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650B1 - 냉동 및 냉장 유니트 - Google Patents

냉동 및 냉장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650B1
KR970002650B1 KR1019890009660A KR890009660A KR970002650B1 KR 970002650 B1 KR970002650 B1 KR 970002650B1 KR 1019890009660 A KR1019890009660 A KR 1019890009660A KR 890009660 A KR890009660 A KR 890009660A KR 970002650 B1 KR970002650 B1 KR 97000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hamber
chamber
cooling
refrigerat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044A (ko
Inventor
쇼우지 다케우찌
가쓰요시 이이노
리요이찌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구보 도모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9059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3988U/ja
Priority claimed from JP90598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1503Y2/ja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구보 도모아끼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냉동 및 냉장 유니트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유니트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일부에 대한 부분 절개 확대 측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대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횡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유니트의 부분 절개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유니트의 사시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안내판에 대한 확대 사시도.
제 9 도는 제 7 도의 일부에 대한 확대 횡단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1(a) 도 및 제 11(b) 도는 제 8 도의 안내판 결합부와 기둥의 결합수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 : 냉동 및 냉장 유니트 2 : 기계실
3 : 냉각실 4,32 : 바닥판
5,9,21 : 기둥 7 : 덮개판
8 : 천정판 10 : 유리창
11 : 도어(door) 12,23 : 프레임
14,22 : 결합 튜브 35 : 안내판
38,39 : 결합 수단 42 : 제1결합부
43,44 : 제 2 결합부 47 : 후크(hook)부
본 발명은 하부에는 냉각 장치용 기계실을 가지며, 상부에는 냉각 상품용 냉각실을 가지는 냉동 및 냉장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동 및 냉장 유니트는 하부에 냉각 장치용 기계실올 가지며, 상부에는 냉장 상품이 놓이고 보통 쇼케이스(show case)로서 사용되는 냉각실을 지닌다. 그 전형적인 형상은 사각형이다. 기계실은 바닥판, 이바닥판의 네 코너에 수직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네 기둥, 그 기둥의 중앙부에 연결된 보강 부재 및 기둥의 외축면에 부착된 덮개판으로 구성된다. 이 기계실 내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수단, 증발기, 송풍 수단 따위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가 위치한다. 냉각실은 천장판, 그 천장판의 네 코너에 수직으로 연장되게 부착된 네 기둥, 냉각실과 기계실 사이에 배치되는 바닥판, 인접 기둥 사이에 배치되며 보통 유리로 구성된 세 측벽 및 통상 한 측벽을 구성하며 개폐 가능한 도어로 구성된다.
기계실과 냉각실은 서로 연결되며 용점이나 나사에 의해서 기계실 기둥과 냉각실 기둥을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유니트로 조립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니트에 있어서는 냉각실 기둥의 상부가 냉각실 청정판에 고정되지만, 그 하부는 각각 기계실의 상부에 단순히 나사 등으로 연결되였으므로, 냉각실 기둥이 그다지 견고하지는 아니하였다. 이 냉각실에 외력이 작용할때는 냉각실 기둥이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방향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그 기둥에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하였다.
한펀 냉각실의 바닥판은 기계실에서 냉각실로 냉기가 통과하는 개구를 지니며, 통상 안내판이 그 개구로부터 냉각실 내측으로 효율적으로 그 냉기를 순환시키도록 그 개구 부근에 배치된다. 이 안내판은 그 바닥부에서 적당한 결합 수단에 의해 개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며, 그 측부에서는 나사에 의해 냉각실 기둥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로는 안내판을 부착하거나 제거하는 절차가 비교적 어려웠다. 