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79B1 - 전기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79B1
KR970002279B1 KR1019880008856A KR880008856A KR970002279B1 KR 970002279 B1 KR970002279 B1 KR 970002279B1 KR 1019880008856 A KR1019880008856 A KR 1019880008856A KR 880008856 A KR880008856 A KR 880008856A KR 970002279 B1 KR970002279 B1 KR 97000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upport
heat resistance
heating devic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48A (ko
Inventor
조세프 로렌쯔
로베르트 키체러
에발트 켈러
Original Assignee
에. 게. 오. 엘렉트로-게래테 블란크 운트 피셔
피셔 도로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 게. 오. 엘렉트로-게래테 블란크 운트 피셔, 피셔 도로데 filed Critical 에. 게. 오. 엘렉트로-게래테 블란크 운트 피셔
Publication of KR89000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8Resistive heating elements, i.e. heating elements exposed to the air, e.g. coil wire 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3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serpentine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가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열 장치의 전기 가열 소자의 입면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피가열체와 관련하여 나타낸 제2도의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가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입면도.
제5도는 동 확대 단면도.
제6도는 피가열체가 없는 가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 정면도.
제7도는 동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7도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장치 2 : 열 저항기
3 : 지지대 6 : 전기도선
10 : 피가열체 11 : 수용면
13 : 접착 포인트 14 : 접착층
20 : 부재 21, 22 : 가열회로
25 : 온도 스위치
본 발명은 지지체와, 예를 들어 지지체에 배치되는 박충형 전기 열저항기를 구비한 피가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필름 또는 박판들 사이에 열저항기를 장치한 이러한 가열장치들과 관련하여 다층 구조체 등을 피가열판에 가하는 식의 많은 시도가 지금까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비교적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며 또한 발생하는 응력, 특히 열적 응력에 항상 충분히 견딜수는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들 및 그의 구성들은 또한 80℃이상 또는 그 보다 약간 높은 온도 등의 비교적 저온의 제한된 온도에서만 적합하다는 문제점을 흔히 지니며, 예비 성형된 필름층은 열저항기와 피가열판 사이에 위치되며, 이것은 가열판을 지닌 접합체의 열적 안정성 및 열저항기이 열커플링 뿐 아니라, 전체 가열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열저항기를 가열장치 내에 간단히 취부하는 것이 보장되는 간단한 구성 및 고온 정격도 또는 내열 부화도의 상술된 종류의 전기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과제는 지지체가, 피복에 의해 하나 이상의 열저항기를 구비한 가열장치를 형성하는 페이퍼(paper)상의 기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됨으로서 해결된다. 열전도체 트랙에 부식된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의 경우, 간단한 제조공정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높은 열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열저항기는 훨씬 더 두꺼운 물질 두께를 갖는 두꺼운 층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높은 열용량을 수득할 수 있다.
전기 가열장치는 매우 다양한 피가열체용으로, 예를 들면 가열판, 판 유리 페인(pane), 가열 유리 등과 같은 평탄체의 피가열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에 조합된 지지체를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열저항기는 가열장치 형태의 밀폐된 소조립체를 적절히 형성하며, 상기 지지체는 그의 일 수용면에 평탄한 층상의 열저항기를 수용하며, 열저항기에는 상기 수용면과 이격되어 가열소자를 취부하기 전에는 조합된 구조체내에 노출된 금속 표면을 형성하는 열저항기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가열소자는 열저항기 표면과 결합된 그의 측면상에, 피가열체 표면 또는 특정한 경우 피가열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가열소자의 장착을 위한 대항면 또는 쌍을 이루는 면과 직접 연결을 위한 적어도 일부분의 표면에 접착 조인트를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최근에 나온 설비 내지 장비에 있어서, 열저항기 표면은 상기 대향면 또는 접착 조인트에 의해 덮혀질 뿐이며 결과적으로 보호 및/또는 전기 절연된다. 특별한 요건의 함수로서, 접착 조인트는 전 표면에 제공되는 식으로 되어, 전제 열저항기 표면과 그에 조합된 지지체의 표면을 공히 덮는다.
