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245B1 -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245B1
KR970004245B1 KR1019930011787A KR930011787A KR970004245B1 KR 970004245 B1 KR970004245 B1 KR 970004245B1 KR 1019930011787 A KR1019930011787 A KR 1019930011787A KR 930011787 A KR930011787 A KR 930011787A KR 970004245 B1 KR970004245 B1 KR 97000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hollow structure
wall
vertical hollow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044A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101993001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245B1/ko
Publication of KR95000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 내지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부 거푸집 시공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종단면도.
제 3 도는 전후벽체와 좌우벽체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 4 도는 좌우벽체의 벽체센서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 5 도는 작업대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신축연결멍에의 단면도.
제 7 도는 벽체 확대 및 수축수단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제 8 도는 시공상태를 보인 공정도.
제 9 도는 거푸집의 벽체를 확대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 10 도는 거푸집의 벽체를 수축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 11 도는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 및 거푸집 받침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2 도는 본 발명의 공정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푸집부11, 12, 13, 14 : 벽체
13A, 13B, 14A, 14B : 벽체섹션13C, 14C : 연결멍에
15a, 15b, 16a, 16b : 경첩17a, 17b, 17c, 17d : 세로연장멍에
18a, 18b, 18c, 18d : 연결핀20 :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
21 : 유압실린더23, 24 : 피스톤로드
25 : 버클 조인트26, 27 : 로드
28 : 버클30 : 거푸집 인양수단
31 : 유압실린더33 : 피스톤로드
36 : 연장간37 : 안내레일
38 : 유압실린더38b : 피스톤로드
40 : 작업대41, 42 : 신축연결멍에
43 : 작업대판43a, 43b, 43c, 43d : 작업대판섹션
44 : 경첩50 :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
60 : 거푸집 받침구51, 61 : 받침구본체
54, 55, 64, 65 : 조절나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같은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거푸집을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상승이동시키면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같이 건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중공형태로 타설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을 타설함에 있어서는 각층의 슬라브를 타설할 때 수직 중공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대를 별도로 설치한 다음 외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을 조립하고 슬라브와 함께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을 분해하여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끌어 올린 다음 상층 수직 중공 구조물을 타설할 때 재차 조립하여 연속적인 수직 중공 구조물을 구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각층 별 수직 구조물을 시공할 때 마다 기 타설된 수직 중공 구조물내에 설치된 작업대에서 내부 거푸집과 외부 거푸집을 분해한 다음 작업대에 위치한 작업자가 분해한 내부 거푸집과 외부 거푸집을 들어올려주면 슬라브위에 위치한 다른 작업자가 받아올린 다음 내부 거푸집과 외부 거푸집을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분해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공기가 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시공비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내부 거푸집을 매번 분해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 내벽 거푸집이 쉽게 훼손되어 거푸집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매층마다 내벽 거푸집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딛고 서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대도 매번 분해 및 조립을 거듭해야 하므로 자칫 작업대의 조립상태가 불량할 경우 작업대를 딛고 서서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수직 중공 구조물의 밑으로 추락하게 되는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2-17236호와 같은 확대 및 수축되는 거푸집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푸집에서는 형틀을 인양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크레인이 접근할 수 없는 현장 등에서는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사용에 따른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내부 거푸집이 신축가능하게 조립된 것이라고는 하나, 형틀을 구성하는 양측벽체의 양끝부에 135°절곡된 모따기부를 형성하고, 이 모따기부와 형틀의 전후벽체의 양단 사이에는 간극재를 경첩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양측벽체가 단일 판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 구조물의 내부 횡단면에 네구석에서 45°모따기부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중공 구조물의 