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395B1 -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 Google Patents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395B1
KR970004395B1 KR1019880009244A KR880009244A KR970004395B1 KR 970004395 B1 KR970004395 B1 KR 970004395B1 KR 1019880009244 A KR1019880009244 A KR 1019880009244A KR 880009244 A KR880009244 A KR 880009244A KR 970004395 B1 KR970004395 B1 KR 97000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tact bridge
operating rod
circui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926A (ko
Inventor
뒤푸르 앙리
마르땡 세르쥬
스투데르 에른스트
Original Assignee
아세아 브라운 보베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카알, 피독스, 게르트 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세아 브라운 보베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카알, 피독스, 게르트 뤼크 filed Critical 아세아 브라운 보베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9000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01H2071/506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using balls or rollers in the latching device

Landscapes

  • Break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제1도는 급속회로 차단기의 접속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정지 장치에서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접촉 브릿지13 : 축
14 : 롤러15 : 조작봉
16 : 링크25 : 격발장치
본 발명은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로서 가동접촉 브릿지의 일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롤러를 갖춘 것에 관한 것이다. 이 롤러를 회로 접속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으로서 롤러를 향한 정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롤러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는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조작봉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접촉 브릿지는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 회로 차단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아울러, 조작봉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으로서 격발장치가 있다.
급속회로 차단기용으로서, 가동접촉 브릿지의 일축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 롤러를 갖춘 정지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회로 접속시에 자석을 통해서 작용하는 조작봉이 롤러에 대하여 작용하여 접촉 브릿지를 고정 접점에 대하여 밀어붙임으로써 급속회로 차단기를 통한 전류회로를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필요한 접촉력이 자석으로부터 조작봉을 거쳐서 롤러로 전달되는 것이다. 급속회로 차단기의 정상적인 회로 차단시에는 자석이 비여기됨과 아울러 롤러에 대하여 작용하는 바이어스 차단 스프링이 접촉 브릿지를 당겨서 차단위치로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발생된 불꽃방전이 꺼지게 된다. 그러나, 금속회로 차단기를 통해서 단락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정상적인 회로 차단 상태가 오래 지속됨과 아울러, 직접 그 단락 전류에 의해서 동작하는 격발 장치가 여기된다. 이 격발 장치는 조작봉에 대하여 작용하여 롤러와 조작봉 사이의 정지 장치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롤러에 작용하는 회로 차단 스프링이 즉시 작용을 해서 접촉 브릿지가 급히 회로 차단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조작봉에 대하여 작용하는 격발 장치, 예컨대 격발자석은 높은 반력을 극복하고서 조작봉을 롤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확실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역학적인 차원을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격발장치를 정도가 좀 낮게 구성을 하면 회로 차단 시간이 너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에서 특징으로 하는 바와 같이, 급속회로 차단기의 접촉 브릿지를 위한 것으로서, 매우 빨리 해제되기 때문에 높은 차단 전류, 특히 단락 전류를 아주 빨리 차단시킬 수 있는 정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잇점은 본질적으로, 정지 장치가 해제되자마자 롤러에 대하여 회로 접속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던 힘의 성분이 조작봉의 움직임을 더욱 가속시킴으로써 더 빨리 접촉 브릿지가 회로 차단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종속 청구범위의 대상들이다.
본 발명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속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접촉 레일(1)에 고정 접편(2)이 부착되어 있다. 회로 접속 상태에서는 이 고정 접편(2)에 가동 접편(3)이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이 가동 접편(3)은 가동 접촉 브릿지(4)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가동 접촉 브릿지(4)의 타단에는 전류 이동에 적합하게 만든 롤러 베어링(5)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 베어링(5)는 접촉 레일(6)속에 놓여져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 요소(1~6)들이 급속회로 차단기의 주회로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회로 차단 동작시에 고정 접편(2)과 가동 접편(3)사이에서 생기는 불꽃방전은 공지의 방식으로 방전봉(8 및 9)으로 전달되면서, 짧은 순간에 보조 회로부(1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접촉 브릿지는 더이상 전류를 통과시키지 않게 되어 회로 차단 위치에서는 더이상 부하를 받지 않게 된다. 불꽃방전은 방전봉(8,9)으로부터 공지의 방식으로 다수의 도시하지 않은 소화판으로 흘러가서 꺼지자마자, 급속회로 차단기를 통한 전류는 명확하게 중단된다. 따라서, 고정 접편(2)과 가동 접편(3) 사이에는 다시 전위차가 존재하게 된다.