접착 조인트는 열저항기의 고정시 완전히 경화하며 예를 들어 프레스틱 또는 액체식으로 미리 도포되는 접착층에 의해 임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열저항기와 피가열체의 결합 이후에 상기된 단일의 접착 포인트층이 이들 부분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다라 접착 조인트는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특정 용도에서는 열저항기의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이 유리하나, 열저항기의 최대 두께 또는 그 이하의 비교적 얇은 층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층은 두가지 성분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소자와 피가열체 사이의 조인트에서의 응력을 손상이 없이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접착조인트가 소정의 영구 탄성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리콘 또는 실리콘 수지 접착제는 접착 조인트 층으로 특히 접합하다. 이러한 접착제들의 경우 경화가 대기 습도와 화학 반응에 의해 일어나며 소량의 아세트산이 분해 산물로서 방충된다. 200℃이상의 최대 열 부하도를 성취하기 위해, 접착층을 서서히 온도 상승시켜 완전히 경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가열 소자는, 특히 이러한 구성의 경우, 100℃이상 및 최소한 150℃까지의 상용의 작동 온도에 대해 안정하며, 약 300℃까지의 짧은 피이크 부하가 가능하다. 접착제가 유체 점도에서 열저항기 뿐 아니라 그것을 적당히 지지하는 하부필름에도 직접 도포되는 겅이 극히 얇은 층두께 및 극히 균일한 분포를 성취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 접착제는 등록 상표 PACTAN으로 공지된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또는 응력 보완식으로 부착 내지 결합되는 접착제는 좋은 밀폐 특성을 가지며, 고온 및 저온 모두의 경우에도 그 탄성, 신장성 및 노치 인성도를 유지하며, 물, 수증기, 묽은 산, 알칼리, 살린 용액 및 시효경화에 안정하며 쉽게 부서지지 않는 동시에, 좋은 전기 절연 특성을 가지며 경화시 5%이하의 바람직한 낮는 체적 수측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개량에 의해, 접착 조인트는 0.13㎜정도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아크릴레이트층이 될 수 있으며, 둘 또는 그의 측면들 모두에서 활성적인 바람직하게는 층상 또는 필름상으로 예비 성형된 자체 접착층에 의해 형성된다. 도포에 앞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보호피복, 예를 들면 실리콘화 페이퍼 등을 모든 측면에 제공할 수 있는 접착층은 100℃이상에서 가열, 적어도 130℃까지는 우수한 열적 안전성을 가지며, 가열 소자 또는 그 지지체의 외형 윤곽 또는 피가열체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용이하게 적합시킬 수 있다.
피가열체로부터 떨어진 열저항기의 표면은 접착 조인트에 의해 적당한 지지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후면 또는 하부 피름, 또는 운반체 까지의 상기 접착 연결을 통하여 밀폐 및 미분리되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열저항기를 인접된 수용면에 프레스 가공등의 피복에 의해 제작함에 있어서 대단히 유리하고 확실한 접속을 수득할 수 있으므로, 가압 작용으로부터 결과하는 접착은 그 자체가 접착 조인트를 형성한다. 열저항기가 피가열체상에 직접 압착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지지체로서 압착된 구조 장 치를 적절히 형성하며, 따라서 처음에 언급된 접착 조인트에 의해 피가열체에 매우 용이하게 취부된다. 그렇지 않으면, 열저항기의 압착후에 이어서 서브필름이 열저항기용 덮개로서 도포되는 것이 적절하다. 층으로서 적용한 후에, 열저항기는 거의 200℃의 온도에서 지지체 내로 연소됨으로써 유리하게 안정화 또는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태양에 따르면 적어도 피가열체의 수용측면이 전기 절연재, 세라믹 재료, 특히 유익하다고 입증된 글래스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며, 피가열체는 특정 용도 기능으로서 실물체의 둘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나, 단층형상에 있어서는 그의 전체 단면적 또는 그의 전체 판 두께를 통해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가열판은 가정용으로, 고온 유지판으로 특히 적합할 뿐 아니라 용기에 요구되는 것과 같은 만곡 구조에도 적합하다. 유익한 용도는 가열장치에 의해 거울이 뿌옇게 되거나 외부 거울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량에 따르면 지지체는 고온 내열 플래스틱, 특히 중합체로 형성된 재료로 구성되며, 종래 페이퍼 제작 기계상의 슬롭과 같은 합성 페이퍼 방식의 개개 입자로 말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료는 예를 들면 고온에서 캘린더에 걸어 강하게 압축되면, 매우 질기며 장력 강도, 내열성, 비가연성, 자체 소화, 비용융성 및 가용성을 갖는 판이 접착성 조인트 또는 그보다 약간 더 낮은 값들과 거의 동일한 값을 갖는 높은 상용온도 안전성을 지닌채 수득될 수 있으며, 동시에 매우 좁은 도전성, 상승온도에서의 낮는 균열, 높은 밀폐 작용 및 종래 용제, 수지 및 오일류에 대한 매우 높은 약품 안전성을 지닌다. 상용 온도 안정성은 예를 들면 거의 220℃까지 될 수 있으며, 접착 조인트로써, 이것은 간단한 피이크 부하의 경우 300℃이상의 안정도 또한 가진다.
상술된 유리한 값들은 서포오트가 방향족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아라미드라는 명칭으로 공지된 것으로 만들어지면,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특별히 간단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파이버 또는 박편의 성질에서 길게 뻗은 지지체 또는 미립자들의 제조를 위해 사용함이 또한 바람직하며 균일한 입자 뿐 아니라 박편 및 파이버들 모두 철저히 혼합되면 특히 유익한 조합체가 얻어진다. 샌드위치의 구성을 위해 적층식의 둘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충들로부터 지지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된 형태의 두 필름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등의 균질물의 추가 필름층을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듀퐁사제의 등록상표 NOMEX로 알려진 페이퍼 또는 파저프로덕테게엠베하 라안쉬라인(Faserprodukte GmbH Lahnstein)등록 상표 PRETEX로 알려진 페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페이퍼형 재료 또한 있음직하며, 긴 파이버 펄스 파이버들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계 합성 결합제로 결합된 폴리아미드 파이버들과 혼합된다. 지지체를 형성하는 얇은 물품 또는 판은 하나 또는 두개의 측면에 상단부를 피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바람직한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집약될 수 있으며, 그에따라 이들 각 특징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타의 분야에서 단독 또는 서로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한편, 여기에 있어 보호가 요구되는 바람직하고 독립적인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약 130℃의 상용 작동 온도로 설계되어 있고, 1㎜ 이하의 엣지 치수를 갖고 약 220V의 전압하에서 대략 70W 용량의 가열 소자를 갖는 가열장치(1)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 장치(1)는 장치의 주연부가 약 30cm로 단척의 주연부의 2배인 장방향으로 되어 있다.