내부 횡단면이 네구석에서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적용할 수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형틀을 확대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하여 형틀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벽체와 좌우벽체 사이에 별도의 버팀재를 다수개의 나사로 체결고정하여야 하고 형틀을 수축시킬 경우에는 이 버팀재를 분리하여야만 하며 이를 위하여는 다수개의 나사를 풀어내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것입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되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대가 내부 거푸집과 항상 조립된 상태로 있게 되어 작업대의 부실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 벽체를 확대 및 수축시킬 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조립한 거푸집부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하측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변상단부에 고정된 거푸집 받침구에 지지한 상태에서 외부 거푸집을 조립하여 벽면과 슬라브를 동시에 타설하고, 벽면과 슬라브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을 해체하고 네 벽체를 수축시켜 타설된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킨 다음 상기 거푸집부에 설치된 인양 수단을 전번에 벽면과 함께 타설 양생된 슬라브에 지지한 상태에서 인양수단을 작동시켜 거푸집부를 한층 높이만큼 인양시켜 네 벽체를 확대시키고 상층 벽면과 슬라브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양측단에 내측으로 모따기부가 형성된 전후벽체와, 전후벽체의 양단에 경첩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두개의 벽체섹션으로 분할하여 이들 벽체섹션과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멍에에 두개의 경첩에 의하여 안쪽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한 양측벽체를 가지는 거푸집부와; 상기 양측벽체의 연결멍에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부 확대 및 수축수단과; 상기 거푸집부에 설치되어 거푸집부를 한층 높이 만큼씩 인양하는 거푸집부 인양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거푸집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부 거푸집 시공장치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종단면도이며, 제 3 도는 전후벽체와 좌우벽체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제 4 도는 좌우벽체의 벽체섹션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제 5 도는 작업대의 분해사시도이고, 제 6 도는 신축연결멍에의 단면도이며, 제 7 도는 벽체 확대 및 수축수단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 8 도는 시공 상태를 보인 공정도이며, 제 9 도는 거푸집의 벽체를 확대시킨 평면도이고, 제 10 도는 거푸집의 벽체를 수축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며, 제 11 도는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 및 거푸집 받침구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장치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층 높이의 거푸집부(10)와, 상기 거푸집부(10)의 네 벽체(11, 12, 13 ,14)를 확대, 수축시키는 벽체 확대 및 수축수단(20)과, 상기 거푸집부(10)를 인양하기 위한 거푸집 인양수단(30) 및, 상기 거푸집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작업대(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푸집부(10)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벽에 일치하는 네 벽체(11, 12, 13 ,14)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각 벽체(11, 12, 13 ,14)는 일반적인 거푸집 패널(Pannel)과 마찬가지로 세로멍에(11a, 12a, 13a, 14a)에 의하여 연결되는 가로멍에(11b, 11b, 12b, 12b)에 판체(11c, 12c, 13c, 14c)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판체(11c, 12c, 13c, 14c)는 규격화된 여러장의 판재를 분해가능하게 조립한 것으로 최종 단계에서 이들을 해체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경우 그 최상단 측벽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통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후벽체(11, 12)는 조립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판체를 이루도록 하며, 좌우벽체(13, 14)는 각각 전후벽체(11, 12)에 경첩(15a, 15b)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벽체섹션(13A, 13B), (14A, 14B)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연결멍에(13C, 14C)에 두개의 경첩(16a, 16b)에 의하여 안쪽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체(11, 12)의 양측단부에는 내측으로 모따기부(11d, 12d)가 절취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멍에(11a, 12a, 13a, 14a)의 하단에는 작업대(30)를 설치하기 위한 세로연장멍에(17a, 17b, 17c, 17d)가 연결편(18a, 18b, 18c, 18d)에 의하여 분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세로연장멍에(17a, 17b, 17c, 17d)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같은 수직 중공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초기 시공시에는 분해하여 지하층에 타설된 중간 슬라브(도시되지 않음)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각 벽체(11, 12, 13, 14)의 하단이 지하 중간 슬라브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벽체 확대 및 수축수단(20)은 상기 양측 벽체(13, 14)의 벽체(12A, 12B)를 연결하는 연결멍에(13C, 14C)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1)로 구성된다.