접촉 브릿지(4)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12)을 갖추고 있다. 이 구멍(12)의 벽에는 하나의 축(13)이 지지되어 있는데, 이 축상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롤러(14)가 회전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축(13)과 롤러(14)는 하나의 공통 축선을 갖게 되는 바, 이 축선은 접촉 브릿지(4)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접촉 브릿지(4)의 회로 접속 상태에서는 롤러(14)가 조작봉(15)상에 놓여지게 되는데, 이 조작봉의 롤러(14)와 마주한 정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롤러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는 링크(16)를 형성하게 된다. 롤러의 반대쪽에 있는 조작봉(15)의 단부는 절연부재(17)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본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개폐장치와 절연부재(17)를 결합시키는 것은 결합대(18)이다. 스프링(19)은 절연재로 된 지지대(20)상에 지지되어 조작봉(15)을 롤러(14)에 대하여 상방으로 밀어부치는 것이다. 개폐장치는 이 조작봉(15)을 통해서 롤러(14)와 아울러, 접촉 브릿지(4)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정 접편(2)과 가동 접편(3)간의 접촉력을 형성해서 접편의 가능한 접촉 마모를 자동적으로 보상하게 된다.
접촉 브릿지(4)에 대한 회로 접속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개폐 장치에 의해서 도입된다. 정상적인 동작에 의한 회로 차단시에는 회로 접속 방향의 힘이 제거되고, 회로 차단 스프링(22)이 직접 접촉 브릿지(4)에 작용해서 접촉 브릿지를 회로 차단 위치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 회로 차단 스프링(22)은 적어도 한쪽을 절연시켜서 전류가 그 스프링을 통해서 분산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매우 강한 전류, 즉 단락 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그 차단 동작을 가속시켜야 한다. 보조 격발 장치(25), 예컨대 자석은 그 강한 전류에 의해서 직접 여기되어서 구멍(12)을 통해서 나와 있는 조작봉(15)의 단부(27)에 대하여 작용대(26)에 의해서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봉(15)은 하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롤러(14)는 링크(16)를 따라서 회로 차단 방향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롤러(14)와 조작봉(15)간의 정지 장치는 아주 빨리 해제되게 된다.
이제, 제2도를 참조해서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작봉(15)의 링크(16)를 형성하고 있는 정면은 일부가 롤러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다. 링크(16)의 롤러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는 부분은 점(A)에서 롤러(14)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은 단면부로 이어지게 된다. 링크(15)는 접촉 브릿지(4)의 회로 접속 상태에서 롤러(14)를 움직이는 마찰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롤러(14)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은 링크(16)의 단면부는 회로 접속 방향에 대하여 각(90°~α)으로 기울어져 있다. 회로 접속 방향은 도면에 화살표(28)로서 표시하였다. 각(α)은 회로 접속 방향과 결합선(29)간의 각도로서 정의되는 바, 결합선은 점(A)과 축(13)의 중심점(Z)을 잇는 것이다. 아울러, 각 (α)는 롤러(14)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은 링크(16)의 단면부와 조작봉(15)의 회로 접속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은 선간 각도로서 정의하기도 한다. 롤러(14)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은 링크(16)의 단면부는 조작봉(15)의 바로 상부 모서리에 이르기까지 직선으로 뻗은 것은 아니라, 도면에 점선(3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 모서리를 어느 정도 둥글게 해서 롤러(14)가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제3도에 롤러(14) 및 조작봉(15)사이의 점(A)에서 작용하는 기본적인 힘들을 표시하였다. 힘(P1)은 개폐 장치를 통해서 형성된 것으로서 회로 접속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힘(P1)은 공지의 방식으로 성분(P2및 P3)으로 분해된다. 성분(P2)은 축(13)의 중심점(Z)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성분(P3)은 식 P3=P1·sinα로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성분(P2)에 대하여 직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성분(P3)은 평행하게 이동시켜서 그 작용 방향이 접선 방향으로 뻗은 링크(16)의 단면부의 방향과 일치하게끔 하였다. 따라서, 이 성분은 위에서부터 점(A)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이 힘의 성분(P3)은 동일한 축에 대하여 크기가 정확하게 같은 반작용력(P4)을 형성하게 된다. 이 힘(P4)은 마찰력의 합으로서, 본 장치에서 축(13), 롤러(14) 및 링크(16)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14) 및 링크(16)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P41)은 식 P41=P1·cosα·C6로서 나타낼 수 있는 바, 식중 C6는 롤러(14)와 링크(16)간의 마찰계수이다. 축(13)과 롤러(14)간의 마찰력은 롤러(14)의 반경(R2)에 대한 축(13)의 반경(R1)에 비례해서 작아지게 된다.