그 부착 또는 제거 절차는, 공구를 사용하여 나사를 체결, 또는 해체하여야 했고, 또 냉각실이 그와 같은 작업에 층분한 공간을 제공할 만큼 넓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 게다가, 냉각실 기둥이 비교적 견고하지 못했기 때문에냉각실 기둥의 비틀림이나 휨으로 인해 안내판 고정부를 냉각실 기둥의 기둥부에 고정시키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실에 외력이 작용할 때에도 기둥의 휨이나 비틀림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견고한 기둥을 가지는 냉각실을 구비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기용 안내판을 공구 없이도 쉽게 부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냉동 및 냉장 유니트는 다음과 같다. 그 유니트는 하부에 냉각 장치용 기계실을 지니며, 상부에는 냉각 상품용 냉각실을 지닌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들이 기계실과 냉각실에 제공된다. 냉각실 기둥 각각의 저부는 기계실 기둥 각각의 상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냉각실과 기계실 사이에는 프레임이 배치되고, 그 프레임에는 기계실 기둥의 상부와 냉각실 기둥의 저부가 조립되는 다수의 조립 수단이 구비된다. ·
이 냉동 및 냉장 유니트에서는 냉각실 기둥의 저부와 기계실 기둥의 상부가 프레임에 제공된 조립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그 냉각실 기둥의 저부는 조립 수단에 고정되고 그 조립 수단은 견고한 프레임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냉각실 기둥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실에 외력이 가해쳤을 때에도 냉각실 기둥의 평행 관계가 유지되며, 그 기둥의 비틀림과 휨이 방지될 수 였다,
게다가, 냉각실 기둥이 평행 관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기용 안내판을 부착시키는데에 간단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안내판을 단지 결합 기구에 의해서 냉각실 기둥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안내판은 냉기가 기계실로부터 냉각실로 통과하는 바닥판에 형성된 냉각실용 냉기 개구 부분에 배치된다. 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 기둥에 제공된다. 그 바닥판의 개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결합부와, 그 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결합부가 안내판에 제공된다. 그 안내판은 나사나 관련 공구 없이도 제1결합부를 모서리에, 제2결합부를 결합 수단에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유니트를 도시한다. 제 1 도에서 냉동 및 냉장 유니트(1)는 하부에 기계실(2)을, 상부에 냉각실(3)을 지닌다.
제 2 도에서 기계실(2)은 하부 표면에 다수의 바퀴(Caster)(4a)가 제공된 바닥판(4), 용접이나 나사에 의해 바닥판의 네 코너에 고정되고 바닥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위로 연장된 네개의 기둥(5), 용점이나 나사에 의해 기둥의 중앙부에 고정된 보강관(6) 및 나사에 의해 기둥의 의부 표면에 고정된 덮개판(7)을 구비한다. 냉동기(50)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수단, 증발기, 송풍 수단, 등으로 구성되며, 기계실(2)내에설치된다.
냉각실(3)은 천정판(8), 천정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밑으로 수직하여 연장되며 조립 부품 또는 나사에의해 천정판의 네 코너에 고정된 네개의 플라스틱 기둥(9), 인접 기둥 사이에 배치되며 냉각실의 세 측벽을 구성하는 유리창(10) 및 폐쇄된 때 냉각실의 한 측벽을 형성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도어(11)를 구비한다. 냉각될 식품과 같은 상품(도시 생략)이 이 냉각실(3)에 위치한다.
프례임(12)은 기계실(2)과 냉각실(3)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12), 기계실(2) 및 냉각실(3)은 각각 직사각형이며, 그 프레임은 중앙부에 관통 구멍(13)을 지닌다. 네개의 조립용 수직 튜브(l4)가 프레임(12)의 네코너에 제공되며, 프레임과 일체로 견고하게 형성된다. 수직 튜브 즉 조립 튜브(14)는 프레임(1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며, 하향으로는 개방되어 있고 그 상부 위치에서는 각각 폐쇄되어 있다.
각 기계실 기둥(5)의 횡단면은 거의 L 형상이다. 각 기둥(5)은 수직 결합부(5a)를 지니며, 또한, 그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부에 나사(tapped) 구멍(5c)을 지니는 돌출부(5b)를 지닌다. 각 냉각실 기둥(9)의 횡단면은 수직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9a)을 지니는 거의 상자와 같은 형상이다. 도어의 측부상에 위치한 각 기둥(9)은 그 기둥의 측부 표면상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홈(9b)을 지니며, 도어의 측부의 대향측부 상에 위치한 각 기둥(9)은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홈(9b)을 갖는다. 각 유리창(10)의 양측 가장자리는 한쌍의 기둥(9)상의 서로 마주하는 홈(9b)속으로 삽입되어 지지된다. 냉각실 기둥(9)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기계실 기둥(5)의 상부와 냉각실 기둥(9)의 저부를 각각의 조립 튜브(14)에 의해 연결하는 부분에 대해, 제3-5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기계실 기둥(5)의 상부는 결합부(5a)와 돌출부(5b)를 지니는데, 이는 조립 튜브(1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계단부(14a)가 그 조립 튜브(14)내에 형성되며, 기계실 기둥(5)의 삽입된 상부는 그 계만부와 결합부(5a)가 결합됨으로써 그 삽입 동작이 정지된다.