도시예에서는 하나의 실린더(22)에 양방향으로 피스톤로드(23, 24)를 가지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 양측 피스톤로드(23, 24)를 연결멍에(13C, 14C)에 연결하였으나 하나의 피스톤로드만을 가지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 한쪽 연결멍에(13C)에는 실린더(22)를 연결하고 다른 쪽 연결멍에(14C)에는 피스톤로드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벽체 확대 및 수축수단(20)은 유압실린더(21)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버클조인트(Buckle Joint)(25)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버클조인트(25)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단은 양측 연결멍에(13C, 14C)에 연결되고 내측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부(26a, 27a)을 가지는 한 쌍의 로드(26, 27)와, 이 나사부(26a, 27a)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는 버클(28)로 구성된다.
상기 버클(28)에는 조작손잡이(29)가 관통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버클(28)을 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30)은 좌우벽체(11, 12)의 내면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31)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1)는 실린더(32)의 상단과 하단이 좌우벽체(11, 12)에 가로멍에(11b, 11b)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키트(34)(35)에 의하여 고정되며, 피스톤로드(33)가 하측 고정브래키트(35)를 관통하여 하방을 향하여 신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40)는 거푸집부(10)의 상하방향 중간부와 하방으로 연장된 세로멍에(11a, 12a, 13a, 14a)의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전후벽체(11, 12)와 좌우벽체(13, 1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신축연결멍에(41, 42)와 이 신축연결멍에(41, 42)위에 부착되는 작업대판(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연결멍에(41, 42)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벽체(11, 12)와 양측 벽체(13, 14)에 고정되는 한쌍의 관체(41b, 42b)의 내측단부에 걸리는 걸림핀(41d, 42d)의 신축연결봉(41c, 42c)에 끼워 관통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판(43)은 거푸집 벽체(11, 12, 13, 14)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조각의 작업대판섹션(43a, 43b, 43c, 43d)이 서로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작업대(40)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작업대판섹션(43a, 43b, 43c, 43d)중 일측의 섹션(43d)을 경첩(44)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각 작업대(40) 사이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며, 좌우벽체(13, 14)에는 사다리(45)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대(40)사이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50은 거푸집 인양수단(30)를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3)를 받혀지는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이고, 60은 거푸집부(10)의 하단을 받혀주기 위한 거푸집 받침구로서,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에 앵커볼트(B)로 고정되는 받침구본체(51, 61)와, 이 본체(51, 61)의 수평부(52, 62)와 수직부(53, 63)에 체결되는 조정나사(54, 55, 64, 65)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52, 62)에 체결된 조정나사(54, 64)는 거푸집 인양수단(30)과 거푸집부(1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것이고, 수직부(53, 63)에 체결되는 조정나사(55, 65)는 거푸집 인양수단(30)과 거푸집부(10)를 벽면(W)측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H는 각 벽체(11, 12, 13, 14)에 천공된 볼트구멍으로서 외부 거푸집(MO)를 조립할 때 볼트나 타이볼트 등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볼트구멍(H)은 세로멍에(11, 12, 13, 14)를 관통하는 위치에 천공하여 타이볼트(TB)가 관통되게 하거나 세로멍에(11, 12, 13, 14)를 각각 타이볼트(TB)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한쌍씩 근접배열하고 그 사이를 통하여 타이볼트(TB)를 통과시키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수직 중공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한다.
제 8 도(가)는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를 확대시켜 구축하고자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이 내벽면과 일치하는 외곽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거푸집부(10)의 하단부를 하층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 상단측에 앵커볼트(B)로 고정설치된 거푸집 받침구(60)에 받혀서 지지하고, 거푸집부(10)의 외곽에 외부 거푸집(MO)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C)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이 유압실린더(21)인 경우에는 제 9 도와 같이 유압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23, 24)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벽체(11, 12, 13, 14)를 확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를 거푸집 받침구(60)로 받힘에 있어서는 받침구본체(61)에 나사 결합된 조정나사(64, 65)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수평 및 수직을 정확하게 맞춘다.