가열소자는 두께가 1㎜이하 즉, 약 0.1㎜인 평탄한 층상의 열저항기(2)를 갖는다. 열저항기(2)는 금속 및/또는 흑연 함유 페이스트 특히 중합체 페이스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평행, 병령로 된 동일 길이의 부분(4)이 서로 수 밀리미터의 제한된 간격을 갖고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잇다. 상기 부분(4)은 가열 장치의 장착의 주연부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지지체(3)의 조합된 장척의 주연부로부터 2개의 최외곽부(4)장치의 장척의 주연부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지지체(3)의 조합된 장착의 주연부로부터 2개의 최외곽부(4)의 거리는 인접부(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약 2~3배이다. 열저항기92)는 페이스트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며, 인쇄 공정의 형태로 지지체(3)에 적용되어 인쇄된 전기 도선 트랙을 형성한다. 상기 도선 트랙의 2단부는 지지체(3)의 협소한 엣지부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열저항기(2)의 나머지부가 위치되어 있는 지지체(3)의 동일측면상에 평탄하고 확대된 접속 단부(5)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체(3)는 1㎜이하의 두께를 갖는 페이퍼상의 합성 필름 또는 판지로 형성되며, 열저항기(2)와 함께 총 두께가 10분의 수 밀리미터를 예를 들어 약 0.3~0.5㎜를 갖는다. 지지체(3)의 인접 측면 상에는 추가의 접착체 없이 금속표면(15)과 지지체(3)의 인접 측면 사이의 직접 접착에 의해 형성된 접착 조인트(16)에 의해 거의 일면에 위치된 인접면(15)을 갖는 열저항기(2)를 사용한다. 매우 바람직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은중합체 페이스트 또는 은 및 흑연 중합체 페이스트로 열저항기(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면(15)에 평행하고, 일면내에 거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열저항기(2)의 타금속면(12)은 피가열체(10)상의 구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설치에 앞서 가열 장치는 경계층 또는 격막을 형성하는 2중막의 열저항기(2)만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가열장치는 열저항기(2)의 양부분(4) 사이에 위치된 지지체(3)의 인접면의 노출부와 간섭이 되지 않도록 상기 타금속면(12)에 의한 피가열체(10)의 인접, 평활면 또는 평면의 수용면에 접착 조인트(13)에 의해 항구적 또는 착탈 불가피하게 고정되어 있다.
접착 조인트(13)는 접착층(14) 형태의 별개의 접착부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며, 그 두께는 가열장치의 총 두께와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실제의 열저항기(2)의 두께보다 다소 크거나 작으며, 또한 거의 동일하다. 접착 조인트를 적절히 제조하기 위해 도선 트랙과 함께 인쇄된 인접면상의 박막 가열소자를 간섭하지 않도록 그의 전 길이부에 걸쳐 피복을 하며, 그에 의해 피가열체(10)의 건조된 비처리 수용면(11)에 적용함으로서 취부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 이에 레벨링, 로울링, 평탄한 접촉압 등에 의한 가압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대기 습도하에서 경화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약 0.3㎜의 두께로 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것은 지지체(3)의 비교적 우수한 시일링에도 불구하고 대기 습도가 경화하는 접착층(14)에 비교적 균일한 접근치를 갖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작용 과정을 돕는 한편, 가열소자 및 피가열체(10) 사이의 공기 침투를 완전히 배제하기 위해, 지지체(3)는 다수의 개구부(9)를 가지며, 이 개구부(9)는 열저항기(2)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내에서 지지체(3)를 관통하도록 적절히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9)는 부분(4)에 평행하게 그 사이에서 전개하는 슬롯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의 종방향 경계층은 인접한 열저항기 부분(4)과 소정의 제한된 거리를 두고 있다. 접착층(14)의 가공후, 열저항기(2)의 인접부(4)가 시일의 형태로 감싸지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는 개구부(9)가 상기 접착층(14)에 의해 시일될 수 없다.