냉각실 기둥(9)의 하부는, 그 기둥을 위해서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립 튜브(14)의 의측 상에 고정된다. 기둥(9)의 하향 이동은 그 하단 묘면이 프레임(12)의 상부 표면과 접촉함에 따라 정지된다.
나사(15)용 관통 구멍(9c)이 냉각실 기둥(9)의 저부에 형성되고 수직 연장되는 나사용 관통 슬롯(14b)이 조립 튜브(14)의 측부 표면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9c), 관통 슬롯(14b) 및 나사 구멍(5c)은 기계실 기둥(5)의 상부가 소정 길이 만큼 조립 튜브(14)속으로 삽입되고 냉각실 기둥(9)의 저부가 소정 길이만큼 하향이동하여 조립 튜브에 결합되는 상태에서, 동일한 수평축 상에 배열된다. 그후, 나사(15)는 관통 구멍(9c)과 관통 슬롯(14b) 속으로 삽입되며, 나사 구멍(5c) 속으로 나사 체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계실 기둥(5)의 상부와 냉각실 기둥(9)의 저부가 나사(15)를 개재하여 조립 튜브(14)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냉각실 기둥(9)의 저부가 충분히 견고한 프레임(12)상에 설치된 조립 튜브(14)를 개재하여 기계실 기둥(5)의 상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냉각실 기둥 또한 매우 견고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4개의 냉각실 기둥(9)의 평행 상태가 유지되고, 냉각실(3)로 외력이 작용할 시에도 각 기둥(9)의 비틀림이나 휨은 쉽게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기계실 기둥(15)의 상부와 냉각실 기둥(9)의 저부는 다만 그 기둥(5,9)을 조립 튜브(14)에 조립시키기만 하면 견고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 작업은 매우 쉽다. 나사(15)가 기둥(5,9) 및 조립 튜브(14)의 고정용으로 사용될때 이 3개의 부재는 더욱 강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기둥(9)은 더욱 견고하게 된다. 기둥(5)과 조립 튜브(14) 사이 및 기둥(9)과 조립 튜브(14) 사이의 체결 강도가 층분히 크면 나사(15)는 생략될 수도 였고 이 부재들을 수직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단순한 핀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실 기둥(5)의 결합부(5a)가 수직으로 조립 튜브(14)의 계단부(14a)와 결합하기 때문에 수직 부하가 돌출부(5b)에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나사(15)에 의해 체결되기 전에 돌출부(5b)의 변형이 방지되고, 나사 구멍(5c)의 소정의 위치도 유지될 수 있으며, 나사도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조립 튜브(14)상의 나사(15)용 관통 구멍이 수직 관통 슬룻(14b)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9c)과 나사 구멍(5c)이 수직방향에서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기만 하면 나사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조립 튜브에 기계실 기둥이나 냉각실 기둥을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대하여 제 6 도와 같은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제 6 도에서 기계실 기둥(21)에는 상부에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고, 프레임(23)상에 제공된 조립 튜브(22)내에 계단부도 형성되지 않는다. 기계실 기둥(21)의 상단 표면이 조립 튜브(22) 내부의 상부표면과 접촉하며, 그 기둥과 나사용 구명(21a)은 이 접촉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냉각실 기둥(9)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수직으로 위치한다. 냉각실 기둥(9)은 제3,4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수직으로 위치한다.
제 7 도 내지 제 10 도, 제 11a 도 및 제 11b 도는 냉기용 안내판이 냉동 및 냉장 유니트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냉동 및 냉장 유니트(31)도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계실(2), 냉각실(3), 냉각실의 천정판(8), 냉각실 기둥(9), 유리창(10), 도어(11) 및 조립 튜브를 지니는 프레임(12)과 거의 같은 구조이며, 이들 부재에는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사용된 것과 같은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냉각실(3)용 바닥판(32)이 냉각실과 기계실(2) 사이에 제공된다. 냉기가 기계실(2)로부터 냉각실(3)로 통과하는 냉기 기구(33)는 바닥판(32)의 측부 외부에 형성된다. 다수의 흡입구(34)가 냉각실(3)로부터 냉기를 기계실(2)로 순환시키기 위해 바닥판(32)의 개구(33) 위치의 대향 측부의 외주에 형성된다.
안내판(35)은 유리창(10)과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개구(33)로부터 냉각실(3)의 내측으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해 개구(33) 부분에 배치된다. 이 안내판(35)은 경사부(36a)를 지니는 주요판 부분(36)과 그 주요판 부분의 양측에 제공되는 측판(37a,37b)을 구비한다.