거푸집부(10)의 외곽에 외부 거푸집(MO)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콘과 파이프(P) 및 타이볼트(TB) 등에 의한 내, 외 거푸집 결합방법으로 결합하고 거푸집부(10)와 외부 거푸집(MO)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부에 시멘트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부(10)와 외부 거푸집(MO)를 조립하기 위하여 시공 후 벽면(W)으로부터 돌출된 양단을 절단해내는 타이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거푸집부(10)의 인양시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거푸집부(10)와 외부 거푸집(MO) 사이에 플라스틱 콘과 파이프(P)를 설치하고 타이볼트(TB)가 파이프(P)를 관통하도록 하여 너트로 체결하고 시공 후에는 너트를 풀어내고 파이프(P)에 삽입된 타이볼트(TB)를 빼내는 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각 층별로 출입구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개구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는 일반적인 방법에서와 같이 외부 거푸집(MO)를 조립할 때 출입구에 상당하는 보조 거푸집(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시멘트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전에 거푸집부(10)의 내면과 외부 거푸집(MO)의 내면에 각각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과 철근을 배근하는 것도 일반적인 방법에서와 같다.
이때 상기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가 시멘트콘크리트의 주입압력에 의하여 임의로 수축되는 일이 없이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9 도와 같이 상기 신축연결멍에(41)의 신축연결봉(41c, 42c)에 걸림판(41d, 42d)을 끼워 관통시킴으로써 관체(41b, 42b)의 단부가 걸림핀(41d, 42d)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3)은 제 8 도(가)와 같이 수축된 상태로 하여 두며, 이때 거푸집부(10)가 거푸집 받침구(61)에 의하여 받혀지고 있으므로 피스톤로드(33)은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에 의하여 받혀줄 필요는 없으나 안전을 위하여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에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를 앵커볼트(B)로 고정설치하고 그 위에 피스톤로드(33)를 받혀 주는 것이 좋다.
거푸집부(10)와 외부 거푸집(MO)의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에 주입된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MO)를 해체하고,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를 수축시켜 타설된 벽면(W)으로부터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가 박리되도록 한다. 이때 거푸집부(10)의 내면과 외부 거푸집(MO)의 내면에는 박리제를 도포하였으므로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가 수축됨에 따라 타설된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것이다.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를 수축시키기 전에 상기 신축연결멍에(41, 42)를 구성하는 관체(41a, 42b)에 고정된 신축연결봉(41c, 42c)에서 걸림핀(41d, 42d)를 빼어내어 신축연결멍에(41, 42)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여 두어야 한다.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가 수축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을 수축시키면 그 피스톤로드(23, 24) 또는 로드(26, 27)의 양단부에 고정된 연결멍에(13C, 14C)가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도 이에 따라 이 연결멍에(13C, 14C)에 경첩(16a, 16b)로 연결된 좌우벽체(13, 14)의 벽체섹션(13A, 13B)(14A, 14B)가 제 4 도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접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벽체(13, 14)의 양단간의 직선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좌우벽체(13, 14)에 경첩(15a, 15b)으로 연결된 전후벽체(11, 12)간의 거리도 짧아지게 되므로 전후벽체(11, 12)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되어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다.
다음, 거푸집 인양수단(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3)를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에 의하여 지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 하층 벽면(W)의 상단부에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를 앵커볼트(B)로 고정설치하여 유압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3)를 받힌 상태에서 제 8 도(나)와 같이 피스톤로드(33)를 신장시키면 그 신장량(대략 한층 높이에 상당함) 만큼 거푸집부(10)가 상승하게 된다.
