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228A -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228A
KR20050070228A KR1020030099472A KR20030099472A KR20050070228A KR 20050070228 A KR20050070228 A KR 20050070228A KR 1020030099472 A KR1020030099472 A KR 1020030099472A KR 20030099472 A KR20030099472 A KR 20030099472A KR 20050070228 A KR20050070228 A KR 2005007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door lock
clo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갑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피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피앤텍 filed Critical (주)에이피앤텍
Priority to KR102003009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228A/ko
Publication of KR2005007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키패드를 보호하는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록킹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키패드의 전방에 구비되는 보호용 커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이동시켜 키패드를 개폐하는 커버구동부와, 상기 커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개폐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으로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출입시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개폐과정에서 커버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An automatic switchgear for cover of 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록에 구비된 키패드를 보호하는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출입문에 설치되며 잠금 및 해제기능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열쇠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식 도어록과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디지털 도어록으로 구분되며, 근래에는 기계식에 비해 작동이 편리하고 안전성이 뛰어난 디지털 도어록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도 7은 종래 디지털 도어록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에는 출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110)가 설치되고,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출입문을 해제시키는 록킹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키패드의 외측에는 슬라이드방식으로 작동되는 보호용 커버(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0)를 밀어올려 키패드(110)를 노출시킨 다음 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록킹부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이때 레버(120)를 돌리면 출입문을 개방하여 출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출입문이 닫히면 도어록이 자동으로 잠금상태로 복귀하여 출입이 통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출입시마다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해 커버를 밀어올려야 했으며 입력 후에는 다시 아래로 내려야 했으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했으며, 작동과정에서 과도한 힘을 가했을 경우에는 커버가 파손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커버의 양측이 본체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됨으로써, 그 과정에서 밀착부위에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됨은 물론, 그로 인해 커버의 수명과 성능의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키패드를 보호하는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개폐과정에서 본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개방시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도어가 오픈된 경우, 상기 커버가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록킹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키패드의 전방에 구비되는 보호용 커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이동시켜 키패드를 개폐하는 커버구동부와, 상기 커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개폐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따라 구동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일측이 상기 구동축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작동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상기 록킹부가 해제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구동부를 구동함으로써, 커버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본체(10)에는 앞면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록킹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키패드의 전방으로 보호용 커버(2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는 본체(10)상에서 커버(20)를 상하로 이동시켜 키패드(11)를 개폐하는 커버구동부(30)와, 상기 커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개폐신호를 입력하는 버튼형의 조작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구동부(30)는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따라 구동축(32)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1)와, 일측이 상기 구동축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커버(20)의 내측면에 힌지고정되는 한 쌍의 작동바(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31)는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공간부(14)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구동축(32)은 상기 모터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12)를 누르면 본체(10)에 내장된 제어부로 개방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모터(31)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3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바(33)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커버(20)를 들어올려 키패드(11)를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20)가 개방되면 키패드(11)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출입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록킹부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킨 후 본체(10)에 구비된 레버(13)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게 된다.
한편, 본체(10)나 커버(20)에는 상기 커버의 개방 또는 폐쇄가 완료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입력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신호입력시 모터(31)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커버의 이동범위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로는 리미트스위치나 포토센서와 같이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감지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센서의 위치선택 및 설치방법에 관하여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실시예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작동바(33)와는 별도로 일측이 본체(10)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커버(20)의 내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작동바의 작동시 상기 커버와 본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34)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써, 도 3a,b,c는 커버의 개방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12)를 눌러 제어부로 개방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31)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3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 작동바(33)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커버(20)를 들어올려 키패드(11)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20)는 본체와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되는 종래의 커버와는 달리, 작동바(33)에 의해 본체(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개폐됨으로써 접촉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20)가 개방되면 상술한 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모터(31)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소모가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20)와 본체(10)의 사이에는 작동바(33)와는 별도로 한 쌍의 간격유지바(34)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유지바는 작동바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개방되면 키패드(11)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출입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록킹부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킨 후 본체(10)에 구비된 레버(13)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게 되며, 비밀번호의 입력 후에는 조작부(12)를 다시 눌러 커버(20)를 원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20)가 폐쇄되면 개방시와 마찬가지로 센서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모터(31)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소모가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작부(12)를 누르면 제어부로 폐쇄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모터(31)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3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 작동바(33)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커버를 하강시켜 키패드(11)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록킹부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고 모터(31)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3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면, 상기와 같이 커버(20)를 폐쇄하기 위해 조작부(12)를 다시 누를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출입자의 부주의로 조작부를 누르지 않은 경우에도 커버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는 구동축(32)에 동력을 부여하는 모터(31)가 상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구동축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벨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35)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배치는 본체(10)에 장착되는 모터(3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그 배치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작동방식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여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따라 모터(31)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35)에 의해 구동축(32)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작동바(33)가 커버(20)를 개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부를 이용하여 모터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용이하게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본체(10)에는 앞면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록킹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키패드의 전방으로 보호용 커버(2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자동개폐장치는 키패드(11)의 전방을 커버하며 일측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고정되는 폴더형 커버(20)와,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키패드를 개폐하는 커버구동부(30)와, 상기 커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개폐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구동부(30)는 커버(20)의 힌지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32)과, 본체(10)에 고정되며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1)로 구성된다.
이때, 모터(31)는 본체(1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터와 구동축(32)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벨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35)가 구비되어, 모터의 동력을 구동축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12)를 누르면 본체(10)에 내장된 제어부로 개방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모터(31)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3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20)가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키패드(11)를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20)를 개방시키면 노출된 키패드(11)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출입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록킹부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킨 후 본체(10)에 구비된 레버(13)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게 된다.
한편,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록킹부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고 모터(31)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3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면, 상기와 같이 커버(20)를 폐쇄하기 위해 조작부(12)를 다시 누를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출입자의 부주의로 조작부를 누르지 않은 경우에도 커버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으로 키패드를 보호하는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출입시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개폐과정에서 커버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커버가 개폐과정에서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접촉으로 인한 마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찰로 인한 마모의 발생과 모터의 과부하 및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간격유지바를 구비하여 커버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커버가 정확하고 부드럽게 개폐됨은 물론 개폐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소음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록킹부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커버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를 폐쇄하기 위해 조작부를 다시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출입자의 부주의로 조작부를 누르지 않은 경우에도 커버가 폐쇄되어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 도어록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키패드
12 : 조작부 13 : 레버
14 : 설치공간부
20 : 커버
30 : 커버구동부 31 : 모터
32 : 구동축 33 : 작동바
34 : 간격유지바 35 : 동력전달부