바닥판(32)에서 개구(33)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32a)는 위쪽으로 연장된다. 결합 수단(38,39)이 두개의 인접한 냉각실 기둥(9)에 제공된다. 결합 수단중 하나, 예를 들어 결합 수단(38)은 댕각실 기둥(9)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지지편(40)과, 그 지지편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홈(41)으로 구성된다. 결합 수단의 다른 하나, 예를 들면 결합 수단(39)은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구성되고 냉각실 기둥(9)의 측벽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안내판(35)은 두개의 제1결합부(42)를 바닥부에 지니며, 각각의 측판(37a,37b)의 외부 표면에는 두개의 제2결합부(43,44)를 지닌다. 각각의 제1결합부(42)는 수직 단면이 L 형상이다. 제1결합부(42)는 개구(33)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32a)와 결합하며, 그 가장자리부는 제1결합부와 안내판(35)의 주요판 부분(36)의 나머지 저단부(45) 사이에서 파지된다. 제2결합부중 하나인 제2결합부(43)는 측판(37a)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단편으로 구성된다. 이 제2결합부(43)는 결합 수단(38)의 홈(4) 속에 삽입되어 그 홈속에 고정된다. 다른 하나의 제2결합부(44)는 다른 하나의 측판(37b)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지지편(46)과, 그 지지편의 측부 표면상에 제공된 L 형상 수직 단면의 후크부(47)로 구성된다. 이 제2결합부(44)의 후크부(47)는 결합 수단 즉, 구멍(39)속으로 삽입되며, 그 구멍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는 후크부와 지지편(46)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안내판(35)은 다음과 같이 냉각실(3)내에 부착된다. 제 11a 도 및 제 11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판(35)을 개구(33)위에 유리창(10)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측판(37b)상의 제2결합부(44)의 후크부(47)를 냉각실 기둥(9)에 형성된 구멍(39)속으로 삽입시키며, 그후 안내판을 내려 놓는다. 제2결합부(44)는 하나의 결합 수단, 즉 구멍(39)과 결합한다. 즉, 후크부(47)와 지지편(46)에 의해서 구멍(39)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가 파지되며, 동시에 다른 제2결합부(43)도 다른 결합 수단(38)과 결합한다. 즉 제2결합부(43)로서 돌출하는 부분이 지지편(40)에 형성된 홈(41)속으로 삽입되며, 그 홈속에 수용된다. 안내판(35)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될때, 제1결합부(42)는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33)의 가장자리(32a)와 결합한다. 특히, 제1결합부(42)와 저단부(45)에 의해서 가장자리부(32a)가 파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안내판(35)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기계실(2)로부터 개구(33)를 통해 송풍되는 냉기는 제 10 도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주요판 부분(36)과 안내판(35)의 측판(37a,37b) 및 유리창(10)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통해서 상향으로 흘러 냉각실(3) 내부로 보내진다.
안내판(35)을 냉각실(3)에서 제거할때 제1결합부(42)는, 제2결합부(43) 및 후크부(47)는 각각 가장자리부(32a), 홈(41) 및 구멍(49)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들어 올려져 분리된다. 그후 후크부(47)를 수평으로 구멍(39)에서 외측으로 끌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판(35)의 부착 구조에서는, 제1결합부(42)를 가장자리부(32a)와 맞물게 결합시키고 마찬가지로 제2결합부(43,44)를 결합 수단(38,39)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안내판이 쉽게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나사나 공구가 그 안내판의 부착이나 제거 작업에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안내판(35)은 냉각실(3)의 내부 공간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도 쉽게, 또 신속하게 부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제2결합부(43,44)가 안내판(35)의 양측에 배치되고 그 제2결합부와 제1결합부(42)가 결합 수단(38,39)과 가장자리부(32a)에 결합되기 때문에 부착된 안내판이 송풍 냉기의 압력에 의해서 혼들릴 수 없으며, 따라서, 그 안내판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도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하고도 우수한 안내판(35)의 부착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관한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 튜브를 지니는 프레임(12)이 제공되는 구조를 이용하면 더욱 쉽게 달성될 수 있다. 평행한 냉각실 기둥(9)은 조립 튜브에 연결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되므로 기둥의 결합 수단(38,39)의 위치는 오랜 기간 동안 정확하고 쉽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각 결합부가 해당 결합 수단에 쉽고도 정확하게 결합되고, 안내판(35)의 부착 및 제거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내판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내판(35)이 두개의 제1결합부(42)를 가지지만, 단일의 제1결합부로 할 수도 있다. 