거푸집부(10)가 제 8 도(나)와 같이 직전에 타설된 벽면(W)의 상부로 올라간 상태로 되면 그 벽면(W)의 상단부측에 거푸집 받침구(60)를 앵커볼트(B)로 고정설치하여 거푸집부(10)의 하단부를 받힌 상태에서 제 8 도(다)와 같이 거푸집 인양수단(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3)를 수축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시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를 확대시켜 제 8 도(가)와 같이 구축하고자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벽면과 일치하는 외곽을 이루도록 하고, 외부 거푸집(MO)를 조립하고 거푸집부(10)와 외부 거푸집(MO)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내에 콘크리트(C)를 주입하여 또 한층의 벽면(W)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들은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와 거푸집 받침구(60)의 설치 및 해체 작업과 외부 거푸집(MO)의 조립 및 해체, 박리제의 도포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거푸집부(10)의 중간부와 그 하방으로 연장된 세로멍에(11a, 12a, 13a, 14a)에 설치된 작업대(40)위에서 위 작업들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이들 작업대(4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첩(44)으로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작업대판섹션(43d)을 열고 그 부분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어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직 중공 구조물의 최상단까지의 시공을 마치면 각 벽체(11, 12, 13, 14)를 세로멍에(11a, 12a, 13a, 14a)와 가로멍에(11b, 12b, 13b, 14b) 및 판체(11c, 12c, 13c, 14c) 별로 분해함과 아울러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과 거푸집 인양수단(30)과 세로연장멍에(17a, 17b, 17c, 17d) 및 작업대(40) 등을 모두 해체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경우에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통하여 반출하는 것이다.
최종 단계에서 이들을 해체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경우 그 최상단 측벽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통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같이 지하에 완충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지하 중간 슬라브(도시되지 않음)이 타설된 수직 중공 구조물의 경우에 지하 중간 슬라브 직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로멍에(11a, 12a, 13a, 14a)의 하단에 연결편(18a, 18b, 18c, 18d)에 의하여 연결된 세로연장명에(17a, 17b, 17c, 17d)를 해체하여 각 벽체(11, 12, 13, 14)의 하단이 지하 중간 슬라브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한 다음 외부 거푸집(MO)을 조립하고 시멘트를 주입하며, 그 이후의 공법을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부(10)의 구성을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다만, 거푸집 인양수단(30)을 달리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거푸집 인양수단(30)은, 거푸집부(10)의 좌우벽체(13, 14)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연장간(36)과, 이 연장간(36)의 상단부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안내하는 전후 한쌍의 안내레일(37)과, 이 안내레일(37)의 양단에 하방으로 고정설치된 좌우 각 한쌍의 유압실린더(38)로 구성된다.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간(36)은 그 상단부가 두갈래로 분기되어 그 사이에 안내레일(37)상에서 구름 접촉되는 롤러(36a)가 굴대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레일(38)은 I-빔 등의 형강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연장간(36)의 이동거리를 규제하는 정지돌기(37a, 37b)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38)는 상기 안내레일(37)의 양단하단에 실린더(38a)의 일단이 고정설치되며 그 피스톤로드(38b)는 하방을 향하여 신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제 1 도 내지 제 11 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수직 중공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제 12 도 (가)와 같이 거푸집부(10)의 하단부를 하층 벽면(W)의 상단부에 앵커볼트(B)로 고정설치된 거푸집 받침구(60)에 지지한 상태에서 외부 거푸집(MO)를 조립하고, 거푸집부(10)와 외부 거푸집(MO)사이에 형셩된 공동부에 콘크리트(C)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38b)를 수축시켜 이 피스톤로드(38b)가 거푸집부(10)의 좌우벽체(13, 14)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이때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를 거푸집 받침구(60)로 받힘에 있어서는 받침구본체(61)에 나사결합된 조정나사(64, 65)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거푸집부(10)의 수평 및 수직을 정확하게 맞춘다.
거푸집부(10)의 각 벽체(11, 12, 13, 14)와 외부 거푸집(MO)의 조립과 그 내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과 철근을 배근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주입된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MO)를 해체하고,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에 의하여 각 벽체(11, 12, 13, 14)를 수축시켜 타설된 벽면(W)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한다.
