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26B1 - 걸쇠장치 - Google Patents

걸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26B1
KR970003226B1 KR1019930017470A KR930017470A KR970003226B1 KR 970003226 B1 KR970003226 B1 KR 970003226B1 KR 1019930017470 A KR1019930017470 A KR 1019930017470A KR 930017470 A KR930017470 A KR 930017470A KR 970003226 B1 KR970003226 B1 KR 97000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pivot shaft
operating lev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963A (ko
Inventor
가즈히데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다키모토 히데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다키모토 히데아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05C19/14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with toggle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49Toggle c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13Sliding and swinging
    • Y10T292/0914Operating means
    • Y10T292/0917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28Extension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uck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걸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걸쇠장치의 잠금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제2도는 이 걸쇠장치의 배면도.
제3도는 이 걸쇠장치의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판 2 : 축받이판부
3 : 조작레버 4 : 제1피봇축
5 : 걸쇠아암 6 : 제2피봇축
7 : 걸쇠아암의 선단훅부 8 : 받이쇠
8a : 받이쇠의 걸림단부 9 : 조작레버의 배면측 공동부
10 : 베이스판의 안내판부 11 : 록플레이트
12 : 록플레이트의 장축판부 13 : 안내판부의 슬롯
14 : 푸시플레이트 15 : 푸시플레이트의 스프링 지지판부
16 : 스프링 받이판 17 : 스프링받이판의 관통구멍
18 : 압축코일스프링 19 : 받이쇠 플레이트
20 : 받이쇠 플레이트의 고정판부 21 : 고정판부의 고정노치부
22 : 고정판부의 캠경사면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기계수납 박스 등에 사용되는 걸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본국 실개소 61-176375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걸쇠장치로는 베이스판의 일단부에 돌설한 축받이판부에 조작레버의 기단부를 제1피봇축에 의해 연결하고 걸쇠아암의 기단부를 제2피봇축에 의해 조작레버의 중간부에 연결하며고, 걸쇠아암의 선단훅부가 받이쇠의 걸림단부에 걸어맞추어진 걸어고정한 잠금상태에 있어서, 제2피봇축이 받이쇠의 걸림단부와 제1피봇축을 통하는 직선보다도 베이스판쪽으로 오도록 제1피봇축과 제2피봇축을 배치하고 있다.
이 종래장치로는 조작레버를 베이스판에 잠그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선단부에 다른 기물이 충돌해서 조작레버가 제1피봇축을 중심으로 끌어올려 회전시켜졌을 때는, 걸쇠아암과 받이쇠의 걸림이 우발적으로 풀려, 고정프레임에 관한 윙체의 걸어고정한 잠금이 우발적으로 해체될 위험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레버의 선단부에 다른 기물이 충돌등이 되어도 걸어고정한 잠금이 우발적으로 풀리지 않는 걸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첨부도면중의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걸쇠장치에는 베이스판(1)의 일단부에 돌설한 축받이판부(2, 2)에 조작레버(3)의 기판부를 제1피봇축(4)에 의해 연결하고, 걸쇠아암(5)의 기단부를 제2피봇축(6)에 의해 조작레버(3)의 중간부에 연결하고, 걸쇠아암(5)의 선단훅부(7)가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에 걸어맞춤하여 걸어고정한 잠금상태에 있어서, 제2피봇축(6)이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와 제1피봇축(4)을 통하는 직선보다도 베이스판(1)의 쪽에 오도록 제1피봇축(4)과 제2피봇축(6)을 배치한다.
베이스판(1)의 타단부에 조작레버(3)의 배면측 공동부(9)에 들어가는 안내판부(10, 10)를 돌설하고,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 12)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넣은 슬롯(13, 13)을 안내판부(10, 10)에 베이스판(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록플레이트(11)에 고정설치한 푸시플레이트(14)의 기단부를 조작레버(3)의 손걸이단부(3a)에 근접시켜 배치한다.
