키게 되며, 고정구(31)가 첨단이 반구형인 경우에는 고정구와 천정 또는 바닥사이에 쇄기형의 스토퍼(33)를 첨체부위부터 압입하는데 스토퍼의 중앙에 형성된 반구형의 요부에 고정구(31)의 첨단 반구부가 삽입되면서 스토퍼(33)가 고정이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구(31)의 하부 조절공(34)에 원형바를 끼우고 돌리면 고정구(31)가 전진되면서 스토퍼(33)를 밀어주므로 스토퍼(33)의 외면에 부착된 패드가 천정 또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가지며 또한 고정구(31)의 길이방향의 장력에 의해 포스트바(3)가 천정과 바닥사이에서 견고히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이 포스트바(3)를 견고히 고정한후, 포스트바(3)의 너트공(32)에 이동페널(1)이 모울타르에 의하여 받게되는 응력에 따라 적절한 갯수의 이동간(3)을 선단부 부위부터 밀어넣고 손잡이삽입구(23)에 회전손잡이(24)를 끼우고 시계방향으루 돌리면 이동간(2)의 몸체에 형성된 나선이 포스트바(3)의 너트공(32)에 형선된 너트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데 일정거리 전진하면 너트공(32)을 관통하여 이동페널(1)의 고정홀(12)에 이동간(2)의 선단부가 삽입되게 되며 이후부터는 이동페널을 벽체(4)부위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이동페널(1)의 내측에 부착된 고무페널(11)이 벽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후에 모울타르를 접합부에 채워넣어도 거푸집밖으로 새어나오지 않을 뿐만아니라 모울타르 양생후의 외면도 매끄럽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의 거푸집을 이용하면 조립식 건축법에서 가장 인력이 많이 소모되는 거푸집작업이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 지게되는 인건비절약 및 공기단축에 큰 기여를 하게 되며, 특히 일반적인 거푸집 작업에서 보다 그정밀성이 높으며 표면처리등의 2차작업이 필요없게 되는 경제성이 높은 고안이다.

Claims (4)

  1. 내면에 고무페널(11)이 접착되고 그 중심부에 고정홀(12)이 삽입 고정된 직육면체의 이동페널(1)과, 사각기둥으로 그 상하에 포스트 고정구(31)가 삽입되고 축중앙에 구개의 너트공(32)이 형성된 포스트바(3)와, 선단은 원기둥형 이고 몸체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후단 돌출부는 회전손잡이(24)가 삽입되는 손잡이 삽입구(23)가 형성된 이동간(2)과, 상기 수개의 이동간(2)이 선단부로부터 포스트바(3)의 너트공(32)에 삽입되어 회전손잡이(24)를 돌려줌에 따라 이동간(2)포스트바(3)의 너트공(32)을 관통하여 이동페널(1)을 밀어주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페널(1)이 직각으로 구성되는 벽체(4)의 마감에 적합하도록 내측은 삼각주 형성이고 외측은 앵글형상이며 벽체측에는 고무페널(11)이 부착된 구조임을 특정으로 하는 조립식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31)를 첨단이 원뿔형인 원기둥형으로 하고 포스트바(3)에 삽입되는 부위를 볼트구조로하며 포스트바(3)에서 돌출된 고정구(31)의 원기둥형의 몸체에 양구자리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31)를 첨단이 반구형인 원기둥형으로 하고 고정구(31)와 천정 또는 바닥사이에 외면에 패드가 부착된 쇄기형의 도토퍼(33)를 삽입하고 하부 고정구(31)만을 포스트바(3) 하단에 나착시키고 일정위치에 관통된 조절공(34)을 형성시킨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KR2019930014927U 1993-08-04 1993-08-04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KR970004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927U KR970004530Y1 (ko) 1993-08-04 1993-08-04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927U KR970004530Y1 (ko) 1993-08-04 1993-08-04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538U KR950006538U (ko) 1995-03-21
KR970004530Y1 true KR970004530Y1 (ko) 1997-05-13

Family

ID=1936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927U KR970004530Y1 (ko) 1993-08-04 1993-08-04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5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27B1 (ko) * 2008-03-28 2010-02-26 백남진 컬럼 설치용 규준 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27B1 (ko) * 2008-03-28 2010-02-26 백남진 컬럼 설치용 규준 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538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222B2 (en) Fastener device for securing spaced mold boards
US5555690A (en) Tile mounting system
US6036397A (en) Connector having passages for adhesive flow
KR970004530Y1 (ko) 조립식 벽체의 접합부 거푸집
JPH0411080Y2 (ko)
CN111794546A (zh) 一种预应力加固装置及预应力加载施工方法
DE8809862U1 (ko)
KR200379873Y1 (ko) 인서트 볼트
KR100391993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JPS6316769Y2 (ko)
JPH0225846Y2 (ko)
KR20060091930A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방법
JPH01154952A (ja) 手摺支柱の支持装置
KR200383860Y1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JP2982158B2 (ja) 手摺の支柱取付構造
CN113882708B (zh) 一种建筑加固结构及其加固方法
JP290461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基礎の垂直保持治具
CN209084186U (zh) 新型给排水管安装结构
JPS6332843Y2 (ko)
JPH0455134Y2 (ko)
KR200161312Y1 (ko) 시멘트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설치를 위한 하부기초장치
JPS6223934Y2 (ko)
JPH1061103A (ja) 柱脚構造
JPH0331851B2 (ko)
KR200169846Y1 (ko) 계단용 조립식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