이때 제 12 도 (나)와 같이 거푸집 인양수단(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38b)의 하단부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과 함께 타설되는 슬라브(S)의 상면에 닿은 상태로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제 12 도(다)와 같이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38b)를 신장시키면 그 신장량(대략 한층 높이에 상당함) 만큼 거푸집부(10)이 상승된다.
거푸집부(10)이 상승되면 거푸집부(10)를 거푸집 받침구(60)으로 받혀주고 다시 제 12 도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부(10)에 외부 거푸집(MO)를 조립하고 상술한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과 함께 타설되는 슬라브(S)상에 거푸집 인양수단(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38b)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는 필요치 않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같은 수직 중공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내부 거푸집을 매충 시공시마다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을 할 필요없이 거푸집부를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에 의하여 확대 및 수축시키면서 거푸집 인양수단에 의하여 한층 높이 만큼씩 인양하면서 외부 거푸집만 조립 및 해체하면 되므로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되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 거푸집을 각 벽체별로 조립 및 해체하지 않고 조립된 상태에서 확대 및 수축시키는 것이므로 내부 거푸집이 수명을 장구히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대가 내부 거푸집과 항상 조립된 상태로 있게 되어 작업대의 부실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네 벽체를 확대 및 수축시킬 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조립한 거푸집부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하측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변상단부에 고정된 거푸집 받침구에 지지한 상태에서 외부 거푸집을 조립하여 벽면과 슬라브를 동시에 타설하고, 벽면과 슬라브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을 해체하고 네 벽체를 수축시켜 타설된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킨 다음 상기 거푸집부에 설치된 인양수단을 전번에 벽면과 함께 타설 양생된 슬라브에 지지한 상태에서 인양수단을 작동시켜 거푸집부를 한층 높이만큼 인양시켜 네 벽체를 확대시키고 상층 벽면과 슬라브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2. 양측단에 내측으로 모따기부(11d, 12d)가 형성된 전후벽체(11, 12)와, 전후벽체(11, 12)의 양단에 경첩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두개의 벽체섹션(13A, 13B)(14A, 14B)으로 분할하여 이들 벽체섹션(13A)과 (13B) 사이와 (14A)와 (14B)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멍에(13C, 14C)에 두 개의 경첩(16a, 16b)에 의하여 안쪽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한 양측벽체(13, 14)을 가지는 거푸집부(10)와; 상기 양측벽체의 연결멍에(13C, 14C)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과; 상기 거푸집부(10)에 설치되어 거푸집부(10)를 한층 높이 만큼씩 인양하는 거푸집 인양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거푸집 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은 상기 연결멍에(13C, 14C)에 그 양측 피스톤로드(23, 24)의 양단이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1)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확대 및 수축수단(20)은 상기 연결멍에(13C, 14C)의 외측단이 연결되며 내측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부(26a, 27a)가 형성된 좌우 한쌍의 로드(26, 27)의 나사부(26a, 27a)에 양단이 나사결합되는 버클(28)을 가지는 버클 조인트(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30)은 양측벽체(13, 14)에 고정설치되어 피스톤로드(33)이 하방을 향하는 유압실린더(31)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30)은 거푸집부(10)의 좌우벽체(13, 14)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연장관(36)과, 이 연장관(36)의 상단부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안내하는 전후 한쌍의 안내레일(37)과, 이 안내레일(37)의 양단에 하방으로 고정설치된 좌우 각 한쌍의 유압실린더(3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멍에(11a, 12a, 13a, 14a)의 하단에는 세로연장멍에(17a, 17b, 17c, 17d)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연결하고, 상기 거푸집부(10)의 중간부와 상기 세로연장멍에(17a, 