이 마찰력에 의해서 점(A)에 작용하는 힘의 성분은
P42=P1·cosα·C5·
Figure kpo00001
이다. 힘(P4)은 식 P4=P41+P42에 의해서 결정된다. 성분(P3)과 힘(P4)은 서로 같으므로 각(α)의 값을 구하면 다음의 식
tanα=C5·
Figure kpo00002
+ C6
이 나온다.
롤러(14)의 외부 작용면에는 홈을 형성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 홈은 조작봉(15)의 정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조작봉(15)이 롤러(14)의 측면으로 미끄러져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그 두 부분이 서로 기울어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언하면, 조작봉(15)의 정면을 롤러(14)의 홈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들면 더욱 잘 안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가동 접촉 브릿지(4)의 축(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롤러(14), 이 롤러(14)를 회로 접속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으로 롤러(14)에 대향하는 정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롤러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는 링크(16)를 형성하도록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조작봉(15), 접촉 브릿지(4)를 회로 차단 방향으로 움직이는 장치 및 조작봉(15)에 작용하는 격발 장치(25)로 구성한 것으로서, 접촉 브릿지(4)의 회로 접속 상태에서는 롤러(14)를 움직이는 마찰력이 보상이 되도록 링크(16)을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16)에 있어서 롤러의 윤곽에 맞추어져 있는 부분은 롤러(14)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는 단면부로 연장되도록 하고 링크의 롤러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뻗은 단면부는 회로 접속 방향에 대하여 90°~α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각 α는 다음 식
    tanα=C5·
    Figure kpo00003
    + C6
    에 의해서 결정되고, 식중 C5는 축(13)과 롤러(14)간의 마찰계수이고, C6는 롤러(14)와 링크(16)간의 마찰계수이고, R1은 축(13)의 반경이고, R2는 롤러(14)의 반경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롤러(14)의 작용면에는 조작봉(15)의 정면에 대한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홈이 갖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조작봉(15)의 정면은 상기한 홈의 형상에 맞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 장치.
KR1019880009244A 1987-07-22 1988-07-22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KR970004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776/87-4 1987-07-22
CH2776/87A CH673175A5 (ko) 1987-07-22 1987-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926A KR890002926A (ko) 1989-04-11
KR970004395B1 true KR970004395B1 (ko) 1997-03-27

Family

ID=424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244A KR970004395B1 (ko) 1987-07-22 1988-07-22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877928A (ko)
EP (1) EP0300270B1 (ko)
JP (1) JP2547242B2 (ko)
KR (1) KR970004395B1 (ko)
CN (1) CN1010903B (ko)
AT (1) ATE84913T1 (ko)
BR (1) BR8803654A (ko)
CA (1) CA1330224C (ko)
CH (1) CH673175A5 (ko)
CZ (1) CZ279701B6 (ko)
DE (1) DE3877645D1 (ko)
ES (1) ES2038246T3 (ko)
FI (1) FI88552C (ko)
PL (1) PL158664B1 (ko)
SK (1) SK278090B6 (ko)
SU (1) SU1748663A3 (ko)
UA (1) UA182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0628A (ja) * 1989-03-22 1990-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機能素子
GB9622732D0 (en) * 1996-10-31 1997-01-08 Powerbreaker Plc Mains electrical outlet
US6621020B2 (en) * 2000-10-25 2003-09-16 Fuji Electric Co., Ltd. Brea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DE102005050693A1 (de) * 2005-10-18 2007-04-26 Siemens Ag Verklinkungsvorrichtung für einen Leistungsschalter
EP2410548A1 (de) * 2010-07-23 2012-01-25 Eaton Industries GmbH Schaltschloss für ein elektrisches Schaltgerät
CN103236379A (zh) * 2013-04-19 2013-08-0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直流快速断路器触头系统
CN104299813A (zh) * 2014-10-28 2015-01-21 大全集团有限公司 一种电磁斥力机构开断器
CN106449226B (zh) * 2016-10-28 2019-04-05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快速开关用锁扣机构及方法
AT519374B1 (de) 2017-01-13 2018-06-15 Blum Gmbh Julius Führungssystem zur Führung eines bewegbar gelagerten Möbelteiles
CN110635178B (zh) * 2018-06-22 2021-02-1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蓄电池的断电装置、蓄电池、蓄电池的控制系统及车辆
CN110931317B (zh) * 2019-09-19 2021-09-14 许继集团有限公司 直流断路器及其自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29390A (fr) * 1926-04-27 1927-11-09 Alsacienne Constr Meca Mécanisme d'accrochage à déclanchement radide et précis, applicable par exemple aux interrupteurs électriques, disjoncteurs, relais, etc.
