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88Y1 -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88Y1
KR970004188Y1 KR92012734U KR920012734U KR970004188Y1 KR 970004188 Y1 KR970004188 Y1 KR 970004188Y1 KR 92012734 U KR92012734 U KR 92012734U KR 920012734 U KR920012734 U KR 920012734U KR 970004188 Y1 KR970004188 Y1 KR 970004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door
fixed
trunk doo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419U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92012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88Y1/ko
Publication of KR940003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동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벽 2 : 카 바닥
3 : 트렁크 바닥 4 : 트렁크
5 : 트렁크 도어 11, 12 : 상, 하한 리미트 스위치
14 : 도어 가이드 15 : 쿠션
16 : 가이드 고무 20 : 모터
21 : 사각나사봉 22 : 이송암나사
본 고안은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동력을 사각나사봉과 이송암나사의 연동기구로 전달하여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도록 한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벽(1)과 카 바닥(2)의 일측부에 트렁크(4)의 공간을 형성하고 트렁크(4)의 하측에는 트렁크 도어(5)을 별도로 형성하였으며, 카벽(1)면과 동일면인 트렁크(4) 입구에는 트렁크 도어(5)를 설치하고 트렁크 도어(5)는 볼트(6)와 핀볼트(7), 너트(8)로 카벽(1)과 카 바닥(2)에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필요한 때에 트렁크 도어(5)를 제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는 트렁크(4)를 사용하고자 할때 트렁크(4) 전면에 설치된 트렁크 도어(5)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볼트(6)와 너트(8)에 고정된 핀볼트(7)를 풀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야 하며, 사용을 마쳤을 때는 일반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 꺼림직한 느낌이 없도록 트렁크 도어(5)를 조립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또 트렁크 도어(5)를 분리했을 때 분리된 도어를 적당히 보관할 곳이 없어 트렁크 도어(5)가 훼손될 우려가 았을 뿐 아니라, 볼트(6)와 핀볼트(7)를 풀면 누구나 트렁크(4) 내에 들어갈 수 있어 장난이 심한 어린이 들에게 위험이 따르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벽(1)과 카 바닥(2)면의 일측에 트렁크 바닥(3)이 연장 형성되고 트렁크 바닥(3)위에 트렁크(4)가 형성되며, 트렁크(4)의 입구에는 카벽(1) 면과 동일 면상에 트렁크 도어(5)가 형성되고 카벽(1) 외부측에 고정된 받침판(17)에 모터(20)가 고정되고 그 모터(20)의 축에 결합되는 사각나사봉(21)의 상단부가 받침판(17)에 고정된 상부 축수(31)에 지지됨과 아울러 사각나사봉(21)의 하단부가 트렁크(4)의 외벽에 고정된 하부 축수(32)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나사봉(21)의 중간에는 이송암나사(22)가 결합되어 있고, 이 이송암나사(22)는 트렁크도어(5)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어 모터(20)가 회전할때 모터(20)의 축에 결합된 사각나사봉(21)에 의하여 트렁크 도어(5)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벽(1)에는 사각나사봉(21)에 고정된 트렁크 도어(5)가 상하 이동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도어 가이드(14)와 가이드 고무(16)가 부착되어 있고, 카 바닥(2)과 일치되는 트렁크 도어(5) 사이에는 충격음이 나지않도록 쿠션(15)이 삽입되어 있으며, 트렁크 도어(5)의 상한과 하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한 리미트 스위치(11)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12)가 카벽(1)에 고정되고 트렁크 도어(5)에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11)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12)를 동작시킬 수 있는 스위치 캠(13)이 고정되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구동 회로도를 보인 것으로, + 입력선에 열림 릴레이(U)의 U1a와 닫힘버튼(40)을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타단부는 서로 연결하여 닫힘 릴레이(D)의 B접점 U1b을 연결하며, 닫힘 릴레이(D)의 B접점 U1b의 다른 타단부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11)에 연결하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11)의 타단부는 열림 릴레이(U)의 코일에 연결하며, 열림 릴레이(U)의 코일의 타단부는 - 입력선에 연결하였다.