접속 단부(5)에 인접된 주연부의 근저부에서 종방향의 주연부의 근접부에 있어서의 대략 동일한 쪽으로 되어 있고 접촉 단부(5)에 면하는 주연부상에서 더욱 협소해지는 경계부(17)는 열저항기(2)를 거쳐 피가열체(10)의 수용면(11)으로 돌출하는 그의 여분의 주연부에 고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피가열체(10)의 인접된 외측 주연부에 대하여 적절히 우회되는 완전히 둥근 링 시일상의 밀폐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열저항기는 접착층(14) 내에 잠이됨으로서 외부에 대하여 수밀의 형태로 영구 시일되어 있으며, 그 결과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선(6)의 단부는 열저항기(2)의 접촉단부(5)에 직접 인접하거나 그에 면하는 부위에 접속된다. 뛰어난 가요성 물질, 예를 들면 동선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이들 도선(6)은 열저항기(2)로부터 이격된 지지체(3)의 측면으로부터 공급되어 지지체 및 열저항기(2) 또는, 그 폭이 도선의 단면 보다 큰 개구부에 근접한 접속 단부(5)를 가로지른다. 상기 도선(6)의 단부상에는 상기 개구부를 접속 단부(5) 및 지지체(3)에 완전히 만입시키고, 우수한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납땜물질로 제조되며, 열저항기(2)의 표면(12)과 동일 높이 또는 동일면으로 종결되어 기껏해야 상기 표면(12)까지 신장하는 접속 헤드(7)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접속헤드(7)는 리셋 헤드 같은 방식으로 상기 표면위로 십분의 수밀리미터 또는 0.1㎜ 만큼 돌출하며, 최대의 경우 상기 헤드 부위가 접착층(14) 내에 잠식될 수도 있도록 접착층(16)의 두게 만큼 돌출될 수 있을 것으로 인식된다. 이 경우, 접속 헤드(7) 또는 그의 인접 단부면과 접착층(14) 사이의 직접 접합이 있게 되며, 그 결과 접착 조인트(13)를 통한 접촉 헤드(7)는 피가열체(10)의 수용면에 대하여 직접 고착되며, 도선(6)의 인장 강도에 대한 높은 기계적 강도가 보장된다. 도선(6)의 직경의 검의 2배를 갖는 접속헤드(7)는 열저항기(2)로부터 이격된 지지체(3)의 측면 넘어로 약간 돌출한다.
특정의 도선(6)에는 지지체(3) 또는 접속헤드(7)로부터 소정거리에서 개시되는 가요성 절연부(18)가 구비되며, 따라서 절연부(18)와 지지체(3) 사이에는 도선(6)의 짧은 부분의 노출이 있게 된다. 절연은 실리콘 피복된 동선 와이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선(6)의 자유단부상에는 예를 들어 소켓 형태의 접속 소자(8)가 구비되며, 그 결과 가열 소자는 플러그 접속에 의해 전기적인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제4도 내지 제7도에서는 타 도면에서와 같이 동일부문에는 동일 참고번호가 사용되지만 첨자의 참고 부호가 첨가되었다.
제4도 및 제5도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가열 소자는 예를 들어 욕실의 경우에서와 같이 거울의 높은 대기 습도 수준에 노출되어 뿌옇게 되는 경향이 있는 습한 실내 또는 화장실용의 벽거울을 구성한다. 피가열체(10a)를 형성하는 거울 유리는 상기 피가열체(10a)의 후부전체를 덮고 있으며, 주변이 밀폐된 형태로 외측 경계부 주위에 결합된 절연 특성의 플라스틱 또는 그와 유사한 물질로 제조된 프레임 상의 부재(20)로 배열되어 있다. 이경우, 피가열체(10a)의 파손시 전기적 안전성 또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지체(17a)가 열저항기(2a) 및 피가열체(10a) 사이에서의 전기적 안전을 위한 추가의 보호막으로서 적절히 배열된다. 피가열체(10a)로부터 이격된 열저항기(2a)를 갖는 가열 소자를 부재(20)의 판상의 후부에 직접 접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열저항기(2a)를 수용하는 지지체(3a)의 적어도 전체면은 간섭되지 않도록 되며, 얇은 자기-접착막 또는 특히 바람직하기는 지지체(3a)와 유사 또는 동일한 막에 의해 수밀 상태로 덮여 있기 때문에 열저항기(2a)는 샌드위치 구조의 상태로 지지체(3a)와, 전체 표면에 걸친 지지체(30)의 접착층(30) 사이에 완전히 잠식된다.
도시된 경우에서 가열소자는 접착 조인트에 의해 베이스부재(20)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접착 조인트는 각 가열 구역으로부터의 열저항기(2a)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며, 전표면 접착제 또는 자기-접착층에 의해 형성되더라도 소표면을 갖고 이격된 별개의 두꺼운 접착 조인트(19)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인접한 양측면은 항상 환기에 노출되어 있다. 접착 조인트(19)는 예를 들어 피가열체(10a)의 주연부 구역 또는 가상의 다각형에 위치되고, 추가 필름(30)의 각각에 대한 열저항기(2a)에 조합된 지지체(3a)의 측면에 일면이 직접 고정되고, 타면은 베이스부재(20)의 전방면에 직접 고정되는 자기-접착층의 별개로 된 4개의 부분이다. 따라서 접착 조인트(19)는 나머지 지지체부(3a)와 상기 전방측면 사이에서 환기 목적을 위해 형성된 간극(9a)을 통하여 스페이서의 상태로서도 작용을 한다. 또한 피가열체(10a)의 주연부는 부재(20)로부터 이격되며, 그 결과 가열소자의 후부를 따라 연도와 같은 공기 안내부 또는 순환부가 존재한다. 전술한 구조의 결과, 피가열체(10)는 가열 소자 또는 지지체(3a)와 접속됨으로서 부재(20)에 고정될 뿐이며, 따라서 피가열체(10a)를 부재(20)에 직접 연결하여 주는 별개의 취부 소자가 필요 없게 된다.