푸시플레이트(14)의 선단부의 스프링 지지판부(15)를 베이스판(1)의 중간부에 돌설한 스프링 받이판(16)의 관통구멍(17)에 미끄럼이동가능하도록 끼워넣어, 스프링 지지판부(15)에 끼워합친 코일스프링(18)을 푸시플레이트(14)의 단면(14a)과 스프링 받이판부(16)와의 사이에 압축시켜서, 팽출판부(12)가 제1피봇축(4)으로부터 먼쪽의 슬롯(13)의 내벽면(13a)에 맞닿도록 푸시플레이트(14)를 미끄럼이동가압하게 한다.
조작레버(3)에 고정설치한 받이쇠 플레이트(19)에 배면측 공동부(9)에 돌출한 고정판부(20, 20)를 돌설하고, 고정판부(20, 20)의 옆가장자리부에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 12)가 걸고벗기는 고정노치부(21, 21)를 설치하여 각 고정판부(20)의 선단부에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의 가장자리면(12a)과 미끄럼 접합시키고, 제1피봇축(4)에 가까운 쪽의 내벽면(13b)을 향해 록플레이트(11)를 슬롯(13)에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경사면부(22)를 고정노치부(21)에 인접시켜 설치한다.
[작용]
베이스판(1)은 예컨대 윙체(25)에 고착되고, 받이쇠(8)는 고정프레임(26)에 고착된다. 윙체(25)가 폐쇄되어 고정프레임(26)에 걸어고정하여 잠그어져 있을때에는 조작레버(3)는 베이스판(1)을 향하여 자빠져 눕혀지고, 제4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2피봇축(6)은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와 제1피봇축(4)을 통하는 직선보다도 베이스판(1)쪽에 와있다. 베이스판(1)의 안내판부(10, 10)는 조작레버(3)의 배면측 공동부(9)에 들어가 있으며, 조작레버(3)에 고정시킨 받이쇠 플레이트(19)의 고정판부(20, 20)는 안내판부(10, 10)의 바깥쪽에 마주 향하게 되어 있다.
안내판(10, 10)의 슬롯(13, 13)에 끼워맞추어진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 12)에는 고정판부(20, 20)의 정지노치부(21, 21)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각 팽출판부(12)는 코일스프링(18)에 의해 제1피봇축(4) 보다도 먼쪽의 슬롯 내벽면(13a)을 향하여 미끄럼이동가압되게 되어 있으므로, 고정노치부(21)와 팽출판부(12)의 걸어맞춤은 견고히 유지되어 조작레버(3)는 베이스판(1)에 대해 걸어고정하여 잠그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윙체(25)는 고정프레임(26)에 대해서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걸어 고정한 잠금을 해제하는 윙체(20)를 개방조작하는데는, 록플레이트(11)와 일체인 푸시플레이트(14)를 안내판부(10)의 슬롯(13)에 따라서 제1피봇축(4)쪽에 손가락으로 누르면 좋다.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가 슬롯(13)의 반대쪽에 내벽면(13b)을 향해서 소정 스트로크 미끄럼이동함에 의해 팽출판부(12)가 고정판부(20)의 고정노치부(21)에서 탈출하기 때문에 베이스판(1)에 대하는 조작레버(3)의 걸어고정한 잠금한 것이 해제된다. 거기서, 푸시플레이트(14)를 해당 눌러 넣은 위치에 유지시킨채, 손가락 걸리는 단부(3a)에 손가락을 걸어서 조작레버(3)를 제1피봇축(4)을 중심으로 당겨올려 회전시킨다.
푸시플레이트(14)의 눌러 넣은 것은, 고정노치부(21)와 팽출판부(12)가 다시 걸어맞춤되지 못할 각도까지 조작레버(3)를 회전시킨 단계에서 해제한다.
