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411B1 -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411B1
KR970004411B1 KR1019930018855A KR930018855A KR970004411B1 KR 970004411 B1 KR970004411 B1 KR 970004411B1 KR 1019930018855 A KR1019930018855 A KR 1019930018855A KR 930018855 A KR930018855 A KR 930018855A KR 970004411 B1 KR970004411 B1 KR 97000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reaction
diazabicyclo
organic isocyanate
gr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453A (ko
Inventor
김삼민
박선이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김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김흥기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411B1/ko
Publication of KR95000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3/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3/12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from or via nitrogen analogues of carboxylic acids, e.g. from hydroxamic acids, involving a Hofmann, Curtius or Lossen-type rearrang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제조시의 중간체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diisocyanate : 이하 MDI라 한다) 제조 및 생리적으로 활성이 있는 물질인 안기닌(anguinine)을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제조방법으로 독성이 강하고 부식성이 강한 포스겐(phosgene) 가스를 사용하지않고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과 브로모트리클로로메탄(bromotrichloromethane)을 반응시킨 다음 3차아민(tertiary amine)의 존재하에서 지방족(aliphatic) 또는 방향족(aromatic) 하이드록사믹산(hydroxamic acid)과 반응시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소시아네이트는 다양한 반응 경로를 거쳐 합성됨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첫째, 할로알킬(haloalkyl)과 실버 시아네이트(silver cyanate)의 치환 반응(Arch. Pharmacol., 302, 617(1969))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할로알킬로부터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할 수 있지만, 할로아릴(halaryl)로부터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니트로알킬(nitroalkyl)의 카르보닐화(carbonylation)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미국 특히 제 3,461,149호, 제3,673,827호)은 100℃~200℃이 높은 온도와 100~250atm.의 높은 압력을 요한다.
셋째, 아민의 포스겐 가스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의 고전적인 제조방법(영국 특허 제1,086,782호)은 부식성이 강하고 독성이 클 뿐만 아니라 높은 반응 온도를 필요로 한다.
넷째, 커티우스(Curtius) 방법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J. Org, Chem., 38, 2982(1973))은 카르보닐클로라이드(carbonylchloride)와 아지드(azide)의 반응으로부터 만들어진 카르보닐 아지드를 가열하거나 빛을 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유기 또는 무기 아지드의 가열에 따른 폭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카르바미산(carbamic acid)의 에스테르(ester)의 열분해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미국 특허 제3,465,024호)은 100~500℃의 높은 온도를 요구하고 수득률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로센 전위 반응(Rossen Rearrangement)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반응중 거의 이소시아네이트 단계에서 멉추지 않고 아민으로 쉽게 바뀌기 때문에 많은 이소시아네이트가 로센 전위 반응에 의해 제조되지 못하거나 제조된다고 할지라도 상당히 낮은 수득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과 브로모트리클로로메탄(bromotrichloromethane)을 반응시켜 생성되는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3차 아민의 존재하에서 지방족 또는 방향족 하이드록사믹산과 반응시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40℃~100℃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반응시켜 높은 수득률의 지방족(aliphatic) 또는 방향족(aromatic)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로모트리클로로메탄과 트리페닐포스핀을 무수반응용매에 가한다음 교반하면서 서서히 지방족 또는 방향족 하이드록사믹산을 가한다. 이 반응 용액에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을 가하여 반응을 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vacuum evaporation)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얻는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는 반응성이 크기때문에 아민과 반응시켜 안정한 형태의 우레아(urea)물질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3차 아민은 어느것이라도 사용가능하나, 트리에틸아민, 피리딘(pyridine), 퀴놀린(quinoline) 및 퀴녹살린(quinoxaline),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 1, 4-디아자바이시클로(2.2.2) 옥탄(1, 4-diazabicyclo(2.2.2)octane),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1,5-diazabicyclo(4.3.0)non-5-ene),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1.8-diazabicyclo(5.4.0)undec-7-ene) 등이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용매로서는 프로틱 용매(protic solvent)를 제외한 모든 용매가 사용 가능하며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디메틸 카르보네이트(de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1,4-디옥산(1,4-dioxane)등이 유용하다. 이때 반응 온도는 -40℃에서 100℃가 좋으나, 특히 0℃에서 100℃사이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브로모 트리클로로메탄(Bromo trichloromethane) 10.0그램과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 phosphine) 13.0그램을 200ml의 무수 1,4-디옥산이 들어 있는 500밀리리터의 3구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면서, 아세토 하이드록사믹산(aceto hydroxamic acid) 3.8그램을 가한 후 이 반응용액에 트리에틸아민을 천천히 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하여 10.3그램의 페닐 이소시아네이트(phenyl isocyanate)를 얻었다. 이때의 반응 수득율은 86.2%이었다.
[실시예 2]
브로모 트리클로로 메탄 10.0그램과 트리페닐 포스핀 13.0그램을 200ml의 무수 1,4-디옥산이 들어있는 500밀리리터의 3구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면서, 벤조 하이드록사믹산(benzo hydroxamic acid) 6.9그램을 가한 후 이 반응 용액에 트리에틸아민을 천천히 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하여 10.4 그램의 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얻었다. 이때의 반응 수득율은 87.1%이었다.
[실시예 3]
브로모 트리클로로 메탄 10.0그램과 트리페닐 포스핀 13.0그램을 200ml의 무수 1,4-디옥산이 들어있는 500밀리리터의 3구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면서, 메틸 페닐 카바메이트(methyl phenyl carbamate) 7.6그램을 가한 후 이 반응 용액에 트리에틸아민을 천천히 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증류하여 얻은 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4.7그램의 아닐린(aniline)과 반응시켜 1,3-디펠닐 우레아(1,3-Diphenyl urea) 9.4그램을 얻었다. 반응 수득율은 88.2%이었다.
[실시예 4]
블로모 트리클로로 메탄 10.0그램과 트리페닐 포스핀 13.0그램을 200ml의 무수 1,4-디옥산이 들어있는 500밀리리터의 3구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면서, p-클로로 페닐 메틸 티오 카바메이트(p-Chloro phenyl methyl thio carbamate) 10.0그램을 가한후 트리에틸아민을 천천히 가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하여 8.5그램의 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얻었다. 이때의 반응 수득율은 71.2%이었다.