제6도 내지 제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가열 대상물 또는 가열 장치(16)는 예를 들어 12내지 24V의 전압을 사용하는 급속 동결 방지 목적 및 가열 목적으로 가열되는 차량 외부의 거울이다.
적어도 1 이상의 열저항기(2b), 지지체(3B) 및 자기-접착층(19B)으로 구성되며, 거울 유리의 두께 보다도 훨씬 얇은 가열 소자는 거울과 이 가열 소자를 수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b)사이에 위치하며, 계속하여 거울 고정목적으로서 거울 하우징 내에 조정 자재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열저항기(2b)는 거울 유리(10b)와 면하는 서포오트의 일면상에 위치하며, 자기-접착층(19b)은 그로부터 이격된 측면상에 위치한다. 거울 유리(10b)에 대한 접착 조인트(13b)는 자기-접착면(14b)에 의해 조성되며, 또한 이 접착 조인트(13b)는 초기에는 거울 유리(10b)또는 그 후면상의 피복 반사부 상에 작용되며, 이 범위에서 거울 유리(10b)를 갖는 예비성형 소조립체를 구성한다. 거울 유리(10)로부터 이격된 거울의 측면을 보호막(28)으로 덮는다. 이 보호막의 제거후, 열저항기(2b)의 면(12b)을 갖는 가열소자를 자기-접착층(14b) 즉, 거울 유리(10b)에 설치한다. 우선 지지체(3b)로부터 이격된 측면상의 자기-접착층(19b)을 덮고 있는 보호막(29)을 제거하며, 그후 자기-접척충(20b)을 베이스 플레이트(20b)에 접합시키고, 이어서 거울 유리(10b)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0b)에 접합시키면, 가열소자는 밀폐되고 정위치된 구조체를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중앙에는 그의 종방향 주연부로 신장하는 큰 용적의 대략 원형 개구부가 구비되며, 그의 여유 구역에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구성된 스냅 소자 형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으로 신장하는 조임 소자의 링이 구비된다. 자기-접착층(19b)에는 또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열저항기(26)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 2개의 절환 자재한 가열회로(21,22)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 회로는 가열소자의 전체 표면 또는 거울 유리(10b)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두 가열 회로는 우회의 형태로 서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최대 가열 용량이 25 또는 30와트 이상, 특히 약 35 와트인 가열회로(21)는 스트립상으로 우회하도록 덮여져 있으며, 그 스트립 폭은 좀더 낮은 용량의 것 즉 타 가열회로(22)의 경우 보다 훨씬 크다. 가열회로(21)는 거울 유리(10b)의 종방향 주연부에 직접 인접하는 2개의 평행하는 우회부 내를 통과하는 반면에, 가열회로(22)는 2개의 평행하는 우회부를 갖는 상기 두 우회부의 개구부에 면하는 부분내에 결합되며, 따라서 거울 유리(10b)의 상기 종방향 주연부로부터 조금 더 큰 공간부를 갖는다.
2개의 가열회로(21,22)의 단부는 단일 작용으로 일부분을 코팅함으로써 제조되어, 거울 유리(10b)의 협소한 측면에 인접하는 공통의 접속단부(5b)를 형성키 위해 서로 쌍을 이루며 통과한다. 전기 접속 소자(8b)는 소위 리벳(7b)등의 기계적 접속에 의해 상기 단부(5b)에 도전되어 접속되어 있다. 리벳(7b)의 생크부는 지지체(3b)와 그에 인접된 접속단부(5b)를 통과하며, 지지체(3b)로부터 이격된 열저항기(2b)의 측면상에 1 내지 십분의 수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평탄한 층상 및 원판상의 리벳 헤드를 가지며, 접속 단부(5b) 또는 지지체(3b)내로 가압되어 열저항기(2b)로부터 이격된 면은 적어도 나머지 열저항기(2b)의 인접면 근처에 위치된다. 좀더 두꺼운 또 다른 리벳의 헤드부는 지지체(3b)로부터 이격된 각진 접속부재(8b)의 각부의 측면상에 결합하며, 상기 각부는 열저항기(2b)로부터 이격된 지지체(3b)의 측면상의 전체면에 걸쳐 지지될 수 있다. 지지체(3b)의 후부에 대하여 돌출하는 접속 부재(8b)의 다른 각부는 평탄한 접속 실부 형상의 전기 플러그를 형성하며, 이 전기 플러그는 그에 적합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개구브를 관통하여 그와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의 착탈 가능한 접속을 위해 플러그 후부상의 도선을 노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1개의 가열 회로 특히 고용량의 가열 회로에 있어서, PTC형 온도 모니터와 비교할때, 특히 가열회로가 예를 들어 마이메탈식 스냅 원판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기계적 스위치로 구성될 경우, 매우 뛰어난 열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온도 스위치(25)는 지지체(3b)의 후부상의 자기-접착층(19b)의 상기 개구부내에 평탄산 접착 조인트(27)에 의해 고정되며, 예를 들어 장방형 단면을 갖고, 그에 평행한 지지체(3b)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평탄한 케이싱을 가지며, 따라서 온도 스위치(25)는 가열 소자를 갖는 소 조립체를 형성한다. 접속 단부(5b)에 인접한 부위에서 가열회로(21)는 서로 간섭되며, 그 결과 거의 선형인 2개의 짧은 도선에 의해 온도 스위치(25)에 접속되며, 절연용 덮개를 구비한 또 다른 2개의 이격 단부를 구성한다. 서로에 대하여 V형상을 가지며, 지지체(3b)의 후부에만 오직 위치되는 거의 선형의 짧은 도선(26)은 지지체(3b)에 온도 스위치(25)를 고착하기 위한 기계적 지지부일 수도 있다.