눌러넣은 것을 해제함으로써 록플레이트(11)는 코일스프링(18)의 작용에 의해 팽출판부(12)가 슬롯의 내벽면(13a)에 맞닿는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베이스판(1)에 대해서, 조작레버(3)를 다시금 당겨올려 회전시킴에 의해 제2피봇축(6)이 베이스판(1)의 전방에 이동하므로, 제2피봇축(6)을 중심으로 경사회동한 걸쇠아암(5)은 선단훅부(7)가 받이쇠(8)의 걸림단부(8a)로부터 이탈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프레임(26)에 대한 윙체(25)의 걸어고정한 잠금이 해제되어 윙체(25)는 이 조작레버(3) 또는 달리 준비된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개방조작된다.
소요된 작업종료 후, 윙체(20)를 폐쇄조작해서부터, 조작레버(3)를 제1피봇축(4)을 중심으로 눌러내려 회전시키면, 걸쇠아암(5)의 선단훅부(7)가 고정프레임(21)의 정면판부(33)에 미끄러져 접하면서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에 접근해서, 제2피봇축(6)이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와 제1피봇축(4)을 통하는 직선보다도 베이스판(1) 쪽에 왔을 때 선단훅부(7)가 걸림단부(8a)에 깊이 걸어맞추어져, 윙체(25)가 고정프레임(26)에 대해 걸어고정한 잠금한다. 이 조작레버(3)의 눌러내려 회전하는 최종단계에서, 고정판부(20)의 캡경사면부(22)가 롤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의 가장자리면 (12a)에 미끄러져 접합해서 록플레이트(11)를 베1피봇축(4)에 가까운 쪽의 내벽면(13b)을 향해 미끄럼이동시킨다. 조작레버(3)의 눌러내리는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팽출판부(12)는 고정노치부(21)의 개구단에 대면한 위치에 와있고, 그 순간에 코일 스프링(18)의 가압에 의해 팽출판부(12)는 고정노치부(21)와 자동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조작레버(3)는 다시 베이스판(1)에 대해서 구속된다.
[실시예]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판(1)은 4개의 부착구멍(23)을 통하는 비스등의 고착구(277)에 의해 윙체(25)에 고착시켜지고, 받이쇠(8)는 2개의 부착구멍(24)을 통하는 비스등의 고착구(28)에 의해 고정프레임(26)에 고착되어져 있다.
베이스판(1)의 축받이 판부(2)는 상하 한쌍으로 돌설되며, 횡단피봇축(4)은 조작레버(3)의 상하 한쌍의 측벽판부(34, 34)의 우단부에 끼워져 있다.
횡단 피봇축(6)은 조작레버(3)의 상하 측벽판부(34, 34)의 중간부와 걸쇠아암(5)의 상하 한쌍의 측벽판부(35, 35)의 좌단부에 끼워넣어져 있다.
록플레이트(11)와 푸시플레이트(14)는 일체물로 시작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별체물로 제작한 양자를 스포트 용접으로 달아 합쳐 고정해 있고, 리벳등의 고착구(29)로 다시 연결시켜져 있다. 스프링 받이판(16)은 짤라 타내는 방법등에 의해 베이스판(1)과 일체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받이판(16)과 베이스판(1)을 별체물로 제작해서, 베이스판(1)의 위치를 결정하는 돌기(30)에 스프링 받이판(16)의 위치결정구멍(31)을 끼워합친후, 베스(32)로 스프링 받이판(16)을 베이스판에 죄여붙여 고착시키고 있다.
받이쇠 플레이트(19)와 조작레버(3)는 일체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별체물로 제작한 양자를 스포트 용접으로 달아 합쳐 고정시켜 있다.