그리고, + 입력선에 열림버튼(50)과 닫힘 릴레이(D)의 D1a을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타단부는 서로 연결하여 열림 릴레이(U)의 B접접 U1b에 직렬로 연결하며, 열림 릴레이(U)의 U1b의 다른 타단부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12)에 연결하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12)의 타단부는 닫힘 릴레이(D)의 코일에 연결하며, 닫힘 릴레이(D)의 코일의 타단부는 - 입력선에 연결하였다.
또, + 입력선에 열림 릴레이(U)의 A접점 U2a를 연결하고 이 U2a접점의 타단부는 모터(20)의 코일과 닫힘 릴레이(D)의 D2a에 연결하며, 닫힘 릴레이(D)의 D2a의 타단부는 - 입력선에 연결함과 아울러 + 입력선에 닫힘 릴레이(D)의 D3a를 연결하고 이 접점의 타단부는 모터(20)의 코일과 열림 릴레이(U)의 A접점 U3a에 연결하며, 열림 릴레이(U)의 A접접 U3a의 타단부는 - 입력선에 연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는 트렁크 도어(5)를 조작반(도시되지 않음)의 슬라이드 도어를 키스위치로 열고 슬라이드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3도의 닫힘버튼(40)과 열림버튼(50)을 조작하여 트렁크 도어(5)를 개폐하는바, 엘리베이터의 트렁크(4)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반의 슬라이드 도어를 키스위치로 연후, 제3도에서 닫힘버튼(40)를 온시키면 닫힘 릴레이(D)의 B접점 D1b와 상한 리미트 스위치(11)를 통하여 열림 릴레이(U)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열림 릴레이(U)가 온되어 열림 릴레이(U)의 A접점인 U1a, U2a, U3a가 온되고 B접점 U1b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열림 릴레이(U)는 U1a 접점에 의하여 자기 유지하게 되어 열림버튼(50)에서 손을 떼어도 온 동작을 하게 되어 모터(20)가 열림 릴레이(U)의 A접점인 U2a, U3a 접점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상승 방향으로 회전하며 닫힘릴레이(D)는 열림 릴레이(U)의 B접점 U1b가 오프되어 열림버튼(50)을 눌러도 온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서 모터(20)의 회전으로 모터축에 결합된 사각나사봉(21)도 회전하여 이송암나사(22)에 고정된 트렁크 도어(5)가 이송암나사(22)와 함께 카벽(1) 외측에 부착된 도어 가이드(14)와 가이드 고무(16)에 안내되어 상승된다.
이때 트렁크 도어(5)가 상한 위치까지 올라가면 트렁크 도어(5)에 부착된 스위치 캠(13)에 의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11)가 동작되면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11)가 오프되어 자기 유지되었던 열림 릴레이(U)에 인가되었던 전원을 차단시켜 열림 릴레이(U)가 오프되어 열림 릴레이(U)의 A접점 U1a, U2a, U3a는 오프되고 B접점 U1b는 온 동작하여 상승 방향으로 회전하던 모터(20)가 정지되고, 닫힘 릴레이(D)가 열림버튼(5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제3의 가상선 상태에서 트렁크 도어(5)가 열린 상태로 정지되어 트렁크(4)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사용을 마친후 트렁크 도어(5)를 닫을 때는 조작반의 슬라이드 도어를 키 스위치로 열고 제3도 및 제4도에서 열림버튼(50)을 온시키면 열림 릴레이(U)의 B접점 U1b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12)를 통하여 닫힘 릴레이(D)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닫힘 릴레이(D)가 온되어 닫힘 릴레이(D)의 A접점인 D1a, D2a, D3a는 온되고 B접점인 D1b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닫힘 릴레이(D)는 접점 D1a에 의해 자기유지되어 열림버튼(50)에서 손을 떼어도 온동작하게 되며 모터(20)는 닫힘 릴레이(D)의 A접점인 D2a, D3a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하강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림 릴레이(U)는 닫힘 릴레이(D)의 B접접인 D1b가 오프되어 닫힘버튼(40)을 눌러도 온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모터(20)의 회전으로 모터(20)의 축에 결합된 사각나사봉(21)이 회전하여 이송암나사(22)와 함께 트렁크 도어(5)가 카벽(1) 외측에 부착된 도어 가이드(14)와 가이드 고무(16)에 안내되어 하강된다.