가열회로(21)의 또 다른 각 접속 단부는 접속 단부(5b)의 리벳 헤드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벳 특히 중공 리벳으로 구성될수 있는 전기 접속 소자에 의해 횡단되며, 열저항기 면(12b)에 위치된 리벳의 헤드부는 평탄한 층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카운터 싱크 형상으로 배치된다. 인접 도선(26)의 단부는 납땜용 헤드(24)에 의해 타 리벳 헤드부에 적절히 고정된다.
상호 작동 가능한 스위치에 의해 가열을 위해 스우치 온(on)할 경우, 얄 가열회로(21, 22)는 초기에 평행하게 작동하며, 따라서 가열 용량은 35와트 이상 예를 들어 약 40 내지 45와트 사이 또는 그 이상이 된다. 온도 스위치(25)는 약 30 내지 50℃사이, 특히 약 40℃에서 개방 즉 가열 회로(21)를 스위치 오프(off)하도록 설정되는 반면, 가열회로(22)는 가열회로(21)의 전 용량의 반 이하 즉 약 7.5 내지 11 와트 사이에서 소위 관성을 갖고 연속 작동한다. 온도 스위치(25)의 절환 자기이력(hysteresis)은 비교적 커서 15내지 25℃이상 특히 약 30℃에 달하며, 그 결과 온도 스위치(25)는 동결점 또는 그에 근사한점 이상으로 인정되는 온도로 냉각될 시 다시 절환되며, 상기 스위치 온(on) 온도는 약 10℃가 된다. 관성의 결과로서, 종래, 이 온도는 통상 일어나는 외기 온도 이하로 유지되며, 따라서 온도 스위치(25)는 재 절환되지 않는 반면, 가열회로(21)는 외부 거울이 약 10℃이하로 장시간 냉각된 후 수분간의 단시간 동안 가열회로(22)에 의해 유지될 작동온도로 가열될 경우에는 절환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거울의 가열 즉 완전한 해동은 약 7분 이내에 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특히 서포오트가 약 200℃까지 열적 안전성을 가지며, 작동시 온도 스위치의 경우는 100℃이상, 접착 조인트의 경우는 약 130℃까지 열적 안정성을 갖는 것에 기인하여 가능하다.

Claims (22)

  1. 지지체(3,3a,3b)와 그 위에 배치된 열저항기(2,2a,2b)를 갖는 피가열체(10,10a,10b)용의 전기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3a,3b)는 하나 이상의 열 저항기(2,2a,2b)를 갖는 유닛을 피복하여 형성된 페이퍼상의 기판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상에는 평탄한 층상의 전열저항기(2)를 위한 수용면(11)을 갖고, 열저항기면(12)을 갖는 가열소자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이 전기가열소자는 열저항기면(12)에 인접한 그의 측면에 가열장치의 취부를 위한 짝을 이룬면과의 직접 접속을 위한 적어도 일부면의 접착 조인트(1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착 조인트(13)는 최소 약 0.1㎜ 및 최대 0.8㎜, 특히 0.5㎜이하의 두께를 갖는 접착층(14)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착 조인트(13)는 적어도 그의 일부분이 대기 습도하에서 경화하는 접착제, 특히 실리콘 수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착 조인트는 약 130℃까지 열적 안정성을 갖는 자기-접착층(14b,19b) 특히 최소 0.1㎜두께의 아크릴레이트 층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가열체(10)으로부터 이격된 열저항기(2)의 측부의 1 또는 2면은 절연체의 필름 등의 지지체(3)에 의해 덮혀져 있으며, 이 지지체(3)중 열저항기(2)의 일부분(4)에 인접한 구역은 접착 조인트 특히 열저항기(2)등의 접착조인트(13)에 의해 짝을 이룬면(11)에 직접 고정됨을 특징으로하는 가열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열 소자는 열저항기면(12) 특히 지지체(3)와 열저항기(2)의 거의 전면적에 구비된 접착 조인트(13)에 의해 가열판 등의 피가열체((10)의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3)는 그의 외측 경계부내에 그의 표면 위로 거의 균일하게 전개된 개구부(9)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개구부(9)는 열저항기(2)의 일부분(4)에 인접하며, 특히 열저항기(2)의 일부분(4)에 인접하여 평행한 슬롯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저항기(2)는 지지체(3)와, 지지체를 관통하거나 리벳에 의해 고정된 열저항기(2)이 도선(6)을 갖는 예비 성형된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구조체는 실재물로서 접착조인트(13)를 통하여 피가열체(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저항기(2)는 접척 조인트(13 또는 16)를 형성하기 위해 열저항기의 인접면(12 또는 15)이 피복 또는 가압층으로 구성되며, 인쇄된 도선트랙으로서 지지체(3)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저항기(2)는 금속함유 페이스트 특히, 온 중합체 페이스트 등의 중합체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저항기(2)는 은 및 흑연 중합체 페이스트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저항기(2,2a,2b)는 열처리 특히 약 200℃의 온도에서 연소되거나 지지체(3,3a,3b)와 접속하여 경화되어 안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피가열체(10)의 수용면(11)은 절연체 특히 유리 세라믹 등의 세라믹제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피가열체(10)는 본질적으로 그의 전 두께에 걸쳐 동일재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접착층(14)과 열저항기(2) 및 지지체(3)를 갖는 3층 이상의 샌드위치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3)는 비용융의 내고온성 플라스틱 특히 아라미드 등의 방향족 중합체로부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3)는 파이버, 플레이크 등의 압축 혼합물로 형성된 페이퍼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형식의 합성 접합재와 결합된 폴리아미드 파이버와 혼합되고 이어서 지지체의 양측면의 상단부가 피복된 긴 펄프 