받이쇠 플레이트(19)에는 제2피봇축(6)이 끼워 넣어지는 보강판부(36, 36)를 상하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14)에는 폭이 넓은 손가락 닿는 판부(14a)를 배면쪽으로 굽혀서 설치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걸쇠장치로는, 베이스판(1)의 일단부의 축받이판부(2, 2)에 조작레버(3)의 기단부를 제1피봇축(4)에 의해 연결시켜 걸쇠아암(5)의 기단부를 제2피봇축(6)에 의해 조작레버(3)의 중간부에 연결시키며, 베이스판(1)의 안내판부(10, 10)의 슬롯(13, 13)에 끼워넣은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를 조작레버(3)에 고착하여 설치한 받이쇠 플레이트(19)의 고정판부(20, 20)의 고정노치부(21, 21)에 걸어맞추어, 이 걸어 맞춤을 압축코일스프링(18)의 미끄럼이동가압에 의해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조작레버(3)를 베이스판(1)에 고정이 가능케 되는 것이며, 이 록플레이트(11)와 받이쇠 플레이트(19)의 걸어맞춤을 해제조작하기 위한 푸시플레이트(14)가 조작레버(3)의 배면측 공동부(9)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다른 기물의 충돌 등에 의해서 조작레버(3)가 들려올라가 회전해서 걸어잠근 것이 우발적으로 풀리는 경우가 없다.

Claims (1)

  1. 베이스판(1)의 일단부에 돌설한 축받이판부(2, 2)에 조작레버(3)의 기단부를 제1피봇축(4)에 의해 연결시키고, 걸쇠아암(5)의 기단부를 제2피봇축(6)에 의해 조작레버(3)의 중간부에 연결시키며, 걸쇠아암(5)의 선단훅부(7)가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에 걸어맞춤한 걸어고정한 잠금상태에 있어, 제2피봇축(6)이 받이쇠(8)의 걸림단부(8a)와 제1피봇축(4)을 통하는 직선보다도 베이스판(1)의 쪽에 오도록 제1피봇축(4)과 제2피봇축(6)을 배치하고, 베이스판(1)의 타단부에 조작레버(3)의 배면측 공동부(9)에 들어가는 안내판부(10, 10)를 돌설하고,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 12)가 미끄럼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슬롯(13, 13)을 안내판부(10, 10)에 베이스판(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록플레이트(11)에 고정설치한 푸시플레이트(14)의 기단부를 조작레버(3)의 손걸이단부(3a)에 근접시켜 배치하고, 푸시플레이트(14)의 선단부의 스프링 지지판부(15)를 베이스판(1)의 중간부에 돌설한 스프링 받이판(16)의 관통구멍(17)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넣으며 스프링 지지판(15)에 끼워맞추어진 코일스프링(18)을 푸시플레이트(14)의 단면(14a)과 스프링 받이판부(16)와의 사이에 압축시켜서 팽출판부(12)가 제1피봇축(4)보다 먼쪽의 슬롯(13)의 내벽면(13a)에 맞닿도록 푸시플레이트(14)를 미끄럼이동가압되게 하고, 조작레버(3)에 고정설치한 받이쇠 플레이트(19)에 배면측 공동부(9)에 돌출하는 고정판부(20, 20)를 돌설하며, 고정판부(20, 20)의 옆가장자리부에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 12)가 걸고벗기는 고정노치부(21, 21)를 설치하여 각 고정판부(20)의 선단부에 록플레이트(11)의 팽출판부(12)의 가장자리면(12a)과 미끄러져 접촉시켜서 제1피봇축(4)에 가까운 쪽의 내벽면(13b)을 향하여 록플레이트(11)를 슬롯(13)에 따라 미끄럼이동하게 하는 캡경사면부(22)를 고정노치부(21)에 인접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쇠장치.