이때 트렁크 도어(5)가 하한 위치까지 내려오면 트렁크 도어(5)에 부착된 스위치 캠(13)에 의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12)가 동작되면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한 리미트 스위치(12)가 오프되어 지지유지되어 있던 닫힘 릴레이(D)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시켜 닫힘 릴레이(D)가 오프되어 닫힘 릴레이(D)의 A접접 D1a, D2a, D3a는 오프되고 B접점 D1b는 온 동작하여 하강방향으로 회전하던 모터(20)가 정지하고 열림 릴레이(U)는 닫힘버튼(4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조건이 되며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 도어(5)가 닫힌 상태로 정지되어 트렁크(4)의 사용을 마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트렁크를 사용시 마다 볼트를 풀고 조여야 하는 종래 장치와는 달리 작동 버튼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켜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트렁크의 사용이 편리해지고, 분리된 트렁크 도어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조작반의 슬라이드 도어를 키 스위치로 열어야 열림, 닫힘 버튼을 조작할 수 있어 특정인만 조작이 가능하므로 어린이 들이 트렁크에 들러감에 따르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벽(1)의 외측부에 고정되는 모터(20)와, 그 모터(20)의 축에 결합되고 카벽(1)과 트렁크(4)의 외측부에 고정한 상부 축수(31)와 하부 축수(32)에 지지되는 사각나사봉(21)과, 트렁크 도어(5)의 후면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사각나사봉(21)에 결합되는 이송암나사(22)를 구비하여,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트렁크 도어(5)를 승강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도어(5)의 승강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카벽(1)의 양측부에 도어 가이드(14)를 고정하고 카벽(1)의 하단부에 가이드 고무(16)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도어(5)의 하단부에는 카 바닥(2)과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쿠션(15)를 부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4. 젭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벽(1)의 상, 하부에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11)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12)를 고정하고, 트렁크 도어(5)에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11)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12)를 작동시켜 트렁크 도어(5)의 상, 하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캠(13)을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KR92012734U 1992-07-10 1992-07-10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KR970004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734U KR970004188Y1 (ko) 1992-07-10 1992-07-10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734U KR970004188Y1 (ko) 1992-07-10 1992-07-10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419U KR940003419U (ko) 1994-02-18
KR970004188Y1 true KR970004188Y1 (ko) 1997-05-06

Family

ID=1933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734U KR970004188Y1 (ko) 1992-07-10 1992-07-10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419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5192C (zh) 在电梯竖井内建立临时安全空间的装置和方法
EP0069820A1 (en) Safe remote-control door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194756A (en) Vehicle provided with an improv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window and sunroof movement and door locks
KR970004188Y1 (ko)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US3967511A (en) Window lifter of a motor vehicle
US5245217A (en) Control device for power window
US6412223B1 (en) Single drive system for a vehicle closure member
KR950008118Y1 (ko) 승강기의 도어록장치
GB2299870A (en) An arrangement for lowering and raising the window of a vehicle door
JPS62244988A (ja) 蓋体用ロツク装置
CN206888826U (zh) 一种用于游览车的电动平移门
KR0116686Y1 (ko) 트렁크 부착형 엘리베이터의 트렁크도어 개폐장치
KR0122202Y1 (ko) 트렁크 부착형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US6150732A (en) Electromotive operating arrangement for a sliding door
GB2300022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 doors and windows
KR900008080B1 (ko) 수동겸용 자동식 미닫이 금고문
JPH02140375A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KR100267114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 장치
KR20050070228A (ko)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JPH0750553Y2 (ja) 建築用電動シヤツターにおける補助機能作動構造
US2111877A (en) Bulkhead door and the like
JPH04122176U (ja) 電動開閉扉の安全装置
JPS6242060Y2 (ko)
KR19990007303U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작동시 장애물 끼임방지장치
KR100500288B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