17b, 17c, 17d)의 중간부와 하단부에 작업대(40)를 각각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40)는 전후벽체(11, 12)와 좌우벽체(13, 1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신축연결멍에(41, 42)와 이 신축연결멍에(41, 42)위에 부착되는 작업대판(4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연결멍에(41, 42)는 전후벽체(11, 12)와 양측벽체(13, 14)에 고정되는 한쌍의 관체(41a, 41b), (42a, 42b)와 일측 관체(41a, 42a)의 내측단에 고정, 돌출되어 타측 관체(41b, 42b)의 내측단에 삽입되는 신축연결봉(41c, 42c)와 일측 관체(41a, 42a)의 내측단부에 걸리는 걸림핀(41d, 42d)이 신축연결봉(41c, 42c)에 끼워 관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판(43)은 거푸집 벽체(11, 12, 13, 14)가 수축되는 과정에서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조각의 작업대판섹션(43a, 43b, 43c, 43d)이 서로 간격을 두고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40)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작업대판섹션(43a, 43b, 43c, 43d) 중 일측 섹션(43d)이 경첩(44)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30)과 거푸집부(10)를 받혀주기 위하여 수직 중공 구조물의 벽면(W)에 고정설치되는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와, 거푸집 받침구(6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인양수단 받침구(50)와 거푸집 받침구(60)는 수직 중공 구조물이 벽면(W)에 앵커볼트(B)로 고정되는 받침구본체(51, 61)와, 이 본체(51, 61)의 수평부(52, 62)와 수직부(53, 63)에 체결되는 조정나사(54, 55, 64, 6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장치.
KR1019930011787A 1993-06-26 1993-06-26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787A KR970004245B1 (ko) 1993-06-26 1993-06-26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787A KR970004245B1 (ko) 1993-06-26 1993-06-26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44A KR950001044A (ko) 1995-01-03
KR970004245B1 true KR970004245B1 (ko) 1997-03-26

Family

ID=1935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787A KR970004245B1 (ko) 1993-06-26 1993-06-26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09B1 (ko) * 2005-04-19 2007-05-18 주식회사 일호 승강보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용거푸집 시스템
KR102362063B1 (ko) * 2020-08-19 2022-02-11 김동산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시공용 시스템 서포트
KR102653955B1 (ko) * 2022-03-29 2024-04-03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44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259031B1 (ko) 횡단 프레임을 구비한 폼 트래블러 및 그 런칭 방법
CN206110656U (zh) 电梯井可伸缩折叠式整体提升筒模
WO2023082776A1 (zh) 一种箱型预制构件系统及操作方法
CN109252656B (zh) 高层建筑爬升模板及组装、灌注和提升方法
KR970004245B1 (ko)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791949B1 (ko) 지압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스프레더 빔 안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압출 방법
CN107268987B (zh) 横跨式可调节爬升机位反力架及其施工方法
KR100816493B1 (ko) 수직터널 콘크리트 주벽 성형용 슬립폼과 그 콘크리트 주벽시공방법
CN110424731B (zh) 一种装配式结构现浇端柱模板组合式加固装置及实施方法
CN115306136A (zh) 一种斜墙外翻爬升式钢平台施工装置及方法
CN209723606U (zh) 一种防渗混凝土反坎免内撑支具及其组件
CN112610014A (zh) 一种用于铁路客站改扩建工程的滑移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193586A (zh) 电梯井可伸缩折叠式整体提升筒模
JPH03103569A (ja) 柱構築用型枠装置
KR100336713B1 (k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H08158643A (ja) 大型ユニット型枠及びその組立方法
CN115142667B (zh) 一体化自爬升电梯井井模结构及其施工方法
CN216198143U (zh) 一种用于隧道衬砌可变截面的外模台车
CN215107202U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CN114232555B (zh) 一种整体转移式船坞扶壁墙高大施工结构及方法
JPH08284406A (ja) 滑動型枠装置及び滑動型枠工法
KR100363008B1 (ko) 보강철근이부착된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사용한슬래브,벽분리타설식대형거푸집공법
KR19990044841A (ko) 수직터널의 복공벽성형을 위한 슬립폼용요오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