KR1019930017470A 1993-02-22 1993-09-02 걸쇠장치 KR970003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56454A JPH06240940A (ja) 1993-02-22 1993-02-22 掛金装置
JP93-56454 1993-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963A KR940019963A (ko) 1994-09-15
KR970003226B1 true KR970003226B1 (ko) 1997-03-15

Family

ID=1302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470A KR970003226B1 (ko) 1993-02-22 1993-09-02 걸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49210A (ko)
JP (1) JPH06240940A (ko)
KR (1) KR970003226B1 (ko)
CN (1) CN1095787A (ko)
GB (1) GB2275301B (ko)
HK (1) HK1002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90B1 (ko) * 2001-06-27 2003-11-21 장복규 간격 조정가능한 래치 장치
US8567828B2 (en) * 2005-02-07 2013-10-29 Kapman Ab Snap-type locking device
DE202009000419U1 (de) 2009-01-15 2009-04-09 Schwarz, Herbert Verschluss für einen Koff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781A (en) * 1906-02-10 1907-03-05 Eugene W Hawley Fastener for trunks or the like.
FR612104A (fr) * 1925-06-20 1926-10-18 Dispositif de fermeture et ses diverses applications notamment pour la fixation des malles d'autos
GB316855A (ko) * 1928-08-03 1929-09-26 John Barnard Russ
US3237978A (en) * 1964-10-26 1966-03-01 Gunnar E Swanson Fastening device
US3524667A (en) * 1965-10-22 1970-08-18 Nielsen Hardware Corp Catch for a packing case or the like
US3698753A (en) * 1971-02-26 1972-10-17 Long Mfg Co Inc Drawbolt latching device
US3998481A (en) * 1975-05-01 1976-12-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raw and pull latch
US4218081A (en) * 1978-11-20 1980-08-19 United Products Inc. Latch with multiple function prevailing-torque mechanism
DE3500862C1 (de) * 1985-01-12 1986-07-17 S. Franzen Söhne (GmbH & Co), 5650 Solingen Einhaengeverschluss fuer Koffer und Taschen
FR2681370B1 (fr) * 1991-09-18 1993-11-05 Ronis Sa Serrure a bascule, notamment pour la fermeture de bagages tels que des valises.
CA2286895C (en) * 1997-04-15 2010-07-13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Plant fatty acid epoxygenase genes and us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2515A1 (en) 1998-08-28
GB2275301B (en) 1995-08-09
CN1095787A (zh) 1994-11-30
US5449210A (en) 1995-09-12
GB9403071D0 (en) 1994-04-06
JPH06240940A (ja) 1994-08-30
GB2275301A (en) 1994-08-24
KR940019963A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0439A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home electric equipment, particularly a electronic range
KR0130495Y1 (ko) 걸이쇠 장치
KR970003226B1 (ko) 걸쇠장치
JP2590048B2 (ja) 掛金装置
JPH0613976Y2 (ja) ラッチ装置
KR100738735B1 (ko) 가구의 이동부를 폐쇄 및 개방하기 위한 장치
JP2656999B2 (ja) 突放しばねを備えた改良型反動掛合動作式ラッチ
KR930001875Y1 (ko) 죔자물쇠장치
JP3028846U (ja) 掛金装置
KR860003309Y1 (ko) 냉장고 도어의 록크장치
JPH0643403Y2 (ja) 押圧作動型扉用ロック装置
JPH0740046Y2 (ja) ラッチ装置
JPH051569Y2 (ko)
JPH0740366Y2 (ja) ケース付き鋏
JPH0643402Y2 (ja) 押圧作動型扉用ロック装置
JPH10280770A (ja) 引戸用ラッチ錠
KR930005325Y1 (ko) 래치구조가 없는 전자레인지
JPS5927257Y2 (ja) 携帯式の開閉作業用具
KR100293991B1 (ko) 자동차의 콘솔
JP3745307B2 (ja) 扉用のラッチ装置
JPH0737018Y2 (ja) 平面ラッチ装置
JP2556910Y2 (ja) 扉の係止鎖錠装置
JPH044886Y2 (ko)
JPH079232Y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のカセットエジェクト装置
KR970001910Y1 (ko) 핸드백용 잠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