Claims (2)

  1.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3차 아민의 존재하에, -40℃~100℃의 반응 온도 범위에서, 트리페닐포스핀과 브로모트리클로로메탄의 반응후 지방족 또는 방향족 하이드록사믹산을 반응시킨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3차 아민으로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퀴놀린 및 퀴녹살린, 헥사 메틸렌 테트라민, 1,4-디아자바이시클로(2.2.2)옥탄, 1,5-디아자바이시클로(4.3.0)논-5-엔,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 등인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19930018855A 1993-09-17 1993-09-17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KR97000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855A KR970004411B1 (ko) 1993-09-17 1993-09-17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855A KR970004411B1 (ko) 1993-09-17 1993-09-17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453A KR950008453A (ko) 1995-04-17
KR970004411B1 true KR970004411B1 (ko) 1997-03-27

Family

ID=1936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855A KR970004411B1 (ko) 1993-09-17 1993-09-17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87B1 (ko) 2015-09-07 2016-03-11 용 황보 합성목을 이용한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453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7763A (en) Ester polyisocyanates
US4064151A (en) Halosilyl carbamates
US3484466A (en) Preparation of aromatic sulfonyl isocyanates
ES2321814T3 (es) Metodo para producir carbamatos y metodo para producir isocianatos.
Cooper et al. A simple one-pot procedure for preparing symmetrical diarylureas from carbon dioxide and aromatic amines
US4549994A (en) Preparation of new fluoropivalic acid fluorides
KR970004411B1 (ko) 트리페닐포스포니움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KR970004412B1 (ko) 2-할로피리디움염과 메틸 티오카바메이트를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GB2106499A (en) Method for making benzoylphenylureas
JPS5917106B2 (ja) N−クロルホルミル−n,n’−二置換尿素誘導体の製法
KR960007802B1 (ko) 디할로트리페닐포스포란을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KR0124948B1 (ko) 2-클로로 벤족사졸리움염을 이용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
US3100790A (en) Isocyanoaryl esters of phosphonic, phosphinic, thiophosphonic, and thiophosphinic acids
KR20110003470A (ko) 디아미노페닐메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카르바메이트
US5525730A (en)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RU271093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егулятора роста растений N-(изопропоксикарбонил)этаноламина
US4668806A (en) Process for preparing methylcarbamate insecticides
US5349081A (en) Process for preparing isocyanates
US4141913A (en) Method of generating lower alkyl and cycloalkyl isocyanates
JPS5826853A (ja) N,n−ジ置換スルホンアミド基を含んでいる芳香族ジイソシアネ−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02086A (ja) 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イソシアネートをエステル基含有ポリイソシアネートの製造のために使用する方法
US5162575A (en) Preparation of isocyanates using a silver salt promoted rearrangement
US4537986A (en) Preparation of pyrocatechol methylcarbamate
CZ21697A3 (en) Enhanced process for preparing sulfonylisocyanates
JPS6391355A (ja) ジイソシアネート、その製造法及び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