두개씩의 제2결합부(43,44)와 결합 수단(38,39)이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구조이지만, 동일한 구조가 안내판의 양측에 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안내판이 충분히 강하고 제2결합부가 해당 결합 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면 제2결합부는 단지 안내판의 한 측면에만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한 기술적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위와 같은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냉각 장치용 하부 기계실(2)과: 그 하부 기계실 위에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냉각 상품용 상부 냉각실(3)과; 상기 하부 기계실에 결합되고, 각각 상부를 구비하는 수직 기계실 기둥(5)들과: 상기 기계실 기둥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냉각실(3)에 결합되는 수직 냉각실 기둥(9)들: 및, 상기 기계실 기둥(5)의 상부와 상기 냉각실 기둥(9)의 저부를 조립시키는 다수의 수직 튜브(14)를 구비하며, 상기 기계실(2)과 상기 냉각실(3)의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2)과 상기 냉각실(3)의 수평 횡단면이 각각 사각형이고, 상기 기계실 기둥(5)과 상기 냉각실 기둥(9) 및 상기 튜브(14)가 각각 상기 사각형의 네 코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튜브(14)가 상기 프레임(1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각각의상기 기계실 기둥(5)의 상부가 각각의 상기 수직 튜브(14)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각각의 상기 냉각실 기둥(9)의 저부가 각각의 상기 수직 튜브(14)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기계실 기둥(5)의 상부와 각각의 냉각실 기둥(9)의 저부가 각각의 상기수직 튜브(14)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직 튜브(14)에 계단부(14a)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기계실 기둥(5)의 상부와 각각의 상기 냉각실 기둥(9)의 저부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는 상기 계단부(14a)와 수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 및 그 결합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며 나사용 나사 구멍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튜브(14)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나사용 관통 슬롯(14a)이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기둥(5)들과 상기 냉각실 기둥(9)들중 적어도 하나는, 그들의 단부 표면을 상기 수직 튜브(14)의 내측 표면들중의 한 면과 상기 프레임(12)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 기둥(9)들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3)과 상기 기계실(2) 사이에 설치되며 기계실로부터 냉각실로 냉기를 통과시키는 개구(33)를 지니는 냉각실용 바닥판(32)과, 하나 이상의 냉각실 기둥(9)에 형성되는 결합 수단(38,39)과, 상기 개구(33)로부터 상기 냉각실 내측으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해 개구 부분에 배치되고, 그 개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32a)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부(42)와 상기 결합 수단(38,39)에 결합하는 하나이상의 제2결합부(43,44)를 지니는 안내판(35)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38,39)이 두개의 인접하는 냉각실 기둥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판(35)의 각 측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43,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35)의 각 측부에 측판(37a,37b)이 구비되는 것올 특징으로 하는 냉동및 냉장 유니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38)이 상향으로 개방된 홈(41)을 구비하며, 그 홈 속으로 제2결합부(43)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39)은 냉각실 기둥의 측벽 일부를 절단해 냄으로써 형성되는 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44)는 그 구멍 속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후크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33)를 형성하는 상기 가장자리부(32a)가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유니트.
KR1019890009660A 1988-07-08 1989-07-07 냉동 및 냉장 유니트 KR970002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90597U JPH0213988U (ko) 1988-07-08 1988-07-08
JP9059888U JPH0531503Y2 (ko) 1988-07-08 1988-07-08
JP63-90597 1988-07-08
JP63-90598 1988-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44A KR900002044A (ko) 1990-02-28
KR970002650B1 true KR970002650B1 (ko) 1997-03-07

Family

ID=2643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60A KR970002650B1 (ko) 1988-07-08 1989-07-07 냉동 및 냉장 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53362A (ko)
KR (1) KR970002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9B1 (ko) * 2011-08-26 2013-07-12 권상우 이동식 간이 냉장 쇼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826A (en) * 1995-03-14 1996-05-21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modular external frame structure
KR970009683A (ko) * 1995-08-28 1997-03-27 배순훈 회전형 쇼케이스
USD410353S (en) * 1998-03-25 1999-06-0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unter top merchandiser
US6094934A (en) * 1998-10-07 2000-08-01 Carrier Corporation Freezer
BE1013595A4 (fr) * 2000-07-12 2002-04-02 Canivet Gerard Armoire climatisee.