파이퍼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가열체(10a) 특히 거울로부터 이격된 열저항기(2a)를 갖는 가열 장치가 베이스 지지체면에 고정키 위해 스페이셔 형태로 배치되고, 특히 피가열체(10a)로부터 이격된 서포오트(3a)의 측부에 위치된 부분면의 접착 조인트(19)인 가열 영역을 외부에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저항기(2b)는 외부 거울을 가열키 위해 상이한 정격 용량을 갖는 2개이상의 가열회로(21,22)를 가지며, 특히 가열회로중의 적어도 일방은 타방과는 독립적으로 절환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 특히 고정격 용량의 가열 회로(21) 측의 열저항기는 바이메탈식 스냅 원판 온도 조절 장치 등의 온도 스위치(25)에 의해 좀더 높은 절환 자기이력 또는 15 내지 25℃이상으로 절환되며, 또한 온도 스위치(25)는 접착 조인트(26)등을 사용하여 열저항기(2b)로부터 이격된 지지체(3b)의 측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피가열체 특히 자동차용 거울의 거울 유리(10b)는 가열 소자 상에 형성된 접착 조인트(19b)에 의해 거울 지지기와 같은 부재(20b)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KR1019880008856A 1987-07-15 1988-07-15 전기 가열 장치 KR970002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73723345 DE3723345A1 (de) 1987-07-15 1987-07-15 Elektrische heizvorrichtung fuer eine heizplatte
DEP3723345.9 1987-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48A KR890003248A (ko) 1989-04-13
KR970002279B1 true KR970002279B1 (ko) 1997-02-27

Family

ID=633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856A KR970002279B1 (ko) 1987-07-15 1988-07-15 전기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10388A (ko)
EP (1) EP0304595B1 (ko)
JP (1) JPS6431369A (ko)
KR (1) KR970002279B1 (ko)
DE (2) DE3723345A1 (ko)
ES (1) ES2032904T3 (ko)
YU (1) YU135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8221B (it) * 1988-04-15 1990-04-12 Bayer Ag Sistemi di riscaldamento ad alta temperatura e metodo per produrli
DE4341036A1 (de) * 1993-12-02 1995-06-08 Ego Elektro Blanc & Fischer Beheizung
DE4341035A1 (de) * 1993-12-02 1995-06-08 Ego Elektro Blanc & Fischer Beheizung mit einer Heizeinheit
US5380981A (en) * 1993-05-04 1995-01-10 Feldman; Bernard Economical bathroom mirror heater
DE19508315C1 (de) * 1995-03-09 1996-05-09 Vontana Wasserbetten Gmbh Heizungsvorrichtung für Wasserbetten
US5961869A (en) * 1995-11-13 1999-10-05 Irgens; O. Stephan Electrically insulated adhesive-coated heating element
DE19711541A1 (de) * 1997-03-20 1998-09-24 Ako Werke Gmbh & Co Elektrokochplatte
AUPQ272099A0 (en) * 1999-09-09 1999-09-30 Pillinger, Barry Ernest Laminated anti-fogging mirror assembly
DE19961781C2 (de) * 1999-12-21 2003-07-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Laminierbare Heizungsfolie mit hoher Temperaturbeständigkeit und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derartigen Heizungsfolie auf ein Trägermaterial
US7804044B2 (en) * 2000-12-23 2010-09-28 Braincom Ag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heatable objec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396202B1 (ko) * 2001-06-22 2003-08-27 노승하 두부제조용 응고제
DE10204214B4 (de) * 2002-01-28 2005-03-17 Pöllet, Wilfried Warmhalteplatte
AU2003281961A1 (en) * 2002-10-23 2004-05-25 Braincom Ag Panel heating syste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heatable object, seat occupancy recognition system, seat provided with the same and seat occupancy recognition method
US7306283B2 (en) * 2002-11-21 2007-12-11 W.E.T. Automotive Systems Ag Heater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GB0310285D0 (en) * 2003-05-03 2003-06-11 Ceramaspeed Ltd Electric heating assembly
DE112005000939T5 (de) * 2004-03-22 2007-07-26 W.E.T. Automotive Systems Ag Heizelment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Formen desselben
FR2868737B1 (fr) * 2004-04-13 2008-08-08 Valeo Climatisation Sa Ensemble de chauffage pour installation de chauffage, de ventilation et/ou d'air climatise d'un habitacle de vehicule