US1966188A (en) * 1929-04-27 1934-07-10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ectric switch
US2031458A (en) * 1934-10-30 1936-02-18 Gen Electric Operating mechanism
US2251171A (en) * 1938-09-21 1941-07-29 Allis Chalmers Mfg Co Circuit breaker
US3012800A (en) * 1959-06-23 1961-12-12 Gen Electric Trip mechanism
NL268370A (ko) * 1960-08-20
US3813579A (en) * 1970-11-09 1974-05-28 Rucker Co Electric receptacle assembly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0270A1 (de) 1989-01-25
FI88552C (fi) 1993-05-25
BR8803654A (pt) 1989-02-14
CA1330224C (en) 1994-06-14
FI883462A0 (fi) 1988-07-21
SK521188A3 (en) 1995-12-06
CH673175A5 (ko) 1990-02-15
CZ279701B6 (cs) 1995-06-14
DE3877645D1 (de) 1993-03-04
KR890002926A (ko) 1989-04-11
FI88552B (fi) 1993-02-15
CZ521188A3 (en) 1995-01-18
CN1031445A (zh) 1989-03-01
UA18262A (uk) 1997-12-25
EP0300270B1 (de) 1993-01-20
US4877928A (en) 1989-10-31
PL158664B1 (pl) 1992-09-30
CN1010903B (zh) 1990-12-19
ATE84913T1 (de) 1993-02-15
PL273856A1 (en) 1989-02-20
JP2547242B2 (ja) 1996-10-23
SU1748663A3 (ru) 1992-07-15
JPS6441125A (en) 1989-02-13
FI883462A (fi) 1989-01-23
SK278090B6 (en) 1995-12-06
ES2038246T3 (es) 199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395B1 (ko) 급속회로 차단기용 정지 장치
KR10022725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425355B1 (ko) 단락회로상에분리가능한잠금시스템을갖는회로차단기의작동기구
DE69230817D1 (de) Schaltermechanismus
ATE110882T1 (de) Leitungsschutzschalter.
CZ352697A3 (cs) Vybavovací zařízení brzdy
ATE118644T1 (d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vakuumschaltröhre mit einer kontaktfeder.
DK204387A (da) Elektrisk afbryder til manuel betjening
US5186315A (en) High voltage disconnecting switch
KR890002628Y1 (ko) 단로기의 아크 소호장치
JPS6422788A (en) Elevator
US2137001A (en) Circuit breaker and energy absorber therefor
KR830002461Y1 (ko) 고속도 차단기(高速度遮斷器)
JP2022138967A (ja) 回路遮断器
CZ167696A3 (cs) Stykačový systém s pevnými a pohyblivými kontaktními díly
FI75447B (fi) Elektrisk stroemstaellare.
RU2168788C1 (ru)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JPS58164126A (ja) 高速度しや断器
KR870002207Y1 (ko) 기중 차단 장치
KR830004654A (ko) 고속도 차단기(高速度 遮斷器)
JPS57155027A (en) Safety device of combustor
JPS5466178A (en) Alarm device for instrument
KR19990016827U (ko) 회로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