DE102005057143A1 (de) * 2005-11-30 2007-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Isolationsleiste zum thermischen Entkoppeln der Seitenwände
JP2008025888A (ja) * 2006-07-19 2008-02-07 Sanyo Electric Co Ltd 低温ショーケース
JP5258463B2 (ja) * 2008-09-05 2013-08-07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ショーケース
JP2010057806A (ja) * 2008-09-05 2010-03-18 Sanyo Electric Co Ltd 低温ショーケース
MY152066A (en) * 2008-09-30 2014-08-15 Chevron Usa Inc A 110 neutral base oil with improved properties
DE102009013809A1 (de) * 2009-03-18 2010-09-2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e
US10816257B2 (en) * 2015-10-13 2020-10-27 Danby Products Limited Refrigeration apparatus
WO2018164591A1 (en) * 2017-03-09 2018-09-13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Refrigeration appliance cabinet
USD878116S1 (en) 2017-07-27 2020-03-1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86496S1 (en) 2018-01-25 2020-06-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85091S1 (en) 2018-01-25 2020-05-2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91831S1 (en) 2018-06-28 2020-08-0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78821S1 (en) * 2018-06-28 2020-03-2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916537S1 (en) 2019-01-23 2021-04-20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904084S1 (en) 2019-01-23 2020-12-0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915801S1 (en) 2019-07-23 2021-04-1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ookshelf
US11000133B2 (en) * 2019-09-27 2021-05-11 Pepsico, Inc. Vacuum-insulated cooler
USD958566S1 (en) 2020-01-15 2022-07-2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82331S1 (en) 2020-01-17 2023-04-0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ench
USD935244S1 (en) 2020-07-21 2021-11-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992935S1 (en) 2021-01-27 2023-07-2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hest
USD1014156S1 (en) 2021-06-25 2024-02-1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ookshelf
USD1016529S1 (en) 2022-02-02 2024-03-0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ookshelf
USD1006501S1 (en) 2022-02-02 2023-12-0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Nightstan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2741A (en) * 1931-01-02 1934-01-09 Louis L Austin Water cooler
US2521064A (en) * 1948-11-22 1950-09-05 Dole Refrigerating Co Knockdown refrigerator tank unit
US2880596A (en) * 1956-05-28 1959-04-07 William R Brown Nesting portable frozen food display box
US3153918A (en) * 1962-07-18 1964-10-27 Gen Electric Mobile domestic refrigerator having front and top access
US3797903A (en) * 1972-10-25 1974-03-19 Traulsen & Co Inc Refrigerator including shelf mounting apparatus
IT8320652V0 (it) * 1983-01-31 1983-01-31 Costan Spa Banco refrigeratore del tipo ad isola con pannelli di copertura incernierati.
JPS6038921A (ja) * 1983-08-11 1985-02-2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ジヨゼフソン信号遅延回路
US4660903A (en) * 1984-06-29 1987-04-28 Sanden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ed display case
KR940000404B1 (ko) * 1986-03-03 1994-01-20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상품진열상자
JPS6320946A (ja) * 1986-07-15 1988-01-28 Nec Corp 音声応答受付台装置
US4898004A (en) * 1988-04-15 1990-02-06 Richardson James E In-store refrigerated displa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9B1 (ko) * 2011-08-26 2013-07-12 권상우 이동식 간이 냉장 쇼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53362A (en) 1990-09-04
KR900002044A (ko)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650B1 (ko) 냉동 및 냉장 유니트
KR100548306B1 (ko) 진동 절연형 냉장고
KR101280767B1 (ko) 냉장고
KR2012002695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KR10041919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0047411A (ko) 냉장고용 선반 조립체
KR100781602B1 (ko) 냉장고의 장식패널 지지구조
JP4614914B2 (ja) 貯蔵庫の機械室構造
KR200312757Y1 (ko) 냉장고의 선반 고정구
US20230010034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JPS6310454Y2 (ko)
KR1006671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247801B1 (ko) 창문형 에어콘
JP3022138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S644064Y2 (ko)
KR980010286A (ko) 저장고
KR0115486Y1 (ko) 냉장고의 선반고정용 패킹구조
WO1995012099A1 (en) An internal panel for cabinet doors
JP4177153B2 (ja) 冷凍ユニット
KR20040029852A (ko) 단열패널을 이용한 냉장고/쇼케이스용 바디조립체 및 그제조방법
KR200228663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
KR20000008695U (ko) 냉장고용 캐스터 장치
KR19990003435U (ko) 공조기기의 캐비넷
JPH0363886B2 (ko)
KR1006806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