EP2081413A1 (en) * 2006-06-16 2009-07-22 David Sanchez Duque Heat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US20080197122A1 (en) * 2007-02-21 2008-08-21 Kenneth Parks Gober Combination defroster panel and sunshade for vehicle glass
FR2946280B1 (fr) * 2009-06-03 2018-01-05 Corso Magenta Article en feuille pour application sur une paroi a decorer,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application associes
FR2968241B1 (fr) 2010-12-02 2012-12-21 Corso Magenta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permettant l'apposition d'un film
US9603196B2 (en) 2012-12-14 2017-03-21 Tech Design Llc Self-regulating semi-conductive flexible heating element
US10207018B2 (en) * 2015-05-27 2019-02-19 S.C. Johnson & Son, Inc. Low wattage USB powered wax warmers
FR3069126B1 (fr) * 2017-07-12 2020-11-1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regeneration de composants electroniques en environnement nucleai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1382A (en) * 1943-11-05 1945-12-25 Bilan John Heating unit
US3475588A (en) * 1968-08-20 1969-10-28 Permaglass Defrosting and deicing window assembly
DE1957768B2 (de) * 1969-11-17 1972-01-20 Thannhuber, Josef, 8380 Landau Vorrichtung zur anbringung an der innenseite eines auto fensters zwecks verhinderung von beschlagen oder vereisung
US3757087A (en) * 1970-09-11 1973-09-04 Smiths Industries Ltd Heating elements
US3869596A (en) * 1973-09-28 1975-03-04 Safeway Products Inc Cookware heater
US3982092A (en) * 1974-09-06 1976-09-21 Libbey-Owens-Ford Company Electrically heated zoned window systems
GB1521858A (en) * 1977-06-23 1978-08-16 Parr & Ass Ltd D Electrical heater units
GB2052224A (en) * 1979-06-27 1981-01-21 Parr David & Ass Electrical window heater
US4450346A (en) * 1981-05-14 1984-05-22 Ford Motor Company Electric heater plate
US4488033A (en) * 1982-09-23 1984-12-11 Interdynamics, Inc. Heater assembly for heating glass surface
JPS60145594U (ja) * 1984-03-02 1985-09-27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面状発熱体用抵抗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4595B1 (de) 1992-05-20
DE3871285D1 (ko) 1992-06-25
YU135888A (en) 1991-02-28
DE3723345A1 (de) 1989-01-26
KR890003248A (ko) 1989-04-13
JPS6431369A (en) 1989-02-01
US4910388A (en) 1990-03-20
ES2032904T3 (es) 1993-03-01
EP0304595A1 (de) 198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279B1 (ko) 전기 가열 장치
US4250398A (en) Solid state electrically conductive laminate
US5192853A (en) Heating set having positive temperatue coefficient thermistor elements adhesively connected to heat radiator devices
FI87967C (fi) Uppvaermningsenhet
EP0172302A1 (en) Planar resistance heating element
CA2296875A1 (en) Heater with ptc element and buss system
US6118102A (en) Immersion heating element sandwiched between two substrates
JPH01230220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用フューズアセンブリ
US3934119A (en) Electrical resistance heaters
IE921065A1 (en) Electrothermal relay with film heating element
US4939349A (en) Ceramic thermistor heating element
CA1244144A (e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device
US3952116A (en) Process for forming electrical resistance heaters
US5208576A (en) Electrical external resistance
EP1001655A2 (en) Heater with PTC and fixed resistance elements
US3944787A (en) Heater on metal composites
JPH08264262A (ja) 面状発熱体
RU201906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бкого резистивного нагревателя
JPH10106722A (ja) 面状発熱体
JPS6325470B2 (ko)
KR830000115B1 (ko) 전도성 고체 적층판
JPH03129694A (ja) 発熱体
JP2715076B2 (ja) 面状発熱体
JPS6035190Y2 (ja) 平面発熱体の電極構造
JP3182282B2 (ja) 平面発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