Claims (9)

  1. 일측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1)가 구비되고,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록킹부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키패드의 전방에 구비되는 보호용 커버(20)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를 이동시켜 키패드(11)를 개폐하는 커버구동부(30)와, 상기 커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개폐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구동부(3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따라 구동축(32)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1)와, 일측이 상기 구동축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20)의 내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작동바(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20)의 내측면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작동바(33)의 작동시 상기 커버와 본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바(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록킹부의 해제시 상기 모터구동부(30)를 구동하여 커버(2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1)는 상기 구동축(32)의 일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1)와 구동축(32)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7. 일측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1)가 구비되고,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록킹부가 구비된 본체(10)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11)의 전방을 커버하며 일측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고정되는 폴더형 커버(20)와,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키패드를 개폐하는 커버구동부(30)와, 상기 커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개폐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구동부(30)는,
    상기 커버(20)의 힌지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32)과,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록킹부의 해제시 상기 모터구동부(30)를 구동하여 커버(2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KR1020030099472A 2003-12-30 2003-12-30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KR20050070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472A KR20050070228A (ko) 2003-12-30 2003-12-30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472A KR20050070228A (ko) 2003-12-30 2003-12-30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28A true KR20050070228A (ko) 2005-07-07

Family

ID=3726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472A KR20050070228A (ko) 2003-12-30 2003-12-30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2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89B1 (ko) *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KR101429656B1 (ko) * 2013-01-31 2014-08-18 김초현 엿보기 방지 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디지털 도어락
CN111420082A (zh) * 2020-04-28 2020-07-17 佛山市南海区风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家居门锁的紫外消毒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89B1 (ko) *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KR101429656B1 (ko) * 2013-01-31 2014-08-18 김초현 엿보기 방지 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디지털 도어락
CN111420082A (zh) * 2020-04-28 2020-07-17 佛山市南海区风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家居门锁的紫外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8432A (en) Closure for doors, bonnets, tailgates or the like, in particular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KR200438623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 장치
KR20050070228A (ko) 디지털 도어록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JP3821427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KR200422612Y1 (ko) 문자동개폐장치
GB2446805A (en) Coded lock with plate to prevent deciphering of code
KR100731999B1 (ko) 리모컨을 이용한 셔터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100811672B1 (ko) 디지털 도어록용 커버 개폐장치
KR100691211B1 (ko) 인사이드 핸들 모듈
KR200442949Y1 (ko)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0324591Y1 (ko) 키박스 보호 기능을 가지는 도어락 장치
KR100465408B1 (ko)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KR0133980Y1 (ko)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0702440B1 (ko) 전자식 출입문 잠금장치
KR102268726B1 (ko) 손잡이 엄폐구조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KR200300149Y1 (ko) 전자식 도어록 커버의 자동 개폐장치
KR200276139Y1 (ko) 출입문용 도어록장치
KR970004188Y1 (ko) 트렁크 타입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도어 개폐장치
KR100732602B1 (ko) 문자동개폐장치
KR100440206B1 (ko)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
KR20040027250A (ko) 디지털 도어락
JPH0750553Y2 (ja) 建築用電動シヤツターにおける補助機能作動構造
KR200444841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233800Y1 (ko) 키패드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